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 헌종

색인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218 처지: 덕온공주, 덕온공주당의, 덕온공주의복, 덕온공주유물, 덕산군, 동구릉,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만동묘, 마한량, 명온공주, 명성황후, 문희공 유창 묘역, 묘호, 미역, 갑신정변, 강동구, 박규수, 박용대, 강현종,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시, 경릉, 경릉 (조선 헌종), 경모궁, 경복궁 중건, 경빈, 경빈 김씨, 경희궁, 경주향교, 경주향교 대성전, 고양 행주서원지, 고성 육영재,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과거제, 공자의 제자, 복온공주, 병오박해, 광산 김씨, 궁호, 부원군, 규사, 기해박해, 금탑사, 김문근, 김기락, 김대건, 김흥기, 김정희, 김정희필 세한도, 김조근, ..., 김좌근, 김진화 (1793년), 김유근, 김해 김씨, 김원행, 대구광역시,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대원군 (드라마), 대완구, 대왕대비,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남병길, 남양 홍씨 당홍계, 남연군, 낙선재, 녹파잡기, 단양 피씨, 담양 객사리 석당간, 효정황후, 효정왕후, 효현왕후, 우정동, 장바티스트 세실, 장수 신광사 대웅전, 흥부 (영화), 흥인군, 흥친왕, 흥선대원군, 이용원 (1832년), 이우용, 이재령, 이재각, 이재관 (화가), 이재선 추대 사건, 이희 (1824년), 이조, 이조헌, 이종상, 이상길 (1556년), 이영, 이양선, 이항로, 이한철 (화가), 이하전, 이원경 (1827년), 이환, 음력 6월 6일, 음력 7월 18일, 익종 (동음이의), 익산 나바위성당, 은렬사, 은언군, 적벽가, 전계대원군, 정명환, 정관읍, 정하상, 조만영, 조희룡, 조인영, 조선, 조선 문조, 조선 철종, 조선 순조, 조선 헌종,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사,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손, 조선왕릉, 좌의정, 종묘, 창덕궁, 창경궁, 채용신, 청량읍, 척사윤음, 총융청, 초계문신, 유신환, 윤치희, 팽 (성씨), 상곡 마씨, 탁종술, 상산군부인 송씨, 순원왕후, 순화궁, 수렴청정, 수릉 (조선), 수군, 숙의 김씨, 숙의 김씨 (헌종), 영남루, 영의정, 영온옹주, 오가작통법, 호압사, 현석문, 최한기, 양호거사비, 여도비지, 여수 오충사, 역사 연표, 연조귀감, 염계달, 헌종,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보물 제733-1호),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보물 제733-2호), 헌종실록, 허건, 표충사 (밀양시), 삼척 죽서루, 삼척 역둔리 철비, 씨름, 성 (시호), 성원묵, 세도정치, 서울 재동 백송,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서유구, 서영순 (1793년), 소주 가씨, 함 (성씨), 함화진, 항아당의, 핼리 혜성, 한국의 역사,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신 안동 김씨, 신광사 (장수군), 신정왕후 (조선), 심능악, 심의면, 심순택, 심풍지, 원대규, 홍기섭 (1781년), 홍재룡, 홍순목, 홍순형, 황태후, 왕대비, 왕태후, 왕세자, 1827년, 1834년, 1835년, 1836년, 1837년, 1838년, 1839년, 1840년, 1841년, 1842년, 1843년, 1844년, 1845년, 1846년, 1847년, 1848년, 1849년, 19세기, 8, 9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8 더) »

덕온공주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년 음력 6월 10일 ~ 1844년 음력 5월 24일)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덕온공주 · 더보기 »

덕온공주당의

덕온공주당의(德溫公主唐衣)는 조선의 제23대 왕인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당의 복식 유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덕온공주당의 · 더보기 »

덕온공주의복

덕온공주의복(德溫公主衣服)은 조선의 제23대 왕인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옷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덕온공주의복 · 더보기 »

덕온공주유물

덕온공주유물(德溫公主遺物)은 조선의 제23대 왕인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1822∼1844)의 복식 유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덕온공주유물 · 더보기 »

덕산군

덕산군(德山郡)은 덕산면을 중심으로 지금의 예산군 서부지역에 있었던 옛 행정구역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덕산군 · 더보기 »

동구릉

동구릉(東九陵)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동구릉 · 더보기 »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조선 헌종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더보기 »

