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창덕궁

색인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193 처지: 덕수궁, 덕수궁 함녕전, 덕혜옹주, 돈화문, 돈화문로, 도성삼군문분계지도, 동궐도, 무지개를 이은 왕비, 문효세자,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각궁, 갑신정변, 박창복, 박영효, 가정당, 경복궁, 경빈 김씨, 공궐위장, 공혜왕후, 변수 (1861년), 궁녀, 궁전, 궁전 목록, 북촌 한옥마을, 북영천, 북학, 부용정, 규장각, 금천, 금천 (하천), 금천교, 김명길 (1894년), 김가진, 김영국 (관료), 김옥균, 대조전,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사적 (제101호 ~ 제200호),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남산제비꽃, 나례, 나시모토 이쓰코, 낙선재, 스카이 힐링, 효현왕후, 회동천, 회인원, ..., 자격루, 장형 (조선), 장서각, 재궁, 임오군란, 흥선대원군, 흥안군 (1598년), 희빈 장씨, 희정당, 이방자, 이구 (1931년), 이재수 (1770년), 이지 (1598년), 이융준, 이산 (드라마), 이완용, 인경궁, 인정문, 인정전, 인조반정, 일산 호수공원, 의민태자, 의빈 성씨, 의친왕, 의혜공주, 정난교, 정유역변, 정순왕후 (조선 영조), 조선 문조, 조선 문종,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장조, 조선 인조, 조선 정조, 조선 철종, 조선 태조, 조선 태조 어진, 조선 영조, 조선 현종, 조선 헌종, 조선 성종, 조선 통신사, 종로3가역, 종로구, 종묘,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문화원, 주합루, 중명전, 중화전 및 중화문, 줄리아 멀록, 진주민란, 징비록 (드라마), 창덕궁, 창덕궁 부용정, 창덕궁 금천교, 창덕궁 뽕나무, 창덕궁 다래나무, 창덕궁 회화나무 군,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향나무, 창덕궁 선원전, 창덕궁 후원, 창덕궁관리소, 창경궁, 창경궁 풍기대, 충주 박씨, 취병, 팝툰, 유경운, 유혁로, 윤덕영, 윤경완, 윤치영, 율곡로 (서울), 상평통보, 탕평책, 숨터, 순정효황후, 순종어차, 순종황후어차, 순헌황귀비, 순원왕후, 수라벼,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김씨 (단종),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행궁,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경당, 엄주명, 엄진일, 엄진삼, 피병준, 선의왕후 (조선), 선정전, 성평군, 성옥염, 성삼문, 서광범,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도,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안내용),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 목록, 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노선 목록, 서울특별시의 관광,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재필, 서일보, 서촌, 손응성, 손정규, 송학선, 소 요시토시, 통일정, 해안군, 한명회, 한국의 고적지, 한국의 수도, 한국전력공사, 한일 병합 조약, 한의학, 한확, 안국역, 아시아의 세계유산, 신나라 과학나라, 심순택, 원서동 백홍범 가옥, 홍재룡, 홍화문, 황혜성, 화요일, 완성군,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와룡동 (서울), KBS 스페셜, 1912년, 1917년, 1926년, 2005년 7월,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3 더)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창덕궁와 덕수궁 · 더보기 »

덕수궁 함녕전

덕수궁 함녕전(德壽宮 咸寧殿)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고종황제가 거처하던 황제의 생활공간(침전)이.

새로운!!: 창덕궁와 덕수궁 함녕전 · 더보기 »

덕혜옹주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년 5월 25일 ~ 1989년 4월 21일)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였던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난 고명딸이.

새로운!!: 창덕궁와 덕혜옹주 · 더보기 »

돈화문

창덕궁 돈화문(昌德宮 敦化門)은 창덕궁의 정문이.

새로운!!: 창덕궁와 돈화문 · 더보기 »

돈화문로

화문로(敦化門路, Donhwamun-ro)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장사동 186-5(청계3가교차로)에서 와룡동 139-4(창덕궁교차로)를 잇는 도로이.

