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진안군

색인 진안군

안군(鎭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376 처지: 러브 인 아시아의 에피소드 목록, 덕천리, 덕태산, 덕현리, 도로원표, 도봉구, 도장각, 동창리, 동촌리, 동향면, 동향중학교, 동향초등학교, 마령면, 마령고등학교, 마령중학교, 마령초등학교, 마이산, 마이산 용암일대 암각서군, 마이산탑, 마응방, 면 (행정 구역), 모정리, 무릉리,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무주군, 무진장, 무진장 (지역), 무진장여객, 무진장소방서, 감돌고기, 백남봉, 백운면 (진안군), 백운정류소, 백운중학교 (전북), 백운초등학교 (전북), 백암리, 갈현리, 반송리, 반월리, 강동구, 박리풍 석정려, 강정리, 박철곤, 박영효, 박혜경 (1974년), 박원양, 가막리, 거창 신씨, 거석리, 고무정, ..., 고지집, 고석현, 봉암리, 봉학리, 궁항리, 불타는 청춘의 에피소드 목록, 불타는 청춘의 여행지 목록, 부귀면, 부귀중학교, 부귀초등학교, 부귀산, 부군면 통폐합, 금강, 금당사, 금척무, 금산군, 금산군의 농어촌버스, 금산읍, 김봉열, 김대형, 김요협, 김종대 (목회자), 김종순 (1886년), 김철민 (1957년), 김치수 (조선), 김오섭, 김연수 (법조인), 김성수 (1891년), 대동계, 대불리, 대전 전투,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사 목록, 대한민국의 리 목록 (마), 대한민국의 리 목록 (바), 대한민국의 리 목록 (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나), 대한민국의 리 목록 (다), 대한민국의 리 목록 (자), 대한민국의 리 목록 (파), 대한민국의 리 목록 (사), 대한민국의 리 목록 (하), 대한민국의 리 목록 (아), 대한민국의 민선 5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대한민국의 버스 회사 목록,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목록, 대한민국의 국가하천 목록,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지방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1호 ~ 제500호),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목록, 대학수학능력시험, 구룡리, 구봉산 (전라북도),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30호선, 국가기초구역번호,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군하리, 두남리, 두원공소, 남계리, 남구 (대구광역시), 내동산, 내륙주, 노령산맥, 노성리, 달기현, 담락당 하립·삼의당 김씨 부부유지, 용덕리, 용담면, 용담댐, 용담중학교, 용담초등학교 (전북), 용담향교 공적비, 용포리, 용평리, 우편집중국, 우화산 일원 유적군, 운봉리, 운교리, 운장산, 운산리, 자산리, 장승초등학교 (전북), 장수 황씨, 장수군, 장안산, 임실·순창군의 농어촌버스, 임실군, 평장리, 평지리, 이덕응 초상, 이만용 (1886년), 이기방, 이남용 (필드하키 선수), 이정란, 이조아, 이상철 (1859년), 이풍 (조선), 이항로 (1957년), 이한신, 이십삼부, 인후동, 익산포항고속도로, 은평구, 은수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목록,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제일고등학교 (동음이의), 전라도, 전라북도, 전라북도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의 축제 목록, 전라북도의 행정 구역, 전라북도의 선거구, 전라북도의 성 목록, 전라북도의회의원 목록, 전라북도진안교육지원청, 전라북도산림환경연구소, 전병관, 전병우, 전봉준, 전국노래자랑의 에피소드 목록, 전승수, 전주지방법원, 전주시,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의 시내버스, 전휴상, 전수용, 정도전 (드라마), 정곡리, 정두겸, 정음 (가수), 정천면, 정천초등학교 (전북), 정여립, 정세균, 조림초등학교 (전북), 조병순 초상, 주잠, 주평리, 주천, 주천면, 주천면 (진안군), 주천중학교 (전북), 주천초등학교 (전북), 주천상업고등학교, 주천서원, 죽도 (동음이의), 죽산리, 중평농악, 중앙로, 진성중학교 (전북), 진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 진안 강정리 오층석탑, 진안 금당사 목조여래좌상, 진안 금당사 괘불탱, 진안 금당사 석탑, 진안 나들목, 진안 용담향교 대성전, 진안 운산리 삼층석탑, 진안 회사동 석탑,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 진안 이씨,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진안 천황사 괘불도, 진안 천황사 대웅전, 진안 천황사 승탑, 진안 쌍계정, 진안 태고정, 진안 영모정, 진안 어서각, 진안 성재봉 태평봉수대, 진안 화산서원, 진안마이산휴게소, 진안경찰서, 진안고원, 진안공공도서관, 진안공업고등학교, 진안군, 진안군 (동음이의), 진안군의 국회의원, 진안군의 향토유적, 진안군의 행정 구역, 진안군의료원, 진안우체국, 진안읍, 진안제일고등학교, 진안중학교 (전북), 진안중앙초등학교, 진안초등학교 (전북), 진안향교 대성전, 진안여자중학교, 진안역사박물관, 진안성당 어은공소, 진안시외버스터미널, 진안홍삼배 전국 장기 패왕전, 진안홍삼연구소, 지방도 제635호선, 지방도 제721호선, 지방도 제725호선, 지방도 제726호선, 지방도 제732호선, 지방도 제742호선, 지방도 제745호선, 지방도 제795호선, 지선당, 창녕 성씨, 채수찬, 천주교 전주교구, 천안 전씨, 천황사 대웅전 석가여래삼존불상 및 대좌·수미단, 충청남도의 시내버스, 코리아와이드진안, 쌍벽루, 유태영 (1874년), 육완국, 윤치호, 팔공산 (전라북도), 상전면, 수동리, 수천리, 수선루, 수항리, 수원 백씨, 오룡리, 오경린 (1846년), 오기열, 오천리, 오천초등학교 (전북), 호계리, 호남 지방, 최현미, 최학부 묘비, 양천 허씨, 연안 송씨, 염 (성씨), 엄주완, 풍경이 있는 여행,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 삼락리, 삼계석문 암각서, 삼천서원 묘정비, 선각산, 섬진강, 성수면 (임실군), 성수면 (진안군), 성수산, 성호 (승려), 성산리, 성석린 고신왕지, 세동리,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서일보, 송익필, 송풍초등학교, 한국기행의 에피소드 목록, 한국인의 밥상의 에피소드 목록, 한국의 호수 목록, 한국의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한국한방고등학교, 한들공소, 한승헌, 안천면, 안천고등학교, 안천중학교 (전북), 안천초등학교, 안천터미널, 안호영 (1965년), 하양 허씨, 아빠! 어디가?, 학륜당, 학남정, 학선리, 신기리, 신기영 초상, 신정리,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양리, 신송리, 신안 주씨, 신암리, 십삼도, 원주 원씨, 월계리, 월포리, 월평리, 웅진도독부, 웅치 전투, 웅치전적지, 황방촌 영정, 황금리, 외궁초등학교, 화양산 황단, 완주군,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완산주, 완월루, 와룡리, 와룡암, 10월 13일, 1924년, 195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01년, 2001년 10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26 더) »

