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86 처지: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묘, 덕흥군, 덕양군, 도정궁, 독락당, 동동 (고려가요), 동몽선습, 동문선, 류경심, 류자광, 류인숙, 류진동, 류순정, 매사냥, 목륜, 명지도, 명지동 (부산), 명숙공주, 명성왕후, 명월성지, 문묘, 문정왕후,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어보 반환, 문수산 (김포), 문혜정, 문원영화,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묘호, 민자방, 방 (성씨), 방유령, 방윤, 백승도 (배우), 백승환, 반석평, 간신, 강녕군 (왕손), 박용 (1468년), 강진 정수사 대웅전, 박지원 (1737년), 박찬환, 박팽년, 박상, 박상민 (배우), 강수한, 박성빈, 박통사, 강신성일,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36 더) »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년 4월 2일 ~ 1559년 6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이며 조선 최초의 대원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덕흥대원군
덕흥대원군묘
덕흥대원군묘(德興大院君墓)는 조선 선조의 부친으로, 대원군 제도가 처음 시작된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 1530-1559)과 하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1567)의 묘이.
덕흥군
덕흥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덕흥군
덕양군
덕양군(德陽君, 1524년 음력 9월 ~ 1581년 음력 6월 22일)은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덕양군
도정궁
정궁(都正宮)은 덕흥대원군 사저(私邸)이자 선조의 잠저(潛邸)이.
보다 조선 중종와 도정궁
독락당
독락당(獨樂堂)은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옥산서원 뒤에 있는 사랑채이.
보다 조선 중종와 독락당
동동 (고려가요)
〈동동〉(動動)은 고려가요로 당시 민간에 유행하던 월령체(月令體)의.
동몽선습
동몽선습(童蒙先習)은 조선시대 동몽교재(童蒙敎材)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저술되었고, 초학 아동들이 《천자문》 다음 단계에서 반드시 학습하였던 대표적인 아동교육교재였.
보다 조선 중종와 동몽선습
동문선
《동문선 (東文選)》 은 조선 성종(成宗) 9년(1478년) 12월에 당시의 예문관대제학 서거정이 홍문관대제학 양성지(梁誠之) 등과 함께 왕명으로 삼국 시대 후기(대부분 신라) 때부터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초기에 이르는 시인, 문사들의 시문 가운데 우수한 것을 모아 편찬한 시문집이.
보다 조선 중종와 동문선
류경심
경심(柳景深, 1516년 ~ 1571년 6월)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류경심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류자광
류인숙
인숙(柳仁淑, 1485년 ~ 1545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사림파 정치인으로 자(字)는 원명, 호는 정수, 시호는 문정, 본관은 진주(晉州)이.
보다 조선 중종와 류인숙
류진동
동(柳辰仝, 1497년 ~ 1561년)은 조선의 문신·서화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류진동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보다 조선 중종와 류순정
매사냥
매사냥으로 가장 널리 쓰인 보라매. 다만 보라매는 매과 매속이 아니고 수리과 새매속의 새이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
보다 조선 중종와 매사냥
목륜
목륜(目輪)은 조선 중종(中宗) 20년(1525년) 10월 이순(李純)은 중국에서 들어온 에서 목륜이라는 관측기를 보고 그것을 본따서 만들었.
보다 조선 중종와 목륜
명지도
명지도(鳴旨島) 또는 명호도(鳴湖島)는 낙동강 삼각주의 남부(南部)로, 행정구역상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에 속. 섬 북쪽의 순아도(順牙島)가 합쳐졌.
보다 조선 중종와 명지도
명지동 (부산)
명지동(鳴旨洞)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남부에 위치한 법정동이.
명숙공주
명숙공주(明淑公主, 1455년 ~ 1482년 음력 10월 4일)는 덕종과 소혜왕후 장녀로 성종의 친누나이자, 월산대군의 친동생이.
보다 조선 중종와 명숙공주
명성왕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년 6월 13일/음력 5월 17일 ~ 1684년 1월 21일/1683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의 제18대 국왕인 현종의 정비(正妃)이자 숙종의 어머니이.
보다 조선 중종와 명성왕후
명월성지
명월성지(明月城址)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 일대에 남아 있는 성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명월성지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보다 조선 중종와 문묘
문정왕후
문정왕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문정왕후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문정왕후 어보 반환
문정왕후(1501~1565)의 금보(왕실도장인 어보의 한 종류)가 2009년 당시 LA의 라크마 박물관에 전시중이었.
문수산 (김포)
문수산(文殊山)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산 35-1번지에 있는 해발 고도 376m이.
문혜정
문혜정(文惠貞, 1969년 ~)은 대한민국의 여성 연극배우 겸 뮤지컬 배우이며 방송MC이.
보다 조선 중종와 문혜정
문원영화
《문원영화》(文苑英華)는 중국 북송(北宋) 시대에 성립된 시문집이.
보다 조선 중종와 문원영화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묘법연화경 목판(妙法蓮華經 木板)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에 소장된 목판이.
보다 조선 중종와 묘법연화경 목판 (보물 제1908호)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보다 조선 중종와 묘호
민자방
민자방(閔子芳, ? ~ ?)은 조선 성종의 부마이.
보다 조선 중종와 민자방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방유령
방유녕(方有寧, 1460년 ∼ 1529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방유령
방윤
방륜(方輪, 1464년 ∼ 1534년)은 조선의 무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방윤
백승도 (배우)
백승도(1995년 5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백승환
백승환(白承煥;1998년 4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백승환
반석평
반석평(潘碩枰, 1472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반석평
간신
《간신》은 2015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보다 조선 중종와 간신
강녕군 (왕손)
강녕군(江寧君,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문신, 공신으로 조선 세종대왕의 9번째 서자 영해군의 손자이자, 영춘군의 차남이.
박용 (1468년)
박용(朴墉, 1468년 ~ 1524년 음력 6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강진 정수사 대웅전
강진 정수사 대웅전(康津 淨水寺 大雄殿)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정수사에 있는 대웅전이.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박찬환
박찬환(朴贊煥, 1957년 7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박찬환
박팽년
박팽년(朴彭年, 1417년 ~ 145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겸 학자로 사육신의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박팽년
박상
박상(朴祥, 1474년 ~ 153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박상
박상민 (배우)
박상민(朴尚民, 1970년 10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강수한
강수한(2000년 10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강수한
박성빈
박성빈 박성빈(朴成彬, 1871년 6월 6일(음력 4월 19일) ~ 1938년 9월 4일)은 조선 후기의 무관으로 정9품 효력부위를.
보다 조선 중종와 박성빈
박통사
박통사(朴通事)는, 고려 말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노걸대》와 더불어 대표적인 외국어 학습서로 꼽혔던 책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박통사
강신성일
강신성일(姜申星一, 1937년 5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前 국회의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강신성일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박원종
강화 김씨
강화 김씨(江華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강화 김씨
가흥 조씨
흥 조씨(嘉興 曺氏)는 전라남도 진도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가흥 조씨
밀양 박씨
밀양 박씨(密陽 朴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밀양 박씨
밀양 당씨
밀양 당씨(密陽 唐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밀양 당씨
밀산군
밀산군 이찬(密山君 李澯, 1585년 ~ 1658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정치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밀산군
밀성군
밀성군 이침(密城君 李琛, 1430년 ~ 1479년)은 조선 세종의 5남으로 생모는 신빈 김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밀성군
거금도
(居金島)는 행정구역 상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에 속하는 섬이.
보다 조선 중종와 거금도
거창 신씨
창 신씨(居昌 愼氏)는 경상남도 거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거창 신씨
경덕궁
경덕궁(敬德宮)은 조선 경기도 개성 남계방(南溪坊: 속칭 楸洞)에 있었던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잠저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덕궁
경모궁
경모궁(景慕宮)은 조선 장조의 사당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부근 일대에 있던 함춘원의 옛터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모궁
경기체가
경기체가(景幾體歌)는 고려 중엽 이후 사대부들에게 불린 시가(詩歌)로서,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
보다 조선 중종와 경기체가
경빈
경빈은 다음의 인물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경빈
경빈 박씨 (중종)
경빈 박씨(敬嬪 朴氏, 1492년? ~ 1533년)는 조선 왕조 제11대 임금 중종의 빈어(嬪御)로, 중종의 장자인 복성군을 낳아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작서의 변에 연루되어 누명을 쓴 채 유배되었고, 결국에는 사약을 받고 죽었.
경빈 이씨
경빈 이씨(慶嬪 李氏, 1541년 ~ 1595년 음력 6월)는 조선 명종의 후궁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빈 이씨
경포대
경포대(鏡浦臺)는 강원도 강릉시에서 동북쪽으로 7km 지점, 언덕 위의 누대(樓臺)로,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 건물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포대
경인 아라뱃길
경인 아라뱃길(京仁아라뱃길) 또는 경인운하는 한강 하류의 행주대교에서 인천광역시 서구 검암동과 시천동을 연결하는 운하이.
경주 배씨
경주 배씨(慶州 裵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주 배씨
경주 이씨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주 이씨
경주 양동 관가정
경주 양동 관가정(慶州 良洞 觀稼亭)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동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경휘옹주
경휘옹주(慶徽翁主, 생몰년 미상)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휘옹주
경순옹주
경순옹주(慶順翁主, 1482년 ~ ?)는 조선의 옹주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순옹주
경숙옹주 (성종)
경숙옹주(敬淑翁主, 1483년 ~ ?)는 조선의 옹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69~1495)의 서5녀이며, 어머니는 명빈 김씨(明嬪 金氏)이.