만동묘

만동묘(萬東廟)는 조선시대 때 지어진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하여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서1704년 숙종 30년 오늘날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에 지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만동묘 · 더보기 »

마한량

마한량(馬翰良, 1813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마한량 · 더보기 »

명온공주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년 음력 10월 13일 ~ 1832년 음력 6월 13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명온공주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조선 헌종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문희공 유창 묘역

문희공 유창 묘역(文僖公 劉敞 墓域)은 조선 초기의 문신 유창의 묘와 신도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문희공 유창 묘역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묘호 · 더보기 »

미역

미역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미역과의 갈조류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미역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갑신정변 · 더보기 »

강동구

강동구(江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강동구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박규수 · 더보기 »

박용대

박용대(朴容大, 1849년 5월 26일 ~ 1927년 2월 19일)는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조선 헌종와 박용대 · 더보기 »

강현종

강현종(1980년 9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 출신 방송인이며,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감독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강현종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 표충사 대광전(密陽 表忠寺 大光殿)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불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밀양 표충사 대광전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밀양시 · 더보기 »

경릉

경릉은 중국과 한국의 왕릉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릉 · 더보기 »

경릉 (조선 헌종)

경릉(景陵)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과 정비 효현왕후 김씨, 계비 효정왕후 홍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릉 (조선 헌종) · 더보기 »

경모궁

경모궁(景慕宮)은 조선 장조의 사당이 있던 곳으로, 지금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부근 일대에 있던 함춘원의 옛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모궁 · 더보기 »

경복궁 중건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은 조선 말기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에게서 지시를 받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1865년(고종 2년)부터 1872년(고종 9년)까지 행하였.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복궁 중건 · 더보기 »

경빈

경빈은 다음의 인물을 가리.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빈 · 더보기 »

경빈 김씨

경빈 김씨(慶嬪 金氏, 1832년 음력 8월 27일 ~ 1907년 음력 4월 21일(양력 6월 1일))는 조선의 24대 왕 헌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빈 김씨 · 더보기 »

경희궁

경희궁(慶熙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광해군 9년(1617년)에 건립한 이후, 10대에 걸쳐 임금이 정사를 보았던 궁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희궁 · 더보기 »

경주향교

경주향교(慶州鄕校)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주향교 · 더보기 »

경주향교 대성전

경주향교 대성전(慶州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경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고양 행주서원지

행주서원지(幸州書院址)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에 있는 서원 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고양 행주서원지 · 더보기 »

고성 육영재

육영재(育英齋)는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고성 육영재 · 더보기 »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步之華陽洞 不謁宋先生)은 조선 중기 이후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화양동 서원을 풍자한 유행어였.

새로운!!: 조선 헌종와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과거제 · 더보기 »

공자의 제자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문인은 그 수가 많아 이름이 알려져 있는 사람만도 70명을 넘고 있. 사마천의 《사기》〈중니 제자 열전〉에 그 명단이 기록되어 있. 공자(孔子)의 제자 가운데 뛰어난 70인을 칠십자(七十子)라고 하는데, 기록에 따라서는 육십일자(六十一子) 또는 칠십이현(七十二賢)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공자의 제자 · 더보기 »

복온공주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년 음력 10월 26일 ~ 1832년 음력 5월 12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복온공주 · 더보기 »

병오박해

병오박해(丙午迫害)란 1846년(헌종 12) 6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 일어난 천주교 박해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병오박해 · 더보기 »

광산 김씨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광산 김씨 · 더보기 »

궁호

궁호(宮號)는 조선 왕실에서 여성에게 붙었던 칭호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궁호 · 더보기 »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부원군 · 더보기 »

규사

《규사》(葵史)는 우리 나라의 역대 서얼들의 행적 및 그들이 조정에 올린 장주(章奏)들을 모아 편찬한 책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규사 · 더보기 »

기해박해

박해(己亥迫害)는 조선 후기 1839년(기해년, 헌종 5년)에 발생한 천주교 탄압을 말.

