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사 편수회

색인 조선사 편수회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는 조선사의 편찬을 목적으로 설립된 조선총독부의 총독 직할 기관이.

55 처지: 데라우치 마사타케, 도미나가 후미카즈, 만선사관, 미즈타 나오마사, 백남운, 박이순 (1905년), 박은식, 박제환 (1859년), 박영효, 가야하라 마사조, 고타키 모토이, 권중익, 권중현, 김동준 (1886년), 대한제국 고종, 구로이타 가쓰미, 국사관, 난중일기, 나수연, 노세타니 간료, 다가와 고조, 다이쇼 천황, 스에마쓰 야스카즈, 우시지마 쇼조, 이능화, 이도익, 이마니시 류, 이건춘 (1873년), 이병도, 이나바 이와키치, 이상영, 이완용,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정만조, 징비록, 유맹 (1853년), 육종윤, 윤영구 (1868년), 오다 미키지로, 오다 쇼고, 현채, 최남선, 어윤적, 엄창섭 (1890년), 쓰다 소키치, 세노 우마쿠마, 손영목 (1888년),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아리요시 주이치, 식민지 근대화론, ..., 식민사관, 신석호, 홍희 (1884년), 1925년, 1940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데라우치 마사타케

우치 마사타케(가에이 5년 음력 2월 5일(1852년 2월 24일) ~ 다이쇼 8년(1919년) 11월 3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데라우치 마사타케 · 더보기 »

도미나가 후미카즈

미나가 후미카즈(1890년 1월 31일 ~ 몰년 미상)는 일본의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도미나가 후미카즈 · 더보기 »

만선사관

만선사관(滿鮮史觀)은, 20세기초에 일본 학자들에 의해 주장된 한국사에 대한 관점으로, 만주와 조선의 역사는 하나이며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는 만주에 종속적이라고 폄훼하는 주장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만선사관 · 더보기 »

미즈타 나오마사

미즈타 나오마사(1897년 ~ 1985년)는 일본의 재무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미즈타 나오마사 · 더보기 »

백남운

백남운(白南雲, 1894년 2월 11일 ~ 1979년 6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제학자, 교육자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백남운 · 더보기 »

박이순 (1905년)

박이순(朴彛淳, 일본식 이름: 新井彛淳(신이 이준) 또는 新居 廣(신쿄 히로시), 1905년 7월 18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박이순 (1905년) · 더보기 »

박은식

박은식(朴殷植, 1859년 10월 25일(음력 9월 30일) ~ 1925년 1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박은식 · 더보기 »

박제환 (1859년)

박제환(朴齊瓛, 1859년 양력 12월 2일 ~ 1938년 양력 1월 5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박제환 (1859년)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박영효 · 더보기 »

가야하라 마사조

야하라 마사조(? ~ 1924년 3월)는 일본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가야하라 마사조 · 더보기 »

고타키 모토이

모토이(1894년 ~ ?)는 일본의 조선총독부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고타키 모토이 · 더보기 »

권중익

중익(權重翼, ? ~ 1927년 12월 16일조선총독부 조선사 편수회 편, 《조선사편수회사업개요》, 조선총독부 조선사 편수회, 1938년.)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본적은 경기도 수원군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권중익 · 더보기 »

권중현

중현(權重顯, 1854년 11월 27일(음력 10월 8일) ~ 1934년 3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권중현 · 더보기 »

김동준 (1886년)

동준(金東準, 1886년 11월 24일 ~ 1973년 11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평안북도 영변군 오리면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김동준 (1886년)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구로이타 가쓰미

이타 가쓰미(메이지 7년(1874년) 9월 3일 ~ 쇼와 21년(1946년) 12월 21일)는 일본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구로이타 가쓰미 · 더보기 »

국사관

국사관(國史館)은 한국의 역사 연구를 위해 문교부 산하에 설치한 국가 기관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국사관 · 더보기 »

난중일기

중일기(亂中日記)는 조선 중기의 무신(武臣) 이순신(李舜臣)이 임진왜란 7년(1592년 ~ 1598년) 동안 군중에서 쓴 일기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난중일기 · 더보기 »

나수연

수연(羅壽淵, 1861년 음력 10월 20일~1926년 양력 6월 16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개화파 무관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나수연 · 더보기 »

노세타니 간료

세타니 간료(1897년 ~ ?)는 일본의 조선총독부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노세타니 간료 · 더보기 »

다가와 고조

와 고조(田川孝三, 1909년 ~ 1988년)는 일본의 역사.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다가와 고조 · 더보기 »

다이쇼 천황

이쇼 천황(1879년 8월 31일 ~ 1926년 12월 25일)은 일본의 제123대 천황으로 본명은 요시히토(), 어릴 적 칭호는 하루노미야()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다이쇼 천황 · 더보기 »

스에마쓰 야스카즈

스에마쓰 야스카즈(1904년 8월 10일 ~ 1992년 4월)는 일본의 역사 학자 이. 가쿠슈인 대학의 명예교수, 문학박사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스에마쓰 야스카즈 · 더보기 »

우시지마 쇼조

우시지마 쇼조 우시지마 쇼조(1883년 3월 ~ 1940년 10월 14일)는 일본의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우시지마 쇼조 · 더보기 »