경현공주
경현공주(敬顯公主, 1530년 ~ 1584년)는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4녀이자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소생으로, 명종의 친누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경현공주
벽송사
벽송사(碧松寺)는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사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벽송사
고경표
경표(高庚杓, 1990년 6월 1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고경표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고구려
고형산
형산(高荊山, 1453년 ~ 1528년)은 조선 전기의 훈구파 문신으로 자는 정숙(靜叔), 시호는 위열, 본관은 횡성(橫城)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고형산
고양군
양군(高陽郡)은 경기도 고양시의 이전 행정구역으로, 조선 태종 13년(1413년) 고봉현과 덕양현을 합쳐서 만든 고양현에 기원.
보다 조선 중종와 고양군
고성 남씨
성 남씨(固城 南氏)는 경상남도 고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고성 남씨
보령 관아문
보령 관아문(保寧 官衙門)은 조선 시대 보령현과 외곽을 두르고 있던 옛 보령읍성의 정문 문루이.
보우 (조선)
보우(普雨: 1515~1565)는 조선 명종 때의 승려이.
보은 고봉정사
보은 고봉정사(報恩 孤峰精舍)는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에 있는 건축물이.
공릉천
공릉천(恭陵川)은 경기도 양주시, 고양시, 그리고 파주시에 걸쳐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공릉천
공회빈 윤씨
공회빈 윤씨(恭懷嬪 尹氏, 1550년대? ~ 1592년 4월 14일/음력 3월 3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순회세자의 빈이며 명종과 인순왕후의 며느리이.
복성군
복성군 이미(福城君 李嵋, 1509년 9월 28일(음력 9월 15일) ~ 1533년 6월 18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보다 조선 중종와 복성군
공신옹주
공신옹주(恭愼翁主, 1481년 ~ 1549년)는 조선의 왕족으로 제9대 임금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69~1495)의 서3녀이며, 한명회(韓明澮, 1415~1487)의 손자며느리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공신옹주
별망성지
별망성지(別望城址)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에 있는 산성 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별망성지
별방진
별방진(別防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조선시대 제주 동부지역 최대의 군사기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별방진
계성군
성군(桂城君, 1478년 ∼ 1504년)은 조선의 왕족이자 성종의 서자로, 숙의 하씨 소생이.
보다 조선 중종와 계성군
괴산향교
산향교(槐山鄕校)는 충청북도 괴산군에 있는 향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괴산향교
광주 석씨
광주 석씨(廣州 石氏)는 경기도 광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광주 석씨
봉은사
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봉은사
봉산 곽씨
봉산 곽씨(鳳山 郭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봉산 곽씨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봉성군
관북 지방
북 지방(關北地方)은 현재의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라선특별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보다 조선 중종와 관북 지방
관상감
상감(觀象監)은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보다 조선 중종와 관상감
북구 (부산광역시)
부산 북구청 대동화명대교 북구(北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북서부에 있는 구이.
북청군
북청군(北靑郡)은 함경남도 동부에 있는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북청군
권람
(權擥, 1416년 ~ 1465년 2월 6일)은 조선 초의 문신, 역사학자, 작가, 문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권람
권문해
문해(權文海, 1534년~1591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권문해
권경유
경유(權景裕, ? ~ 1498년)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권경유
권징 (조선의 문신)
징(權徵, 1538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당시 크게 활약하였.
권지고려국사
국사(權知高麗國事) 또는 권지조선국사(權知朝鮮國事)는 918년부터 975년까지 오대 십국 시대와 송나라에서 고려의 국왕에게 봉하는 칭호이자 1392년부터 1401년까지 명나라의 황제가 조선의 국왕을 봉하는 칭호였.
권선
선(權善, 1427-1509, 자- 길보 吉甫)은 용문면 하금곡리 출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권선
불암산
불암산(佛巖山)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걸쳐 있는 508m의 바위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불암산
부천시
부천시(富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시이.
보다 조선 중종와 부천시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보다 조선 중종와 부원군
균전제
전제(均田制)는 중국 고대의 중요한 토지 제도 중 하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균전제
귤림서원
림서원 (2004년 복원) 귤림서원(橘林書院)은 제주도에 있었던 서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귤림서원
귀인 권씨 (성종)
인 권씨(貴人 權氏, 1471년 - 1500년)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
귀인 남씨
인 남씨(貴人 南氏)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
보다 조선 중종와 귀인 남씨
귀인 정씨 (인종)
인 정씨(貴人 鄭氏, 1520년-1566년)는 조선 인종의 후궁이.
귀인 정씨 (성종)
인 정씨(貴人 鄭氏, ?~1504년 음력 3월 20일)는 조선의 제9대 왕 성종의 후궁이.
귀인 한씨
인 한씨(貴人 韓氏, 1500년 ~ 1575년 음력 3월)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보다 조선 중종와 귀인 한씨
긍선
긍선(亘璇: 1767~1852) 조선 후기의 승려이.
보다 조선 중종와 긍선
기묘제현수필
묘제현수필(己卯諸賢隨筆)은 조선 중종 13년(1518년)에 안처순(1492∼1534)이 구례현감에 제수되어 떠날 때, 지인들이 이별을 아쉬워하며 써준 송별 시문을 모아 엮은 첩이.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보다 조선 중종와 기묘사화
금성대군
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 1426년 5월 5일/음력 3월 28일~1457년 11월 7일/음력 10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금성대군
금원군
원군(錦原君, 1513년 음력 6월 9일 ~ 1562년 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금원군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보다 조선 중종와 비변사
김개 (조선 중기의 문신)
(金漑. 1472년 ~ 151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홍문관 부교리(副校理)ㆍ사헌부 지평(持平)을.
김겸광
광(金謙光, 1419년 ~ 1490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겸광
김법래
법래(1970년 7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보다 조선 중종와 김법래
김규철
(金圭哲, 1960년 4월 6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규철
김기중
원파 김기중 김기중(金祺中, 1859년 ~ 1933년)은 조선의 문신, 교육자이며,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육영사업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기중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국광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굉필
김자지
자지(金自知, 1367년 ~ 1435년)는 고려 말기와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자지
김희 (조선)
희(金禧, ? ~ 153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김안로의 아들이자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의 남편이.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인후
김제 재궁리 석등
제 재궁리 석등(金堤 齋宮里 石燈)은 전라북도 김제시에 있는 석등이.
김제남 (1562년)
제남(金悌男, 1562년 ~ 1613년 6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전
김저 (1512년)
저(金儲, 1512년 ~ 1547년)는 조선(朝鮮)의 문관 관료이.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종직
김처선
선(金處善, ? ~1505년)은 세종부터 연산군까지 일곱 왕을 섬긴 최고위 내시인 판내시부사 겸 상선을 역임한 조선의 환관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처선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보다 조선 중종와 김육
김영정 (조선)
영정(金永貞, 1437년 ~ 1509년 10월 14일『김영정 묘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일지(一之), 본관은 김해(金海)이.
김호 (1534년)
호(金虎, 1534년 (중종 29년) ~ 1592년 (선조 25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김연수 (1896년)
연수(金秊洙, 1896년 8월 25일 ~ 1979년 12월 4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김세필
세필(金世弼, 1473년 ~ 153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공석(公碩).
보다 조선 중종와 김세필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안로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김안국
김식 (1482년)
식(金湜, 1482년 ~ 152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대리청정
리청정(代理聽政)은 동아시아의 전제군주제 국가, 특히 중국, 조선, 일본에서 임금의 재가(허락)를 받아 임금의 정치 등 여러 일을 대신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섭정).
보다 조선 중종와 대리청정
대구십영
십영(大丘十詠)은 조선 중종 25년(1530년) 증보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실린 문신 서거정의 시 7언절구 10수를 이른.
보다 조선 중종와 대구십영
대장금
《대장금》(大長今)은 장금의 생애를 조명한 2003년 9월 15일 ~ 2004년 3월 23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의 대하드라마이.
보다 조선 중종와 대장금
대윤 소윤
윤(大尹)과 소윤(小尹)은 조선 중기 중종의 친인척을 가리키는 용어이.
보다 조선 중종와 대윤 소윤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대원군 (동음이의)
원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보다 조선 중종와 대왕대비
누동궁
동궁(樓洞宮)은 한성 북부 안국방 즉 현재 종로구 익선동 166번지에 있던 궁으로 철종의 사친 전계대원군의 사손들의 사저이자 종택이기도 하며, 누동궁 내에는 불천지위 3위를 모신 전계궁이 있었던 곳이.
보다 조선 중종와 누동궁
구 영릉 석물
영릉 석물(舊 英陵 石物)은 조선 세종과 그의 비 소헌왕후 심씨의 무덤인 영릉이 처음 조성되었을 때 만들어진 석물이.
구 영릉 석호상
210px 구 영릉 석호상(舊 英陵 石虎像)은 구 영릉 석물의 하나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는 석물이.
구례군
(求禮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보다 조선 중종와 구례군
구사맹
사맹(具思孟, 1531년 ~ 1604년 음력 4월 1일)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구사맹
구사안
사안(具思顔, 1523년 (중종 18) ~ 1562년 4월 22일 (명종 1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중종의 부마이.