새로운!!: 창덕궁와 돈화문로 · 더보기 »

도성삼군문분계지도

성삼군문분계지도 〈도성삼군문분계지도〉(都城三軍門分界地圖)는 조선 영조(英祖) 27년(1751년) 제작된 수도 한성의 지도로서 영조가 도성의 수비에 관해 내린 윤음(綸音: 임금의 말씀)과 절목(節目: 법률 및 규정) 등을 기록한 책인 어제수성윤음(御製守城綸音) 가운데 수록되어 있. 책자에 인쇄된 최초의 서울 지도이며 가로는 42.8 cm, 세로는 29.2cm으로 목판본 지도이.

새로운!!: 창덕궁와 도성삼군문분계지도 · 더보기 »

동궐도

〈동궐도〉(東闕圖)는 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궁궐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 그림이.

새로운!!: 창덕궁와 동궐도 · 더보기 »

무지개를 이은 왕비

〈무지개를 이은 왕비: 조선왕조 마지막 황태자와 방자비의 이야기〉 (虹を架ける王妃: 朝鮮王朝最後の皇太子と方子妃の物語, 이하 무지개를 이은 왕비)는 2006년 11월 24일 일본 후지TV에서 방송된 일본의 단편 드라마이.

새로운!!: 창덕궁와 무지개를 이은 왕비 · 더보기 »

문효세자

문효세자(文孝世子, 1782년 10월 13일(음력 9월 7일) ~ 1786년 6월 6일(음력 5월 11일))는 조선의 왕세자(王世子)이자 제22대 정조의 장자이며, 의빈 성씨에게서 얻은 첫아들이.

새로운!!: 창덕궁와 문효세자 · 더보기 »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민승호 암살 사건 또는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은 1874년 11월 민승호 일가가 의문의 폭약을 선물로 받고, 이를 개봉하다가 죽은 사건이.

새로운!!: 창덕궁와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 더보기 »

각궁

각궁(角弓)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합성궁으로, 참나무, 산뽕나무, 물소뿔, 소힘줄, 대나무를 민어부레풀로 접합하여 만들었.

새로운!!: 창덕궁와 각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창덕궁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창복

박창복 상궁(朴昌福 尙宮, 1906년 ~ 1981년) 은 김명길 상궁과 함께 순정효황후 윤씨를 모셨던 창덕궁 낙선재 시절의 상궁이.

새로운!!: 창덕궁와 박창복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창덕궁와 박영효 · 더보기 »

가정당

정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창덕궁와 가정당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창덕궁와 경복궁 · 더보기 »

경빈 김씨

경빈 김씨(慶嬪 金氏, 1832년 음력 8월 27일 ~ 1907년 음력 4월 21일(양력 6월 1일))는 조선의 24대 왕 헌종의 후궁이.

새로운!!: 창덕궁와 경빈 김씨 · 더보기 »

공궐위장

공궐위장(空闕衛將)은 조선시대 때, 오위도총부에 소속된 임금이 거주하지 않는 빈 궁궐을 수비하던 직책을 말.

새로운!!: 창덕궁와 공궐위장 · 더보기 »

공혜왕후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년 11월 8일(음력 10월 11일) ~ 1474년 4월 30일(음력 4월 15일))는 조선 성종의 원비(元妃)이.

새로운!!: 창덕궁와 공혜왕후 · 더보기 »

변수 (1861년)

1883년 9월 미국에 파견된 조선의 보빙사절단원, 앞줄 왼쪽부터 부사 홍영식, 정사 민영익, 종사관 서광범, 미국인 로웰, 뒷줄 왼쪽부터 무관 현흥택 최경석, 수행원 유길준, 고영철, 변수 변수(邉燧, Byun Soo, 1861년 ~ 1891년 10월 22일)는 조선 말의 개화파 관료, 정치가, 개화운동가이자 외교관이며 미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창덕궁와 변수 (1861년) · 더보기 »

궁녀

궁녀 궁녀(宮女)는 궁의 일을 보는 여성을 말. 본래 의미는 궁에 거주하는 모든 여성의 통칭으로 동의어로 궁인(宮人)·궁첩(宮妾)·내인(內人) 등이 있. 현대 국어사전에선 궁에서 노동력을 제공한 시비(侍婢)로서 내명부 관작을 받은 여인의 호칭으로 정의하고 있.

새로운!!: 창덕궁와 궁녀 · 더보기 »

궁전

궁전(宮殿)는 왕이나 왕족이 일을 보고 생활하던 건축물을 말. 궁궐(宮闕), 궁실, 대궐, 어궐, 왕궁 등의 이름으로 불리.

