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측우기

색인 측우기

측우기 측우기(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

28 처지: 박중양, 기상 관측, 금영 측우기, 김담, 대구 선화당 측우대, 장영실, 음력 5월 8일, 정분, 조선, 조선 전기의 과학과 기술, 조선 세종,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조선의 과학과 기술, 조선의 역사, 창덕궁 측우대, 천문대, 수표 (동음이의), 역사 연표, 역사스페셜, 서울 청계천 수표, 한국의 역사, 한국산업표준, 아시아의 역사, 황사, 와다 유지, 1441년, 1442년, 15세기.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측우기와 박중양 · 더보기 »

기상 관측

상 관측(氣象觀測)은 대기 중의 기온, 기압 등의 기상 요소를 측정하고 강수, 구름 등 기상 현상을 관측하는 것을 말. 기상 관측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지구 내에서의 관측을 뜻. 대기는 그 넓이나 높이가 방대하기 때문에 여러 장소에서의 관측이 필요.

새로운!!: 측우기와 기상 관측 · 더보기 »

금영 측우기

영 측우기(錦營 測雨器)는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측우기이.

새로운!!: 측우기와 금영 측우기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측우기와 김담 · 더보기 »

대구 선화당 측우대

선화당 측우대(大邱 宣化堂 測雨臺)는 대구 감영의 선화당에 있던 측우대를 말. 1985년 8월 9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

새로운!!: 측우기와 대구 선화당 측우대 · 더보기 »

장영실

장영실 동상 장영실 동상 (천안아산역 소재) 장영실(蔣英實, 1390년? ~ 1450년?)은 조선 전기의 관료이며 과학자, 기술자, 발명가이.

새로운!!: 측우기와 장영실 · 더보기 »

음력 5월 8일

음력 5월 8일은 음력 5월의 8번째 날이.

새로운!!: 측우기와 음력 5월 8일 · 더보기 »

정분

정분(鄭苯), (1394년 ~ 1454년)은 조선초기 세종.문종.단종때의 문신이며 3 상신(相臣:우의정1452.12.11~1453.10.11) 중 한명이고 문종의 고명대신이.

새로운!!: 측우기와 정분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측우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전기의 과학과 기술

조선전기의 과학기술은상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황금기였.

새로운!!: 측우기와 조선 전기의 과학과 기술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측우기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국의 전통 과학 기술은 조선 초에 이르러 한 단계 발전.

새로운!!: 측우기와 조선 시대의 전통 과학 기술 · 더보기 »

조선의 과학과 기술

조선시대의 과학과 기술은 조선 전기와 후기가 그 발전 양상에 차이가 있.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는 임진왜란을 경계로 나누어지는데, 전기에는 주로 활자, 의학, 천문학, 무기 제조 기술 등 실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과학 기술이 발전하였고, 후기에는 서양 문물의 전래로 인하여 그들의 문화를 연구하는 활동이 두드러졌.

새로운!!: 측우기와 조선의 과학과 기술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측우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창덕궁 측우대

창덕궁 측우대(昌德宮測雨臺)는 본래 창덕궁 금문원(檎文院)에 설치되었던 측우대로, 직경 16.2cm, 길이 4.3cm의 구멍이 파여 그 안에 측우기를 앉혀 놓게 되어 있는 대(臺)이.

새로운!!: 측우기와 창덕궁 측우대 · 더보기 »

천문대

문대(天文臺)는 천체를 관측, 연구하는 곳이.

새로운!!: 측우기와 천문대 · 더보기 »

수표 (동음이의)

수표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측우기와 수표 (동음이의)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측우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측우기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서울 청계천 수표

서울 청계천 수표(서울 淸溪川 水標)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세종대왕기념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물이.

새로운!!: 측우기와 서울 청계천 수표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측우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산업표준

국산업표준(KS)은 대한민국 산업 전 분야의 제품 및 시험, 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하는 국가 표준이.

새로운!!: 측우기와 한국산업표준 · 더보기 »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새로운!!: 측우기와 아시아의 역사 · 더보기 »

황사

황해와 동해를 뒤덮은 황사. (2001년 3월 21일) 황사(黃沙/黃砂)는 주로 봄철에 중화인민공화국이나 몽골의 사막에 있는 모래와 먼지가 상승하여 편서풍을 타고 멀리 날아가 서서히 가라앉는 현상을 말. 토우(土雨), 흙비.

새로운!!: 측우기와 황사 · 더보기 »

와다 유지

와다 유지(1859년 9월 29일 ~ 1918년 1월 5일)는 일본의 기상학자, 해양학자이.

새로운!!: 측우기와 와다 유지 · 더보기 »

144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측우기와 1441년 · 더보기 »

1442년

1442년 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측우기와 1442년 · 더보기 »

15세기

15세기는 1401년부터 1500년까지이.

새로운!!: 측우기와 15세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