보다 조선 중종와 구사안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남곤
남궁숙
궁 숙(南宮淑, 1491년 ∼ 1553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남궁숙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남효온
남포 (1489년)
(南褒, 1489년 ~ 1570년)는 조선의 문신이.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남이
남치근
(南致勤, ? ~ 1570년)은 조선의 무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남치근
남양 전씨
양전씨 본관의 유래는 족보기록에 의존하고 있는 성씨(姓氏)에 속하고 있으며 족보에 기록되어있는 시조 전풍(田豊)과 第六世 전주(田柱)의 역사적 배경은 한국의 특수한 성씨(姓氏)의 일반적인 始祖史(시조사)에 속하는 인물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남양 전씨
남양 홍씨 당홍계
양 홍씨(南陽 洪氏) 당홍계(唐洪系)는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고,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난곡동 (서울)
곡동(蘭谷洞)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의 행정동이.
나봉한
봉한(羅奉漢, 1934년 4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겸 영화감독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나봉한
나주 나씨
주 나씨(羅州 羅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나주 나씨
나주 양씨
주 양씨(羅州 梁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나주 양씨
등림수
이순신(李舜臣,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
보다 조선 중종와 등림수
노수신
수신(盧守愼, 1515년 5월 29일(윤4월 16일)~ 1590년 5월 10일(음력 4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노수신
노영학
영학(~)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노영학
단경왕후
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의 정비(正妃)이다.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愼守勤)과 청원부부인 한씨(淸原府夫人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보다 조선 중종와 단경왕후
당은군 (1562년)
당은군 이인령(唐恩君 李引齡, 1562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효릉 (조선)
효릉(孝陵, Hyoneung)은 조선 제12대 왕인 인종과 정비 인성왕후의 능이.
효정옹주
효정옹주(孝靜翁主, 1520년 ~ 1544년 2월)는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과 숙원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보다 조선 중종와 효정옹주
효순공주
효순공주(孝順公主, 1522년 ~ 1538년)는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3녀이자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 소생으로, 명종의 친누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효순공주
효혜공주
효혜공주(孝惠公主, 1511년 6월 13일(음력 5월 18일) ~ 1531년 5월 6일(음력 4월 20일))는 조선 중기의 공주이.
보다 조선 중종와 효혜공주
울산 김씨
울산 김씨(蔚山 金氏)는 울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울산 김씨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보다 조선 중종와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역사
반구대암각화 울산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 무렵부터 시작하여 반구대암각화라는 역사적 증거물을 남겼고, 이후에도 한강 이남의 지정학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
승평부부인
승평부대부인 박씨(昇平府大夫人 朴氏, 1455년 - 1506년 7월 20일)는 조선 전기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승평부부인
회묘
회묘(懷墓)는 조선의 제9대 왕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의 무덤이.
보다 조선 중종와 회묘
자격루
자격루(自擊漏)는 조선 세종 때의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자격루
자치통감강목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은 송나라 때 주희가 쓴 중국의 역사서이.
장릉 (조선 단종)
장릉(莊陵)은 조선 단종의 무덤이.
장경왕후
장경왕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장경왕후
장경왕후 (조선)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 1491년 8월 10일(음력 7월 6일) ~ 1515년 3월 16일(음력 3월 2일))는 조선 중종의 계비이.
장기
장기 기물을 차릴 때 나올 수 있는 초반의 기물의 차림. 초는 바깥상 차림이고 한은 안상 차림이다. 장기를 두는 모습 장기(將棋)는 청과 홍(또는 초와 한) 두 편으로 나뉘어 각 16개의 기물을 가지고 군대를 지휘하는 총사령관의 입장에서 작전을 구상, 수행하여 상대편의 왕을 잡는 추상 전략 보드 게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장기
장금
장금(長今, 생몰년 미상)은 조선 중종대의 의녀이며, 생몰년은 알려지지 않았고,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남아있는 의녀 중 하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장금
장흥 임씨
장흥 임씨(長興 任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장흥 임씨
장흥면
장흥면(長興面)은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시의 최남단에 있는 면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장흥면
재영남일기
재영남일기(在嶺南日記)는, 조선 중기의 문신 황사우(黃士祐)가 쓴 일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재영남일기
임꺽정 (드라마)
《임꺽정》은 SBS에서 1996년 11월 10일부터 1997년 4월 6일까지 총 44부작 방영한 드라마로, 임꺽정의 삶을 그린 벽초 홍명희의 소설 《임꺽정》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이.
임영대군
임영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1420년 1월 6일 ~ 1469년 1월 21일)은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조선의 제4대 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임영대군
임호 (배우)
임호(1970년 1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임억령
임억령(林億齡, 1496년 ~ 156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임억령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임사홍
임신약조
임신약조(壬申約條)는 1512년(중종 7) 조선과 대마도주(對馬島主) 사이에 맺은 약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임신약조
폐비 신씨
비 신씨(廢妃 愼氏, 1476년 12월 15일(음력 11월 29일)~1537년 5월 16일(음력 4월 8일)) 는 조선 연산군(燕山君)의 왕비(王妃)이.
보다 조선 중종와 폐비 신씨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흥완군
희릉 (조선)
희릉(禧陵)은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조선 제11대 왕인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의 능이.
희빈
희빈은 다음의 인물들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희빈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보다 조선 중종와 희빈 장씨
희빈 홍씨
희빈 홍씨(熙嬪 洪氏, 1494년 ~ 1581년)는 중종의 후궁으로, 본관은 남양이.
보다 조선 중종와 희빈 홍씨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이동 (왕족)
원군 이동(咸原君 李銅, ? - ?)은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대왕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의 서자였.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명현(李命賢, 1706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영조 때 송인명(宋寅明) 등과 같이 신비(愼妃,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 신씨)를 복위 할 것을 주장하였.
이감 (조선)
이감(李戡,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
이건 (조선 중기 왕족)
이건(李楗, 1505년 ~ 1571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으로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보의 5대손으로 전성군 이대(李對)의 아들이다. 권신 이량의 형이고, 명종비 인순왕후 심씨, 심의겸, 심충겸 등의 외삼촌이다. 본관은 전주이고 자는 국한(國閑), 경상남도 출신.
이건웅
이건웅(李建雄, 1941년 11월 11일 ~)은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社稷大祭) 제의집전 기능보유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건웅
이경영 (1960년)
이경영(李璟榮, 1960년 12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영화감독이.
이봉주
이봉주(李鳳柱, 1970년 10월 10일 ~)는 대한민국의 전직 마라톤 선수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봉주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극돈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회영
이장곤
이장곤(李長坤, 1474년 ~ 1519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자는 희강, 호는 학고와 금헌, 금재, 우만, 시호는 정도이며 본관은 벽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장곤
이희
이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이희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이
이인임
이인임(李仁任, ?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간신(奸臣), 권신(權臣)이자 시인(詩人)이었.
보다 조선 중종와 이인임
이전
이전은 다음 항목을 가리키는 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전
이전 (1517년)
이전(李戩, 1517년 1월 21일 ~ ?)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조선 중종, 명종, 선조 때의 장군이.
이정섭
이정섭(李正燮, 1946년 6월 1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겸 요리연구가 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정섭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조
이주철
이주철(李周喆, 1806년 - 1875년)은 조선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하였.
보다 조선 중종와 이주철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준경
이준한
이준한(李俊漢, 1621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및 어영대장(御營大將)을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되었.
보다 조선 중종와 이준한
이즙 (1503년)
이즙(李楫, 1503년 - 1580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 정치인이.
이진우 (배우)
이진우(李珍雨, 1969년 1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목회자이.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이상좌
이상좌(李上佐)는 조선의 화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상좌
이태섭 (1939년)
이태섭(李台燮, 1939년 5월 21일 ~, 경기 화성)은 화학공학자 출신의 대한민국 대학 교수, 연구원, 기업인, 정치인이.
이색 초상
이색초상(李穡肖像)은 고려말 삼은 가운데 1인이었던 목은 이색의 초상화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색 초상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순신
이수 (1569년)
이수(李睟, 1569년 ~ 1645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명원(明遠), 시호는 충숙(忠肅)이.
이수광
이수광(李睟光, 1563년 3월 14일(음력 2월 20일)~ 1629년 1월 19일(음력 1628년 12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문신이자 성리학자, 실학자, 외교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수광
이영
이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이영
이영 (조선의 무신)
이영(李英, 1494 ~ 1563)은 조선의 무신이.
이현보
이현보의 초상 이현보(李賢輔, 1467년 8월 28일(음력 7월 29일)~ 1555년 7월 1일(음력 6월 13일))는 조선 연산군, 중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현보
이언괄
이언괄(李彦适)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언괄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언적
이양선
19세기 서양의 범선인 프리깃 이양선(異樣船)이란 조선 후기에 조선 연안 지역에 출몰했던 정체불명의 배들을 가리키는 표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양선
이씨 (정현조 후처)
정경부인 우계이씨(생몰년 미상)는 조선 전기 사람이.
이성군 (1503년)
이성군 이수강(伊城君 李壽剛, 1503년 ~ 1542년)은 조선의 왕족이.
이해 (1496년)
이해(李瀣) 1496년 ~ 155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명(景明), 호는 온계(溫溪)이다.
이해룡 (배우)
이해룡(李海龍, 본명(本名)은 이정웅(李正雄), 1936년 8월 16일 ~)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
이암 (조선)
모견도 이암(李巖, 1499 ~ ?)은 조선 중기의 화가이.