새로운!!: 창덕궁와 궁전 · 더보기 »

궁전 목록

음은 세계의 궁전 목록이.

새로운!!: 창덕궁와 궁전 목록 · 더보기 »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은 경복궁과 창덕궁, 종묘의 사이에 위치한 서울의 전통(일제 강점기 시대 전후의 근현대) 한옥 거주 지역이.

새로운!!: 창덕궁와 북촌 한옥마을 · 더보기 »

북영천

북영천(北營川)은 북악산에서 발원하는 창덕궁의 금천(禁川)으로, 궁궐 안에서는 금천(錦川)으로도 불린.

새로운!!: 창덕궁와 북영천 · 더보기 »

북학

북학(北學)은 조선 후기 실학의 한 유파이.

새로운!!: 창덕궁와 북학 · 더보기 »

부용정

부용정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창덕궁와 부용정 · 더보기 »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새로운!!: 창덕궁와 규장각 · 더보기 »

금천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창덕궁와 금천 · 더보기 »

금천 (하천)

(禁川)은 대한민국의 궁궐과 왕릉 등에서, 그 안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건너던 물길이.

새로운!!: 창덕궁와 금천 (하천) · 더보기 »

금천교

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창덕궁와 금천교 · 더보기 »

김명길 (1894년)

명길 상궁(金命吉 尙宮, 1894년 ~ 1983년)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상궁 나인 가운데 한 사람이.

새로운!!: 창덕궁와 김명길 (1894년) · 더보기 »

김가진

(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창덕궁와 김가진 · 더보기 »

김영국 (관료)

영국(金永國)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창덕궁와 김영국 (관료)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창덕궁와 김옥균 · 더보기 »

대조전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은 창덕궁 내전 중 가장 으뜸가는 건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대조전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창덕궁와 대한민국 문화재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창덕궁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제101호 ~ 제2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

새로운!!: 창덕궁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101호 ~ 제2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민국의 세계유산은 세계유산위원회를 거쳐 확정된 대한민국의 세계 유산을 말.

새로운!!: 창덕궁와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창덕궁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창덕궁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남산제비꽃

산제비꽃(南山---)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창덕궁와 남산제비꽃 · 더보기 »

나례

(儺禮)는 귀신을 쫓아내는 종교 의례 중 하나이.

새로운!!: 창덕궁와 나례 · 더보기 »

나시모토 이쓰코

시모토 이쓰코 나시모토 이쓰코(1882년 2월 2일 ~ 1976년 8월 19일)는 일본의 옛 황족으로,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의 비(妃)이.

새로운!!: 창덕궁와 나시모토 이쓰코 · 더보기 »

낙선재

낙선재(樂善齋)는 1847년에 지어진 창덕궁의 건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낙선재 · 더보기 »

스카이 힐링

스카이 힐링(Sky Healing)은 대한민국의 KT스카이라이프가 운영하는 텔레비전 채널로, 2012년 8월 20일에 개국하였.

새로운!!: 창덕궁와 스카이 힐링 · 더보기 »

효현왕후

효현왕후(孝顯王后, 1828년 4월 27일(음력 3월 14일) ~ 1843년 10월 18일(음력 8월 25일))는 조선 헌종의 정비(正妃)이.

새로운!!: 창덕궁와 효현왕후 · 더보기 »

회동천

종묘전교 (옆) 회동천(灰洞川)은 옥류천으로 합류하는 하천으로, 현재는 복개되었.

새로운!!: 창덕궁와 회동천 · 더보기 »

회인원

회인원(懷仁園)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회은황세손 이구의 원(園)이며,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권역 내 영원 옆에 자리잡고 있. 2005년 일본에서 훙서하자 창덕궁 낙선재으로 운구해 안치하였다가 국장을 지내고, 이해 문화재청과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주최로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권역 내 영원 옆에 예장하였.

새로운!!: 창덕궁와 회인원 · 더보기 »

자격루

자격루(自擊漏)는 조선 세종 때의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

새로운!!: 창덕궁와 자격루 · 더보기 »

장형 (조선)

장형(張烱烱은 炯(빛날 형)의 속자로 "경"이라는 음이 없다. 2001년 대법원 인명용 한자를 정해서 시행할 때 이 한자의 음을 "경"으로 잡았기에 이러한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1623년 2월 25일 ~ 1669년 1월 1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통역관이.

