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진사

색인 진사

사에는 다음 뜻이 있.

105 처지: 동기창, 류성룡, 립스틱, 마상원, 명나라, 방원량, 박지원 (1737년), 박필균, 경주향교 대성전, 고려 광종, 권대운, 권상하, 권순장, 김만중, 김기중, 김효원, 김일경 (1662년), 김익겸, 김집 (1574년), 김진규 (조선), 김창업, 김천일, 김수항, 김안국, 김신겸 (1693년), 김홍욱, 김홍집 (1842년), 남곤, 남포 (1489년), 남연군, 논개, 단주, 자비르 이븐 하이얀, 장지연, 포증, 흥녕군, 흥인군, 흥선대원군, 흥완군, 이량 (1519년), 이맹휴, 이경항 (1601년), 이병식 (1785년), 이봉의, 이기 (1476년), 이구 (고려 중기), 이재정 (1846년), 이조식, 이철승, 이상우 (1621년), ..., 이순신 (1553년), 이여빈, 이석지, 이한기, 은여림, 젠틀맨, 정여립, 조광조, 조선의 과거 제도, 조선의 교육, 중국 연극, 진극원, 지본금지착색홍백매도, 지천석, 유득공, 유형원, 육유, 윤봉구, 윤흔, 윤은필, 윤철구, 윤휘, 윤태준 (1839년), 윤호 (1542년), 윤선도, 윤웅렬, 예승석, 현진건, 최립, 최명길 (1586년), 최한기, 여흥부대부인, 엄한붕, 성담수, 성재기 (조선), 성이성, 성혼, 서재필, 서상정, 서악서원, 손지현 (관료), 송자, 송준길, 소철 (북송), 한영이, 하여장, 신용개, 신숙주, 신사 (중국사), 신후담, 심전, 심언광, 심환지, 홍성민 (1536년), 황사영 백서.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5 더) »

동기창

'''동기창''' 동기창(董其昌, 1555년 ~ 1636년)은 중국 명나라 때의 문인, 화가, 서예가, 정치가이.

새로운!!: 진사와 동기창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진사와 류성룡 · 더보기 »

립스틱

립스틱 립스틱(lipstick)은 입술에 색조와 질감을 주기 위해서 바르는 화장품의 일종으로써 안료·기름·왁스·연화제 등이 원료로 사용.

새로운!!: 진사와 립스틱 · 더보기 »

마상원

마상원(馬尙遠, 1573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마상원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진사와 명나라 · 더보기 »

방원량

방원량(房元亮)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방원량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진사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박필균

박필균(朴弼均, 1685년 1월 1일 ∼ 1760년 8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여 노론의 맹작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진사와 박필균 · 더보기 »

경주향교 대성전

경주향교 대성전(慶州鄕校 大成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진사와 경주향교 대성전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진사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권대운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진사와 권상하 · 더보기 »

권순장

순장(權順長, 1607년 ~ 1637년 1월 22일)은 조선의 문신(文臣)이자 충신(忠臣)이며 의병장(義兵將)이.

새로운!!: 진사와 권순장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진사와 김만중 · 더보기 »

김기중

원파 김기중 김기중(金祺中, 1859년 ~ 1933년)은 조선의 문신, 교육자이며,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육영사업가이.

새로운!!: 진사와 김기중 · 더보기 »

김효원

저서 성암집의 일부 김효원(金孝元, 1542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며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김효원 · 더보기 »

김일경 (1662년)

일경(金一鏡, 1662년 ~ 1724년 12월 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김일경 (1662년) · 더보기 »

김익겸

익겸(金益兼, 1614년 ~ 1636년 12월)은 조선의 문신(文臣) 겸 시인이자 정치운동가(政治運動家)이며 사회운동가(社會運動家)이.

새로운!!: 진사와 김익겸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진사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진규 (조선)

(金鎭圭, 1658년 ~ 1716년)는 조선의 문신(文臣) 겸 시인(詩人)이.

새로운!!: 진사와 김진규 (조선) · 더보기 »

김창업

연행록 김창업(金昌業, 1658 ~ 1722)은 조선 후기의 화가·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김창업 · 더보기 »

김천일

일(金千鎰, 1537년 ~ 1593년)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이다. 자는 사중, 호는 건재(健齋), 본관은 언양이며, 시호는 문렬(文烈)이다.

새로운!!: 진사와 김천일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진사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김안국 · 더보기 »

김신겸 (1693년)

신겸(金信謙, 1693년 ~ 1738년)은 조선 후기의 문인, 학자, 화가, 시인이.

새로운!!: 진사와 김신겸 (1693년)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김홍욱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진사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진사와 남곤 · 더보기 »

남포 (1489년)

(南褒, 1489년 ~ 1570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남포 (1489년)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진사와 남연군 · 더보기 »

논개

(論介, 1574년 9월 3일 ~ 1593년) 또는 주논개(朱論介)는 조선 선조 시대의 열녀이.

