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조선 순조

색인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목차

  1. 424 처지: 능가사, 덕흥궁, 덕흥대원군, 덕천군 (1397년), 덕온공주, 덕온공주당의, 덕온공주의복, 덕온공주유물, 도정궁, 동구릉, 만기요람, 만인소, 목민심서, 목천 돈씨, 명온공주, 명성황후, 문효세자, 문산읍 (진주시), 묘호, 묵호동, 미꾸라지, 민경혁, 감자, 방우정, 배봉산, 백동수, 백산서원 (무주군), 발해고, 갑신정변, 박승봉, 박큰아기, 박희순 루치아, 강음 단씨, 박제가, 박종경, 박종채, 박준원, 박지원 (1737년), 강순, 강현종, 밀양 박씨, 거북선, 경복궁 중건, 경희궁, 경주 계림, 경주 나정, 벽파, 경상감영, 경풍도무, 고구려 평양성 석편,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74 더) »

능가사

웅전 능가사(楞伽寺)는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369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

보다 조선 순조와 능가사

덕흥궁

덕흥궁(德興宮)은 도성(都城) 서부(西部) 인달방(仁達坊)의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鍾路區) 사직동(社稷洞) 262번지 일대에 즉 사직단(社稷壇)의 남쪽 바로 옆 도정궁(都正宮) 내 후원에 있었으며, 불천지위 6위를 모시는 신궁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흥궁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흥대원군

덕천군 (1397년)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1397년 ~ 1465년)은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열째 왕자로, 시호는 적덕공(積德公)이며, 본관은 전주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천군 (1397년)

덕온공주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년 음력 6월 10일 ~ 1844년 음력 5월 24일)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온공주

덕온공주당의

덕온공주당의(德溫公主唐衣)는 조선의 제23대 왕인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당의 복식 유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온공주당의

덕온공주의복

덕온공주의복(德溫公主衣服)은 조선의 제23대 왕인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옷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온공주의복

덕온공주유물

덕온공주유물(德溫公主遺物)은 조선의 제23대 왕인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복식 유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덕온공주유물

도정궁

정궁(都正宮)은 덕흥대원군 사저(私邸)이자 선조의 잠저(潛邸)이.

보다 조선 순조와 도정궁

동구릉

동구릉(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이.

보다 조선 순조와 동구릉

만기요람

만기요람(萬機要覽)이란 1808년(순조 8년)에 서영보(徐榮輔), 심상규(沈象奎)등이 왕명을 받아 왕이 나라의 군정(軍政)과 재정(財政)을 파악하도록 만든 책이.

보다 조선 순조와 만기요람

만인소

만인소(萬人疏)는 조선시대 유생들이 정책상 의사발표를 위해 올린 상소(上疏)이.

보다 조선 순조와 만인소

목민심서

《목민심서》(牧民心書)는 1818년(순조 18년)에 정약용이 지방관을 비롯한 관리의 올바른 마음가짐 및 몸가짐에 대해 기록한 행정지침서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권 16~29에 수록된 책이.

보다 조선 순조와 목민심서

목천 돈씨

목천 돈씨(木川 頓氏)는 을지문덕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목천 돈씨

명온공주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년 음력 10월 13일 ~ 1832년 음력 6월 13일)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명온공주

명성황후

쪽.

보다 조선 순조와 명성황후

문효세자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년 10월 13일(음력 9월 7일) ~ 1786년 6월 6일(음력 5월 11일))는 조선의 왕세자(王世子)이자 제22대 정조의 장자이며,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첫아들이.

보다 조선 순조와 문효세자

문산읍 (진주시)

문산읍(文山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의 읍이.

보다 조선 순조와 문산읍 (진주시)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묘호

묵호동

묵호동(墨湖洞)은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의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묵호동

미꾸라지

미꾸라지(추어(鰍魚)),, 학명: Misgurnus mizolepis)는 잉어목 미꾸리과 미꾸리속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한반도 서부와 남부에 두루 서식한다. 한자로는 추어(鰍魚)라고 부르기도 하며 식용한다.

보다 조선 순조와 미꾸라지

민경혁

민경혁(閔景爀, 1746년 ~ 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민경혁

감자

자()는 가지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곡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감자

방우정

방우정(方禹鼎, 1772년 ~ 1820년)은 조선의 무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방우정

배봉산

배봉산(拜峰山)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에 있는 산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배봉산

백동수

백동수(白東脩, 1743년 ~ 1816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이덕무, 박제가와 함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에 참여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백동수

백산서원 (무주군)

백산서원(柏山書院)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에 있는 서원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백산서원 (무주군)

발해고

《발해고》(渤海考)는 조선 정조 8년(1784년)에 규장각검서로 일하던 실학자 류득공유득공(柳得恭)은 '유득공'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발해고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갑신정변

박승봉

박승봉(朴勝鳳, 1871년 ~ 1933년 6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도 관료를.

보다 조선 순조와 박승봉

박큰아기

박큰아기(朴大阿只, 1786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큰아기

박희순 루치아

박희순(朴喜順, 1801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희순 루치아

강음 단씨

강음 단씨(江陰 段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강음 단씨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제가

박종경

박종경(朴宗慶, 1765년 ~ 181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종경

박종채

혜전 박종채(朴宗采, 1780년 ~ 1835년 11월 1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종채

박준원

박준원(朴準源, 1739년 ~ 1807년)은 조선 시대의 문관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준원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박지원 (1737년)

강순

강순(康純, 1390년 ~ 1468년 10월 27일)은 조선 세종, 세조 때의 명장,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강순

강현종

강현종(1980년 9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출신 방송인이며,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감독이.

보다 조선 순조와 강현종

밀양 박씨

밀양 박씨(密陽 朴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밀양 박씨

거북선

서울특별시의 전쟁기념관에 있는 거북선 모형 대한민국의 5원 주화 거북선 또는 귀선(龜船)은 조선 시대의 군함이.

보다 조선 순조와 거북선

경복궁 중건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은 조선 말기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에게서 지시를 받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1865년(고종 2년)부터 1872년(고종 9년)까지 행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경복궁 중건

경희궁

경희궁(慶熙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9년(1617년)에 건립한 이후, 10대에 걸쳐 임금이 정사를 보았던 궁궐이.

보다 조선 순조와 경희궁

경주 계림

경주 계림(鷄林)은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위치한 숲으로 시림(始林)이라고도 불린.

보다 조선 순조와 경주 계림

경주 나정

경주 나정(慶州 蘿井)은 경상북도 경주시 탑동에 위치한 우물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강전설(誕降傳說)이 깃든 곳이.

보다 조선 순조와 경주 나정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보다 조선 순조와 벽파

경상감영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의 지방 행정의 8도제하에 경상도(慶尙道)를 관할하던 감영(監營)이.