새로운!!: 창덕궁와 장형 (조선) · 더보기 »

장서각

장서각(藏書閣)은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부속된 한국학 전문 도서관이.

새로운!!: 창덕궁와 장서각 · 더보기 »

재궁

재궁(梓宮)은 황제 또는 왕, 황후나 왕후의 관을 뜻. 조선왕조는 장생전이라는 관서에서 궁중의 장례식에 사용한 관을 미리 제작하도록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재궁은 창덕궁 의풍각에서 보관돼 오고 있다가 회은태손 이구의 장례에 마추어 2005년 7월 22일 언론에 공개된 뒤 국립고궁박물관에 영구 보존되었.

새로운!!: 창덕궁와 재궁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창덕궁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창덕궁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興安君 李瑅, 1598년 ~ 1624년 음력 2월 21일)는 조선 중기의 왕자이자 왕족 종실이.

새로운!!: 창덕궁와 흥안군 (1598년)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창덕궁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희정당

창덕궁 희정당(昌德宮 熙政堂)은 원래 창덕궁의 내전에 속한 건물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 편전으로 사용되었.

새로운!!: 창덕궁와 희정당 · 더보기 »

이방자

이방자(李方子, 1901년 11월 4일 ~ 1989년 4월 30일)는 일본 제국의 황족이자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의민태자 은(懿愍太子 垠)의 비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방자 · 더보기 »

이구 (1931년)

이구(李玖, 1931년 12월 29일~2005년 7월 16일)는 대한민국의 건축가, 공학자, 교육자, 사업가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구 (1931년) · 더보기 »

이재수 (1770년)

이재수(李在秀, 1770년~182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재수 (1770년) · 더보기 »

이지 (1598년)

세자 이지(廢世子 李祬, 1598년 12월 31일 (음력 12월 4일) ~ 1623년 7월 22일 (음력 6월 25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지 (1598년) · 더보기 »

이융준

원자 이융준(李隆俊, 1858년 11월 22일(음력 10월 17일) ~ 1859년 5월 25일(음력 4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자로, 철종의 유일한 적장자이자 영은부원군 김문근의 딸 철인왕후 김씨 소생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융준 · 더보기 »

이산 (드라마)

《이산》(李祘)은 조중현 기획, 이병훈·김근홍 연출, 김이영 극본으로 문화방송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산 (드라마)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창덕궁와 이완용 · 더보기 »

인경궁

1615년(광해7)에 새 궁궐 건립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이듬해 사직단(社稷壇)바깥 에다 터를 정하였.

새로운!!: 창덕궁와 인경궁 · 더보기 »

인정문

창덕궁 인정문(昌德宮仁政門)은 창덕궁 정전인 인정전에 이르는 출입문이.

새로운!!: 창덕궁와 인정문 · 더보기 »

인정전

창덕궁 인정전(昌德宮仁政殿)은 창덕궁의 정전으로 왕이 외국의 사신을 접견하고 신하들로부터 조하를 받는 등, 공식적인 국가행사를 치르던 곳이.

새로운!!: 창덕궁와 인정전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창덕궁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일산 호수공원

일산의 호수공원은 총면적 103만 4000m2, 호수면적 30만m2로, 동양 최대의 인공 호수로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하고 있. 1996년 5월 4일 개장하였.

새로운!!: 창덕궁와 일산 호수공원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창덕궁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의빈 성씨

의빈 성씨(宜嬪 成氏, 1753년 8월 6일 (음력 7월 8일정조, 「어제 의빈 묘표」, "嬪生于英宗二十九年癸酉七月八日") ~ 1786년 11월 4일 (음력 9월 14일))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이름은 덕임(德任)이.

새로운!!: 창덕궁와 의빈 성씨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창덕궁와 의친왕 · 더보기 »

의혜공주

의혜공주(懿惠公主, 1521년 ~ 1564년)은 조선중기의 공주로 제11대 왕 중종(中宗, 1488~1544, 재위 1506~1544)의 차녀이자 문정왕후 윤씨의 소생이.

새로운!!: 창덕궁와 의혜공주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창덕궁와 정난교 · 더보기 »

정유역변

정유역변은 1777년 정유년에 있었던 반역 사건을 일컫.