러브 인 아시아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러브 인 아시아》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러브 인 아시아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덕천리

덕천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덕천리 · 더보기 »

덕태산

덕태산(德泰山)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1,113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덕태산 · 더보기 »

덕현리

덕현리(德峴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덕현리 · 더보기 »

도로원표

전라남도 목포시의 도로원표 기념비 도로원표(道路元標)는 도로의 기점(起點) ·종점(終點) 또는 경과지를 표시한 것이.

새로운!!: 진안군와 도로원표 · 더보기 »

도봉구

봉구(道峰區)는 서울특별시의 북동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진안군와 도봉구 · 더보기 »

도장각

장각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도장각 · 더보기 »

동창리

동창리(東倉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동창리 · 더보기 »

동촌리

동촌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동촌리 · 더보기 »

동향면

동향면(銅鄕面)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동향면 · 더보기 »

동향중학교

동향중학교(銅鄕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동향중학교 · 더보기 »

동향초등학교

동향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동향초등학교 · 더보기 »

마령면

마령면(馬靈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령면 · 더보기 »

마령고등학교

마령고등학교(馬靈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령고등학교 · 더보기 »

마령중학교

마령중학교(馬靈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령중학교 · 더보기 »

마령초등학교

마령초등학교(馬靈初等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령초등학교 · 더보기 »

마이산

마이산(馬耳山)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는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이산 · 더보기 »

마이산 용암일대 암각서군

마이산 용암일대 암각서군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마이산 용암일대 암각서군 · 더보기 »

마이산탑

마이산탑(馬耳山塔)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에 쌓여 있는, 80여 기의 돌탑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이산탑 · 더보기 »

마응방

마응방(馬應房, ? ~ 1597년)은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역임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안군와 마응방 · 더보기 »

면 (행정 구역)

면(面)은 대한민국의 자치시·군 또는 행정시의 하부 행정 구역 이름이.

새로운!!: 진안군와 면 (행정 구역) · 더보기 »

모정리

모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모정리 · 더보기 »

무릉리

무릉리(武陵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무릉리 · 더보기 »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의 농어촌버스는 전라북도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수업체로는 무진장여객이 유일.

새로운!!: 진안군와 무주·진안·장수군의 농어촌버스 · 더보기 »

무주군

무주군(茂朱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진안군와 무주군 · 더보기 »

무진장

무진장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무진장 · 더보기 »

무진장 (지역)

무진장의 지도 무진장(茂鎭長)은 전라북도의 무주군(茂朱郡), 진안군(鎭安郡), 장수군(長水郡)을 합쳐서 일컫는 말이.

새로운!!: 진안군와 무진장 (지역) · 더보기 »

무진장여객

무진장여객(茂鎭長旅客)은 전라북도 무주군, 전라북도 진안군, 전라북도 장수군을 연고로 하는 농어촌버스 회사이.

새로운!!: 진안군와 무진장여객 · 더보기 »

무진장소방서

무진장소방서(茂鎭長消防署, Mujinjang Fire Station)는 전라북도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을 관할하는 전라북도 소방본부 산하의 소방서이.

새로운!!: 진안군와 무진장소방서 · 더보기 »

감돌고기

()는 잉어과 감돌고기속에 속하는 민물고기이자 감돌고기속의 모식종이.

새로운!!: 진안군와 감돌고기 · 더보기 »

백남봉

백남봉(白南峰, 본명: 박두식(朴斗植), 1939년 2월 6일 ~ 2010년 7월 29일)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백남봉 · 더보기 »

백운면 (진안군)

백운면(白雲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백운면 (진안군) · 더보기 »

백운정류소

백운정류소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임진로 1328-1 (백암리 661-1)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시외버스정류장이.

새로운!!: 진안군와 백운정류소 · 더보기 »

백운중학교 (전북)

백운중학교(白雲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백운중학교 (전북) · 더보기 »

백운초등학교 (전북)

백운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백운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백암리

백암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백암리 · 더보기 »

갈현리

현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갈현리 · 더보기 »

반송리

반송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반송리 · 더보기 »

반월리

반월리(半月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반월리 · 더보기 »

강동구

강동구(江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남동부에 있는 구이.

새로운!!: 진안군와 강동구 · 더보기 »

박리풍 석정려

박리풍 석정려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박리풍 석정려 · 더보기 »

강정리

강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강정리 · 더보기 »

박철곤

박철곤(朴鐵坤, 1952년 5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행정관료 출신 정치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박철곤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진안군와 박영효 · 더보기 »

박혜경 (1974년)

박혜경(1974년 10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박혜경 (1974년) · 더보기 »

박원양

박원양(朴元陽, 1804년 ~ 1884년 12월 17일(1884년 음력 11월 1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박영교, 개화파의 핵심인물이자 갑신정변의 주동자인 박영효 형제의 아버지이며 박제당의 아들이다. 1871년 아들 박영효가 철종의 고명딸 영혜옹주와 결혼하면서 여러번 승진하여 도총부 부총관, 공조판서에 올랐다. 갑신정변에 연좌되어 삭탈관직당하고 의금부에서 굶어 죽었다. 뒤에 아들 박영효의 상소로 복관되고 사후 증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정간(貞簡)의 시호가 내려졌다. 자(字)는 경유(景猷), 본관 반남(潘南)이고 시호는 정간이다. 수원군 출신.

