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취음

색인 취음

음(取音) 또는 군두목(軍都目)은 원래 한자어가 아닌 낱말을 소리가 비슷한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방법을 말. 한자를 빌려 한국어를 적는 차자표기법에 속하지만, 취음은 특히 적는이의 주관에 따라 그럴듯한 어원풀이를 덧붙인 것을 가리.

18 처지: 도모지, 도깨비, 동언고략, 마니산, 무속신앙, 문어, 민간어원, 강정, 거문오름, 구결, 이두, 차자 표기법, 향찰, 한국어의 한자어, 한자, 한자표기어, 아이누, 아테지.

도모지

모지(塗貌紙)는 조선 시대에 행했던 사형(死刑)이.

새로운!!: 취음와 도모지 · 더보기 »

도깨비

right 도깨비는 한국의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존재로 사람의 형상을 띠기도 하고, 비상한 재주를 부리.

새로운!!: 취음와 도깨비 · 더보기 »

동언고략

《동언고략》(東言考略)은 조선 말기의 한문 서적으로 한국어 어원을 풀이한 책이.

새로운!!: 취음와 동언고략 · 더보기 »

마니산

마니산(摩尼山)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서 서쪽으로 40km 정도의 위치한 강화도에 있는 해발 472.1 m의 산이.

새로운!!: 취음와 마니산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취음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문어

문어(文魚; Enteroctopus dofleini)는 문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이.

새로운!!: 취음와 문어 · 더보기 »

민간어원

민간어원(民間語源, folk etymology) 또는 통속어원(通俗語源)은 역사적인 사실을 들어서 참된 어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어형과 의미의 우연한 유사성을 가지고 어원을 설명.

새로운!!: 취음와 민간어원 · 더보기 »

강정

보리강정 강정(취음: 羗釘 또는 強情)은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썰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긴 한국의 과자이.

새로운!!: 취음와 강정 · 더보기 »

거문오름

문오름(拒文岳)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시 조천읍과 서귀포시 남원읍, 서귀포시 표선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오름이.

새로운!!: 취음와 거문오름 · 더보기 »

구결

(口訣)은 한문의 단어나 구절 사이에 붙이는 한국어 토씨를 표시할 때 사용되었던 문자로, 중국어 어순의 한문을 쉽게 읽기 위해서 또는 올바른 해석을 위해 문법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각 구절마다 한국어 토를 다는데, 그것을 기록하는 데 한자나 한자의 약자체를 빌려서 사용하였고, 향찰과 서로 상승 작용을 하여 함께 발달하였으며, 이두의 발달 과정에서 다시 한문의 원전을 읽을 때 문장의 뜻을 돕기 위하여 한자의 이두식 용법으로 발달한 것으로 한문으로 문자생활을 영위한 고려시대에 일찍이 한학자들에 의해 창안, 이용되었으리라 추측.

새로운!!: 취음와 구결 · 더보기 »

이두

이두 개설서인 《유서필지》 이두(吏讀)는 한자에 의한 한국어 표기법의 한 가지이.

새로운!!: 취음와 이두 · 더보기 »

차자 표기법

자 표기법(借字表記法)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기록하던 표기법을 말. 한자차용표기법이.

새로운!!: 취음와 차자 표기법 · 더보기 »

향찰

향찰(鄕札)은 한자를 이용한 한국어 표기법의 하나이.

새로운!!: 취음와 향찰 · 더보기 »

한국어의 한자어

자어(漢字語)는 한국어 어휘 부류 중 하나로, 한국 한자음으로 발음되는 한자 계열 단어를 말.

새로운!!: 취음와 한국어의 한자어 · 더보기 »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새로운!!: 취음와 한자 · 더보기 »

한자표기어

자표기어(漢字表記語)란 단어를 분류하는 방식의 하나로, 한자로 표기가능한 모든 단어를 일컫.

새로운!!: 취음와 한자표기어 · 더보기 »

아이누

1902년에 찍은 아이누족의 모습 아이누()은 오늘날의 일본 홋카이도와 혼슈의 도호쿠 지방(東北地方), 러시아의 쿠릴 열도, 사할린 섬, 캄차카 반도에 정착해 살던 선주민이.

새로운!!: 취음와 아이누 · 더보기 »

아테지

아테지()는 일본어의 한자용법에서 한자가 가진 본래 뜻에 관계없이, 음이나 훈음을 이용하여 낱말을 표기하는 방법이.

새로운!!: 취음와 아테지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군두목, 부회표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