이능화

이능화(李能和, 조선 고종(高宗) 6년(1869년 ~ 1943년 4월 12일)는 한국의 역사학자·민속학자이다. 자는 자현(子賢), 호는 간정(侃亭)·상현(尙玄)·무능거사(無能居士)이다.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능화 · 더보기 »

이도익

이도익(李度翼, 1865년 음력 4월 18일 ~ 1942년 양력 10월 2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도익 · 더보기 »

이마니시 류

이마니시 류(今西龍; 금서룡, 1875년 8월 15일 ~ 1932년 5월 20일)는 기후현(岐阜縣) 출신으로, 일본의 동양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마니시 류 · 더보기 »

이건춘 (1873년)

이건춘(李建春, 1873년 음력 1월 18일~1936년 양력 1월 11일)은 대한제국의 외교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건춘 (1873년) · 더보기 »

이병도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989년 8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이며,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두계(斗溪, 杜溪)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병도 · 더보기 »

이나바 이와키치

이나바 이와키치(1876년 ~ 1940년)는 일본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나바 이와키치 · 더보기 »

이상영

이상영(李商永, 1850년 7월 13일 ~ ?)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상영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이완용 · 더보기 »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日本의 歷史敎科書 問題)는 일본과 인접 국가(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등) 사이에서 겪고 있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기술을 둘러싼 문제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 · 더보기 »

정만조

정만조(鄭萬朝, 1858년 ~ 1936년)는 조선 말기의 학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 협조한 대표적인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정만조 · 더보기 »

징비록

징비록(懲毖錄)은 조선 선조 때 류성룡이 쓴 임진왜란에 대한 1592년(선조 25)에서 1598년(선조 31)까지 7년 동안의 일을 수기(手記)한 책으로, 저자가 벼슬에서 물러나 한거(閑居)할 때 저술하였고 1604년(선조 37년) 저술을 마. 대한민국의 국보 제132호로 지정되어 있.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징비록 · 더보기 »

유맹 (1853년)

유맹(劉猛, 1853년 음력 3월 8일 ~ 1930년 양력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개화파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유맹 (1853년) · 더보기 »

육종윤

육종윤(陸鍾允, 1863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육종윤 · 더보기 »

윤영구 (1868년)

윤영구(尹寗求, 1868년 ~ ?)는 대한제국말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윤영구 (1868년) · 더보기 »

오다 미키지로

오다 미키지로(1875년 ~ 1929년)는 일본의 법조인, 조선총독부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오다 미키지로 · 더보기 »

오다 쇼고

오다 쇼고(1871년 5월 2일 ~ 1953년 12월 12일)는 일본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오다 쇼고 · 더보기 »

현채

현채(玄采, 1856년 ~ 1925년)는 조선말기 역관,교육인이자,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활동했던 교육인,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현채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최남선 · 더보기 »

어윤적

어윤적(魚允迪, 1868년 8월 25일 ~ 1935년 2월 3일)은 국문연구소 위원과 조선사 편수회 위원을 역임.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어윤적 · 더보기 »

엄창섭 (1890년)

엄창섭(嚴昌燮, 일본식 이름: 武永憲樹, 1890년 7월 1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평안남도 평양부 대흥면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엄창섭 (1890년) · 더보기 »

쓰다 소키치

쓰다 소키치(1873년 10월 3일 ~ 1961년 12월 4일)는 일본의 역사 학자 이. 만주철도주식회사와 조선사 편수회 출신으로 초기 기록 불신론 등의 조선 식민사학 이론을 만들어낸 인물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쓰다 소키치 · 더보기 »

세노 우마쿠마

세노 우마쿠마(1874년 5월 25일 ~ 1935년 5월 20일)는 일본의 역사가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세노 우마쿠마 · 더보기 »

손영목 (1888년)

손영목(孫永穆, 일본식 이름: 孫永穆, 1888년 11월 21일 ~ 1950년 5월 7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손영목 (1888년) · 더보기 »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국사 상식의 오류와 진실은 한국사에서 그동안 잘못 알려진 상식을 모아놓은 문서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한국의 역사에 대한 오해 목록 · 더보기 »

아리요시 주이치

아리요시 주이치 아리요시 주이치(1873년 6월 2일 ~ 1947년 2월 10일)은 일본의 내무 관료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아리요시 주이치 · 더보기 »

식민지 근대화론

식민지 근대화론(植民地近代化論)은 일본 제국 쇼와 천황의 한국 식민 지배가 결과적으로 한국의 산업화와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주장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식민지 근대화론 · 더보기 »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식민사관 · 더보기 »

신석호

신석호(申奭鎬, 일본식 이름: 寺谷修三, 1904년 ~ 1981년 2월 13일)는 대한민국 역사학자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신석호 · 더보기 »

홍희 (1884년)

홍희(洪憙, 1884년 5월 16일 ~ 1935년 1월 6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유학자 겸 역사가로 자는 복경(復卿), 호는 겸산(兼山), 겸산자(兼山子), 겸산하사(兼山下士), 겸산학인(兼山學人), 목식도인(木食道人)이며 본적은 한성부 안국동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홍희 (1884년)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1925년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조선사 편수회와 1940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조선사 편수위원회, 조선사편찬위원회, 조선사편수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