새로운!!: 진안군와 박원양 · 더보기 »

가막리

막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가막리 · 더보기 »

거창 신씨

창 신씨(居昌 愼氏)는 경상남도 거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거창 신씨 · 더보기 »

거석리

석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거석리 · 더보기 »

고무정

무정은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고무정 · 더보기 »

고지집

집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8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고지집 · 더보기 »

고석현

석현(1988년 1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전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HyuN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저그이다.

새로운!!: 진안군와 고석현 · 더보기 »

봉암리

봉암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봉암리 · 더보기 »

봉학리

봉학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봉학리 · 더보기 »

궁항리

궁항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궁항리 · 더보기 »

불타는 청춘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SBS TV로 예능 프로그램 《불타는 청춘》의 에피소드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불타는 청춘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불타는 청춘의 여행지 목록

아래는 SBS TV로 예능 프로그램 《불타는 청춘》의 출연자별 여행지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불타는 청춘의 여행지 목록 · 더보기 »

부귀면

부귀면(富貴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부귀면 · 더보기 »

부귀중학교

부귀중학교(富貴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거석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부귀중학교 · 더보기 »

부귀초등학교

부귀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부귀초등학교 · 더보기 »

부귀산

부귀산(富貴山)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높이 806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부귀산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진안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금강

thumb 공주의 금강철교 백제대교위에서 바라본 금강 금강(錦江)은 한반도 금남호남정맥 전라북도 장수군 신무산(897m)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호서 지방을 거치며 논산시 강경읍에서부터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면서 황해로 흘러들어가는 392km의 강이.

새로운!!: 진안군와 금강 · 더보기 »

금당사

당사(金塘寺)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진안군와 금당사 · 더보기 »

금척무

척무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금척무 · 더보기 »

금산군

산군(錦山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진안군와 금산군 · 더보기 »

금산군의 농어촌버스

산군의 농어촌버스는 충청남도 금산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수업체로는 한일교통이 유일.

새로운!!: 진안군와 금산군의 농어촌버스 · 더보기 »

금산읍

산읍(錦山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금산군의 군청 소재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금산읍 · 더보기 »

김봉열

봉열(1913년 ~ 1995년)은 대한민국의 국악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봉열 · 더보기 »

김대형

형(金大亨)은 전라북도에서 주로 활동한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대형 · 더보기 »

김요협

요협(金堯莢, 1833년 ~ 1909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 관료, 정치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요협 · 더보기 »

김종대 (목회자)

종대(金鍾大, 일본식 이름: 金子鍾大, 1909년 ~ 1989년)는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종대 (목회자) · 더보기 »

김종순 (1886년)

종순(金鍾淳, 일본식 이름: 金原種淳, 1886년 11월 1일 ~ 1957년 4월 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종순 (1886년) · 더보기 »

김철민 (1957년)

민(金哲玟, 1957년 2월 15일 전라북도 진안군 ~)은 대한민국의 기초단체장으로 민선5기 경기도 안산시장을 맡았었.

새로운!!: 진안군와 김철민 (1957년) · 더보기 »

김치수 (조선)

수(金致水, 1562년 8월 15일 ~ 1625년 2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임진왜란 당시의 창의사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치수 (조선) · 더보기 »

김오섭

오섭(金五燮, 일본식 이름: 金本五郞,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김오섭 · 더보기 »

김연수 (법조인)

연수는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에서 태어나 1922년 3월 대구고등보통학교, 1928년 8월 변호사시험에 합격.

새로운!!: 진안군와 김연수 (법조인)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진안군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대동계

동계(大同契)는 조선 중기 때, 정여립이 조직한 계(契)로 정여립 모반 사건의 증거로 거론됐던 조직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동계 · 더보기 »

대불리

불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불리 · 더보기 »

대전 전투

전 전투(大田戰鬪)는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7월 14일 ~ 7월 21일까지 대전에서 벌어진 전. 미군은 20일까지 대전을 지키는데에는 성공을 했지만, 탱크를 앞세운 인민군과 전투다운 전투를 하지 못하였고 배후를 봉쇄한 인민군에 의하여 계획대로 퇴각하지 못하고 뿔뿔이 흩어져 철수.

새로운!!: 진안군와 대전 전투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일: 2004년 4월 15일.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일: 2008년 4월 9일.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제19대 총선 전라북도는 2012년 4월 11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11개의 선거구에서 11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476,224명 중 791,364명이 투표를 하여 53.61%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2016년 4월 13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10개의 선거구에서 실시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50년 5월 30일 실시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54년 5월 20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총 22개의 선거구에서 22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870,132명 중 808,012명이 투표를 하여 92.9%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63년 11월 26일 시행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67년 6월 8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9개의 선거구에서 9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240,336명(부재자선거인수: 39,682명) 중 983,945명(부재자투표수: 36,820명)이 투표를 하여 79.3%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71년 5월 25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제를 취해 총 12개의 선거구에서 12인이 당선되었으며, 선거인 1,170,054명(부재자선거인수: 42,618명) 중 898,088명(부재자투표수: 41,186명)이 투표를 하여 76.8%의 투표율을 기록하였.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는 1948년 5월 10일 시행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사 목록

민국의 라디오 방송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라디오 방송사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마)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바)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바)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가)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나)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다)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다)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자)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파)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사)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하)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아)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민선 5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제5회 지방 선거일: 2010년 6월 2일.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민선 5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버스 회사 목록

이 목록은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회사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버스 회사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목록

본 문서는 대한민국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가하천 목록

음은 하천법에 따른 대한민국의 국가하천(國家河川) 목록이다(2012년 7월 1일 기준).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국가하천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민국의 우편번호는 1970년 7월 1일에 최초제정된 우편번호 제도로, 1988년, 2000년과 2015년에 세 차례 개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민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방송통신위원회 고시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 제2장에 따라 규정되어 있. 국제전화 나라 번호(국가번호)는 82.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지방도

지방도 제456호선 대한민국의 일반지방도(大韓民國의 一般地方道)는 대한민국의 지방도를 가리키는 말로, 국가지원지방도 다음 등급으로 중요한 도로이며 지방의 간선도로 역할을.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지방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1호 ~ 제3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1호 ~ 제500호)

음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의 일람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01호 ~ 제5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민국의 행정구역 지도 시, 군, 자치구 전체 지도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大韓民國의 行政 區域)은 대한민국의 통치권을 행사하는 지역에서 1개의 특별시, 6개의 광역시, 8개의 도, 1개의 특별자치시, 1개의 특별자치도로 구성.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와 행정시의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목록 ·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thumb thumb thumb 대학수학능력시험(大學修學能力試驗,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은 1994학년도부터 대한민국의 대학 입학 평가에 도입된 시험이.