새로운!!: 창덕궁와 정유역변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창덕궁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조 어진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317호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태조 어진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통신사

조선통신사 행렬도 (대영 박물관 소장) 조선 통신사(朝鮮通信使)는 일반적으로 개화기 이전까지 조선이 에도 막부에 파견한 대규모 사절단을 지칭하는 명칭이.

새로운!!: 창덕궁와 조선 통신사 · 더보기 »

종로3가역

종로3가역(鍾路3街驛) 또는 종로3가(탑골공원)역(鍾路3街(탑골公園)驛)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가, 돈의동 및 묘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의 환승역이.

새로운!!: 창덕궁와 종로3가역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창덕궁와 종로구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창덕궁와 종묘 · 더보기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문화원

주 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문화원(駐日本大韓民國大使館文化院) 또는 단순히 주일한국문화원(駐日韓國文化院)은 일본 도쿄에 있는 대한민국의 한국문화원이.

새로운!!: 창덕궁와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문화원 · 더보기 »

주합루

창덕궁 주합루(昌德宮 宙合樓)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주합루 · 더보기 »

중명전

중명전(重明殿)은 덕수궁에 딸린 서양식 전각이.

새로운!!: 창덕궁와 중명전 · 더보기 »

중화전 및 중화문

덕수궁의 중화전 및 중화문(德壽宮의中和殿및中和門)은 각각 덕수궁의 정전(正殿)과 정전으로 드나드는 정문이.

새로운!!: 창덕궁와 중화전 및 중화문 · 더보기 »

줄리아 멀록

줄리아 멀록(Julia Mullock, 1923년? 1928년? 3월 18일 ~ 2017년 11월 26일)은 대한제국의 황족 이구(李玖)의 첫 번째 부인이.

새로운!!: 창덕궁와 줄리아 멀록 · 더보기 »

진주민란

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년) 봄 진주에서 일어난 민중의 봉기 사건이.

새로운!!: 창덕궁와 진주민란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창덕궁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 더보기 »

창덕궁 부용정

창덕궁 부용정(昌德宮 芙蓉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사적 제122호)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부용정 · 더보기 »

창덕궁 금천교

창덕궁 금천교(昌德宮 錦川橋)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사적 제122호)에 있는 조선시대의 교량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금천교 · 더보기 »

창덕궁 뽕나무

창덕궁 뽕나무는 창덕궁에 있는 뽕나무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71호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뽕나무 · 더보기 »

창덕궁 다래나무

창덕궁의 다래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51호로, 창덕궁 뒷편, 대보단(大報壇) 터에서 30m 더 동남쪽으로 가다 왼쪽에 위. 이 다래나무는 나이가 약 6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부터 이곳에 자생했거나 혹은 창덕궁을 지었을 당시에 자연산 다래를 조경용으로 옮겨 심었던 것으로 추측.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다래나무 · 더보기 »

창덕궁 회화나무 군

창덕궁 회화나무 군(昌德宮 회화나무 群)은 창덕궁 돈화문 안에 있는 회화나무 여덟 그루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회화나무 군 · 더보기 »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측우대(昌德宮測雨臺)는 본래 창덕궁 금문원(檎文院)에 설치되었던 측우대로, 직경 16.2cm, 길이 4.3cm의 구멍이 파여 그 안에 측우기를 앉혀 놓게 되어 있는 대(臺)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측우대 · 더보기 »

창덕궁 향나무

창덕궁 향나무는 창덕궁(昌德宮)에 있는 향나무로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94호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향나무 · 더보기 »

창덕궁 선원전

창덕궁 선원전(昌德宮 璿源殿)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선원전 · 더보기 »

창덕궁 후원

창덕궁 후원(昌德宮後苑) 또는 비원(祕苑)은 창덕궁 북쪽에 창경궁과 붙어 있는 한국 최대의 궁중 정원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 후원 · 더보기 »

창덕궁관리소

창덕궁관리소(昌德宮管理所)는 창덕궁의 문화재 및 시설물과 수목을 보존·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재청 소속기관으로 창덕궁관리소장은 서기관 또는 기술서기관(4급 상당)으로 보.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창덕궁 내에 위치하고 있.