이시희
이시희(李時熙, 1694년 ∼ 175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이시희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이황 (1497년)
이황(李𩔇, 1498년 1월 10일/1497년 음력 12월 18일 ~ 1506년 10월 10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의 적장자이.
이화장
이화장(梨花莊)은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거주하던 곳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뒤쪽 낙산 기슭에 있. 동쪽으로 창신동, 남쪽으로 충신동, 서쪽으로 연건동, 북쪽으로는 동숭동에 둘러싸인 마름모꼴의 지형을 이룬 언덕진 곳에 위치하고 있.
보다 조선 중종와 이화장
이완
이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이완
인순공주
인순공주(仁順公主, 1542년 ~ 1545년)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인순공주
인순왕후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년 6월 27일/음력 5월 25일 ~ 1575년 2월 12일/음력 1월 2일)는 조선의 제13대 국왕인 명종의 정비(正妃)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인순왕후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인헌왕후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 1578년 4월 17일 ~ 1626년 1월 14일)는 조선의 추존왕인 원종의 정비(正妃)이자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어머니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인헌왕후
인성대군
인성대군 이분(仁城大君 李糞, 1461년 12월 31일/음력 11월 30일 ~ 1463년 12월 4일/음력 10월 24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종실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인성대군
인성왕후
인성왕후 박씨(仁聖王后 朴氏, 1514년 10월 7일/음력 9월 20일 ~ 1578년 1월 6일/1577년 음력 11월 29일)는 조선 인종의 왕비이며 정식시호는 효순공의인성왕후(孝順恭懿仁聖王后)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인성왕후
음력 11월 15일
음력 11월 15일은 음력 11월의 15번째 날이.
음력 12월 7일
음력 12월 7일은 음력 12월의 7번째 날이.
음력 3월 5일
음력 3월 5일은 음력 3월의 5번째 날이.
의녀
의녀(醫女)는 조선 시대의 여성 의원(醫員)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의녀
의인왕후
의인왕후(懿仁王后, 1555년 5월 5일(음력 4월 15일) ~ 1600년 8월 5일(음력 6월 27일))는 조선의 제14대 왕 선조의 정비(正妃)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의인왕후
의창
의창(義倉)이란 고려 시대에 시행된 빈민 구제 제도이자 국립 구호기관으로, 가난한 백성에게 양곡을 대출하고 그것을 다시 회수하는 진휼곡창이었.
보다 조선 중종와 의창
의천군 (1524년)
의천군 이인(義泉君 李仁, 1524년 ~ 1578년 10월 18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의혜공주
의혜공주(懿惠公主, 1521년 ~ 1564년)은 조선중기의 공주로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차녀이자 문정왕후 윤씨의 소생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의혜공주
의원군 (1520년)
의원군 이억(義原君 李億, 1520년 ~ 1544년 11월 11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익성군 신도비 및 무석
익성군 신도비 및 무석(益城君 神道碑 및 武石)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신도비이.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보다 조선 중종와 을사사화
제주향교
제주향교(濟州鄕校)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1동에 있는 향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제주향교
제주성지
제주성지(濟州城址)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에 있는 제주성의 잔존 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제주성지
제천 덕주산성
제천 덕주산성(堤川 德周山城)은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제안대군
제안대군 이현(齊安大君 李琄, 1466년 2월 13일 ~ 1525년 12월 14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제안대군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전주 이씨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전성군 (1488년)
전성군(全城君) 이대(李對, 1488년 ∼ 1543년 10월 19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자(字)는 성중(盛仲)이.
정릉
정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정릉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몽주
정국공신
정국공신(靖國功臣)은 조선 중종 때인 1506년 중종 반정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린 작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국공신
정운
정운(鄭運, 1543년 ~ 1592년 9월 1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운
정승수 (조선 사람)
정승수(鄭承秀, ? - ?)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정희왕후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1418년 12월 8일 (음력 11월 11일) ~ 1483년 5월 6일 (음력 3월 30일))는 조선 세조의 왕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희왕후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인지
정종영
정종영(鄭宗榮, 1513 ∼ 1589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종영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鄭鎭肅, 1912년 11월 5일 ~ 2008년 8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대한민국의 출판인, 기업인, 사회기관단체인이며, 을유문화사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창손
정윤겸
정윤겸(鄭允謙, 1463년 ∼ 1536년)은 조선의 무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윤겸
정순옹주
정순옹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정순옹주
정순옹주 (중종)
정순옹주(貞順翁主, 1517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81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중종의 서녀이.
정순옹주 (성종)
정순옹주(靜順翁主, 1486년전 출생밓 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69~1495)의 서6녀이며, 어머니는 숙의 홍씨(淑儀 洪氏, 1457~1510)이다. 봉성위(奉城尉) 정원준(鄭元俊)에게 하가하여 1남를 얻었다.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1440년 ~ 1521년 7월 7일 (음력 6월 4일)) 는 조선 단종(端宗)의 정비이.
정숙옹주 (성종)
정숙옹주(靜淑翁主, 1492년 ~ 1573년 2월 8일?)는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69~1495)의 서11녀이며, 어머니는 숙의 홍씨(淑儀 洪氏, 1457~1510)이.
정혜옹주 (1490년)
정혜옹주(靜惠翁主, 1490년 ~ 1507년 음력 8월 6일)는 조선의 왕족이.
정현조
정현조(鄭顯祖, 1440년 ~ 1504년 7월 13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부마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현조
정현왕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년 7월 21일 (음력 6월 25일)~1530년 9월 13일 (음력 8월 22일)는 조선 성종(成宗)의 둘째계비이다. 시호는 자순화혜소의흠숙정현왕후(慈順和惠昭懿欽淑貞顯王后)이다. 자순대비(慈順大妃)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보다 조선 중종와 정현왕후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정신옹주
정신옹주(貞愼翁主)는 다음 뜻으로 쓰인.
보다 조선 중종와 정신옹주
정신옹주 (중종)
정신옹주(靜愼翁主, 1526년 음력 10월 5일 ~ 1552년 음력 4월 16일)은 조선의 옹주로 이름은 선환(善環)이.
정화옹주
정화옹주(貞和翁主, 1604년 ~ 1667년)는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14대 임금 선조의 막내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정화옹주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광조
조광조 (드라마)
《조광조》는 KBS2TV에서 1996년 1월 1일부터 1996년 6월 25일까지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조욱
조욱(趙昱, 1498년 8월 21일 ~ 1557년 12월 10일)은 조선의 유학자.
보다 조선 중종와 조욱
조온
조온(趙溫, 1347년 ~ 1417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온
조언형
조언형'(曺彦亨, 1469년(예종 1년) ~ 1526년(중종 21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언형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덕종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명종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문종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단종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인종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 세종
조선 통신사
조선통신사 행렬도 (대영 박물관 소장)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는 일반적으로 개화기 이전까지 조선이 에도 막부에 파견한 대규모 사절단을 지칭하는 명칭이.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朝鮮人民遊擊隊)는 한국 전쟁을 전후하여 대한민국 영역에서 유격전을 수행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파르티잔 부대이.
조선의 공신
조선의 공신(朝鮮—功臣)은 조선시대 개국이나 반정, 반란 진압 등에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내려주는 칭호와 관직이.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조선의 연호
종 이전의 조선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명과 청의 연호를 사용하였.
조선의 사회제도
조선의 사회제도는 크게 토지 제도, 납세 제도, 가족 제도, 신분 제도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 조선왕조 건국 주체세력이 추구하던 경제구조는 민생안정과 더불어 국가수입을 증대시켜 부강한 재무국가(財務國家)를 만드는 것이었.
조선의 성리학
이 문서는 조선의 성리학에 대한 문서입.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보다 조선 중종와 조선왕릉
조선왕조 오백년
《조선왕조 오백년》은 MBC에서 1983년 3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방영한 장편 대하 드라마 시리즈물이.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보다 조선 중종와 좌의정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보다 조선 중종와 종묘
주 (성씨)
주(朱, 周)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주세붕
주세붕(周世鵬, 1495년 ~1554년)은 서원을 창시한 조선의 학자·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주세붕
죽산군
죽산군(竹山郡)은 현 안성시 죽산면을 중심으로 안성시의 동부 3개 면(일죽면·죽산면·삼죽면)과 용인시 처인구의 동남부 2개 면(원삼면·백암면)을 관할하던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보다 조선 중종와 죽산군
중모현주
중모현주(中牟縣主, ? - ?)는 조선 전기의 왕족으로 세종대왕의 아들 임영대군 이구의 딸이며, 귀성군 준의 여동생이며 청하현주(淸河縣主)의 언. 연산군의 왕비 거창군부인 신씨는 그녀의 맏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중모현주
중종
중종(中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흔히 국가적 위기에서 나라를 바로 세운 제왕이나 이미 망한 나라를 다시 중흥한 제왕에게 쓰인.
보다 조선 중종와 중종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보다 조선 중종와 중종반정
중종대왕 태봉
중종대왕 태봉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에 있는, 조선조 11대 임금인 중종(1506~1544)의 태(胎)를 모신 곳이.
중종실록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실록》(中宗恭僖徽文昭武欽仁誠孝大王實錄) 또는 《중종실록》(中宗實錄)은 1506년 음력 9월부터 1544년 음력 12월까지 조선 중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보다 조선 중종와 중종실록
진천군
(鎭川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진천군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창경궁
창빈 안씨
창빈 안씨(昌嬪 安氏, 1499년 ~ 1549년)는 중종의 후궁이.