새로운!!: 진안군와 대학수학능력시험 · 더보기 »

구룡리

룡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구룡리 · 더보기 »

구봉산 (전라북도)

봉산(九峰山)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높이 1,004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구봉산 (전라북도) · 더보기 »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3호선 (완도 ~ 금산선, 國道第十三號 莞島錦山線)은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완도 교차로와 충청남도 금산군 금성면 양전삼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국도 제13호선 · 더보기 »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6호선 (군산 ~ 대구선, 國道第二十六號 群山大邱線)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서면 군산공항에서 전주시, 거창군을 지나 대구광역시 서구 두류네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국도 제26호선 · 더보기 »

국도 제30호선

부안으로 향하는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0호선 (부안 ~ 대구선, 國道第三十號 扶安大邱線)은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영전사거리에서 정읍시, 경상북도 김천시를 지나서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구 두류네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국도 제30호선 · 더보기 »

국가기초구역번호

국가기초구역번호는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도로나 철도 등 잘 변하지 않는 시설이나 지형에 의해 구역을 정하여 번호를 부여한 것이.

새로운!!: 진안군와 국가기초구역번호 · 더보기 »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구지 교차로에서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사거리까지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 더보기 »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은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남창 교차로에서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상리 우체국사거리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 더보기 »

군하리

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군하리 · 더보기 »

두남리

리(斗南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두남리 · 더보기 »

두원공소

원공소는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두원공소 · 더보기 »

남계리

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남계리 · 더보기 »

남구 (대구광역시)

(南區)는 대구광역시의 자치구이.

새로운!!: 진안군와 남구 (대구광역시) · 더보기 »

내동산

동산(來東山)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887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내동산 · 더보기 »

내륙주

륙주(內陸州) 또는 내륙 지역(內陸地域)이란 한 나라 안에서 바다가 없는 지역을 뜻.

새로운!!: 진안군와 내륙주 · 더보기 »

노령산맥

령산맥(蘆嶺山脈)은 소백산맥의 지맥으로 소백산맥 추풍령 부근에서 갈라져 충청북도, 전라북도, 전라남도를 거치는 대한민국의 산맥이.

새로운!!: 진안군와 노령산맥 · 더보기 »

노성리

성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노성리 · 더보기 »

달기현

현(達己縣), 다인현(多仁縣)은 신라시대에 있었던 행정구역이.

새로운!!: 진안군와 달기현 · 더보기 »

담락당 하립·삼의당 김씨 부부유지

락당 하립·삼의당 김씨 부부유지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3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담락당 하립·삼의당 김씨 부부유지 · 더보기 »

용덕리

용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덕리 · 더보기 »

용담면

용담면(龍潭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담면 · 더보기 »

용담댐

용담댐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 금강 상류에 있는 댐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담댐 · 더보기 »

용담중학교

용담중학교(龍潭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담중학교 · 더보기 »

용담초등학교 (전북)

용담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옥거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담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용담향교 공적비

용담향교 공적비는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용담향교 공적비 · 더보기 »

용포리

용포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포리 · 더보기 »

용평리

용평리(龍坪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용평리 · 더보기 »

우편집중국

우편집중국(郵便集中局)은 우편 물량과 운송 거리를 고려해 수용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이동하는 우편물의 발송 및 도착 과정에서 기준에 따라 기계 시설 등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일괄 처리하는 대한민국 우정사업본부 소속의 우편물 처리 전담 기관이.

새로운!!: 진안군와 우편집중국 · 더보기 »

우화산 일원 유적군

우화산 일원 유적군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우화산 일원 유적군 · 더보기 »

운봉리

운봉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운봉리 · 더보기 »

운교리

운교리(雲橋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운교리 · 더보기 »

운장산

운장산(雲長山)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높이 1126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운장산 · 더보기 »

운산리

운산리(雲山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운산리 · 더보기 »

자산리

자산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자산리 · 더보기 »

장승초등학교 (전북)

장승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장승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장수 황씨

장수 황씨(長水 黃氏)는 전라북도 장수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장수 황씨 · 더보기 »

장수군

장수군(長水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진안군와 장수군 · 더보기 »

장안산

장안산(長安山)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높이 1,237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장안산 · 더보기 »

임실·순창군의 농어촌버스

임실군, 순창군의 농어촌버스는 전라북도 임실군, 순창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수업체로는 임순여객이 유일.

새로운!!: 진안군와 임실·순창군의 농어촌버스 · 더보기 »

임실군

임실군(任實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진안군와 임실군 · 더보기 »

평장리

평장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평장리 · 더보기 »

평지리

평지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평지리 · 더보기 »

이덕응 초상

이덕응 초상(李德應 肖像)은 전라북도 진안군 동상주천로 2173-3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초상화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덕응 초상 · 더보기 »

이만용 (1886년)

이만용(李萬用, 1886년 음력 10월 2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만용 (1886년) · 더보기 »

이기방

이기방(李基枋, 일본식 이름: 松村基弘, 1888년 음력 7월 16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기방 · 더보기 »

이남용 (필드하키 선수)

이남용(1983년 9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필드하키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남용 (필드하키 선수) · 더보기 »

이정란

이정란(李廷鸞, 1529년 ~ 160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

새로운!!: 진안군와 이정란 · 더보기 »

이조아

이조아(1975년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조아 · 더보기 »

이상철 (1859년)

이상철(李象喆, 1883년 음력 11월 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상철 (1859년) · 더보기 »

이풍 (조선)

이풍 또는 이례(李灃, 1727년 10월 23일 ~ 1795년 6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풍 (조선) · 더보기 »

이항로 (1957년)

이항로(李杭魯, 1957년 2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민선 6~7기 제48~49대 전라북도 진안군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항로 (1957년) · 더보기 »

이한신

이한신(1988년 2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스켈레톤 선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이한신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진안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인후동

인후동(麟後洞)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법정동과 행정동의 통칭으로, 3개의 행정동(인후1동·2동·3동)이 설치되어 있. 전주시 동부에 위치하며, 전주 - 진안 간의 관문이.

