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충화면

색인 충화면

충화면(忠化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의 면이.1914년 일제가 백제8충신이나온 팔충면의 흔적을 말살해 가화면과 통합해 충화면으로 하였.

30 처지: 마산면 (서천군), 가화리, 부여 오덕사 괘불탱, 부여 오덕사 어필각, 부여군, 부여군의 행정 구역, 규암면의 역사, 대한민국의 리 목록 (마), 대한민국의 리 목록 (바), 대한민국의 리 목록 (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자), 대한민국의 리 목록 (차), 대한민국의 리 목록 (파), 대한민국의 리 목록 (하), 대한민국의 리 목록 (아), 이십삼부, 익산평택고속도로, 지방도 제723호선, 지석리, 충화 경주김씨 재실, 충화 지석리 고인돌, 충화 팔충사, 충화 현미리 고인돌,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 충화 학음정, 충화초등학교, 오덕리, 선조대왕 태실비, 세양사, 손덕조 정려.

마산면 (서천군)

마산면(馬山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천군의 면이.

새로운!!: 충화면와 마산면 (서천군) · 더보기 »

가화리

화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충화면와 가화리 · 더보기 »

부여 오덕사 괘불탱

오덕사괘불탱(五德寺掛佛幀)은 충청남도 부여군 오덕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충화면와 부여 오덕사 괘불탱 · 더보기 »

부여 오덕사 어필각

부여 오덕사 어필각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1995년 6월 1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부여 오덕사 어필각 · 더보기 »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충화면와 부여군 · 더보기 »

부여군의 행정 구역

부여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5면 191법정리 432행정리 1,686반으로 편제되어 있. 부여군 군청사는 부여읍 동남리 725에 있. 인구는 2011년 6월 30일을 기준으로 75,189명이며, 면적은 624.6km2(2009)로 도내에서 공주시,서산시, 당진시, 천안시에 이어 다섯 번째로 넓.

새로운!!: 충화면와 부여군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규암면의 역사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은 백제의 고도 사비성이 접하여 있는 백마강의 건너편 지역으로 삼국시대부터 역사적인 기록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

새로운!!: 충화면와 규암면의 역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마)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바)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바)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가)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가)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자)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자)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차)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차)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파)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하)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하)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리 목록 (아)

음은 대한민국의 리 목록이.

새로운!!: 충화면와 대한민국의 리 목록 (아)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충화면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익산평택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고속국도 제17호선의 일부)는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을 기점으로,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

새로운!!: 충화면와 익산평택고속도로 · 더보기 »

지방도 제723호선

방도 제723호선은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 석왕 교차로에서 익산시, 부여군을 거쳐 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을 잇는 전라북도의 지방도이.

새로운!!: 충화면와 지방도 제723호선 · 더보기 »

지석리

석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충화면와 지석리 · 더보기 »

충화 경주김씨 재실

충화 경주김씨 재실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2016년 12월 31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12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 경주김씨 재실 · 더보기 »

충화 지석리 고인돌

충화 지석리 고인돌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1998년 12월 30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26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 지석리 고인돌 · 더보기 »

충화 팔충사

충화 팔충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1998년 12월 30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25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 팔충사 · 더보기 »

충화 현미리 고인돌

충화 현미리 고인돌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2001년 1월 3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41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 현미리 고인돌 · 더보기 »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2010년 12월 31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11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 선조대왕 태실비 · 더보기 »

충화 학음정

충화 학음정은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에 있. 2005년 7월 6일 부여군의 향토유적 제79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 학음정 · 더보기 »

충화초등학교

충화초등학교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천당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새로운!!: 충화면와 충화초등학교 · 더보기 »

오덕리

오덕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충화면와 오덕리 · 더보기 »

선조대왕 태실비

선조대왕 태실비(宣祖大王 胎室碑)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오덕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조선 선조의 태실비이.

새로운!!: 충화면와 선조대왕 태실비 · 더보기 »

세양사

세양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충화면와 세양사 · 더보기 »

손덕조 정려

손덕조 정려는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에 있는 건축물이.

새로운!!: 충화면와 손덕조 정려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만지리, 복금리, 청남리, 천당리, 팔충리, 현미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