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조선왕조의궤

색인 조선왕조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처용무 그림 의궤(儀軌)는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훗날 참고하기 위해 남기는 기록문서를 가리.

38 처지: 데라우치 마사타케, 도전! 골든벨,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도화서, 간 내각 (제1차 개조), 간 나오토, 밀교 (불교), 경종실록,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 금강정경, 인조실록,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 전주지도, 조선왕릉, 조선왕조의궤,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0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1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2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2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3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5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6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8호),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9호), 조선왕조실록, 태평회맹도,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 현종실록, 프랑스 국립도서관, 선조실록, 한국의 미술,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세계기록유산, 악학궤범, 외규장각 도서, 왕실문화원, KBS 파노라마.

데라우치 마사타케

우치 마사타케(가에이 5년 음력 2월 5일(1852년 2월 24일) ~ 다이쇼 8년(1919년) 11월 3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데라우치 마사타케 · 더보기 »

도전! 골든벨

《도전! 골든벨》은 한국방송공사의 KBS 1TV에서 매주 일요일 저녁 7시 10분에서 8시 10분에 1시간으로 방송되는 대한민국의 청소년 고등학교 대상 퀴즈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도전! 골든벨 · 더보기 »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은 2010년 11월 14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에서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맺어진 도서 인도 조약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 더보기 »

도화서

화서(圖畵署)는 조선시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그림을 그리던 관청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도화서 · 더보기 »

간 내각 (제1차 개조)

각을 개조하기 전과 마찬가지로 국민신당과의 연립내각이면서 9월 14일에 실시된 임기 만료에 의하는 민주당 대표 선거를 거쳐 내각을 발족.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간 내각 (제1차 개조) · 더보기 »

간 나오토

오토(1946년 10월 10일 ~)는 일본의 제94대 내각총리대신이며 중의원 의원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간 나오토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경종실록

《경종덕문익무순인선효대왕실록》(景宗德文翼武純仁宣孝大王實錄) 또는 《경종실록》(景宗實錄)은 1720년 음력 6월부터 1724년 음력 9월까지 조선 경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경종실록 · 더보기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경상남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 · 더보기 »

금강정경

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금강정경》(金剛頂經)은 밀교(密敎)의 경전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금강정경 · 더보기 »

인조실록

《인조대왕실록》(仁祖大王實錄) 또는 《인조실록》(仁祖實錄)은 1623년 음력 3월부터 1649년 음력 5월까지 조선 인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인조실록 · 더보기 »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

일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는 2010년 8월 10일,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인 간 나오토가 일본 도쿄의 총리대신 관저에서, 내각회의의 결정에 근거하여 대한민국만을 대상으로 병합 과정의 강제성을 우회적으로 시인하고 조선왕조의궤 등의 문화재를 정부 차원에서 인도한다고 밝힌 담화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 · 더보기 »

전주지도

전주지도(全州地圖)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지도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전주지도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원행을묘정리의궤》의 처용무 그림 의궤(儀軌)는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훗날 참고하기 위해 남기는 기록문서를 가리.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0호)

보물 제1901-10호 조선왕조의궤는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1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0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1호)

보물 제1901-11호 조선왕조의궤는 청주시청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1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1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2호)

보물 제1901-12호 조선왕조의궤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1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2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1호)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373건, 2,20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1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2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2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291건 384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2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3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1호)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80건 13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3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5호)

조선왕조의궤(보물 제1901-5호)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373건 2,203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5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6호)

보물 제1901-6호 조선왕조의궤는 한국순교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2건 2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6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7호)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9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7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8호)

보물 제1901-7호 조선왕조의궤는 연세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1건 9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8호) · 더보기 »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9호)

보물 제1901-9호 조선왕조의궤는 삼척시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왕조의궤 2건 2책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의궤 (보물 제1901-9호)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태평회맹도

평회맹도(太平會盟圖)는, 조선시대 임진왜란때 공을 세운 호성공신(扈聖功臣)과 선무공신(宣武功臣)들을 그린 관찬(官撰) 병풍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태평회맹도 · 더보기 »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英祖王世第受冊時 冊禮都監儀軌)는 1721년(경종 1년) 영인군과 달성군부인(達城郡夫人) 서씨를 각각 조선 경종의 왕세제와 세제빈(世弟嬪)으로 책봉한 과정을 적은 의궤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영조왕세제수책시 책례도감의궤 · 더보기 »

현종실록

《현종순문숙무경인창효대왕실록》(顯宗純文肅武敬仁彰孝大王實錄) 또는 《현종실록》(顯宗實錄)은 1659년 음력 5월부터 1674년 음력 8월까지 조선 현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현종실록 · 더보기 »

프랑스 국립도서관

. 프랑스 국립도서관(BnF)은 프랑스 파리 시에 있는 국립도서관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프랑스 국립도서관 · 더보기 »

선조실록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 또는 《선조실록》(宣祖實錄)은 1567년 음력 7월부터 1608년 음력 2월까지 조선 선조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선조실록 · 더보기 »

한국의 미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한국의 미술은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던 미술을 말. 고분벽화, 불화, 문인화, 산수화 같은 평면 시각매체 예술과, 불상, 석탑, 도자기 같은 입체 시각매체 예술을.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한국의 미술 · 더보기 »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세계기록유산

본 목록은 국명의 경우 한글자모순, 기록물의 경우 등재 순으로 정렬되어 있.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세계기록유산 · 더보기 »

악학궤범

악학궤범의 방향(方響) 《악학궤범》(樂學軌範)은 조선 성종 때에 편찬한 악서(樂書)로, 장악원(掌樂院)에 있던 의궤(儀軌)·악보를 정리한 것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악학궤범 · 더보기 »

외규장각 도서

외규장각 도서(外奎章閣圖書)는 외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서적들을 일컫.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외규장각 도서 · 더보기 »

왕실문화원

왕실문화원(王室文化院, Korean Monarchy Culture Institute)은 600년을 이어온 한국의 왕실문화를 계승, 발전하기 위해 뜻을 함께하는 사회인사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단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139번지 이화회관(李花會館) 내에 있.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왕실문화원 · 더보기 »

KBS 파노라마

《KBS 파노라마》(Panorama)는 한국방송공사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조선왕조의궤와 KBS 파노라마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의궤, 조선 의궤, 조선의궤, 조선왕조 의궤, 조선왕실 의궤, 조선왕실의궤.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