보다 조선 중종와 창빈 안씨
창빈 안씨 묘역
창빈 안씨 묘역(昌嬪 安氏 墓域)은 조선 제11대 임금 중종(1488∼1544)의 후궁으로 선조(1552∼1608)의 할머니가 되는 창빈 안씨(昌嬪安氏, 1499∼1549)의 신도비와 묘소이.
창녕대군
창녕대군 이성(昌寧大君 李誠, 1501년 ~ 1506년 9월 24일)은 조선의 제10대 왕 연산군의 차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창녕대군
창의문
창의문(彰義門)은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소문(小門) 중의 하나로 서북쪽에 있는 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창의문
창성군 (1499년)
창성군 이요명(昌城君 李堯命, 1499년 ~ 1546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채세영
세영(蔡世英, 1490년 ~ 1568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채세영
청간정
청간정(靑澗亭)은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에 있는 정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청간정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는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6월 27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수목드라마이.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충주 박씨
춘천향교
향교(春川鄕校)는 강원도 춘천시 교동에 있는 향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춘천향교
취석정
석정(醉石亭)은 전라북도 고창군에 있는, 광산인 노계 김경희가 명종 1년(1546년)에 세운 정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취석정
유빈겸
유빈겸(兪斌兼, 1868년 ~ 1932년 양력 7월 15일)은 대한제국의 지방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보다 조선 중종와 유빈겸
유희춘
희춘(柳希春, 1513년~1577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유희춘
윤백원
윤백원(尹百源, 1528 - 1589)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백원
윤관
윤관(尹瓘, 미상 ~ 1111년 6월 15일 (음력 5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문신·군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관
윤관 (1490년)
윤관(尹寬, 1490년-1550년) 또는 윤자관(尹子寬)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윤기견
윤기견(尹起畎, ? ~ ?)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 병조참판 윤구의 아버지이자 10대 임금 연산군의 외할아버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기견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보다 조선 중종와 윤임
윤은필
윤은필(尹殷弼)은 조선의 문신으로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은필
윤지임
윤지임(尹之任, 1475년? - 1534년 4월 14일)은 조선 시대 외척인 인물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지임
윤호
윤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윤호
윤호 (1424년)
윤호 묘비명 윤호(尹壕, 1424년 ~ 1496년 4월 9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
윤여필
윤여필(尹汝弼, 1466년 ~ 1555년)은 조선 중기의 외척으로 중종의 두 번째 비 장경왕후와 윤임의 아버지이며 인종의 외할아버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여필
윤사로
윤사로(尹師路, 1423년 ~ 1463년)는 조선전기의 문신, 외척으로, 세종의 서녀 정현옹주의 남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사로
윤사분
윤사분(尹士昐, 1401년 ∼ 1471년)은 조선 초기의 외척으로 자는 계휘(繼輝), 시호는 이정(夷靖), 본관은 파평(坡平)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사분
윤사흔
윤사흔(尹士昕, 1422년 - 148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며 외척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사흔
윤사윤
윤사윤(尹士昀, 1409년 - 1461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세조와 중종의 외척이었.
보다 조선 중종와 윤사윤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선도
윤안인
윤안인(尹安仁, 1440년 - 1538년)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관찰사와 참판을.
보다 조선 중종와 윤안인
윤원량
윤원량(尹元亮, 1495년 ~ 1569년)은 조선 중기의 척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원량
윤원로
윤원로(尹元老, ? ~ 1547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척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원로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보다 조선 중종와 윤원형
파평 윤씨
평 윤씨(坡平尹氏)는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파평 윤씨
휘정옹주
휘정옹주(徽靜翁主, 생몰년 미상)는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69~1495)의 서9녀이며, 어머니는 명빈 김씨(明嬪 金氏)이.
보다 조선 중종와 휘정옹주
휘숙옹주
휘숙옹주(徽淑翁主, 생몰년 미상)는 조선의 옹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서차녀이며, 어머니는 명빈 김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휘숙옹주
휘신공주
휘신공주(徽愼公主) 또는 휘순공주(徵順公主, 1495년 ~ ?)는 조선의 공주로,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이.
보다 조선 중종와 휘신공주
팔도
조선 팔도 팔도(八道)는 1895년까지의 조선의 광역 행정 구역을 이르는 명칭이.
보다 조선 중종와 팔도
상 (성씨)
상(尙)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상진
상진(尙震, 1493년 ~ 1564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상진
태릉
릉은 중국과 한국의 왕릉이.
보다 조선 중종와 태릉
태강릉
릉(泰陵)은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의 능이고, 강릉(康陵)은 명종과 그의 비 인순왕후 심씨의 능이.
보다 조선 중종와 태강릉
태상왕
상왕(太上王)은 태상국왕(太上國王)이라 부르기도 하며, 국왕에게 왕위를 물려준 전 국왕의 칭호이.
보다 조선 중종와 태상왕
태안해안국립공원
안해안 국립공원(泰安海岸 國立公園)은 충청남도 태안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가로림만에서 안면도에 이르는 해안국립공원이다. 1978년 10월 20일 서산해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1990년 3월 22일 태안해안 국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됐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06년 12월, 9쪽 대한민국의 유일한 해안형 국립공원으로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과 침식 지형으로 해안 사구가 발달하여, 학암포·백리포·만리포·연포·몽산포·삼봉·꽃지 등의 해수욕장이 발달하여 있다.
순회세자
순회세자 이부(順懷世子 李暊, 1551년 7월 1일/음력 5월 28일 ~ 1563년 10월 6일/음력 9월 20일)는 조선 명종과 인순왕후의 외아들이.
보다 조선 중종와 순회세자
순창 옹씨
순창 옹씨(淳昌 邕氏) 또는 옥천 옹씨(玉川 邕氏)는 전라북도 순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순창 옹씨
순창 삼인대
순창 삼인대(淳昌 三印臺)는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에 있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비각(碑閣)이.
순천군 (1518년)
순천군 이관(順川君 李琯, 1518년 ~ 1577년 10월)은 조선 중종· 인종· 명종· 선조 때의 왕족 종실 겸 성리학자이.
순숙공주
순숙공주(順淑公主, 1478년 ~ 1488년 음력 7월 14일)는 조선의 공주로 성종과 정현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적장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순숙공주
순화궁
순화궁(順和宮)은 한성 중부, 현재의 관훈동 194번지 자리에 있었던 궁으로 조선 중종이 순화공주를 위해 지어 주었기에 ‘순화궁’이라 불.「歷史의숨결」이 사라지고있다 開發에밀려나는「先人들의 발자취」, 《경향신문》, 1982.7.12 순화궁은 헌종 때에는 경빈 김씨의 사저가 되었.
보다 조선 중종와 순화궁
수덕사
수덕사(修德寺)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수덕사
숙빈 윤씨
숙빈 윤씨(淑嬪 尹氏, ? ~ 1595년 이후)는 조선 인종의 후궁이.
보다 조선 중종와 숙빈 윤씨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권씨(淑儀 權氏, ? ~ 1519년 이후)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숙의 김씨
숙의 김씨(淑儀 金氏)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숙의 김씨
숙의 김씨 (단종)
숙의 김씨(淑儀 金氏, 1440년 경 ~ 1525년 음력 2월)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숙의 김씨 (중종)
숙의 김씨(淑儀 金氏, ? ~ 1562년 이전)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숙의 나씨
숙의 나씨(淑儀 羅氏)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을 지칭.
보다 조선 중종와 숙의 나씨
숙의 나씨 (중종)
숙의 나씨(淑儀 羅氏, 1489년 ~ 1514년 음력 10월 5일)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숙의 이씨
숙의 이씨(淑儀 李氏)는 다음의 인물들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숙의 이씨
숙의 이씨 (중종)
숙의 이씨(淑儀 李氏, ? ~ 1524년)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숙의 윤씨 (연산군)
숙의 윤씨(淑儀 尹氏, 1481년 ~ 1568년)은 조선 연산군의 후궁이.
숙의 홍씨
숙의 홍씨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숙의 홍씨
숙의 홍씨 (중종)
숙의 홍씨(淑儀 洪氏, ? ~ ?)는 조선 중종의 후궁이.
숙정옹주
숙정옹주는 다음의 인물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숙정옹주
숙정옹주 (중종)
숙정옹주(淑靜翁主, 1525년 ~ 1564년)는 조선의 왕족이.
숙정옹주 (태종)
숙정옹주(淑貞翁主, ? ~ 1456년)는 조선의 옹주이.
숙혜옹주 (성종)
숙혜옹주(淑惠翁主, 1486년 ~ 1525년)는 조선의 옹주로 조선 제9대 성종(成宗, 1457~1494, 재위 1469~1495)의 서7녀이며, 어머니는 숙용 심씨(淑容 沈氏, 1465~1515)이.
숙원 이씨 (중종)
숙원 이씨(? ~ 1520년)는 조선 중종의 후궁으로 이백선의 딸이.
영남루
영남루(嶺南樓)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舊客舍)의 부속건물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영남루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보다 조선 중종와 영의정
영은문 주초
서울 영은문 주초(영은문주초 → 서울 영은문 주초)로 명칭변경 되었습.(문화재청고시제2011-116호,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 제17560호, 392면, 2011-07-28)(서울 迎恩門 柱礎)는 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있던 일각문(一脚門)의 주춧돌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있.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紹修書院)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서원이.