새로운!!: 창덕궁와 창덕궁관리소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경궁 · 더보기 »

창경궁 풍기대

창경궁 풍기대(昌慶宮風旗臺)는 조선시대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창경궁에 있는,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재는 풍기를 세웠던 석대이.

새로운!!: 창덕궁와 창경궁 풍기대 · 더보기 »

충주 박씨

충주 박씨(忠州 朴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창덕궁와 충주 박씨 · 더보기 »

취병

병은 한국의 전통적인 궁궐 내부의 생울타리로 된 담장으로 시누대를 시렁이로 엮어 낮게 둘러싸고 그 안에 키 작은 나무나 덩굴식물을 심어 자라게 하여 여름에는 녹색의 담으로 겨울에는 대나무 담으로 사용되었.

새로운!!: 창덕궁와 취병 · 더보기 »

팝툰

《팝툰》(POPTOON)은 대한민국의 회사인 씨네21에서 펴낸 만화 잡지이.

새로운!!: 창덕궁와 팝툰 · 더보기 »

유경운

유경운 상궁(劉景雲 尙宮, 1893년 - 1971년)은 창덕궁의 지밀상궁으로 있었며, 속칭 '곰배대감'댁인 철종 형님의 댁에서 누동궁(樓洞宮) 나인으로 있다가 당시 세도가 윤덕영(尹德榮)의 소개로 창덕궁으로 옮겨와 순종을 모셨.

새로운!!: 창덕궁와 유경운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창덕궁와 유혁로 · 더보기 »

윤덕영

윤덕영(尹德榮, 1873년 12월 27일 ~ 1940년 10월 18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로, 본관은 해평이.

새로운!!: 창덕궁와 윤덕영 · 더보기 »

윤경완

윤경완(尹景完, 1860년 ~ 1885년 12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상인, 무신으로 갑신정변의 행동대원이었.

새로운!!: 창덕궁와 윤경완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창덕궁와 윤치영 · 더보기 »

율곡로 (서울)

원남동 사거리 이화동 사거리 율곡로(栗谷路)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경복궁교차로에서 종로6가 청계6가교차로를 잇는 도로로,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의 일부이.

새로운!!: 창덕궁와 율곡로 (서울) · 더보기 »

상평통보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조선시대에 주조된 화폐로 조선의 화폐 단위인 문(文)의 교환 수단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창덕궁와 상평통보 · 더보기 »

탕평책

탕평책(蕩平策)은 조선 영조가 당파 싸움을 막기 위해 당파간의 세력 균형을 위해 추진한 정책이.

새로운!!: 창덕궁와 탕평책 · 더보기 »

숨터

《숨터》는 화요일 ~ 금요일 밤 10시 55분에 KBS 1TV에서 방송중인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창덕궁와 숨터 · 더보기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년 양력 9월 19일(음력 8월 20일) ~ 1966년 양력 2월 3일)는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였.

새로운!!: 창덕궁와 순정효황후 · 더보기 »

순종어차

순종어차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에 있는, 미국 GM사가 1918년에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으로 순종황제(純宗 1874~1926/재위기간 1907~1910)가 주로 탔던 것으로 알려진 자동차이.

새로운!!: 창덕궁와 순종어차 · 더보기 »

순종황후어차

순종황후어차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창덕궁에 있는 영국 다임러사가 1914년에 제작한 리무진으로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가 주로 탔던 것으로 알려진 자동차이.

새로운!!: 창덕궁와 순종황후어차 · 더보기 »

순헌황귀비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2월 2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창덕궁와 순헌황귀비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창덕궁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수라벼

수라벼는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에서 육성한 벼 품종이.

새로운!!: 창덕궁와 수라벼 · 더보기 »

숙의 권씨 (단종)

숙의 권씨(淑儀 權氏, ? ~ 1519년 이후)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새로운!!: 창덕궁와 숙의 권씨 (단종) · 더보기 »

숙의 김씨 (단종)

숙의 김씨(淑儀 金氏, 1440년 경 ~ 1525년 음력 2월)는 조선 단종의 후궁이.

새로운!!: 창덕궁와 숙의 김씨 (단종) · 더보기 »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吳命恒先生討賊頌功碑)는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에 있는 기념비이.

새로운!!: 창덕궁와 오명항선생토적송공비 · 더보기 »

행궁

행궁(行宮)은, 왕이 본궁 밖으로 나아가 머무는 임시장소로써의 궁궐을 말. 이궁(離宮) 또는 행재소(行在所), 행궐(行闕)이.