새로운!!: 진안군와 인후동 · 더보기 »

익산포항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益山浦項高速道路, 고속국도 제20호선)은 전라북도 익산시를 기점으로, 경상북도 포항시를 종점으로 하여 동서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진안군와 익산포항고속도로 · 더보기 »

은평구

은평구(恩平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북서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진안군와 은평구 · 더보기 »

은수사

은수사(銀水寺)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진안군와 은수사 · 더보기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민국 제6회 지방 선거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는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2014년 6월 4일에 시행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 더보기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목록

바.

새로운!!: 진안군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목록 · 더보기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

민국 제6회 지방 선거 경상남도 선거는 전라북도지사, 기초단체장, 전라북도의회 의원, 기초의회 의원 및 전라북도교육감을 뽑는 선거로, 2014년 6월 4일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의 일환으로 실시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북도 · 더보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음은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중 기초의회의원 부분이.

새로운!!: 진안군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 더보기 »

제일고등학교 (동음이의)

제일고등학교라는 교명을 사용하는 학교는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제일고등학교 (동음이의)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라북도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全羅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전주부이며 면적은 8,552.39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598,614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186.9명/km2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전라북도의 축제 목록

2004년 기준 전라북도에서 열리는 축제는 총 32.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의 축제 목록 · 더보기 »

전라북도의 행정 구역

전라북도의 행정 구역은 6개의 시,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 14읍과 145면, 82동으로 세분.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전라북도의 선거구

전라북도의 선거구는 국회의원 선거구 10개, 도의원 선거구 34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14개의 시·군의원 선거구도 존재.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의 선거구 · 더보기 »

전라북도의 성 목록

음은 전라북도에 있는 성들의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의 성 목록 · 더보기 »

전라북도의회의원 목록

음은 현재 전라북도 의원 37명 명단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의회의원 목록 · 더보기 »

전라북도진안교육지원청

전라북도진안교육지원청(全羅北道鎭安敎育支援廳, Jinan Office of Education)은 전라북도 진안군을 관할하는 전라북도교육청 산하의 교육지원청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진안교육지원청 · 더보기 »

전라북도산림환경연구소

전라북도산림환경연구소(全羅北道山林環境硏究所)는 지방자치법 제114조에 따라 임업에 관한 연구와 우량종묘의 생산·산림피해 상담지도 및 방역·임업기술의 보급, 산림박물관·수목원·휴양림 운영관리, 사방사업의 시행·사방시설의 보호와 도유림 경영 관리 등을 위하여 설치된 전라북도청 소속기관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라북도산림환경연구소 · 더보기 »

전병관

전병관(全炳寬,1969년 11월 4일 ~)은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병관 · 더보기 »

전병우

전병우(全炳宇, 1931년 12월 21일 ~ 1999년 3월 21일)는 대한민국의 제11·12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병우 · 더보기 »

전봉준

전봉준(全琫準, 1854년 ~ 1895년 4월 24일(음력 3월 30일))은 조선의 농민 운동가이자 동학의 종교 지도자였.

새로운!!: 진안군와 전봉준 · 더보기 »

전국노래자랑의 에피소드 목록

* 아래는 KBS 1TV 시청자 참여 음악 프로그램인 《전국노래자랑》 제작진이 순회하여 출연한 지역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국노래자랑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전승수

전승수(全承洙, 일본식 이름: 三宅勝秀, 1895년 6월 15일 ~ 1969년 11월 12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승수 · 더보기 »

전주지방법원

전주지방법원(全州地方法院)은 전라북도 전 지역을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주지방법원 · 더보기 »

전주시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주시 · 더보기 »

전주시의 역사

전주시(全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자 전라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주시의 역사 · 더보기 »

전주시의 시내버스

전라북도 도색 전주시의 시내버스는 전주시와 완주군 전역을 비롯해 완주군, 익산시, 김제시, 임실군 등의 주변 배후지를 연결하는 전주권의 중요한 대중교통 수단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주시의 시내버스 · 더보기 »

전휴상

전휴상(全烋相, 1934년 1월 10일 ~ 1980년 6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제5·6·7·8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휴상 · 더보기 »

전수용

전수용(全垂鏞, 1879년 12월 1일(음력 10월 18일) ~ 1910년 8월 22일(음력 7월 18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

새로운!!: 진안군와 전수용 · 더보기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鄭道傳) 은 KBS 1TV에서 2014년 1월 4일부터 2014년 6월 29일까지 방송된 정도전의 일대기를 그린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도전 (드라마) · 더보기 »

정곡리

정곡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곡리 · 더보기 »

정두겸

정두겸(본명: 정동규, 1962년 1월 9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두겸 · 더보기 »

정음 (가수)

정음(본명: 김정흠 金正欽,본관:경주김씨(慶州金氏 鷄林君派) 1968년 6월 16일~, 전북 진안 출생)은 대한민국의 남자 가수 작곡가이.언더그라운드에서 꾸준히 활동해 오다가,2010년 화성전국가요제를 통하여 신인가수선발 금상수상으로 공식 데뷔하였으며 대표작으로 소중한 사.꽃중.변산아 격포야.유쾌한 정숙씨.

새로운!!: 진안군와 정음 (가수) · 더보기 »

정천면

정천면(程川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천면 · 더보기 »

정천초등학교 (전북)

정천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천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여립 · 더보기 »

정세균

정세균(丁世均, 1950년 11월 5일 ~)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새로운!!: 진안군와 정세균 · 더보기 »

조림초등학교 (전북)

조림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조림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조병순 초상

조병순 초상화(趙炳順 肖像畵)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초상화이.