영주시
영주시(榮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영주시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永川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영천시 교촌동 영천향교 내에 있. 대한민국의 보물 제616호로 지정되어 있. 공자를 비롯한 성현 7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봄, 가을마다 제향을 올리고 있. 조선 세종 17년(1435년)에 건립되었고 그 후 중종 8년(1513년)경 군수 김흠조가 중수하였으며, 광해군 14년(1622년)경 군수 황효의가 다시 중수하는 등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
영천시
영천시(永川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시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영천시
영천시의 행정 구역
영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0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 영천시의 면적은 920.29km2로 경상북도의 4.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44,789세대 102,302명이.
영순 태씨
영순 태씨(永順 太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영순 태씨
영양군 (왕족)
영양군 이거(永陽君 李岠, 1521년 4월 24일 ~ 1561년 7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로, 중종의 네번째 서자(庶子)이자 창빈 안씨 소생이.
오강군
오강군 이건(烏江君 李鍵, 1560년 ~ 1648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오강군
오결
오결(吳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오결
오우치 요시오키
오우치 요시오키 오우치 요시오키 (1477년 ~ 1529년 1월 29일) 는 무로마치 시대 후기부터 센고쿠 시대(戰國時代) 초기에 걸쳐 활약한 스오(周防) 센고쿠 다이묘이.
오지영 (1971년)
오지영(吳知英, 1971년 1월 1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오상 (해주)
오상(吳祥, 1512년 ∼ 15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옥중화
《옥중화》는 2016년 4월 30일부터 2016년 11월 6일까지 방영된 창사 55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보다 조선 중종와 옥중화
온릉
온릉(溫陵)은 조선시대 중종의 원비인 단경왕후 신씨의 능으로,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 19번지에 위치하고 있.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210호로 지정되었.
보다 조선 중종와 온릉
옹 (성씨)
옹(邕, 雍)씨는 한국의 성씨이.
혜정옹주
혜정옹주(惠靜翁主, 1514년 10월 27일(음력 10월 10일) ~ 1580년)는 조선 제11대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서차녀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敬嬪 朴氏, ? ~1533)이.
보다 조선 중종와 혜정옹주
혜순옹주
혜순옹주(惠順翁主, 1512년 2월 12일 ~ 1583년)은 조선 중기의 옹주로, 제11대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서장녀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敬嬪 朴氏, ? ~1533)이.
보다 조선 중종와 혜순옹주
혜숙옹주
혜숙옹주(惠淑翁主, 1478년 ~ ?)는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혜숙옹주
현량과
현량과(賢良科)는 조선시대 중종 때 조광조가 건의하여 실시한 천거시취제(薦擧試取制)이.
보다 조선 중종와 현량과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1418년 4월 17일 (음력 3월 12일) ~ 1441년 8월 10일 (음력 7월 24일))는 조선 문종의 왕비이.
보다 조선 중종와 현덕왕후
현릉 (조선)
현릉(顯陵)은 조선 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 권씨의 능이.
최부
부(崔溥, 1454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최부
최우혁 (1985년)
우혁(1985년 10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최일화 (배우)
일화(1959년 5월 9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최정원 (1971년)
정원(崔貞苑, 1971년 2월 20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최종환 (배우)
종환(崔鐘煥, 1965년 9월 2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대학 교수이.
최상훈
상훈(崔尙勲, 1954년 9월 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최상훈
최수성
수성(崔壽城, 1487년(성종 18년) ~ 1521년(중종 16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학자, 화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최수성
최연 (강릉)
연(崔演, 1503년『최연 신도비명』 ~ 1549년 2월 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어보
쪽.
보다 조선 중종와 어보
어유구
어유구(魚有龜, 1675 ~ 1740)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으로 경종의 비 선의왕후의 친정아버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어유구
언문청
언문청(諺文廳)은 조선 세종 25년-26년 사이에 창설되어 중종 원년에 없어진 관청의 하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언문청
억불 정책
억불 정책(抑佛政策) 또는 배불 정책(排佛政策)은 조선 왕조(1392-1897)가 500년 내내 불교를 탄압한 정책이.
보다 조선 중종와 억불 정책
양평 세심정
세심정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에 있는 건축물이.
양평군 (왕족)
양평군(陽平君, 1498년 ~ 1506년 음력 9월 24일(10월 10일)은 조선의 왕족이다. 연산군의 서장자이자 숙의 이씨의 아들이다.
양주시
양주시(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부에 있는 시이.
보다 조선 중종와 양주시
양지향교
양지향교(陽智鄕校)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양지향교
양산보
양산보(梁山甫, 1503년~1557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양산보
양원군 (1492년)
양원군 이희(楊原君 李憘, 1492년 ~ 1551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9대 성종의 서자이.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역사소설 《여인천하》를 원작으로 삼아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여인천하 (소설)
여인천하(女人天下)는 월탄 박종화의 1959년작 역사소설로 중종시대를 배경으.
여성군
여성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조선 중종와 여성군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연미정
연미정(燕尾亭)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고려시대의 누정이.
보다 조선 중종와 연미정
연기 김씨
연기 김씨(燕岐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연기 김씨
연우진
연우진(1984년 7월 5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연우진
연산군 (1962년 영화)
《연산군》(燕山君)은 1962년 개봉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연산일기
《연산일기》(燕山日記)는 1988년 2월 18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보다 조선 중종와 연산일기
표 (성씨)
(表)씨는 한국의 성씨이.
풍란 (드라마)
《풍란》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네 번째 작품으로, 1985년 3월 11일부터 10월 8일까지 방영되었.
풍천 임씨
풍천 임씨(豊川 任氏)는 황해도 풍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풍천 임씨
사릉
사릉(思陵)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씨의 능이.
보다 조선 중종와 사릉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사가독서
사임당, 빛의 일기
《사임당, 빛의 일기》는 2017년 1월 26일부터 2017년 5월 4일까지 방송된 SBS 드라마 스페셜이.
사천 구계서원
서원(龜溪書院)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구암리에 있는 서원이.
사육신
량진공원 의절사 사육신(死六臣)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사육신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보다 조선 중종와 사화
삼포왜란
삼포왜란(三浦倭亂, 1510년 4월 4일 ~ 4월 19일) 또는 경오왜변(庚午倭變)은 1510년(중종 5년) 4월 4일에 제포(내이포), 부산포, 염포의 삼포에 거주하고 있던 왜인들이 대마도주 종성친의 지원을 받아 일으킨 왜변을 말.
보다 조선 중종와 삼포왜란
쓰시마 국
쓰시마 국 쓰시마 국()은 일찍이 일본의 지방 행정 구분이었던 구니의 하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쓰시마 국
석조지장보살좌상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藏菩薩坐像)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석조 지장보살 좌상이.
선정릉
선정릉(宣靖陵, 사적 199호)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조선 왕릉으로 세 개의 능이 있다고 하여 삼릉공원이라고도 불린.
보다 조선 중종와 선정릉
선위
선위(禪位) 또는 양위(讓位)는 군주(군왕)가 살아 있으면서 다른 사람에게 군주의 지위를 물려주는 일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선위
설공찬전
설공찬전(薛公瓚傳)은 1511년(조선 중종 5년) 무렵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채수(蔡壽)가 쾌재정에서 지은 고소설(古小說)로, 한문에서 한글로 번역된 최초의 국문번역본 소설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설공찬전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보다 조선 중종와 섭정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成均館大學校, Sungkyunkwan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 대학이.
성운 (1497년)
성운(成運, 1497년 2월 17일(음력 1월 16일)∼1579년 6월 19일(음력 5월 26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시인·문신이.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성승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성희안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성삼문
성안상공신도비
성안상공신도비(成安尙公神道碑)는 조선 16세기 전반의 명재상 성안공 상진의 신도비이.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세도정치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서경덕
서귀포 쌍계암 묘법연화경
서귀포 쌍계암 묘법연화경(西歸浦 雙溪菴 妙法蓮華經)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 쌍계암에 소장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목판본이.
서운관
서운관(書雲觀)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서운관
서울 문묘
서울 문묘(文廟)는 유교를 집대성한 문성왕(文聖王)인 공자와 그의 제자 및 한국와 중국의 대유(大儒)의 위패를 모시고 봉향하는 사당 건물이다. 문묘(文廟)는 정전인 대성전(大成殿)과 그 앞 마당 좌·우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그리고 삼문(三門, 神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조선 중종와 서울 문묘
서울 문묘 은행나무
서울 문묘 은행나무(서울 文廟 銀杏나무)는 성균관대학교 경내 문묘에 있는 은행나무이.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李允濯 한글靈碑)는 묵재 이문건이 1535년 태릉 조성부지에 있던 아버지 이윤탁의 묘를 이전하여 어머니 고령 신씨의 묘와 합장하면서 직접 글을 쓰고 글씨를 새겨 1536년 묘 앞에 세운 비이.
서예
서예(書藝)란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되어 한자뿐만 아니라 해당 나라의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
보다 조선 중종와 서예
서얼
서얼(庶孼)은 양반의 자손 가운데 첩(妾)과의 사이에서 나온 자손을 말하는 것으로, 양인(良人)의 신분에 속하는 첩이 낳은 서자(庶子)와 천민(賤民)에 속하는 첩이 낳은 얼자(孼子)를 함께 이르는 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서얼
서얼 금고령
서얼 금고령은 조선 시대 서자들에 대한 관직을 제한한 규정이.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瑞山 明宗大王 胎室 및 碑)는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는, 조선 제 13대 왕인 명종의 태를 묻었던 곳이.