보다 조선 순조와 경상감영

경풍도무

경풍도무(慶豊圖舞)는 조선의 궁중 무용이.

보다 조선 순조와 경풍도무

고구려 평양성 석편

평양성 석편(高句麗 平壤城 石片) 또는 고구려 평양성 축성 기록 글자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쌓을 당시 도성의 축조를 맡은 공사책임자가 평평한 자연석 위에 글자를 새긴 것이.

보다 조선 순조와 고구려 평양성 석편

고전면

전면(古田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보다 조선 순조와 고전면

고석정

석정(孤石亭)은 철원읍 동송읍 장흥리에 위치하고 있는 신라 진평왕 때 한탄강 중류에 세워진 정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고석정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보다 조선 순조와 과거제

복온공주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년 음력 10월 26일 ~ 1832년 음력 5월 12일)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복온공주

계원필경

원필경(桂苑筆耕) 또는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은, 남북국 시대 신라 말의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한시문집으로, 879년에 완성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계원필경

관덕정

제주 관덕정(濟州 觀德亭)은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도2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누정으로, 대한민국의 보물 제322호이.

보다 조선 순조와 관덕정

궁녀

궁녀 궁녀(宮女)는 궁의 일을 보는 여성을 말. 본래 의미는 궁에 거주하는 모든 여성의 통칭으로 동의어로 궁인(宮人)·궁첩(宮妾)·내인(內人) 등이 있. 현대 국어사전에선 궁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시비(侍婢)로서 내명부 관작을 받은 여인의 호칭으로 정의하고 있.

보다 조선 순조와 궁녀

북정동 (울산)

북정동(北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법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북정동 (울산)

궁호

궁호(宮號)는 조선 왕실에서 여성에게 붙었던 칭호이.

보다 조선 순조와 궁호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보다 조선 순조와 북학

권철신

신(權哲身, 1736년 ~ 1801년)은 조선의 학자, 순교한 기독교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권철신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보다 조선 순조와 붕당

부산 범어사 유제 대발

범어사 유제 대발(梵魚寺 鍮製 大鉢)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공양구로, 절에서 공양할 때 밥통으로 사용하던 식기의 일종이.

보다 조선 순조와 부산 범어사 유제 대발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보다 조선 순조와 부원군

규합총서

200px 규합총서(閨閤叢書)는 1809년 (순조9년) 여성실학자이자 서유구의 형수인 빙허각 이씨가 아녀자를 위해 엮은 일종의 여성생활백과이.

보다 조선 순조와 규합총서

긍선

긍선(亘璇: 1767~1852) 조선 후기의 승려이.

보다 조선 순조와 긍선

긴 한국어 낱말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낱말 중에서는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란 낱말이 19자로 가장 긴 낱말이.

보다 조선 순조와 긴 한국어 낱말

금정산성 부설비

정산성 부설비(金井山城 復說碑)는 금정산성을 보수한 뒤 산성의 면모를 새롭게 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

보다 조선 순조와 금정산성 부설비

금산면 (진주시)

산면(琴山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의 면이.

보다 조선 순조와 금산면 (진주시)

빈 (지위)

빈(嬪)은 조선 왕조 내명부(內命婦)의 품계 중 하나로, 국왕의 정1품 후궁의 위호(位號)이.

보다 조선 순조와 빈 (지위)

김명순 (1759년)

명순(金明淳, 1759년 - 1810년 7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명순 (1759년)

김문순 (1744년)

문순(金文淳, 1744년~181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문과급제후, 선혜청제조, 판돈녕부사를 지냈으며 한성부판윤을 여러번 재임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김문순 (1744년)

김관주

주(金觀柱, 1743년 ~ 180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척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관주

김근순

순(金近淳, 177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청백리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근순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김규식

김귀주

주(金龜柱, 1740년~1786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귀주

김득신 (화가)

득신(金得臣, 1754년(영조 30년) ~ 1822년(순조 22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득신 (화가)

김달순

순(金達淳, 1760년~1806년 5월 30일(음력 4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도이(道爾), 호는 일청(一靑), 시호는 익헌(翼憲)이며, 본관은 (신)안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달순

김승수 (배우)

승수(金承洙, 1971년 7월 2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승수 (배우)

김자은

자은(金自隱)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자은

김재찬

재찬(金載瓚, 1746년 ~ 1827년)은 조선의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재찬

김재순

재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순조와 김재순

김정호

정호(金正浩, ? ~ 1864년)는 조선 후기 대표적 지리학자이며 지도 제작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정호

김조근

조근(金祖根, 1793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외척으로 자는 백술(伯述) 호는 자오(紫塢) 시호는 효간(孝簡)이며 본관은 (신) 안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조근

김조순

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조순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보다 조선 순조와 김좌근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종수 (1728년)

김종후

종후(金鍾厚, 1721년 ~ 178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좌의정을 지낸 김종수의 형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종후

김진화 (1793년)

화(金鎭華, 1793년 ~ 1850년)는 조선(朝鮮)의 문관(文官) 겸 시인(詩人)으로 활약한 순조·헌종 임금 때의 청백리(淸白吏)이자 명목민관(名牧民官)이었고 본관은 의성(義城)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진화 (1793년)

김창집

몽와 김창집 영정(영의정 재직 무렵) 김창집 (金昌集, 1648년(인조 26년) ∼ 1722년 5월 2일(경종 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창집

김창하 (조선)

창하(金昌河, 생몰년 미상)는 조선 말기의 국악사로, 자는 의선(義善), 본관은 경주이며, 서울 출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창하 (조선)

김유근

유근(金逌根, 1785년 3월 ~ 1840년 7월)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시인, 화가, 문신으로 예조판서, 병조판서, 판돈령부사를.

보다 조선 순조와 김유근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보다 조선 순조와 김수항

김숙년

숙년 (1934년 -)은 대한민국의 요리 연구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숙년

김영제

영제(金甯濟, 1883년 ~ 1954년)는 근세 조선(고종 ~ 일제 강점기)의 국악 이론가, 연주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영제

김성옥

성옥(金成玉)은 조선시대의 순조 때 판소리 명창으로 고종 때의 명창 김창룡의 조부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성옥

김한록

록(金漢祿, 1722년 ~ 1790년)는 조선의 문신 겸 외척이자 정치가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여수(汝綏)이며 호는 한간(寒澗)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한록

김학진

학진(金鶴鎭, 1838년 양력 4월 3일 ~ 1917년 양력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보다 조선 순조와 김학진

김원행

원행의 초상화 김원행(金元行, 1702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김원행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보다 조선 순조와 대리청정

대모산

모산(大母山)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서초구에 있는 높이 293m의 산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모산

대구향교

향교(大邱鄕校)는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12(남산동)에 있는 향교(鄕校)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구향교

대흥 필씨

흥 필씨(大興 弼氏)의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흥 필씨

대현동 (울산)

현동(大峴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현동 (울산)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대원군 (드라마)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보다 조선 순조와 대왕대비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세종대왕 신도비(世宗大王 神道碑)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

보다 조선 순조와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구르미 그린 달빛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은 2016년 8월 22일부터 2016년 10월 18일까지 방영된 KBS2 월화 드라마이.