새로운!!: 진안군와 조병순 초상 · 더보기 »

주잠

주잠(朱潛, 1194년(고려 명종 24년)∼1260년(고려 원종 1년))은 고려 후기의 귀화인으로 남송(南宋)의 한림원태학사(翰林院太學士)이자 신안 주씨(新安 朱氏)의 동국시조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잠 · 더보기 »

주평리

주평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평리 · 더보기 »

주천

주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 · 더보기 »

주천면

주천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면 · 더보기 »

주천면 (진안군)

주천면(朱川面)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면 (진안군) · 더보기 »

주천중학교 (전북)

주천중학교(朱川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중학교 (전북) · 더보기 »

주천초등학교 (전북)

주천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주천상업고등학교

주천상업고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었던 고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상업고등학교 · 더보기 »

주천서원

주천서원(朱川書院)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진안군와 주천서원 · 더보기 »

죽도 (동음이의)

죽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죽도 (동음이의) · 더보기 »

죽산리

죽산리(竹山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죽산리 · 더보기 »

중평농악

중평농악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중평농악 · 더보기 »

중앙로

중앙로(中央路)는 다음과 같은 대한민국의 도로 또는 법정동이.

새로운!!: 진안군와 중앙로 · 더보기 »

진성중학교 (전북)

성중학교(鎭聖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외궁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성중학교 (전북) · 더보기 »

진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

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鎭安 道通里 中坪 靑瓷窯址)는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도통리에 있는 청자요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도통리 중평 청자요지 · 더보기 »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 군락 · 더보기 »

진안 강정리 오층석탑

안 강정리 오층석탑(鎭安 江亭里 五層石塔)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오층석탑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강정리 오층석탑 · 더보기 »

진안 금당사 목조여래좌상

안 금당사 목조여래좌상(鎭安 金塘寺 木造如來坐像)은 전라북도 진안군 금당사에 있는, 나무로 만든 여래 좌상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금당사 목조여래좌상 · 더보기 »

진안 금당사 괘불탱

안 금당사 괘불탱(鎭安 金塘寺 掛佛幀)은 전라북도 진안군, 금당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금당사 괘불탱 · 더보기 »

진안 금당사 석탑

안 금당사 석탑(鎭安 金塘寺 石塔)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금당사에 있는 석탑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금당사 석탑 · 더보기 »

진안 나들목

안 나들목(Jinan IC)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에 설치된 익산포항고속도로의 4번 교차로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나들목 · 더보기 »

진안 용담향교 대성전

안 용담향교 대성전(鎭安 龍潭鄕校 大成殿)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고려 공양왕 3년(1391)에 용강산 기슭에 세웠.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용담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진안 운산리 삼층석탑

운산리 삼층석탑(雲山里 三層石塔)은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에 있는 삼층석탑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운산리 삼층석탑 · 더보기 »

진안 회사동 석탑

안 회사동 석탑(鎭安 檜寺洞 石塔)은 전라북도 진안군 상전면 주평리에 있는 석탑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회사동 석탑 · 더보기 »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

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鎭安 平地里 이팝나무 群)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마령초등학교에 있는 이팝나무이.1968년 11월 25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1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 군 · 더보기 »

진안 이씨

안 이씨(鎭安 李氏)는 전라북도 진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이씨 · 더보기 »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안 은수사의 청실배나무는 천연기념물 제386호로 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 · 더보기 »

진안 천황사 괘불도

안 천황사 괘불도는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천황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불화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천황사 괘불도 · 더보기 »

진안 천황사 대웅전

안 천황사 대웅전(鎭安 天皇寺 大雄殿)은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천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천황사 대웅전 · 더보기 »

진안 천황사 승탑

안 천황사 승탑(鎭安 天皇寺 僧塔)은 전라북도 진안군, 천황사에 있는 승탑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천황사 승탑 · 더보기 »

진안 쌍계정

쌍계정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0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쌍계정 · 더보기 »

진안 태고정

안 태고정(鎭安 太古亭)은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태고정 · 더보기 »

진안 영모정

안 영모정(鎭安 永慕亭)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고종 6년(1869)에 효자 신의연의 효행을 기리고 본받기 위해 세운 건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영모정 · 더보기 »

진안 어서각

어서각은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어서각 · 더보기 »

진안 성재봉 태평봉수대

안 태평봉수대(鎭安 太平烽燧臺)는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봉수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성재봉 태평봉수대 · 더보기 »

진안 화산서원

화산서원은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3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 화산서원 · 더보기 »

진안마이산휴게소

안마이산휴게소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위치한 익산장수고속도로의 고속도로 휴게소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마이산휴게소 · 더보기 »

진안경찰서

안경찰서(鎭安警察署, Jinan Police Station)는 전라북도지방경찰청이 관할하는 경찰서 중 하나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경찰서 · 더보기 »

진안고원

안고원(鎭安高原)는 전라북도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에 걸쳐 있는 고원지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고원 · 더보기 »

진안공공도서관

안공공도서관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소재의 도서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공공도서관 · 더보기 »

진안공업고등학교

안공업고등학교(鎭安工業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공업고등학교 · 더보기 »

진안군

안군(鎭安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군 · 더보기 »

진안군 (동음이의)

안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군 (동음이의) · 더보기 »

진안군의 국회의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군의 국회의원 · 더보기 »

진안군의 향토유적

안군의 향토유적은 진안군에서 지정한 문화재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군의 향토유적 · 더보기 »

진안군의 행정 구역

안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 진안군의 면적은 789.13km2이며, 인구는 2009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2,358 세대 27,828 명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진안군의료원

안군의료원(鎭安郡醫療院, Jinan Medical Center)은 전라북도 진안군청 소속으로 2015년에 설치된 군립 공공병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군의료원 · 더보기 »

진안우체국

안우체국(鎭安郵遞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 전북지방우정청 소속의 우편물 취급기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우체국 · 더보기 »

진안읍

안읍(鎭安邑)은 진안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금강과 섬진강의 양 사면의 분수계에 위치하고 북으로 용담, 장수, 서로 전주, 동으로는 경남의 안의 등지에 달하는 교통의 요충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읍 · 더보기 »

진안제일고등학교

안제일고등학교(鎭安第一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제일고등학교 · 더보기 »

진안중학교 (전북)

안중학교(鎭安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중학교 (전북) · 더보기 »

진안중앙초등학교

안중앙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중앙초등학교 · 더보기 »

진안초등학교 (전북)

안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진안향교 대성전

안향교 대성전(鎭安鄕校 大成殿)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향교 대성전 · 더보기 »

진안여자중학교

안여자중학교(鎭安女子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여자중학교 · 더보기 »

진안역사박물관

안역사박물관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박물관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역사박물관 · 더보기 »