서삼릉
서삼릉(西三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희릉, 효릉, 예릉의 세 능(三陵)이.
보다 조선 중종와 서삼릉
송 (성씨)
송(宋)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소격서
소격서(昭格署)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
보다 조선 중종와 소격서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보다 조선 중종와 소혜왕후
소쇄원
소쇄원(瀟灑園)은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소쇄원
함 (성씨)
(咸)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함경도
함헌
(咸軒, 1508년 ~ ?)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함헌
합천 덕정리 정세필 묘비
합천 덕정리 정세필 묘비(陜川 德亭里 鄭世弼 墓碑)는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에 있는 묘비이.
해운정
운정(海雲亭)은 강원도 강릉시 운정동에 있는 정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해운정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해주 오씨
해안군
안군(海安君, 1511년 음력 6월 15일 ~ 1573년 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해안군
해암정
암정(海巖亭)은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에 있는 정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해암정
핼리 혜성
1986년의 핼리 혜성 핼리 혜성(공식 명칭은 1P/Halley)은 그 주기와 다음 접근 시기를 예측한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딴 혜성으로, 약 75~76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단주기 혜성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핼리 혜성
한량
량(閑良), 할냥 혹은 활량(弓~)은 원래 한국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에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무반”을 뜻하는 말이나, 보통 “일정한 직사없이 놀고먹는 양반 계층”으로 넓게 쓰였.
보다 조선 중종와 한량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한국의 반란 목록
국사 반란 목록은 한국사에서 있었던 반란을 모아 편집한 것이.
한국의 사라진 성씨
국의 사라진 성씨는 문헌에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지 않는 성씨를 말.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한충 (조선)
충(韓忠, 1486년 ~ 1521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한양 조씨
양 조씨(漢陽 趙氏)는 서울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한양 조씨
안동 간고등어
안동휴게소(부산방향)의 안동 간고등어 안동 간고등어는 고등어를 소금으로 염장 처리하여 만드는 경상북도 안동에서 유래 된 음식이.
안동 권씨
안동 권씨(安東 權氏)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안동 권씨
안동 태사묘
안동 태사묘(安東 太師廟)는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에 있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김선평, 권행, 장정필 3명의 태사(太師)의 위패를 모신 곳이.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안창호
안축 (조선)
안축(安舳, 1500년 12월 2일~1572년 1월 11일《은봉전서(隱峯全書)》(1864) 권4〈鈍庵府君遺事〉388c)은 조선 전기의 문신(文臣)으로 자는 해빈(海賓), 호는 둔암(鈍庵)이.
안향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은 고려의 명신(名臣)·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안향
안산 안씨
안산 안씨(安山 安氏)는 경기도 안산시를 본관(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안산 안씨
하동부대부인
동부대부인 정씨(河東府大夫人 鄭氏, 1522년 9월 23일 - 1567년 6월 24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정인지의 후손이며 조선 제14대 선조의 사친이자 덕흥대원군의 부인이.
하릉군
릉군 이인(河陵君 李鏻, 1546년 5월 9일 ~ 1592년 6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왕손으로 중종의 손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하릉군
암행어사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이.
보다 조선 중종와 암행어사
학조
학조(學祖, 생몰년 미상)는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
보다 조선 중종와 학조
신면
신면(申㴐, 또는 申沔, 1438년 ~ 1467년 5월 22일)는 조선전기의 문신, 군인으로 신숙주의 차남이며 좌의정 신용개의 아버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면
신무문
신무문 신무문(神武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경복궁의 북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무문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용개
신잠비
신잠비(申潛碑)은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에 있는, 태인 현감을 지낸 영천자 신잠 선생의 어진 정치와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잠비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수근
신숙공주
신숙공주(愼淑公主, 1481년 ~ 1486년 2월 13일) 성종과 정현왕후의 둘째 딸로 순숙공주의 동생이자 중종(진성대군)의 누나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숙공주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숙주
신사임당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년 12월 5일(음력 10월 29일) ~ 1551년 6월 20일(음력 5월 17일)) 또는 신사임(申師任),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는 조선 시대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 시인이었.
보다 조선 중종와 신사임당
신성군
신성군 이후(信城君 李珝, 1579년 1월 6일/1578년 음력 12월 10일 ~ 1592년 12월 8일/음력 1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종실이자 선조의 넷째아들(인빈 김씨 소생)이며 오강군 이건의 양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성군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신안 주씨
심 (성씨)
심(沈)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심강
심강(沈鋼, 1514년 ~ 156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명종의 국구(장인)로, 인순왕후의 아버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강
심귀령
심귀령(沈龜齡, 1350년 ~ 1413년)은 조선 초기의 공신이자 무신으로, 자는 천석(天錫), 호는 병담(屛潭), 시호는 정양(靖襄)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풍천군(豐川君), 본관은 풍산(豊山)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귀령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심충겸
심충겸(沈忠謙, 1545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인순왕후의 동생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충겸
심순경
심순경(沈順徑, 1462년 ~ 154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순경
심수경
심수경(沈守慶, 1516년 12월 20일 ~ 1599년 윤 4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수경
심온
심온(沈溫, 1375년 ~ 1419년 1월 18일 (1418년 음력 12월 23일))은 고려 시대 말기와 조선 시대 초기의 문신이자, 세종의 국구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온
심언경
심언경(沈彦慶, 1479년 ~ 1556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언경
심언광
심언광(沈彦光, 1487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언광
심연원
심연원(沈連源, 1491년 ~ 155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외척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연원
심열
심열(沈悅, 1569년 ~ 164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열
심사손
심사손(沈思遜, 1493년 12월 25일 ~ 152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다른 이름은 심사손(沈士遜)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사손
심통원
심통원(沈通源, 1499년 ~ 1572년 7월 8일)은 조선 중기의 권신, 척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심통원
시용향악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는 조선 성종 ∼ 중종 연간(1469년 ~ 1544년)에 향악의 악보를 기록한 악보집으로 1권 1책의 목판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시용향악보
원천군 (1533년)
원천군 이휘(原川君 李徽, 1533년 ~ 1594년)는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시인이자 문관 겸 무관이며 정치가이.
원통이고개
원통이고개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간석동에서 부평구 부평동을 연결하는 고개이.
보다 조선 중종와 원통이고개
월산대군
월산대군(月山大君, 1455년 1월 5일(음력 1454년 12월 18일) ~ 1489년 1월 22일(음력 1488년 12월 21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시인이.
보다 조선 중종와 월산대군
웅천군
웅천군(熊川郡)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의 옛 행정구역이.
보다 조선 중종와 웅천군
웅천읍성지
웅천읍성지(熊川邑城址)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있는 읍성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웅천읍성지
홍길동 (드라마)
《홍길동》은 대한민국의 방송국 SBS에서 1998년 7월 22일부터 1998년 9월 10일까지 방영한 액션 드라마이며, 조선시대 배경으로 소설 《홍길동전》을 각색.
홍인우
홍인우(洪仁祐, 1515년~1554년)는 조선의 유학자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홍인우
홍성민 (1536년)
홍성민(洪聖民, 1536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홍성군
홍성군(洪城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서부에 있는 군이자, 충청남도청 소재지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홍성군
황진이
황진이(黃眞伊, 1506년? ~ 1567년?)는 조선 중기의 시인, 기녀, 작가, 서예가, 음악가, 무희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황진이
황진이 (2006년 드라마)
《황진이》는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에서 2006년 10월 11일부터 2006년 12월 28일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조선시대 중종 때 기생이었던 황진이의 삶을 재구성하였.
황형 묘
황형 묘(黃衡 墓)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월곳리에 있는 조선 성종·중종 때의 무신인 황형(黃衡, 1459 - 1520)의 묘소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황형 묘
황여헌
황여헌(黃汝獻, 1486년 ~ ?)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황여헌
황헌 (1502년)
황헌(黃憲, 1502년 ~ 1574년)은 조선의 문신이.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보다 조선 중종와 외척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환곡
화계사
화계사(華溪寺)는 서울 강북구 수유동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화계사
화정면 (여수시)
화정면(華井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화순군
화순군(和順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앙부에 있는 군이.
보다 조선 중종와 화순군
화양면 (여수시)
화양면(華陽面)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의 면이.
완도군
완도군(莞島郡)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남해상의 완도와 264개의 도서군(島嶼群)으로 형성된 군이.
보다 조선 중종와 완도군
완도읍
장보고기념관에서 바라본 장도(청해진) 완도읍(莞島邑)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의 읍이.
보다 조선 중종와 완도읍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보다 조선 중종와 왕과 비
왕과 나 (드라마)
《왕과 나》는 올리브나인과 SBS 프로덕션이 공동 제작하여 2007년 8월 27일부터 2008년 4월 1일까지 SBS에서 방영한 대하사극이.
11월 19일
1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3번째(윤년일 경우 324번째) 날에 해당.
11월 29일
11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3번째(윤년일 경우 334번째) 날에 해당.
11월 6일
11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0번째(윤년일 경우 311번째) 날에 해당.
1530년대
1530년대는 1530년부터 1539년까지를 가리.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조선 중종와 1995년
4월 16일
4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6번째(윤년일 경우 107번째) 날에 해당.
7일의 왕비
《7일의 왕비》는 2017년 5월 31일부터 2017년 8월 3일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KBS 수목드라마이.