보다 조선 순조와 구르미 그린 달빛 (드라마)

구은사

은사(九隱祠)는 조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기 위해 은거한 구은사(九隱士, 생육신인 김시습 외 8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보다 조선 순조와 구은사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남이

남촌동 (오산시)

동(南村洞)은 경기도 오산시의 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남촌동 (오산시)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양주 흥국사 대웅보전(興國寺 大雄寶殿)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흥국사에 있는 대웅전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남연군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음포 이충무공 유적(南海 觀音浦 李忠武公 遺蹟)은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적지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남원 선국사 대웅전

원 선국사 대웅전(南原 善國寺 大雄殿)은 전라북도 남원시, 선국사에 있는 대웅전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남원 선국사 대웅전

내명부

명부(內命婦)는 조선시대 궁중에 있는 왕비와 후궁, 그리고 이들을 모시는 여자 관리(궁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

보다 조선 순조와 내명부

나합 양씨

합 양씨(羅閤 梁氏, ? ~ ?)는 조선 후기의 기생 출신 여성이자, 조선 후기의 권력자였.

보다 조선 순조와 나합 양씨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보다 조선 순조와 낙천군

농소동 (울산)

농소동(農所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행정동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의 통칭이.

보다 조선 순조와 농소동 (울산)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보다 조선 순조와 노론

노상추일기

상추일기(盧尙樞日記)는, 조선(朝鮮) 후기의 무관(武官) 노상추(盧尙樞)가 남긴 일기이.

보다 조선 순조와 노상추일기

녹파잡기

《녹파잡기》(綠波雜記)는, 조선(朝鮮) 후기의 문인 한재락이 지은 평양 기생들에 대한 기록이.

보다 조선 순조와 녹파잡기

단가

(短歌)란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소리하는 이의 목을 풀기 위하여 부르는 짧은 노래를 말. 단가는 판소리를 부르기 전에 서적음악(序的音樂)으로 부르는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담담하게 되어 있. 소리하는 이가 단가에서 판소리 기교를 부리는 것은 법통이 아.

보다 조선 순조와 단가

단소

소 단소의 운지법. 편의상 黃.

보다 조선 순조와 단소

달동 (울산)

동(達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달동 (울산)

효정왕후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년 3월 6일(음력 1월 22일) ~ 1904년 1월 2일(1903년 음력 11월 15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憲宗)의 계비(繼妃)이.

보다 조선 순조와 효정왕후

효창공원

효창 공원(孝昌公園)은 원래 5살 어린 나이에 죽은 정조의 첫째 아들 문효세자와 몇달 후 죽은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의 무덤으로 효창원(孝昌園)이었으나, 두 무덤은 서삼릉으로 강제 이장 당하고, 이름도 효창공원이 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효창공원

효현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4월 27일(음력 3월 14일) ~ 1843년 10월 18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 헌종의 정비(正妃)이.

보다 조선 순조와 효현왕후

용성부대부인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 1793년 7월 20일 - 1834년 3월)는 조선 후기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용성부대부인

우군칙

우군칙(禹君則, 1776년 ~ 1812년 음력 4월)은 조선 순조 시대의 풍수복설가, 농민 반란 주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우군칙

우정동

우정동(牛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우정동

자산어보

《자산어보》(玆山魚譜)는 정약전이 1801년(순조 원년) 천주교 박해사건인 신유박해 때 전라도 흑산도에 유배되어 1814년(순조 14년)까지 생활하면서 이 지역의 해상 생물에 대해서 분석하여 편찬한 해양생물학 서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자산어보

임상옥

임상옥(林尙沃, 1779년 ~ 1855년)은 조선 중기 무역 상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임상옥

흥녕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년 7월 16일 ~ 1828년 2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손자이며, 흥선대원왕, 흥인군의 백형(伯兄)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보다 조선 순조와 흥녕군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보다 조선 순조와 흥인군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흥선대원군 자적단령(興宣大院君紫赤團領)이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입었던 자주색 단령이.

보다 조선 순조와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흥성동헌

흥성동헌(興城東軒)은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에 있는 동헌이.

보다 조선 순조와 흥성동헌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흥완군

이로 (1769년)

이로 또는 이노(李潞, 1769년 ~ 1826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감진어사(監賑御史)와 동벽승지(東壁承旨) 등을.

보다 조선 순조와 이로 (1769년)

이만운 (1723년)

이만운(李萬運, 1723년 ~ 179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심(仲心), 본관은 함평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만운 (1723년)

이간 (1677년)

이간(李柬, 1677년~1727년)은 조선의 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간 (1677년)

이가환

이가환(李家煥, 1742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가환

이경일

이경일(李敬一, 1734년 ~ 182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경일

이공

이공은 다음과 같은 뜻으로 쓰인.

보다 조선 순조와 이공

이광임 선생 고택

이광임 선생 고택(李廣任 先生 故宅)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목조기와집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광임 선생 고택

이광헌

이광헌(李光獻, 1787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광헌

이긍용

이긍용(李兢鎔, 1851(1791)년 - 1881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긍용

이당 (1758년)

이당(李溏, 1758년 - 1819년)은 조선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하고 어영대장(御營大將)을.

보다 조선 순조와 이당 (1758년)

이요헌

이요헌(李堯憲, 1766년-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는데 공을 세웠.

보다 조선 순조와 이요헌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보다 조선 순조와 이재각

이재수 (1770년)

이재수(李在秀, 1770년~182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재수 (1770년)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이재선 추대 사건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조

이종상

이종상(李鍾祥, 1799년-1870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종상

이진익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진익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징옥

이철득

이철득(李鐵得, 1780년 ~ ?)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조선 장조의 서자인 은언군 이인의 서자였.

보다 조선 순조와 이철득

이상길 (1556년)

이상길(李尙吉, 1556년(명종 11년) ~ 1637년(인조 1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상길 (1556년)

이양선

19세기 서양의 범선인 프리깃 이양선(異樣船)이란 조선 후기에 조선 연안 지역에 출몰했던 정체불명의 배들을 가리키는 표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양선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산 (드라마)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성득(李成得, 1775년 ~ 1817년 11월 2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국사범으로, 사도세자의 서손자이자, 은언군 인의 서자였.