새로운!!: 진사와 논개 · 더보기 »

단주

주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진사와 단주 · 더보기 »

자비르 이븐 하이얀

아부 무사 자비르 이븐 하이얀(721년 ~ 815년)은 저명한 무슬림 박식가로 화학자이자 천문학자, 연금술사, 지구과학자, 철학자, 물리학자, 약사, 의사였.

새로운!!: 진사와 자비르 이븐 하이얀 · 더보기 »

장지연

장지연(張志淵, 1864년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은 대한제국의 애국 계몽 운동가 겸 언론인이었.

새로운!!: 진사와 장지연 · 더보기 »

포증

증() 또는 포청천(), 999년 4월 11일 ~ 1062년 5월 20일)은 중국 송나라 때의 문신이자 유명한 정치가이다. 인종 때 동경 개봉부윤으로 재직 중의 판결이 19세기에 석옥곤의 삼협오의 이후 극화되어 알려졌다. 1027년에 진사시험에 합격하고 관직은 개봉부윤을 거쳐 추밀원부사에 이르렀으며 사후 예부상서와 이부상서에 추증되고 동해군개국후(東海郡開國侯)에 추봉되었다. 사후 중국 무속에서 신으로도 숭배되며, 사후 지옥 중 5번째 지옥을 주관하는 심판관이 되었다는 전설도 나타났다. 자(字)는 희인(希仁), 이름은 증(拯), 호는 청천(靑天), 시호는 효숙(孝肅)이다. 다른 별칭으로는 포룡도(包龍圖), 포흑자(包黑子), 포흑탄(包黑炭)이라는 별칭도 있으며 중국에서는 보통 포공, 포효숙, 포청천 등으로 부른다. 중국 여주 안휘성 합비 출신이다. 저서로는 포증집, 효숙포공주의 등이 있다.

새로운!!: 진사와 포증 · 더보기 »

흥녕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년 7월 16일 ~ 1828년 2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손자이며, 흥선대원왕, 흥인군의 백형(伯兄)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진사와 흥녕군 · 더보기 »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새로운!!: 진사와 흥인군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진사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새로운!!: 진사와 흥완군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진사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맹휴

이맹휴(李孟休, 1713년~1750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이맹휴 · 더보기 »

이경항 (1601년)

이경항(李慶恒,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으로 자(字)는 사상(士常)·중구(中久)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진사와 이경항 (1601년) · 더보기 »

이병식 (1785년)

이병식(李秉植, 1785년-185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추존 장조의 장남 은언군의 손자 종실 익평군 이희(益平君 李曦)에게 출계한 덕안군 이재덕(德安君 李載悳)의 생조부이.

새로운!!: 진사와 이병식 (1785년) · 더보기 »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새로운!!: 진사와 이봉의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진사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구 (고려 중기)

이구(李球, 1265년 - ?)는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 시인으로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진사와 이구 (고려 중기) · 더보기 »

이재정 (1846년)

이재정(李在正, 1846년 음력 1월 7일 ~ 1919년 양력 9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초반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진사와 이재정 (1846년) · 더보기 »

이조식

이조식(李祖植, 1782년-186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이조식 · 더보기 »

이철승

이철승(李哲承, 1922년 5월 15일 ~ 2016년 2월 27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 시민사회기관단체인이.

새로운!!: 진사와 이철승 · 더보기 »

이상우 (1621년)

이상우(李商雨, 1621년(광해군 13) ∼ 1685년(숙종 11))는 조선 현종, 숙종 때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이상우 (1621년)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여빈

이여빈(李汝馪, 1556년 9월 11일 ~ 1631년 9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학자이자 문신, 시인이.

새로운!!: 진사와 이여빈 · 더보기 »

이석지

이석지(李釋之, ? ~ ?)는 본관은 영천으로 두문동 72현으로써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킨 인물이.

새로운!!: 진사와 이석지 · 더보기 »

이한기

이한기(李漢基,1917년 9월 5일 ~ 1995년 2월 2일, 전남 담양)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관료, 법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이한기 · 더보기 »

은여림

은여림(殷汝霖)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은여림 · 더보기 »

젠틀맨

리치드 브랫스윗의 영국신사 (1930년) 젠틀맨(gentleman)이라는 용어는 원래 엄격한 의미로는 향사(에스콰이어, esquire) 아래에, 요먼(yeoman, 자작농, 자유민)의 위에 있는 잉글랜드의 가장 낮은 귀족 계급(젠트리)을 의미하는 말이었.

새로운!!: 진사와 젠틀맨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정여립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진사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진사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조선의 교육

조선 시대에는 관료로서 출세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방법은 무조건 과거에 합격하는 데 있었으므로 자연히 교육도 과거의 준비에 중점을 두게 되었.

새로운!!: 진사와 조선의 교육 · 더보기 »

중국 연극

중국 연극은 크게 나누어 고전극과 현대극으로 구별.