새로운!!: 조선 헌종와 기해박해 · 더보기 »

금탑사

탑사(金塔寺)는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천등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금탑사 · 더보기 »

김문근

문근(金汶根, 1801년 ~ 1863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철인왕후의 아버지이자 철종의 장인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문근 · 더보기 »

김기락

락(金琪洛, 1838년 ~ 1897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기락 · 더보기 »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대건 · 더보기 »

김흥기

흥기(金興基, 1946년 7월 28일 ~ 2009년 3월 6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흥기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정희필 세한도

정희필 세한도(金正喜筆 歲寒圖)는 조선 말기의 사대부 서화가 완당 김정희가 1844년 제주도 유배지에서 수묵으로만 간략하게 그린 사의체의 문인화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정희필 세한도 · 더보기 »

김조근

조근(金祖根, 1793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외척으로 자는 백술(伯述) 호는 자오(紫塢) 시호는 효간(孝簡)이며 본관은 (신) 안동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조근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좌근 · 더보기 »

김진화 (1793년)

화(金鎭華, 1793년 ~ 1850년)는 조선(朝鮮)의 문관(文官) 겸 시인(詩人)으로 활약한 순조·헌종 임금 때의 청백리(淸白吏)이자 명목민관(名牧民官)이었고 본관은 의성(義城)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진화 (1793년) · 더보기 »

김유근

유근(金逌根, 1785년 3월 ~ 1840년 7월)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시인, 화가, 문신으로 예조판서, 병조판서, 판돈령부사를.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유근 · 더보기 »

김해 김씨

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해 김씨 · 더보기 »

김원행

원행의 초상화 김원행(金元行, 1702년 ~ 1772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김원행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대완구

완구(大碗口)는 둥근 돌인 단석이나 멀리 날아가서 폭발하는 둥근 쇠공인 비격진천뢰를 쏘는 조선시대의 유통식 화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대완구 · 더보기 »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대왕대비 · 더보기 »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國忌服色素膳 및 四節服色資粧要覽)은 조선조 제24대 헌종 후궁인 경빈 김씨가 그녀가 거처하는 순화궁에서 궁체로 쓴 《국기복식소선(國忌服飾素膳)》과 《사절복식자장요람(四節服飾資粧要覽)》 두 권의 필첩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국기복색소선 및 사절복색자장요람 · 더보기 »

남병길

병길(南秉吉, 1820년~1869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천문·역법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자상(字裳)·원상(元裳), 호는 육일재(六一齋)·혜천(惠泉)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남병길 · 더보기 »

남양 홍씨 당홍계

양 홍씨(南陽 洪氏) 당홍계(唐洪系)는 홍천하(洪天河)를 시조로 하고,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남양 홍씨 당홍계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남연군 · 더보기 »

낙선재

낙선재(樂善齋)는 1847년에 지어진 창덕궁의 건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낙선재 · 더보기 »

녹파잡기

《녹파잡기》(綠波雜記)는, 조선(朝鮮) 후기의 문인 한재락이 지은 평양 기생들에 대한 기록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녹파잡기 · 더보기 »

단양 피씨

양 피씨(丹陽 皮氏)는 충청북도 단양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단양 피씨 · 더보기 »

담양 객사리 석당간

양 객사리 석당간(潭陽 客舍里 石幢竿)은 전라남도 담양군 객사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석조 당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담양 객사리 석당간 · 더보기 »

효정황후

효정황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효정황후(孝貞皇后).

새로운!!: 조선 헌종와 효정황후 · 더보기 »

효정왕후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년 3월 6일(음력 1월 22일) ~ 1904년 1월 2일(1903년 음력 11월 15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憲宗)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효정왕후 · 더보기 »

효현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4월 27일(음력 3월 14일) ~ 1843년 10월 18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 헌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효현왕후 · 더보기 »

우정동

우정동(牛亭洞)은 울산광역시 중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우정동 · 더보기 »

장바티스트 세실

장바티스트 세실(Jean-Baptiste Thomas Médée Cécille, 1787년 10월 16일 ~ 1873년 11월 9일)은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장바티스트 세실 · 더보기 »

장수 신광사 대웅전

장수 신광사 대웅전(長水 新光寺 大雄殿)은 전라북도 장수군, 신광사에 있는 대웅전이다. 1985년 8월 16일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13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조선 헌종와 장수 신광사 대웅전 · 더보기 »

흥부 (영화)

《흥부》는 201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흥부 (영화) · 더보기 »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흥인군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용원 (1832년)

이용원(李容元, 1832년 음력 9월 30일~1911년 양력 8월 16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용원 (1832년) · 더보기 »

이우용

이우용(李禹鎔, 1827년 - ?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헌종조와 철종조에 왕위에 물망올랐던 경원군 이하전(李夏銓)의 서형(庶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우용 · 더보기 »

이재령

이재령(李在齡)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재령 · 더보기 »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재각 · 더보기 »