보다 조선 순조와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서구 (조선)

이서구(李書九, 1754년∼1825년)는 조선의 문신·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서구 (조선)

이약우

이약우(李若愚, 1782~1860)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약우

이한림

이한림(李翰林, 1921년 2월 10일 ~ 2012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 외교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한림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하전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원경 (1827년)

이화동 (서울)

낙산에서 바라본 대학로 일대 이화동(梨花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이화동 (서울)

인릉산

인릉산(仁陵山)은 서울특별시의 서초구와 경기도 성남시에 걸쳐 동서향으로 뻗어내린 산으로 해발 327m의 산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인릉산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보다 조선 순조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일월산황씨부인당

일월산황씨부인당은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일월산길 675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신당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일월산황씨부인당

음력 11월 13일

음력 11월 13일은 음력 11월의 13번째 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음력 11월 13일

음력 6월 18일

음력 6월 18일은 음력 6월의 18번째 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음력 6월 18일

의기사

의기사(義妓祠)는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의기사

의빈 성씨

의빈 성씨(宜嬪 成氏, 1753년 8월 6일 (음력 7월 8일정조, 「어제 의빈 묘표」, "嬪生于英宗二十九年癸酉七月八日") ~ 1786년 11월 4일 (음력 9월 14일))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이름은 덕임(德任)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의빈 성씨

의유당

의유당(意幽堂, 생몰연대 불명)은 조선 순조 때의 시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의유당

의유당일기

《의유당일기(意幽堂日記)》는 조선 순조 때 판관(判官)의 아내 의유당이 쓴 한글기행문으로, 1829년 그의 남편이 함흥판관으로 부임할 때 같이 가서 그 부근의 명승고적을 탐승하여 지은 기행·전기·번역 등을 합편한 문집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의유당일기

의소세자

의소세자(懿昭世子, 1750년 9월 27일(음력 8월 27일) ~ 1752년 4월 17일(음력 3월 4일)) 또는 의소세손(懿昭世孫)은 조선의 왕세손이자 추존 왕세자로 조선의 21대 왕 영조(英祖)의 장손이자 장조(莊祖)의 적장자로 헌경왕후(獻敬王后) 소생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의소세자

익종 (동음이의)

익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순조와 익종 (동음이의)

익산 숭림사 보광전

익산 숭림사 보광전(益山 崇林寺 普光殿)은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숭림사에 있는 건축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익산 숭림사 보광전

을해박해

을해박해는 을해년(1815년, 순조 15) 경상도와 강원도에서 일어난 조선정부의 천주교 박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을해박해

은전군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8월 14일 ~ 1778년 8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영조의 서손이자 사도세자(장조로 추존)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景嬪朴氏)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은전군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은언군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은신군

적벽가

《적벽가(赤壁歌)》는 《삼국지연의》에서 적벽대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 다섯 바탕 중의 하나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적벽가

전고종갓

전고종갓(傳高宗-)은 대한제국 고종이 쓰던 것으로 전해지는 갓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전고종갓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는 조선 철종의 생부 전계대원군 이광과 그 본부인 완양부대부인 전주최씨 및 가족의 묘역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전주시의 역사

전산군부인 이씨

증 전산군부인 전주이씨(贈 全山郡夫人 全州李氏, 1764년 12월 19일 - 1819년 6월 4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와 숙빈 임씨의 아들인 은언군이인의 첩이자 전계대원군에 추증된 이광(이쾌득)의 생모였.

보다 조선 순조와 전산군부인 이씨

정관읍

정관읍(鼎冠邑)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북부에 위치한 읍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정관읍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선일

정선일(1959년 11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교수이다 1980넌 KBS 16기 공채 성우, MBC 12기 공채 탤런트로 출발하여 TV 드라마와 연극무대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기독교 연극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 예술교육전문위원장과 한국국제예술원 연기학부 학부장을 맡고 있고 뮤지컬과 연극 제작 프로듀서로도 활동하고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정선일

정약전

정약전(丁若銓, 1758년 4월 8일(음력 3월 1일)~1816년 6월 30일(음력 6월 6일))은 조선 영조에서 순조 연간에 살던 성리학자·생물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정약전

정약현

정약현(丁若鉉, 1751년 ~ 1821년)은 조선 후기의 인물로, 자는 태현(太玄), 호는 부연(鬴淵)이며 본관은 나주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정약현

정후겸

정후겸(鄭厚謙, 1749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 문신,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정후겸

조만영

이한철의 작품) 조만영(趙萬永, 1776년 ~ 1846년)은 조선 후기의 정치가·문신 겸 서예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만영

조두순 (1796년)

조두순(趙斗淳, 1796년 ~ 187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두순 (1796년)

조정규

조정규(趙廷奎, 1791년 ~ ?)는 조선 순조 때의 화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정규

조침문

조침문(弔針文)은 조선 순조 때 유씨(兪氏)부인이 지은 수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침문

조영 통상 조약

조영통상조약(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reat Britain and Corea)은 1883년 11월 26일 조선과 영국 사이에 전문 13조의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부속통상장정(附續通商章程), 세칙장정(稅則章程), 선후속약(善後續約)의 영문 조약 필사본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영 통상 조약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문조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정조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철종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태종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헌종

조선 통신사

조선통신사 행렬도 (대영 박물관 소장)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는 일반적으로 개화기 이전까지 조선이 에도 막부에 파견한 대규모 사절단을 지칭하는 명칭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통신사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연호

종 이전의 조선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명과 청의 연호를 사용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연호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 및 대한제국의 황태자는 조선의 국왕, 대한제국 황제의 잠재적 왕위 계승권자로, 신하들은 국왕 외에 그에게도 칭신을 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의 왕세자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보다 조선 순조와 조선왕릉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좌의정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보다 조선 순조와 종묘

주자소응행절목

주자소응행절목(鑄字所應行節目)은 주자소에서 지켜야 할 시행규칙을 기록한 것이.규장각 소장본 《주자소응행절목》은 필사본 1권 1책으로 표제는《板堂考》(판당고)로 되어 있으며 절목(節目)과 함께 본소(本所) 내에 보관하고 있는 활자, 책판(冊板), 책우리(冊亐里), 용기(用器), 책자(冊子), 지지(紙地) 및 주자곡(鑄字穀), 항식(恒式) 등으로 구성되어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주자소응행절목

주천면 (영월군)

주천면(酒泉面)은 대한민국 강원도 영월군의 북서쪽에 위치한 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주천면 (영월군)

죽도궁

죽도궁(竹刀宮)은 한성 중구 관훈동 198번지 18호에 있던 궁으로 조선후기의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明溫公主)와 부마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이 거주하였던 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죽도궁

중랑구

중랑구(中浪區)는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보다 조선 순조와 중랑구

진주민란

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년) 봄 진주에서 일어난 민중의 봉기 사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진주민란

진주검무

주검무(晋州劍舞)는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전승되어 온 여성검무를 말. 진주검무는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진주검무

진천향교

향교(鎭川鄕校)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에 있는 향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진천향교

진안군 (왕족)

안군 이언식(晋安君 李彦植, 1752년 ~ 18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후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진안군 (왕족)

지지대비

비(遲遲臺碑)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있는, 조선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추모하기 위해 순조 7년(1807) 화성 어사 신현의 건의로 세워진 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지지대비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창덕궁

채용신

용신(蔡龍臣, 1848년(헌종 14년) ~ 1941년)은 조선 후기의 초상화.