새로운!!: 창덕궁와 행궁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창덕궁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창덕궁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경당

창덕궁 연경당(昌德宮 演慶堂)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연경당 · 더보기 »

엄주명

엄주명(嚴柱明, 1896년 11월 19일 ~ 1976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교육인, 군인이.

새로운!!: 창덕궁와 엄주명 · 더보기 »

엄진일

엄진일(嚴鎭一, ? ~ ?)은 조선 후기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창덕궁와 엄진일 · 더보기 »

엄진삼

엄진삼(嚴鎭三, 1812년 10월 9일 ~ 1879년 7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상인, 대한제국의 외척이며, 고종의 계비 순헌황귀비 엄씨의 친정 아버지, 엄준원의 삼촌이자 양아버지이며, 영친왕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창덕궁와 엄진삼 · 더보기 »

피병준

병준(皮秉俊, 1864년 ~ ?)은 조선 말기의 의사, 의관(議官)이.

새로운!!: 창덕궁와 피병준 · 더보기 »

선의왕후 (조선)

선의왕후 어씨(宣懿王后, 1705년 12월 14일 (음력 10월 29일) ~ 1730년 8월 12일 (음력 6월 29일))는 조선 경종의 계비이며 정식 시호는 경순효인혜목선의왕후(敬純孝仁惠睦宣懿王后)이.

새로운!!: 창덕궁와 선의왕후 (조선) · 더보기 »

선정전

창덕궁 선정전(昌德宮 宣政殿)은 평상시 임금이 신하와 일상업무를 논하던 편전이.

새로운!!: 창덕궁와 선정전 · 더보기 »

성평군

성평군 이혼(成平君 李渾, 1656년 - ?)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증손이자, 선조의 백형 하원군의 손자이.

새로운!!: 창덕궁와 성평군 · 더보기 »

성옥염

성옥염 상궁(成玉艶 尙宮, 1920년 ~ 2001년 5월 4일)은 창덕궁 낙선재 궁인 가운데 끝까지 남았었던 세 사람(김명길, 박창복)의 상궁 중에서 가장 젊은 상궁이었.

새로운!!: 창덕궁와 성옥염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창덕궁와 성삼문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광범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서울특별시도

서울특별시도는 서울특별시의 주요 도로망을 형성하고 주요 지역과 인근 도시·항만·산업단지·물류시설 등을 연결하며 서울특별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히 중요한 도로로 서울특별시장이 그 노선을 인정한 것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도 · 더보기 »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안내용)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공영차고지 시계에서 강동구 강일동 상일 나들목 시계에 이르는 도로안내용 특별시도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도 제50호선 (안내용)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 목록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중 간선버스 노선 목록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노선 목록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노선 목록

이 목록은 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노선 목록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노선 목록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관광

본 문서는 서울특별시의 관광에 대한 문서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의 관광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과거 백제, 조선의 수도였.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특별시의 역사 · 더보기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Seoul City Tour Bus)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의 중심 관광지를 도는 광화문을 기점으로 하는 순환버스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울시티투어버스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창덕궁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창덕궁와 서일보 · 더보기 »

서촌

서촌(西村)은 대한민국 서울의 경복궁과 서울의 내사산 가운데 서쪽 산인 인왕산 사이에 있는 지역을 뜻. 조선 시대에는 흔히 '장의동'(藏義洞, 壯義洞)이나 '장동'(壯洞)으로 불. 서촌은 창덕궁 남쪽의 교동이나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북촌과 함께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동. 조선 시대엔 왕족과 사대부, 중인들의 거주지로 유명했으며, 일제 시대 이후엔 문인과 예술인들이 많이 자리잡았.

새로운!!: 창덕궁와 서촌 · 더보기 »

손응성

손응성(孫應星, 1916년 ~ 1979년)은 한국의 서양화가이.

새로운!!: 창덕궁와 손응성 · 더보기 »

손정규

손정규(孫貞圭, 일본식 이름: 伊原圭 또는 伊原貞圭, 1896년 ~ 1950년?)는 한국의 교육자이.