진안성당 어은공소

안성당 어은공소(鎭安聖堂 魚隱公所)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건축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성당 어은공소 · 더보기 »

진안시외버스터미널

안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120(군상리 403-19)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시외버스터미널 · 더보기 »

진안홍삼배 전국 장기 패왕전

안홍삼배 전국 장기 패왕전은 2008년에 개최된 아마추어 및 프로 전문기사 장기 기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홍삼배 전국 장기 패왕전 · 더보기 »

진안홍삼연구소

안홍삼연구소(鎭安紅蔘硏究所, Institute of JinAn Red Ginseng)는 진안군 홍삼(인삼),약초산업의 육성과 기술지원을 위해 설립된 진안군청 산하 재단법인으로 진안군수가 당연직 이사장을 겸임하고, 진안군의회 의장, 전라북도의원, 전라북도청 보건위생과장이 당연직 이사를 겸임하고 있.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홍삼한방로 41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진안군와 진안홍삼연구소 · 더보기 »

지방도 제635호선

방도 제635호선은 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 원촌삼거리와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샛고개굴길을 잇는 충청남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635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21호선

방도 제721호선은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 갈치삼거리에서 완주군 상관면 마치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21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25호선

방도 제725호선은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봉학리에서 주천면 주양리 진천삼거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25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26호선

방도 제726호선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 운교리에서 진안군 동향면 대랑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26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32호선

방도 제732호선은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삼거리에서 진안군 주천면 주천삼거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32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42호선

방도 제742호선은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갈마리에서 진안군, 장수군을 거쳐 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운산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42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45호선

방도 제745호선은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건곡교 북단과 진안군 마령면 강정 교차로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45호선 · 더보기 »

지방도 제795호선

방도 제795호선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 진안로터리에서 용담면 송풍리 이룡삼거리를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방도 제795호선 · 더보기 »

지선당

선당(止善堂)은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진안군와 지선당 · 더보기 »

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창녕 성씨 · 더보기 »

채수찬

수찬(蔡秀燦, 1955년 2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국회의원이자 KAIST 경영과학과 교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채수찬 · 더보기 »

천주교 전주교구

주교 전주교구(天主敎全州敎區,)는 대한민국 가톨릭의 교구이.

새로운!!: 진안군와 천주교 전주교구 · 더보기 »

천안 전씨

안 전씨(天安 全氏)는 충청남도 천안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천안 전씨 · 더보기 »

천황사 대웅전 석가여래삼존불상 및 대좌·수미단

황사 대웅전 석가여래삼존불상 및 대좌·수미단은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2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천황사 대웅전 석가여래삼존불상 및 대좌·수미단 · 더보기 »

충청남도의 시내버스

충청남도의 시내버스는 충청남도를 주관으로 담당하는 시내버스로 총 180개의 시내버스와 시외버스 업체로 구성되어 있.

새로운!!: 진안군와 충청남도의 시내버스 · 더보기 »

코리아와이드진안

리아와이드진안은 대구광역시 서구 서대구로 295 (비산동, 대구북부정류장)에 위치한 시외버스 회사이.

새로운!!: 진안군와 코리아와이드진안 · 더보기 »

쌍벽루

쌍벽루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쌍벽루 · 더보기 »

유태영 (1874년)

유태영(柳泰英, 1874년 음력 9월 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유태영 (1874년) · 더보기 »

육완국

육완국(陸完國, 1912년 9월 16일 전북 진안 ~ 1976년 1월 6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육완국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진안군와 윤치호 · 더보기 »

팔공산 (전라북도)

공산(八公山)은 전라북도 장수군과 진안군 사이에 있는 1,151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팔공산 (전라북도) · 더보기 »

상전면

상전면(上田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상전면 · 더보기 »

수동리

수동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수동리 · 더보기 »

수천리

수천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수천리 · 더보기 »

수선루

수선루(睡仙樓)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조선 숙종 12년(1686) 연안 송씨 4형제가 조상의 덕을 기리고 도의를 연마하기 위해 지은 2층 목조 건축물이.

새로운!!: 진안군와 수선루 · 더보기 »

수항리

수항리(水項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수항리 · 더보기 »

수원 백씨

수원 백씨(水原 白氏)는 경기도 수원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새로운!!: 진안군와 수원 백씨 · 더보기 »

오룡리

오룡리(五龍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오룡리 · 더보기 »

오경린 (1846년)

오경린(吳景麟, 1869년 음력 9월 1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오경린 (1846년) · 더보기 »

오기열

오기열(吳基烈, 1889년 3월 9일 ~ 1950년 9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오기열 · 더보기 »

오천리

오천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오천리 · 더보기 »

오천초등학교 (전북)

오천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오천초등학교 (전북) · 더보기 »

호계리

호계리(虎溪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호계리 · 더보기 »

호남 지방

호남 지방 호남 지방(湖南地方)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진안군와 호남 지방 · 더보기 »

최현미

현미(崔賢美, 1990년 11월 7일 ~)은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 권투 선수이.

새로운!!: 진안군와 최현미 · 더보기 »

최학부 묘비

학부 묘비는 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최학부 묘비 · 더보기 »

양천 허씨

양천 허씨(陽川 許氏)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양천 허씨 · 더보기 »

연안 송씨

연안 송씨(延安宋氏)는 황해도 연안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연안 송씨 · 더보기 »

염 (성씨)

염(廉, 閻)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염 (성씨) · 더보기 »

엄주완

엄주완(嚴柱完, 일본식 이름: 光原裕勝,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진안군와 엄주완 · 더보기 »

풍경이 있는 여행

《풍경이 있는 여행》는 대한민국의 KBS 1TV에서 방송한 여행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었.

새로운!!: 진안군와 풍경이 있는 여행 · 더보기 »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의 장애인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사랑의 가족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삼락리

삼락리(三樂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삼락리 · 더보기 »

삼계석문 암각서

삼계석문 암각서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삼계석문 암각서 · 더보기 »

삼천서원 묘정비

삼천서원 묘정비는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삼천서원 묘정비 · 더보기 »

선각산

선각산(仙角山)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1,141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선각산 · 더보기 »

섬진강

섬진강(蟾津江)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의 팔공산 자락의 옥녀봉아래 데미샘에서 시작.