이재관 (화가)

이재관(李在寬, 1783년(정조 7년) ~ 1837년(헌종 3년))은 조선 후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재관 (화가) · 더보기 »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재선 추대 사건 · 더보기 »

이희 (1824년)

익평군 이희(益平君 李曦, 1824년 10월 16일 ~ 1863년 9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의 손자이며, 상계군 이담(常溪君 李湛)의 양아들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희 (1824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조 · 더보기 »

이조헌

이조헌(李祖憲, 1796년(정조 20년) ~ ?)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조헌 · 더보기 »

이종상

이종상(李鍾祥, 1799년-1870년)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종상 · 더보기 »

이상길 (1556년)

이상길(李尙吉, 1556년(명종 11년) ~ 1637년(인조 1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상길 (1556년) · 더보기 »

이영

이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영 · 더보기 »

이양선

19세기 서양의 범선인 프리깃 이양선(異樣船)이란 조선 후기에 조선 연안 지역에 출몰했던 정체불명의 배들을 가리키는 표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양선 · 더보기 »

이항로

이항로(李恒老, 1792년~1868년)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항로 · 더보기 »

이한철 (화가)

이한철(李漢喆, 1808년 ~ ?)은 조선 말기의 화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한철 (화가)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하전 · 더보기 »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원경 (1827년) · 더보기 »

이환

이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이환 · 더보기 »

음력 6월 6일

음력 6월 6일은 음력 6월의 6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음력 6월 6일 · 더보기 »

음력 7월 18일

음력 7월 18일은 음력 7월의 18번째 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음력 7월 18일 · 더보기 »

익종 (동음이의)

익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익종 (동음이의) · 더보기 »

익산 나바위성당

익산 나바위성당(益山 나바위聖堂)은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있는 대한제국 시대의 성당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익산 나바위성당 · 더보기 »

은렬사

은렬사(殷烈祠)는 은렬공 강민첨을 배향한 사당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은렬사 · 더보기 »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은언군 · 더보기 »

적벽가

《적벽가(赤壁歌)》는 《삼국지연의》에서 적벽대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 다섯 바탕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적벽가 · 더보기 »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전계대원군 · 더보기 »

정명환

정명환(1960년 7월 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정명환 · 더보기 »

정관읍

정관읍(鼎冠邑)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북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정관읍 · 더보기 »

정하상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1795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평신도 신학자, 교회 지도자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정약종의 아들이자 정약용의 조카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정하상 · 더보기 »

조만영

이한철의 작품) 조만영(趙萬永, 1776년 ~ 1846년)은 조선 후기의 정치가·문신 겸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만영 · 더보기 »

조희룡

조희룡(趙熙龍, 1789년 ~ 1866년)은 조선 후기의 화. 본관은 평양.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희룡 · 더보기 »

조인영

조인영(趙寅永, 1782년 ~ 18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인영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자

조선의 왕세자 및 대한제국의 황태자는 조선의 국왕, 대한제국 황제의 잠재적 왕위 계승권자로, 신하들은 국왕 외에 그에게도 칭신을 하였.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의 왕세자 · 더보기 »

조선의 왕세손

조선의 왕세손은 왕세손으로 조선의 국왕의 손자이자 현임 왕세자의 아들이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의 왕세손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조선 헌종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좌의정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종묘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창덕궁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창경궁 · 더보기 »

채용신

용신(蔡龍臣, 1848년(헌종 14년) ~ 1941년)은 조선 후기의 초상화.

새로운!!: 조선 헌종와 채용신 · 더보기 »

청량읍

청량읍(靑良邑)은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동남부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청량읍 · 더보기 »

척사윤음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척사윤음》 《척사윤음》(斥邪綸音)은 1839년(헌종 5년) 서교를 배척하기 위하여 국민에게 내린 말을 모은 책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척사윤음 · 더보기 »

총융청

총융청(摠戎廳)은 1624년(인조 2년)에 만들어진 조선의 5군영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총융청 · 더보기 »

초계문신

(文臣)들을 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초계문신 · 더보기 »

유신환

유신환(兪莘煥, 1801년 ~1859년)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유신환 · 더보기 »

윤치희

윤치희(尹致羲, 1797년 - 1866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윤치희 · 더보기 »

팽 (성씨)

팽(彭)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팽 (성씨) · 더보기 »

상곡 마씨

상곡 마씨(上谷 麻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상곡 마씨 · 더보기 »