보다 조선 순조와 채용신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채제공

채수영의 난

수영의 난(蔡壽永-亂)은 1817년(순조 17) 3월 전라도 장수 출신인 채수영과 안유겸(安有謙) 등이 사람을 모아 순조를 폐위하고 은언군의 아들 이철득을 추대하려다가 사전에 발각된 사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채수영의 난

철인왕후

인왕후 金氏(哲仁王后, 1837년 4월 27일(음력 3월 23일) ~ 1878년 6월 12일(음력 5월 12일))는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비(妃)이.

보다 조선 순조와 철인왕후

청도면

청도면(淸道面)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청도면

청계산 (경기/서울)

청계산(淸溪山)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경기도 과천시, 성남시, 의왕시의 경계에 걸쳐있는 산으로 대표적인 흙산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고 높이의 좌표는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상적동 산 73-14번지에서 220m 남서쪽으로 위치해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청계산 (경기/서울)

청계서원 (진주시)

청계서원(淸溪書院)은 고려의 문신인 정신열과 정천익을 배향한 서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청계서원 (진주시)

청구도

〈청구도〉(靑邱圖)는 1834년(순조 34년)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한국 지도로, 〈청구선표도〉(靑邱線表圖)라고도 부른.

보다 조선 순조와 청구도

청연공주

청연공주(淸衍公主, 1754년 ~ 1821년 7월 7일(음력 6월 9일))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청연공주

청선공주

청선공주(淸璿公主, 1756년 ~ 1802년 8월 17일(음력 7월 20일))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청선공주

천보총

보총(千步銃)은 조선 숙종때 군기시 소속의 박영준(朴永準)이 개발한 총으로 일본의 조총보다 뛰어났던 화승총이.

보다 조선 순조와 천보총

충주 평씨

충주 평씨(忠州平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충주 평씨

충주 이상급 신도비

충주 이상급 신도비(忠州 李尙伋 神道碑)는 충청북도 충주시 주덕읍에 있는,조선 중기의 문신인 충강공 이상급(1571∼1637) 선생을 기리는 신도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충주 이상급 신도비

추적 (고려)

적(秋適, 1246년 ∼ 1317년)은 고려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추적 (고려)

추어탕

어탕 추어탕(鰍魚湯)은 미꾸라지를 넣고 얼근하게 끓인 국이.

보다 조선 순조와 추어탕

칠곡동

곡동(漆谷洞, 1982년 ~ 2003년)은 대구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칠곡1~3동)이었.

보다 조선 순조와 칠곡동

칠궁

궁(七宮)은 대한민국 서울시 종로구 궁정동(청와대 내)에 위치한, 조선의 왕들을 낳은 친모이지만 왕비에 오르지 못한 후궁 7인의 신위를 모신 곳이.

보다 조선 순조와 칠궁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보다 조선 순조와 판소리

윤백영

윤백영(尹伯榮, 1888년 ~ 1986년)은 순조의 3녀 덕온공주의 영손녀(令孫女)이.

보다 조선 순조와 윤백영

윤용선

윤용선(尹容善, 1829년(순조 2년) ~ 1904년(광무 8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윤용선

윤치희

윤치희(尹致羲, 1797년 - 1866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윤치희

윤치성 (동음이의)

윤치성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순조와 윤치성 (동음이의)

윤선

윤선(輪船)은 조선 명종(明宗) 5년(1550년) 2월에 건조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윤선

팽성읍 객사

팽성읍 객사(彭城邑 客舍)는 조선시대 팽성현의 객사이.

보다 조선 순조와 팽성읍 객사

파문 (드라마)

《파문》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 번째 작품으로, 1989년 6월 7일부터 9월 13일까지 방영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파문 (드라마)

휘경동

휘경동(徽慶洞)은 서울특별시의 동대문구에 위치한 동의 명칭이.

보다 조선 순조와 휘경동

휘경원

휘경원(徽慶園)은 조선 정조의 후궁이자 조선 순조의 사친인 수비 박씨의 무덤이.

보다 조선 순조와 휘경원

융복

융복(戎服)은 조선시대의 군복이.

보다 조선 순조와 융복

상도 (드라마)

《상도》(商道)는 조선 후기의 상인 임상옥의 활동을 다룬 최인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MBC드라마인데 중반 이후 시청률이 오르자 10회 연장이 결장됐으며 이 과정에서 최완규 작가가 중도하차해야.

보다 조선 순조와 상도 (드라마)

상계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 1769년 1월 21일 ~ 1786년 11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초명(初名)은 이준(李濬)이.

보다 조선 순조와 상계군

상운사

상운사(祥雲寺)는 조선 숙종 37년(1711년) 북한산성 축성 이후 산성의 수비를 위해 창건된 13개 사찰들 중 하나이.

보다 조선 순조와 상운사

탁종술

탁종술(卓宗述, 1790년 ~ ?)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탁종술

순조실록

《순조연덕현도경인순희문안무정헌경성효대왕실록》(純祖淵德顯道景仁純禧文安武靖憲敬成孝大王實錄) 또는 《순조실록》(純祖實錄)은 1800년(순조 즉위년) 음력 7월부터 1834년(순조 34년) 음력 11월까지 순조 시대의 국정 전반에 관한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순조실록

순종

순종은 다음을 가리.

보다 조선 순조와 순종

순창 성황대신 사적 현판

순창 성황대신 사적 현판(淳昌 城隍大神 事跡 懸板)은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성황신을 섬기던 기록을 적은 현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순창 성황대신 사적 현판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대웅전(順天 仙巖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팔상전

순천 선암사 팔상전(順天 仙岩寺 八相殿)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팔상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순천 선암사 팔상전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순원왕후

수덕사

수덕사(修德寺)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수덕사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보다 조선 순조와 수렴청정

수릉 (조선)

수릉(綏陵)은 조선 제 23대 왕 순조의 세자 효명세자(후 익종, 문조로 추존)와 비 신정왕후 조씨의 능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수릉 (조선)

수빈 박씨

수빈 박씨 또는 유빈 박씨(綏嬪 朴氏, 1770년 음력 5월 8일 ~ 1823년 2월 5일(1822년 음력 12월 26일))는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네 번째 후궁이자 마지막 간택후궁이고, 제23대 왕 순조의 생모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수빈 박씨

수암동 (울산)

수암동(峀岩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수암동 (울산)

숙(肅)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보다 조선 순조와 숙

숙의 박씨

숙의 박씨(淑儀 朴氏)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을 지칭.