또한 이역, 조선조 중종, 중종공희휘문소무흠인성효대왕, 진성대군로 알려져 있다.
, 박원종, 강화 김씨, 가흥 조씨, 밀양 박씨, 밀양 당씨, 밀산군, 밀성군, 거금도, 거창 신씨, 경덕궁, 경모궁, 경기체가, 경빈, 경빈 박씨 (중종), 경빈 이씨, 경포대, 경인 아라뱃길, 경주 배씨, 경주 이씨, 경주 양동 관가정, 경휘옹주, 경순옹주, 경숙옹주 (성종), 경현공주, 벽송사, 고경표, 고구려, 고형산, 고양군, 고성 남씨, 보령 관아문, 보우 (조선), 보은 고봉정사, 공릉천, 공회빈 윤씨, 복성군, 공신옹주, 별망성지, 별방진, 계성군, 괴산향교, 광주 석씨, 봉은사, 봉산 곽씨, 봉성군, 관북 지방, 관상감, 북구 (부산광역시), 북청군, 권람, 권문해, 권경유, 권징 (조선의 문신), 권지고려국사, 권선, 불암산, 부천시, 부원군, 균전제, 귤림서원, 귀인 권씨 (성종), 귀인 남씨, 귀인 정씨 (인종), 귀인 정씨 (성종), 귀인 한씨, 긍선, 기묘제현수필, 기묘사화, 금성대군, 금원군, 비변사, 김개 (조선 중기의 문신), 김겸광, 김법래, 김규철, 김기중, 김국광, 김굉필, 김자지, 김희 (조선), 김인후, 김제 재궁리 석등, 김제남 (1562년), 김전, 김저 (1512년), 김종직, 김처선, 김육, 김영정 (조선), 김호 (1534년), 김연수 (1896년), 김세필, 김안로, 김안국, 김식 (1482년), 대리청정, 대구십영, 대장금, 대윤 소윤,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원군 (동음이의), 대왕대비, 누동궁, 구 영릉 석물, 구 영릉 석호상, 구례군, 구사맹, 구사안, 남곤, 남궁숙, 남효온, 남포 (1489년), 남이, 남치근, 남양 전씨, 남양 홍씨 당홍계, 난곡동 (서울), 나봉한, 나주 나씨, 나주 양씨, 등림수, 노수신, 노영학, 단경왕후, 당은군 (1562년), 효릉 (조선), 효정옹주, 효순공주, 효혜공주, 울산 김씨,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역사, 승평부부인, 회묘, 자격루, 자치통감강목, 장릉 (조선 단종), 장경왕후, 장경왕후 (조선), 장기, 장금, 장흥 임씨, 장흥면, 재영남일기, 임꺽정 (드라마), 임영대군, 임호 (배우), 임억령, 임사홍, 임신약조, 폐비 신씨, 흥완군, 희릉 (조선), 희빈, 희빈 장씨, 희빈 홍씨, 이량 (1519년), 이동 (왕족), 이명현 (조선의 문신), 이감 (조선), 이건 (조선 중기 왕족), 이건웅, 이경영 (1960년), 이봉주, 이극돈, 이기 (1476년), 이회영, 이장곤, 이희, 이이, 이인임, 이전, 이전 (1517년), 이정섭, 이조, 이주철, 이준경, 이준한, 이즙 (1503년), 이진우 (배우), 이지방 (1466년), 이상좌, 이태섭 (1939년), 이색 초상, 이순신, 이수 (1569년), 이수광, 이영, 이영 (조선의 무신), 이현보, 이언괄, 이언적, 이양선, 이씨 (정현조 후처), 이성군 (1503년), 이해 (1496년), 이해룡 (배우), 이암 (조선), 이시희, 이시영 (1868년), 이황 (1497년), 이화장, 이완, 인순공주, 인순왕후, 인수대비 (드라마), 인헌왕후, 인성대군, 인성왕후, 음력 11월 15일, 음력 12월 7일, 음력 3월 5일, 의녀, 의인왕후, 의창, 의천군 (1524년), 의혜공주, 의원군 (1520년), 익성군 신도비 및 무석, 을사사화, 제주향교, 제주성지, 제천 덕주산성, 제안대군, 전주 이씨, 전주시의 역사, 전성군 (1488년), 정릉, 정몽주, 정국공신, 정운, 정승수 (조선 사람), 정희왕후, 정인지, 정종영, 정진숙 (출판인), 정창손, 정윤겸, 정순옹주, 정순옹주 (중종), 정순옹주 (성종), 정순왕후 (조선 단종), 정숙옹주 (성종), 정혜옹주 (1490년), 정현조, 정현왕후, 정여창 (1450년), 정신옹주, 정신옹주 (중종), 정화옹주, 조광조, 조광조 (드라마), 조욱, 조온, 조언형, 조선, 조선 덕종, 조선 명종, 조선 문종, 조선 단종, 조선 인종,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통신사,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의 공신,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연호, 조선의 사회제도, 조선의 성리학, 조선왕릉, 조선왕조 오백년, 좌의정, 종묘, 주 (성씨), 주세붕, 죽산군, 중모현주, 중종, 중종반정, 중종대왕 태봉, 중종실록, 진천군, 창경궁, 창빈 안씨, 창빈 안씨 묘역, 창녕대군, 창의문, 창성군 (1499년), 채세영, 청간정,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 충주 박씨, 춘천향교, 취석정, 유빈겸, 유희춘, 윤백원, 윤관, 윤관 (1490년), 윤기견, 윤임, 윤은필, 윤지임, 윤호, 윤호 (1424년), 윤여필, 윤사로, 윤사분, 윤사흔, 윤사윤, 윤선도, 윤안인, 윤원량, 윤원로, 윤원형, 파평 윤씨, 휘정옹주, 휘숙옹주, 휘신공주, 팔도, 상 (성씨), 상진, 태릉, 태강릉, 태상왕, 태안해안국립공원, 순회세자, 순창 옹씨, 순창 삼인대, 순천군 (1518년), 순숙공주, 순화궁, 수덕사, 숙빈 윤씨,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김씨, 숙의 김씨 (단종), 숙의 김씨 (중종), 숙의 나씨, 숙의 나씨 (중종), 숙의 이씨, 숙의 이씨 (중종), 숙의 윤씨 (연산군), 숙의 홍씨, 숙의 홍씨 (중종), 숙정옹주, 숙정옹주 (중종), 숙정옹주 (태종), 숙혜옹주 (성종), 숙원 이씨 (중종), 영남루, 영의정, 영은문 주초, 영주 소수서원, 영주시, 영천향교 대성전, 영천시, 영천시의 행정 구역, 영순 태씨, 영양군 (왕족), 오강군, 오결, 오우치 요시오키, 오지영 (1971년), 오상 (해주), 옥중화, 온릉, 옹 (성씨), 혜정옹주, 혜순옹주, 혜숙옹주, 현량과, 현덕왕후, 현릉 (조선), 최부, 최우혁 (1985년), 최일화 (배우), 최정원 (1971년), 최종환 (배우), 최상훈, 최수성, 최연 (강릉), 어보, 어유구, 언문청, 억불 정책, 양평 세심정, 양평군 (왕족), 양주시, 양지향교, 양산보, 양원군 (1492년),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 (소설), 여성군,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미정, 연기 김씨, 연우진, 연산군 (1962년 영화), 연산일기, 표 (성씨), 풍란 (드라마), 풍천 임씨, 사릉, 사가독서, 사임당, 빛의 일기, 사천 구계서원, 사육신, 사화, 삼포왜란, 쓰시마 국, 석조지장보살좌상, 선정릉, 선위, 설공찬전, 섭정, 성균관대학교, 성운 (1497년), 성승, 성희안, 성준 (조선), 성삼문, 성안상공신도비, 세도정치, 서경덕, 서귀포 쌍계암 묘법연화경, 서운관, 서울 문묘, 서울 문묘 은행나무,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서예, 서얼, 서얼 금고령,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서삼릉, 송 (성씨), 소격서, 소혜왕후, 소쇄원, 함 (성씨), 함경도, 함헌, 합천 덕정리 정세필 묘비, 해운정, 해주 오씨, 해안군, 해암정, 핼리 혜성, 한량,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반란 목록, 한국의 사라진 성씨,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충 (조선), 한양 조씨, 안동 간고등어, 안동 권씨, 안동 태사묘, 안창호, 안축 (조선), 안향, 안산 안씨, 하동부대부인, 하릉군, 암행어사, 학조, 신면, 신무문, 신용개, 신잠비,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수근, 신숙공주, 신숙주, 신사임당, 신성군, 신안 주씨, 심 (성씨), 심강, 심귀령, 심정 (1471년), 심충겸, 심순경, 심수경, 심온, 심언경, 심언광, 심연원, 심열, 심사손, 심통원, 시용향악보, 원천군 (1533년), 원통이고개, 월산대군, 웅천군, 웅천읍성지, 홍길동 (드라마), 홍인우, 홍성민 (1536년), 홍성군, 황진이, 황진이 (2006년 드라마), 황형 묘, 황여헌, 황헌 (1502년), 외척, 환곡, 화계사, 화정면 (여수시), 화순군, 화양면 (여수시), 완도군, 완도읍, 왕과 비, 왕과 나 (드라마), 11월 19일, 11월 29일, 11월 6일, 1530년대, 1995년, 4월 16일, 7일의 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