탁종술

탁종술(卓宗述, 1790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탁종술 · 더보기 »

상산군부인 송씨

은언군과 상산군부인의 묘비 상산군부인 송씨(常山郡夫人 宋氏, 1753년 10월 15일 ~ 1801년 4월 4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이자 천주교 순교자로, 사도세자의 서자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姻)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상산군부인 송씨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순화궁

순화궁(順和宮)은 한성 중부, 현재의 관훈동 194번지 자리에 있었던 궁으로 조선 중종이 순화공주를 위해 지어 주었기에 ‘순화궁’이라 불.「歷史의숨결」이 사라지고있다 開發에밀려나는「先人들의 발자취」, 《경향신문》, 1982.7.12 순화궁은 헌종 때에는 경빈 김씨의 사저가 되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순화궁 · 더보기 »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수렴청정 · 더보기 »

수릉 (조선)

수릉(綏陵)은 조선 제 23대 왕 순조의 세자 효명세자(후 익종, 문조로 추존)와 비 신정왕후 조씨의 능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수릉 (조선)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수군 · 더보기 »

숙의 김씨

숙의 김씨(淑儀 金氏)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을 가리.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숙의 김씨 · 더보기 »

숙의 김씨 (헌종)

숙의 화락당 김씨(淑儀 和樂堂 金氏, 1814년 1월 ~ 1895년 11월 12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의 후궁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숙의 김씨 (헌종) · 더보기 »

영남루

영남루(嶺南樓)는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舊客舍)의 부속건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영남루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온옹주

영온옹주(永溫翁主, 1817년 음력 10월 11일 ~ 1829년 음력 4월 8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영온옹주 · 더보기 »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은 조선에서 시행된 행정 구역 체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오가작통법 · 더보기 »

호압사

호압사(虎壓寺)는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삼성산 아래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종파의 사찰이자 대한민국 불교의 본산(本産)인 조계사의 말사(末寺)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호압사 · 더보기 »

현석문

현석문(玄錫文, 1797년 ~ 1846년 9월 1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현석문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최한기 · 더보기 »

양호거사비

양호거사비(楊鎬去思碑)는 정유재란 때 조선에 파견된 명나라 흠차경리조선군무(欽差經理朝鮮軍務) 도찰원우첨도어사(都察院右僉都御使) 양호(楊鎬)를 기리는 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양호거사비 · 더보기 »

여도비지

《여도비지》(輿圖備志)는 조선 후기에 김정호와 최성환(崔瑆煥)이 함께 편찬한 지지(地誌)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여도비지 · 더보기 »

여수 오충사

오충사(五忠祠)는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 중촌마을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여수 오충사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조선 헌종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조귀감

《연조귀감》(掾曹龜鑑)은 조선의 관인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에 관계된 기록 및 그들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의 전기를 모아 엮은 책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연조귀감 · 더보기 »

염계달

염계달(廉季達)은 조선 왕조 순조·헌종·철종 등 3대에 걸친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염계달 · 더보기 »

헌종

종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헌종 · 더보기 »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보물 제733-1호)

종가례진하도 병풍(憲宗嘉禮陳賀圖 屛風)은 부산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보물 제733-1호) · 더보기 »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보물 제733-2호)

종가례진하도 병풍(憲宗嘉禮陳賀圖 屛風)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보물 제733-2호) · 더보기 »

헌종실록

《헌종경문위무명인철효대왕실록》(憲宗經文緯武明仁哲孝大王實錄) 또는 《헌종실록》(憲宗實錄)은 1834년 음력 11월부터 1849년 음력 6월까지 조선 헌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헌종실록 · 더보기 »

허건

(許楗, 1907년 6월 12일 ~ 1987년 11월 5일)은 대한민국의 동양화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허건 · 더보기 »

표충사 (밀양시)

PAGENAMEBASE 표충사(表忠寺)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표충사 (밀양시) · 더보기 »

삼척 죽서루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보물 213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동팔경 중의 하나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삼척 죽서루 · 더보기 »

삼척 역둔리 철비

삼척 역둔리 철비(三陟 易屯里 鐵碑)는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역둔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철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삼척 역둔리 철비 · 더보기 »

씨름

씨름은 한국 고유의 운동으로, 두 사람이 샅바나 바지 허리춤을 잡고 힘과 슬기를 겨루어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경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씨름 · 더보기 »

성 (시호)