보다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

숙의 박씨 (순조)

숙의 박씨(淑儀 朴氏, ? ~ 1854년 음력 6월 30일)는 조선의 제23대 왕 순조의 후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 (순조)

숙의 김씨 (헌종)

숙의 화락당 김씨(淑儀 和樂堂 金氏, 1814년 1월 ~ 1895년 11월 12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의 후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숙의 김씨 (헌종)

숙선옹주

숙선옹주(淑善翁主, 1793년 4월 11일(음력 3월 1일) ~ 1836년 6월 7일)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숙선옹주

영가대

사로승구도에 보이는 영가대 영가대(永嘉臺)는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대에 있는 정자로, 조선시대에 동구 범일동 경부선 철로변에 있던 유적을 복원한 것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영가대

영남 만인소

영남 만인소(嶺南萬人疏)는 1881년 고종 16년에 유생 이만손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도 지역 유생들이 정부의 개화정책에 반대해서 올린 상소문으로 유생들이 전개한 위정척사 운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영남 만인소

영희전

영희전(永禧殿)은 조선 시대에, 태조ㆍ세조ㆍ원종ㆍ숙종ㆍ영조ㆍ순조의 영정을 모셨던 전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영희전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보다 조선 순조와 영의정

영온옹주

영온옹주(永溫翁主, 1817년 음력 10월 11일 ~ 1829년 음력 4월 8일)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영온옹주

영원한 제국

《영원한 제국》은 199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영원한 제국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은 조선에서 시행된 행정 구역 체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오가작통법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오경석

오천 수영 관아

오천수영관아(鰲川水營官衙)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있는 조선시대 충청수영청의 관청 건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오천 수영 관아

옥동 (울산)

옥동(玉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옥동 (울산)

최상진 (배우)

상진(崔相鎭, 1973년 11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순조와 최상진 (배우)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최한기

어변당

어변당(魚變堂)은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연상리 394에 있는 건축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어변당

어구전철

어구전철 또는 애너그램은 단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문자의 순서를 바꾸어 다른 단어나 문장을 만드는 놀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어구전철

어우야담

《어우야담》(於于野譚)은 조선 선조 때 어우당(於于堂) 유몽인(柳夢寅)이 지은 이야기 모음집으로 일반적으로 조선후기 ‘야담(野談)류’의 효시라 일컬어지는 작품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어우야담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어진

어여머리

어여머리는 조선 시대에 궁중에서나 양반집의 아녀자들이 예장할 때 머리에 얹은 큰 머리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어여머리

양반

양반 양반(兩班)은 조선 시대 최상급의 사회계급으로 사(士)·농(農)·공(工)·상(商) 중 사족(士族)에 해당.

보다 조선 순조와 양반

양금

양금(洋琴, 揚琴)은 한국의 전통 현악기 중의 하나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양금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비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비(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碑)는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지에 있는, 무학대사를 기념하여 세운 비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비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梁山 南岡書院 所藏 御定四部手圈)은 경상남도 양산시, 남강서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보다 조선 순조와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

여도비지

《여도비지》(輿圖備志)는 조선 후기에 김정호와 최성환(崔瑆煥)이 함께 편찬한 지지(地誌)이.

보다 조선 순조와 여도비지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보다 조선 순조와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보다 조선 순조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극의 역사

연극의 역사에서는 동양 및 서양 연극의 흐름을.

보다 조선 순조와 연극의 역사

연꽃소류지

연꽃소류지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에 있는 저수지로 1827년(순조 27)에 두구동 지역의 가뭄 해소를 위해 축조되었으.그 면적은 7828제곱미터로 두구동에 거주하던 한 주민이 1995년 연꽃 씨앗을 파종한 이후 자연적으로 번식되어 현재에 이르렀고, 2003년 4월 금정구에서 부곡2동 수도사 주지 정행스님의 순수 재래종 백련 뿌리를 제공받아 소류지 일부에 식재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연꽃소류지

염계달

염계달(廉季達)은 조선 왕조 순조·헌종·철종 등 3대에 걸친 판소리 명창이.

보다 조선 순조와 염계달

헌경왕후

경왕후 홍씨(獻敬王后 洪氏, 1735년 8월 6일(음력 6월 18일) ~ 1816년 1월 13일(1815년 음력 12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왕세자빈, 추존왕비로, 대한제국의 추존황후이.

보다 조선 순조와 헌경왕후

헌인릉

인릉의 오리나무 숲 헌인릉(獻仁陵, 사적 194호)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조 왕릉이.

보다 조선 순조와 헌인릉

표절사 (정주시)

정주 표절사(定州 表節祠)는 평안북도 정주시에 있는 사우이.

보다 조선 순조와 표절사 (정주시)

풍계군

풍계군 이당(豐溪君 李瑭, 1783년 2월 1일 - 1826년 5월 8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장조)의 서손자이자 은전군(恩全君)의 양아들이며 생부는 은언군(恩彦君)이.

보다 조선 순조와 풍계군

풍천 노씨 대종가

풍천 노씨 대종가(豊川 盧氏 大宗家)는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풍천 노씨 대종가

사도 (영화)

《사도》는 201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보다 조선 순조와 사도 (영화)

사자루

사비루(泗泚樓)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조선시대의 누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사자루

사천 목씨

사천 목씨(泗川 睦氏)는 경상남도 사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사천 목씨

삼산동 (울산)

삼산동(三山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법정동,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삼산동 (울산)

삼화사

삼화사 가이드맵 삼화사(三和寺)는 강원도 동해시의 무릉계곡 입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유서 깊은 절이.

보다 조선 순조와 삼화사

피에르 모방

에르 필리베르 모방(한국명: 나백다록(羅伯多祿), 1803년 9월 20일 ~ 1839년 9월 21일(음력 8월 14일))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회원이며, 한국교회사 최초의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로 여. 그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순조와 피에르 모방

선본사

선본사(禪本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있는 사찰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선본사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보다 조선 순조와 섭정

성안동 (울산)

성안동(聖安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성안동 (울산)

서매수

서매수(徐邁修, 1731년 ~ 181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서매수

서운관지

서운관지(書雲觀志)는 조선 영조~조선 정조 때의 천문학자 성주덕(成周悳)이 짓고, 이경로,이의봉에 의해 교정 받은 천문학책으로 조선 순조 18년인 1818년에 간행되었.

