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진화유전학

색인 진화유전학

화유전학은 생물 집단 안에 있는 유전자 다양성에 의해 생겨나는 유전자, 유전형질의 변화가 종분화와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분야이.

10 처지: 개체군 병목현상,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단속 평형이론,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 집단 유전학, 진화, 유전학, 신경유전학, 화석, 1000 유전체 프로젝트.

개체군 병목현상

병목과 회복혹은 멸종을 나타내는 곡선 개체군 병목현상(個體群瓶-現象)은 집단유전학에서 질병이나 자연 재해 등으로 개체군 크기가 급격히 감소한 이후에 적은 수의 개체로부터 개체군이 다시 형성되면서 유전자 빈도와 다양성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되는 현상으로서, 일반적으로 한 종의 개체수의 상당부분이 죽음을 당하거나 번식을 못해 전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개체군 병목현상 · 더보기 »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서 진화론 삭제 사건은 2012년 일어난 교육계에 일어난 사건으로서 과학에 무지한 창조 과학을 지지하는 창조주의자들의 집단인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위원회(교진추)가 교과서에서 진화론을 삭제해야 한다는 반지성주의에 입각한 주장을 청원의 형식으로 내게 되어, 교과서에서 진화의 내용이 삭제될 뻔했던 사건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 · 더보기 »

단속 평형이론

계통점진이론(위)와 단속평형이론(아래)의 비교. 단속평형이론은 생물 종들이 상당기간 별다른 변화가 없는 안정기를 거친다고 보고있다. 단속 평형이론(斷續平衡理論,punctuated equilibrium)은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 종의 진화 양상은 대부분의 기간 동안 큰 변화 없는 안정기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급속한 종분화가 이루어지는 분화기로 나뉜다는 진화 이론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단속 평형이론 · 더보기 »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은 영국의 유전학자 로날드 피셔가 1930년 출간한 책으로 멘델의 유전법칙과 찰스 다윈의 자연 선택 이론을 함께 묶어 설명하고 있. 피셔는 이 책에서 "멘델 유전학은 다윈의 진화론을 입증한다"고 주장하였고 돌연변이를 진화의 원동력으로 지목하여 "대다수의 돌연변이는 해롭고 얼마간의 돌연변이는 큰 차이가 없지만 드물게 오히려 더 유용한 돌연변이가 나타난다"는 이유로 정향진화설 초판은 1930년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클라렌던 출판소에서 인쇄되었.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자연 선택의 유전학적 이론 · 더보기 »

집단 유전학

집단 유전학은 집단으로서 나타내는 유전형질들의 분포, 유전, 질병 연관성등을 연구하는 유전학과 진화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집단 유전학 · 더보기 »

진화

화(進化)는 생물 집단이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를 축적해 집단 전체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종의 탄생을 야기하는 관찰된 자연 현상을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진화 · 더보기 »

유전학

DNA의 모식도 유전학(遺傳學)은 생물의 유전과 유전자 다양성 등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유전학 · 더보기 »

신경유전학

신경 세포의 단위, 뉴런 신경유전학(神經遺傳學, neurogenetics)은 신경과학의 한 분야로, 신경세포의 단위인 뉴런과 이의 집합체들의 유전적 특성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신경유전학 · 더보기 »

화석

휴스턴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어룡 화석. 옆의 고생물학자는 로버트 T. 바커 박사. 화석(化石)은 지질 시대에 살았던 고생물의 유해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화석 · 더보기 »

1000 유전체 프로젝트

1000 유전체 프로젝트(1000 Genomes Project)는 2008년 1월에 영국, 미국, 중국이 합작하여 3년 내에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된 인간 1000명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국제 프로젝트이.

새로운!!: 진화유전학와 1000 유전체 프로젝트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