성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성 (시호) · 더보기 »

성원묵

성원묵(成原默, 1785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학자, 서예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성원묵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세도정치 · 더보기 »

서울 재동 백송

서울 재동 백송(서울 齋洞 白松)은 서울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서울 재동 백송 · 더보기 »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華溪寺 阿彌陀掛佛圖 및 五如來圖)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화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서울 화계사 아미타괘불도 및 오여래도 · 더보기 »

서유구

서유구 초상 서유구(徐有榘, 1764년 ~ 1845년)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농정가(農政家)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서유구 · 더보기 »

서영순 (1793년)

서영순(徐英淳, 1793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서영순 (1793년) · 더보기 »

소주 가씨

소주 가씨(蘇州 賈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소주 가씨 · 더보기 »

함 (성씨)

(咸)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함 (성씨) · 더보기 »

함화진

화진(咸和鎭, 1884년 ~ 1948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국악인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함화진 · 더보기 »

항아당의

항아당의(姮娥唐衣)란 궁중의 나인인 항아가 입었던 당의를 말. 깃너비 9.0cm의 당코깃이며 화장이 짧고 소매배래는 완만한 곡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항아당의 · 더보기 »

핼리 혜성

1986년의 핼리 혜성 핼리 혜성(공식 명칭은 1P/Halley)은 그 주기와 다음 접근 시기를 예측한 에드먼드 핼리의 이름을 딴 혜성으로, 약 75~76년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는 단주기 혜성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핼리 혜성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신 안동 김씨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는 신라 말 고창의 성주로 있다가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고려 태조로부터 안동을 식읍으로 하사받고 태사공(太師公)에 봉해진 김선평(金宣平)을 시조.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신 안동 김씨 · 더보기 »

신광사 (장수군)

신광사(新光寺)는 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 비룡리 신광마을 서쪽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신광사 (장수군)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심능악

심능악(沈能岳, 1766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유한(維翰),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심능악 · 더보기 »

심의면

심의면(沈宜冕, 1808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주경(周卿),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심의면 · 더보기 »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심순택 · 더보기 »

심풍지

심풍지(沈豊之, 1738년 ~ 1793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심풍지 · 더보기 »

원대규

원대규(元大圭, 1857년 음력 8월 18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원대규 · 더보기 »

홍기섭 (1781년)

홍기섭(洪耆燮, 1781년 ~ 186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홍기섭 (1781년) · 더보기 »

홍재룡

홍재룡(洪在龍, 1794년 11월 6일(음력 10월 13일) ~ 1863년 2월 21일(음력 1월 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홍재룡 · 더보기 »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홍순목 · 더보기 »

홍순형

홍순형(洪淳馨, 1858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여문(汝聞), 본관은 남양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홍순형 · 더보기 »

황태후

황태후(皇太后)는 전 황제의 정실 배우자이며, 현 황제의 어머니뻘 되는 황실 여성에게 붙이는 칭호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황태후 · 더보기 »

왕대비

왕대비(王大妃)는 선왕의 왕비를 뜻.

새로운!!: 조선 헌종와 왕대비 · 더보기 »

왕태후

왕태후(王太后)는 독립국 국왕의 친모를 일컫는 칭호였.

새로운!!: 조선 헌종와 왕태후 · 더보기 »

왕세자

왕세자(王世子)는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왕자를 일컫는 말이며, 부인은 왕세자빈(王世子嬪)이라 부른.

새로운!!: 조선 헌종와 왕세자 · 더보기 »

1827년

182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27년 · 더보기 »

1834년

183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34년 · 더보기 »

1835년

183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35년 · 더보기 »

1836년

183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36년 · 더보기 »

1837년

183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37년 · 더보기 »

1838년

183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38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39년 · 더보기 »

1840년

184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0년 · 더보기 »

1841년

184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1년 · 더보기 »

1842년

184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2년 · 더보기 »

1843년

184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3년 · 더보기 »

1844년

184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4년 · 더보기 »

1845년

184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5년 · 더보기 »

1846년

184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6년 · 더보기 »

1847년

184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7년 · 더보기 »

1848년

184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8년 · 더보기 »

1849년

184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849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19세기 · 더보기 »

8

8(팔)은 7보다 크고 9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조선 헌종와 8 · 더보기 »

9월 8일

9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1번째(윤년일 경우 2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조선 헌종와 9월 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장숙왕, 원헌, 원헌 이환, 헌종 성황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