보다 조선 순조와 서운관지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서울 藥師寺 石佛立像)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약사사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석불 입상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

서초구

서초구(瑞草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남부에 있는 구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서초구

서유구

서유구 초상 서유구(徐有榘, 1764년 ~ 1845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농정가(農政家)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서유구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서얼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서원 철폐

송정동 (울산)

송정동(松亭洞)은 울산광역시 북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송정동 (울산)

송치규

송치규(宋穉圭, 1759년 ~ 1838년)는 조선의 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송치규

소설 목민심서

《소설 목민심서》는 KBS 2TV에서 2000년 5월 1일부터 2000년 10월 12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인데 소설가와 정약용을 이진우가 1인 2역으로 연기하면서 생긴 혼란이 컸던 것과 드라마를 너무 의식한 기법이 드라마의 흐름을 끊었다는 지적이 있었.

보다 조선 순조와 소설 목민심서

통명전

창경궁 통명전(昌慶宮通明殿)은 창경궁에 있는 왕의 침전 겸 연회용 건물이.

보다 조선 순조와 통명전

함 (성씨)

(咸)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함 (성씨)

함화진

화진(咸和鎭, 1884년 ~ 1948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국악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함화진

야음장생포동

야음장생포동(也音長生浦洞)은 울산광역시 남구의 행정동이.

보다 조선 순조와 야음장생포동

약천정

약천정(藥泉亭)은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정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약천정

약식

약식 (藥食) 한국 요리 중 떡의 일종으로, 찹쌀에 밤, 대추, 잣을 섞어 찐 후에, 참기름, 꿀, 간장 등으로 버무려 만든 음식이.

보다 조선 순조와 약식

한국 무용

국 무용(韓國舞踊)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 한국 가면무용중의 하나인 봉산탈춤 한국 민속무용의 하나인 진도북.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 무용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민속놀이

국의 민속놀이(韓國-民俗-)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를 말.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또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교육과 유희를 위해 행하여졌.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의 민속놀이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의 역사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보다 조선 순조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중록

중록(閑中錄 또는 恨中錄)은 헌경왕후가 궁중생활 60년을 기록한 자전적인 회고록으로서 궁정 수필 및 자전적 수필로 분류되며, 쓰인 문체는 내간체(內簡體) 및 우유체(優柔體)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한중록

한호성

호성(韓好誠, 생년 미상 ~ 1597년)은 조선 중기의 의병장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한호성

한양도성

서울 한양도성(서울 漢陽都城, Fortress Wall of Seoul)은 조선 시대 한양을 둘러싼 도성(都城)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한양도성

안릉 (조선)

안릉(安陵)은 조선 목조의 비 효공왕후의 능이.

보다 조선 순조와 안릉 (조선)

안국동 윤보선가

안국동 윤보선가(安國洞 尹潽善家)는 종로구 안국동과 가회동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하였.

보다 조선 순조와 안국동 윤보선가

하장면

장면(下長面)은 대한민국 강원도 삼척시의 면이.

보다 조선 순조와 하장면

아방강역고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는 조선 순조(純祖) 때의 실학자인 정약용이 저술한 한국의 역대 강역에 대한 연구서이.

보다 조선 순조와 아방강역고

악양현

악양현(嶽陽縣)은 신라시대에 하동군 악양면과 화개면에 있던 지역이.

보다 조선 순조와 악양현

신 안동 김씨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신라 말 고창의 성주로 있다가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고려 태조로부터 안동을 식읍으로 하사받고 태사공(太師公)에 봉해진 김선평(金宣平)을 시조.

보다 조선 순조와 신 안동 김씨

신대우

신대우(申大羽, 1735년~1809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양명학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신대우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신정왕후 (조선)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신유박해

실상사

실상사(實相寺)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실상사

심능악

심능악(沈能岳, 1766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유한(維翰), 본관은 청송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심능악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심순택

심풍지

심풍지(沈豊之, 1738년 ~ 17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심풍지

심환지

심환지 영정, 보물 1480호 심환지(沈煥之, 1730년 - 1802년 10월 18일)는 조선 영조·정조 시대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심환지

시파

시파(時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지지한 세력이.

보다 조선 순조와 시파

원덕읍

원덕읍(遠德邑)은 강원도 삼척시의 읍이.

보다 조선 순조와 원덕읍

홍경래

홍경래(洪景來, 1780년 ~ 1812년 5월 29일(음력 4월 19일))은 조선 순조 시대 평안도 농민 반란군의 지도자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홍경래

홍경래의 난

홍경래의 난(洪景來의 亂)은 1811년(순조 11년) 음력 12월 18일(양력 1812년 1월 31일)부터 1812년(순조 12년) 5월 29일(음력 4월 19일)까지 홍경래·우군칙 등을 중심으로 평안도에서 일어난 넓은 의미에서의 농민 반란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홍경래의 난

홍인한

홍인한(洪麟漢, 1722년 ~ 177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홍인한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홍순목

홍현주

홍현주(洪顯周, 1793년~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조의 서차녀 숙선옹주의 남편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홍현주

홍석주

홍석주(洪奭周, 1774년 ~ 1842년)는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홍석주

황도연 (한의사)

황도연(黃度淵, 1808년 ~ 1884년)은 조선 말기의 한의사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황도연 (한의사)

황사영

황사영(黃嗣永, 1775년 ~ 1801년 12월 10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보다 조선 순조와 황사영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황사영 백서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보다 조선 순조와 외척

화령전

수원 화령전(水原 華寧殿)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신풍로23번길 34 (신풍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제사유적으로, 순조가 정조의 어진(御眞)을 봉안(奉安)하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화령전

화령옹주

화령옹주(和寧翁主, 1752년 ~ 1821년 음력 9월 3일)은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화령옹주

화개면

화개면(花開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하동군의 면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화개면

화빈 윤씨

화빈 윤씨(和嬪 尹氏, 1765년 ~ 1824년)는 조선의 제22대 왕 정조의 두 번째 간택후궁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화빈 윤씨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는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

보다 조선 순조와 화성성역의궤

완양부대부인

완양부대부인(完陽府大夫人, 1804년 2월 19일 - 1840년 2월 19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 평민으로, 사도세자(장헌세자)의 서자 은언군의 다섯째 서자인 전계대원군 이광의 본부인이.

보다 조선 순조와 완양부대부인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보다 조선 순조와 완성군

12월 13일

12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7번째(윤년일 경우 348번째) 날에 해당.

보다 조선 순조와 12월 13일

1789년

178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789년

1790년

179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790년

1800년

180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0년

1800년대

1800년대는 1800년부터 1809년까지를 가리.

