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청풍군

색인 청풍군

청풍군(淸風郡)은 근대까지 지금의 제천시 금성면, 청풍면, 수산면, 덕산면, 한수면에 있었던 옛 군이.

23 처지: 도살성, 박세당, 관아, 부군면 통폐합, 금현성, 김인오 (1868년), 대훈위 이화대수장, 이십삼부, 제천 청풍 한벽루, 제천시, 제천시의 명산, 제천시의 행정 구역, 청풍 망월산성, 청풍 성열현, 청풍승평계, 청풍체 하림조, 충청도, 혜빈 양씨, 석토성, 서일보,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안 주씨, 십삼도.

도살성

살성(道薩城)은 고구려의 성곽으로 신라 진흥왕이 공취하여 고구려의 10군을 점령하는 교두보를 구축하였.

새로운!!: 청풍군와 도살성 · 더보기 »

박세당

박세당(朴世堂, 1629년 음력 8월 10일~1703년 음력 8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으로 소론의 지도자 중 한사람이며 박태보의 아버지이.

새로운!!: 청풍군와 박세당 · 더보기 »

관아

부여 관아 관아(官衙)는 조선의 지방행정기구의 청사가 위치한 마을로 읍치라고도 불. 관아에는 수령의 정청인 동헌, 국왕의 위패를 모시는 객사, 고을 양반들의 대표자인 좌수와 별감이 있는 향청, 아전들의 근무처인 질청, 기생과 노비들이 사용하는 관노청, 그리고 군사를 관장하는 군기청이 포함되어 있었.

새로운!!: 청풍군와 관아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청풍군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금현성

현성(金峴城)은 충북 제천시 덕산면 신현리, 한수면 덕곡리, 한수면 탄지리 접경지역에 걸쳐 있는 성곽이.

새로운!!: 청풍군와 금현성 · 더보기 »

김인오 (1868년)

인오(金仁梧, 일본식 이름: 金谷仁梧, 1868년 ~ ?)는 일제 강점기의 평안남도 지역 유지이.

새로운!!: 청풍군와 김인오 (1868년) · 더보기 »

대훈위 이화대수장

이화대수장과 서성대수장, 태극대수장을 패용한 민병석 대훈위이화대수장(大勳位李花大綬章)은 대한제국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7종류의 훈장 중에서 세 번째 훈격의 훈장이.

새로운!!: 청풍군와 대훈위 이화대수장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청풍군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제천 청풍 한벽루

제천 청풍 한벽루(堤川 淸風 寒碧樓)는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청풍군와 제천 청풍 한벽루 · 더보기 »

제천시

제천시(堤川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동부의 시이.

새로운!!: 청풍군와 제천시 · 더보기 »

제천시의 명산

청풍명월의 본향인 제천지역은 예로부터 4군산수로 회자하는 산자수려한 기암형승에 명산이 분포하여 탐승객이 즐겨 찾았으며, 오늘날도 4계절 제천 명산을 탐사하는 등산객이 문전성시를 이.

새로운!!: 청풍군와 제천시의 명산 · 더보기 »

제천시의 행정 구역

제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 제천시의 면적은 883.09km2이며, 인구는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59,233 세대, 136,805명이.

새로운!!: 청풍군와 제천시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청풍 망월산성

1985년 충주댐 수몰전 백제의 산경문이 출토한 평등사지와 성열성의 전경 청풍 성열성 건물지 상단부에서 수습한 미완성 돌도끼 청풍 성열성 남벽 일부 구간에 붕괴한 석축을 복원한 모습 성열산 자락 평등사지에서 출토한 백제의 납석제불보살병립상 배면 산경문 청풍 망월산성(淸風望月山城) 또는 청풍 성열성은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에 위치한 성이.

새로운!!: 청풍군와 청풍 망월산성 · 더보기 »

청풍 성열현

청풍(淸風) 성열현(省熱縣)은 고구려 사열이현(沙熱伊縣)의 전조에 백제의 고읍(古邑)이.

새로운!!: 청풍군와 청풍 성열현 · 더보기 »

청풍승평계

청풍승평계(淸風昇平稧) 조선말기 악성(樂聖) 우륵(于勒)이 태어난 청풍(淸風)에서 그 예맥(藝脈)을 계승하기 위한 국악단체이.

새로운!!: 청풍군와 청풍승평계 · 더보기 »

청풍체 하림조

청풍체 하림조(淸風體河臨調)는 우륵(于勒)이 남긴 185곡명 가운데 유일하게 전승하는 우륵의 예맥으로, 대한민국의 악조(樂調)의 시초이.

새로운!!: 청풍군와 청풍체 하림조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새로운!!: 청풍군와 충청도 · 더보기 »

혜빈 양씨

혜빈 양씨(惠嬪 楊氏, 생년미상 ~ 1455년 음력 11월 9일)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후궁이.

새로운!!: 청풍군와 혜빈 양씨 · 더보기 »

석토성

석토성(石吐城)은 남한강 상류지역 단양군 가은암산' 암릉에 석축한 산성으로 백제와 신라의 결사항전에서 신라가 대승한 난공불락의 성곽이.

새로운!!: 청풍군와 석토성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청풍군와 서일보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청풍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청풍군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청풍군와 십삼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청풍.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