새로운!!: 창덕궁와 손정규 · 더보기 »

송학선

송학선(宋學善, 1897년 2월 19일 ~ 1927년 5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에 금호문 사건을 일으키고 사형 당한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창덕궁와 송학선 · 더보기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1568년 ~ 1615년 1월 31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창덕궁와 소 요시토시 · 더보기 »

통일정

베를린 장벽의 잔해와 통일정 통일정은 베를린 포츠담 광장에 있는 한국식 정자로 한국 서울 창덕궁 낙선재에 있는 상량전을 그대로 재현한 건축물이.

새로운!!: 창덕궁와 통일정 · 더보기 »

해안군

안군(海安君, 1511년 음력 6월 15일 ~ 1573년 음력 8월 4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창덕궁와 해안군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창덕궁와 한명회 · 더보기 »

한국의 고적지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창덕궁와 한국의 고적지 · 더보기 »

한국의 수도

음은 한국사에 존재했던 여러 나라들의 수도이.

새로운!!: 창덕궁와 한국의 수도 · 더보기 »

한국전력공사

국전력공사(韓國電力公社,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는 대한민국의 전력공급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이.

새로운!!: 창덕궁와 한국전력공사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새로운!!: 창덕궁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한의학

의학(韓醫學, Korean medicine)이란 한국에서 기원하고 꾸준한 교류를 통해 발전한 인체의 구조·기능을 탐구하여 보건의 증진, 질병의 치료·예방 등에 대한 방법과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창덕궁와 한의학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창덕궁와 한확 · 더보기 »

안국역

안국역(安國驛)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창덕궁와 안국역 · 더보기 »

아시아의 세계유산

음은 아시아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이.

새로운!!: 창덕궁와 아시아의 세계유산 · 더보기 »

신나라 과학나라

《신나라 과학나라》는 2002년 7월 18일부터 2009년 4월 14일까지 KBS 2TV →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어린이들의 수준에 맞는 과학 상식과 과학 실험을 다루었.

새로운!!: 창덕궁와 신나라 과학나라 · 더보기 »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창덕궁와 심순택 · 더보기 »

원서동 백홍범 가옥

원서동 백홍범 가옥(苑西洞白鴻範家屋)은 창덕궁 옆 원서동길을 따라 올라가면 창덕궁의 신선원전 서쪽에 있는 삼문 앞으로 난 골목길을 따라 왼편으로 조금 올라가면 있는데, 여기에 서면 창덕궁 신선원전 일대의 정경이 한눈에 들어온.

새로운!!: 창덕궁와 원서동 백홍범 가옥 · 더보기 »

홍재룡

홍재룡(洪在龍, 1794년 11월 6일(음력 10월 13일) ~ 1863년 2월 21일(음력 1월 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국구이.

새로운!!: 창덕궁와 홍재룡 · 더보기 »

홍화문

홍화문(弘化門)은 창경궁의 정문이.

새로운!!: 창덕궁와 홍화문 · 더보기 »

황혜성

황혜성(黃慧性, 1920년 7월 5일 ~ 2006년 12월 14일)은 조선왕조 궁중음식의 연구가이자 대학 교수였.

새로운!!: 창덕궁와 황혜성 · 더보기 »

화요일

화요일(火曜日)은 월요일 뒤의 날, 수요일 앞의 날이.

새로운!!: 창덕궁와 화요일 · 더보기 »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창덕궁와 완성군 · 더보기 »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王世子誕降陳賀圖 屛風)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병풍이.

새로운!!: 창덕궁와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 더보기 »

와룡동 (서울)

와룡동(臥龍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종로1·2·3·4가동 아래에 있. 대부분이 창덕궁, 창경궁, 종묘 북쪽 일부를.

새로운!!: 창덕궁와 와룡동 (서울) · 더보기 »

KBS 스페셜

《KBS 스페셜》은 매주 목요일 밤 10시에 KBS 1TV로 방송되는 다큐멘터리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창덕궁와 KBS 스페셜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창덕궁와 1912년 · 더보기 »

1917년

191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창덕궁와 1917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창덕궁와 1926년 · 더보기 »

2005년 7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창덕궁와 2005년 7월 · 더보기 »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는 2008년 5월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협상 내용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시하기 위하여 학생과 시민들의 모임으로 출발한 촛불 시위이.

새로운!!: 창덕궁와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관물헌, 창덕궁 가정당, 창덕궁 관물헌, 창덕궁(비원포함), 선원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