보다 조선 순조와 1800년대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1년

1802년

180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2년

1803년

180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3년

1804년

180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4년

1805년

180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5년

1806년

180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6년

1807년

180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7년

1808년

180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8년

1809년

180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09년

1810년

181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0년

1811년

181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1년

1812년

181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2년

1813년

181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3년

1814년

181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4년

1815년

181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5년

1816년

181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6년

1817년

181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7년

1818년

181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8년

1819년

181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19년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0년

1821년

182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1년

1822년

182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2년

1823년

182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3년

1824년

182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4년

1825년

182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5년

1826년

182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6년

1827년

182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7년

1828년

182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8년

1829년

182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29년

1830년

183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30년

1831년

183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31년

1832년

183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32년

1833년

183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33년

1834년

183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34년

1851년

185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51년

1857년

185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857년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보다 조선 순조와 19세기

6월 8일

6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9번째(윤년일 경우 160번째) 날에 해당.

보다 조선 순조와 6월 8일

7월 29일

7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0번째(윤년일 경우 211번째) 날에 해당.

보다 조선 순조와 7월 29일

또한 대한제국 순조, 순조, 순조 숙황제로 알려져 있다.

, 고전면, 고석정, 과거제, 복온공주, 계원필경, 관덕정, 궁녀, 북정동 (울산), 궁호, 북학, 권철신, 붕당, 부산 범어사 유제 대발, 부원군, 규합총서, 긍선, 긴 한국어 낱말, 금정산성 부설비, 금산면 (진주시), 빈 (지위), 김명순 (1759년), 김문순 (1744년), 김관주, 김근순, 김규식, 김귀주, 김득신 (화가), 김달순, 김승수 (배우), 김자은, 김재찬, 김재순, 김정호, 김조근, 김조순, 김좌근, 김종수 (1728년), 김종후, 김진화 (1793년), 김창집, 김창하 (조선), 김유근, 김수항, 김숙년, 김영제, 김성옥, 김한록, 김학진, 김원행, 대리청정, 대모산, 대구향교, 대흥 필씨, 대현동 (울산),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대원군 (드라마), 대왕대비, 구 영릉 석물 - 세종대왕신도비, 구르미 그린 달빛 (드라마), 구은사, 남이, 남촌동 (오산시), 남양주 흥국사 대웅보전, 남연군,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남원 선국사 대웅전, 내명부, 나합 양씨, 낙천군, 농소동 (울산), 노론, 노상추일기, 녹파잡기, 단가, 단소, 달동 (울산), 효정왕후, 효창공원, 효현왕후, 용성부대부인, 우군칙, 우정동, 자산어보, 임상옥, 흥녕군, 흥인군,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흥성동헌, 흥완군, 이로 (1769년), 이만운 (1723년), 이간 (1677년), 이가환, 이경일, 이공, 이광임 선생 고택, 이광헌, 이긍용, 이당 (1758년), 이요헌, 이재각, 이재수 (1770년), 이재선 추대 사건, 이조, 이종상, 이진익, 이징옥, 이철득, 이상길 (1556년), 이양선, 이산 (드라마), 이성득 (조선 왕족), 이서구 (조선), 이약우, 이한림, 이하전, 이원경 (1827년), 이화동 (서울), 인릉산, 인천광역시의 역사, 일월산황씨부인당, 음력 11월 13일, 음력 6월 18일, 의기사, 의빈 성씨, 의유당, 의유당일기, 의소세자, 익종 (동음이의), 익산 숭림사 보광전, 을해박해, 은전군, 은언군, 은신군, 적벽가, 전고종갓,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 묘 및 신도비, 전주시의 역사, 전산군부인 이씨, 정관읍,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선일, 정약전, 정약현, 정후겸, 조만영, 조두순 (1796년), 조정규, 조침문, 조영 통상 조약, 조선, 조선 문조, 조선 정조, 조선 철종, 조선 태종, 조선 헌종, 조선 통신사,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연호, 조선의 왕세자, 조선왕릉, 좌의정, 종묘, 주자소응행절목, 주천면 (영월군), 죽도궁, 중랑구, 진주민란, 진주검무, 진천향교, 진안군 (왕족), 지지대비, 창덕궁, 채용신, 채제공, 채수영의 난, 철인왕후, 청도면, 청계산 (경기/서울), 청계서원 (진주시), 청구도, 청연공주, 청선공주, 천보총, 충주 평씨, 충주 이상급 신도비, 추적 (고려), 추어탕, 칠곡동, 칠궁, 판소리, 윤백영, 윤용선, 윤치희, 윤치성 (동음이의), 윤선, 팽성읍 객사, 파문 (드라마), 휘경동, 휘경원, 융복, 상도 (드라마), 상계군, 상운사, 탁종술, 순조실록, 순종, 순창 성황대신 사적 현판,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팔상전, 순원왕후, 수덕사, 수렴청정, 수릉 (조선), 수빈 박씨, 수암동 (울산), , 숙의 박씨, 숙의 박씨 (순조), 숙의 김씨 (헌종), 숙선옹주, 영가대, 영남 만인소, 영희전, 영의정, 영온옹주, 영원한 제국, 오가작통법, 오경석, 오천 수영 관아, 옥동 (울산), 최상진 (배우), 최한기, 어변당, 어구전철, 어우야담, 어진, 어여머리, 양반, 양금,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비, 양산 남강서원 소장 어정사부수권, 여도비지,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극의 역사, 연꽃소류지, 염계달, 헌경왕후, 헌인릉, 표절사 (정주시), 풍계군, 풍천 노씨 대종가, 사도 (영화), 사자루, 사천 목씨, 삼산동 (울산), 삼화사, 피에르 모방, 선본사, 섭정, 성안동 (울산), 서매수, 서운관지, 서울 약사사 석불입상, 서초구, 서유구, 서얼, 서원 철폐, 송정동 (울산), 송치규, 소설 목민심서, 통명전, 함 (성씨), 함화진, 야음장생포동, 약천정, 약식, 한국 무용,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민속놀이,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역사,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중록, 한호성, 한양도성, 안릉 (조선), 안국동 윤보선가, 하장면, 아방강역고, 악양현, 신 안동 김씨, 신대우, 신정왕후 (조선), 신유박해, 실상사, 심능악, 심순택, 심풍지, 심환지, 시파, 원덕읍, 홍경래, 홍경래의 난, 홍인한, 홍순목, 홍현주, 홍석주, 황도연 (한의사), 황사영, 황사영 백서, 외척, 화령전, 화령옹주, 화개면, 화빈 윤씨, 화성성역의궤, 완양부대부인, 완성군, 12월 13일, 1789년, 1790년, 1800년, 1800년대, 1801년, 1802년, 1803년, 1804년, 1805년, 1806년, 1807년, 1808년, 1809년, 1810년, 1811년, 1812년, 1813년, 1814년, 1815년, 1816년, 1817년, 1818년, 1819년, 1820년, 1821년, 1822년, 1823년, 1824년, 1825년, 1826년, 1827년, 1828년, 1829년, 1830년, 1831년, 1832년, 1833년, 1834년, 1851년, 1857년, 19세기, 6월 8일, 7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