새로운!!: 진안군와 섬진강 · 더보기 »

성수면 (임실군)

성수면(聖壽面)은 전라북도 임실군에 위치한 행정 구역이.

새로운!!: 진안군와 성수면 (임실군) · 더보기 »

성수면 (진안군)

성수면(聖壽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성수면 (진안군) · 더보기 »

성수산

성수산(聖壽山)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자리하고 있는 높이 1,059m의 산이.

새로운!!: 진안군와 성수산 · 더보기 »

성호 (승려)

성호(性虎, 본명: 정한영, 1958년 ~)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익산시 출신으로 전라북도 진안군 마이산에 있는 금당사의 주지스님을 지냈으나 2010년 8월, 조계종으로부터 멸빈징계를 받고 2011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징계결정에 대해 효력을 정지해 달라는 가처분을.

새로운!!: 진안군와 성호 (승려) · 더보기 »

성산리

성산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성산리 · 더보기 »

성석린 고신왕지

성석린 고신왕지(成石璘 告身王旨)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조선시대 성석린(1338∼1423)에게 내려진 왕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성석린 고신왕지 · 더보기 »

세동리

세동리(細洞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세동리 · 더보기 »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박지훈의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은 대한민국의 방송국인 문화방송의 MBC 표준FM에서 월~금 저녁 6시 05분부터 밤 8시까지 방송하는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이.

새로운!!: 진안군와 세계는 그리고 우리는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진안군와 서일보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진안군와 송익필 · 더보기 »

송풍초등학교

송풍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송풍초등학교 · 더보기 »

한국기행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EBS 1TV의 《한국기행》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한국기행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한국인의 밥상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의 교양 프로그램인 《한국인의 밥상》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한국인의 밥상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호수 목록

음은 한반도에 존재하는 호수 목록이.

새로운!!: 진안군와 한국의 호수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이 문서는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에 대한 문서이.

새로운!!: 진안군와 한국의 삼국 시대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한국한방고등학교

국한방고등학교(韓國韓方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연장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한국한방고등학교 · 더보기 »

한들공소

공소는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한들공소 · 더보기 »

한승헌

승헌(韓勝憲, 1934년 9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며 감사원장을.

새로운!!: 진안군와 한승헌 · 더보기 »

안천면

안천면(顔川面)은 전라북도 진안군의 면이.

새로운!!: 진안군와 안천면 · 더보기 »

안천고등학교

안천고등학교(顔川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백화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안천고등학교 · 더보기 »

안천중학교 (전북)

안천중학교(顔川中學校)는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백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안천중학교 (전북) · 더보기 »

안천초등학교

안천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안천초등학교 · 더보기 »

안천터미널

안천터미널은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진무로 2980 (노성리 1241-13)에 위치한 시외버스및 농어촌버스 터미널이.

새로운!!: 진안군와 안천터미널 · 더보기 »

안호영 (1965년)

안호영(安浩永, 1965년 10월 11일 ~)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고 변호사이.

새로운!!: 진안군와 안호영 (1965년) · 더보기 »

하양 허씨

양 허씨(河陽 許氏)는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하양 허씨 · 더보기 »

아빠! 어디가?

《아빠! 어디가?》는 2013년 1월 6일부터 2015년 1월 18일까지《일밤》의 1부 코너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이.

새로운!!: 진안군와 아빠! 어디가? · 더보기 »

학륜당

학륜당은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4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학륜당 · 더보기 »

학남정

학남정은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학남정 · 더보기 »

학선리

학선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학선리 · 더보기 »

신기리

신기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기리 · 더보기 »

신기영 초상

신기영 초상화(申箕永 肖像畵)는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초상화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기영 초상 · 더보기 »

신정리

신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정리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양리

신양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양리 · 더보기 »

신송리

신송리(新松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송리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신암리

신암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신암리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진안군와 십삼도 · 더보기 »

원주 원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진안군와 원주 원씨 · 더보기 »

월계리

월계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월계리 · 더보기 »

월포리

월포리(月浦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월포리 · 더보기 »

월평리

월평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월평리 · 더보기 »

웅진도독부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는 660년(의자왕 20년)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가 그 고지(故地)에 설치한 행정 관청으로, 5도독부의 하나이.

새로운!!: 진안군와 웅진도독부 · 더보기 »

웅치 전투

웅치 전투(熊峙戰鬪)는 임진왜란 초기의 전투 중의 하나이.

새로운!!: 진안군와 웅치 전투 · 더보기 »

웅치전적지

웅치전적지(熊峙戰蹟地)는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신촌리에 있는, 임진왜란 전적지이.

새로운!!: 진안군와 웅치전적지 · 더보기 »

황방촌 영정

황방촌 영정(黃厖村 影幀) 또는 황희 초상은 방촌 황희(1363년∼1452년)의 초상화이.

새로운!!: 진안군와 황방촌 영정 · 더보기 »

황금리

황금리(黃金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황금리 · 더보기 »

외궁초등학교

외궁초등학교는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외궁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진안군와 외궁초등학교 · 더보기 »

화양산 황단

화양산 황단은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20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화양산 황단 · 더보기 »

완주군

.완주군청 완주군(完州郡)은 대한민국 전라북도 중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진안군와 완주군 · 더보기 »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전라북도 남원시, 임실군, 순창군 일대를.

새로운!!: 진안군와 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 · 더보기 »

완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완산주(完山州) 또는 전주(全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진안군와 완산주 · 더보기 »

완월루

완월루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있.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유적 제1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진안군와 완월루 · 더보기 »

와룡리

와룡리(臥龍里)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진안군와 와룡리 · 더보기 »

와룡암

와룡암(臥龍庵)은 전라북도 진안군에 있는, 조선 효종 원년(1650)에 궁구당 김중정이 병자호란 때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던 중 유생을 가르치기 위해 세운 암자이.

새로운!!: 진안군와 와룡암 · 더보기 »

10월 13일

10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6번째(윤년일 경우 28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진안군와 10월 13일 · 더보기 »

1924년

192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진안군와 1924년 · 더보기 »

195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1954년 대한민국의 재보궐선거는 10월 25일 치러졌.

새로운!!: 진안군와 195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진안군와 2001년 · 더보기 »

2001년 10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진안군와 2001년 10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진안, 진안군청, 진안현, 용담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