새로운!!: 진사와 중국 연극 · 더보기 »

진극원

극원(陳克元, 1534년 음력 6월 10일 ~ 1595년 음력 8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 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진극원 · 더보기 »

지본금지착색홍백매도

《지본금지착색홍백매도》, 오가타 고린, 18세기 초. 《지본금지착색홍백매도》 (시혼킨지차쿠쇼쿠 고하쿠바이즈)는 일본의 화가 오가타 고린 (1658~1716)이 그린 병풍이.

새로운!!: 진사와 지본금지착색홍백매도 · 더보기 »

지천석

석(池天錫, 1620년 ~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지천석 · 더보기 »

유득공

유득공(柳得恭, 류득공, 1748년 12월 24일(음력 11월 5일) ~ 1807년 10월 1일(음력 9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실학자, 문신, 시인이며 조선 정조 당시의 실학자, 시인이.

새로운!!: 진사와 유득공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진사와 유형원 · 더보기 »

육유

푸젠 성에 있는 육유 상 육유 (1125년 11월 13일 ~ 1210년 1월 26일) 는 중국 남송의 시인이.

새로운!!: 진사와 육유 · 더보기 »

윤봉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봉구의 초상화 윤봉구(尹鳳九, 1681년∼1767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윤봉구 · 더보기 »

윤흔

윤흔(尹昕, 1564년 - 1638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윤흔 · 더보기 »

윤은필

윤은필(尹殷弼)은 조선의 문신으로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이.

새로운!!: 진사와 윤은필 · 더보기 »

윤철구

윤철구(尹徹求)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진사와 윤철구 · 더보기 »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윤휘 · 더보기 »

윤태준 (1839년)

윤태준(尹泰駿, 1839년 ~ 1884년 12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군인이자 유학자, 작가, 외교관이.

새로운!!: 진사와 윤태준 (1839년) · 더보기 »

윤호 (1542년)

윤호(尹皞, 1542년 - 1589년 1월 25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윤호 (1542년)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진사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진사와 윤웅렬 · 더보기 »

예승석

예승석(芮承錫, 1406년 ~ 147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예승석 · 더보기 »

현진건

현진건(玄鎭健, 1900년 8월 9일 ~ 1943년 4월 25일)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조선(朝鮮)의 작가, 소설가 겸 언론인,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진사와 현진건 · 더보기 »

최립

립(崔岦, 1539년 5월 20일(음력 5월 3일)~ 1612년 8월 9일(음력 7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 겸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최립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진사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진사와 최한기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진사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엄한붕

엄한붕(嚴漢朋, 1669년 ~ 1759년)은 조선 후기의 문인, 서예가이.

새로운!!: 진사와 엄한붕 · 더보기 »

성담수

성담수(成聃壽, ?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은일사로, 세조 때 단종 폐위에 분개하여 벼슬을 사직한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진사와 성담수 · 더보기 »

성재기 (조선)

성재기(成載琦, 1821년 ~ ?)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성재기 (조선) · 더보기 »

성이성

성이성(成以性, 1595년(선조 28년) ∼ 1664년(현종 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청백리이.

새로운!!: 진사와 성이성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진사와 성혼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진사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상정

서상정(徐相鼎, 1813년 8월 23일 ~ 1876년 7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서상정 · 더보기 »

서악서원

서악서원(西嶽書院)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진사와 서악서원 · 더보기 »

손지현 (관료)

손지현(孫之鉉, 1867년 음력 3월 14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사와 손지현 (관료) · 더보기 »

송자

송자(1186년 ~ 1249년)는 남송의 관료이.

새로운!!: 진사와 송자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진사와 송준길 · 더보기 »

소철 (북송)

소철 소철(蘇轍,1039년 ~ 1112년)은 중국 북송의 문인이.

새로운!!: 진사와 소철 (북송) · 더보기 »

한영이

영이(韓榮伊, 1784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진사와 한영이 · 더보기 »

하여장

여장 (何如璋, 1838년 ~ 1891년)은 중국 청나라 말기의 외교관이.

새로운!!: 진사와 하여장 · 더보기 »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신용개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진사와 신숙주 · 더보기 »

신사 (중국사)

신사(紳士)는 중국의 명나라와 청나라의 사회 계층이.

새로운!!: 진사와 신사 (중국사) · 더보기 »

신후담

신후담(愼後聃, 1702년 ~ 176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진사와 신후담 · 더보기 »

심전

심전(沈銓, 1496년∼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진사와 심전 · 더보기 »

심언광

심언광(沈彦光, 1487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심언광 · 더보기 »

심환지

심환지 영정, 보물 1480호 심환지(沈煥之, 1730년 - 1802년 10월 18일)는 조선 영조·정조 시대의 문신이.

새로운!!: 진사와 심환지 · 더보기 »

홍성민 (1536년)

홍성민(洪聖民, 1536년 ~ 159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진사와 홍성민 (1536년) · 더보기 »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새로운!!: 진사와 황사영 백서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