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치음 (음운학)

색인 치음 (음운학)

음(齒音), 잇소리는 이에서 나는 소리라는 뜻으로, 조선 시대 훈민정음과 중국의 전통적인 음성학인 음운학에서 쓰였.

8 처지: , 반치음, 일본 한자음, 청음과 탁음, 치음, 오음 (음운학), 삼십육자모, 훈민정음 언해.

()은 한글 닿소리 중 일곱 번째 글자이.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ㅅ · 더보기 »

반치음

반치음(半齒音) 또는 반잇소리(반니쏘리)는 전통적 음운학에서 치음과 조음 위치나 조음 방법이 비슷하지만 오음(五音) 기준에 속하지 않는 닿소리를 분류한 것이.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반치음 · 더보기 »

일본 한자음

일본 한자음(日本漢字音)은 일본어에서의 한자의 소리를 뜻. 대부분 한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을 가지고 있는 한국 한자음과 달리, 일본의 한자음은 시대에 따른 중국어의 음운의 변화를 반영했기 때문에, 하나의 한자가 중국에서 유입된 시기에 따라 여러 음을 가질 수 있. 예를 들면, 밝을 명(明)이라는 글자는 한국에서는 '명'이라고만 읽지만, 일본에서는 ミヤウ, メイ, ミン이라는 세 가지 소리가 날 수 있. 이와 같이 한자를 읽을 때 그 글자의 뜻에 해당하는 훈독과 음으로 읽는 음독이 있.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일본 한자음 · 더보기 »

청음과 탁음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은 중국의 음운학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 구조를 가리.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청음과 탁음 · 더보기 »

치음

음(齒音, dental consonant) 또는 잇소리()는 2가지로 구별 할 수 있는데, 설첨이나 설단을 사용해서 조음하는 소리와, 윗니와 아랫니를 사용해서 조음하는 양치음이 있. 국제 음성 기호에 있는 치음은 아래와 같. 분류:닿소리 분류:조음 위치.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치음 · 더보기 »

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오음 (음운학) · 더보기 »

삼십육자모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는 중국 음운학에서 중국어 중고음(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聲母, 두자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 36가지의 한자이.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삼십육자모 · 더보기 »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訓民正音諺解)는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에서 어제 서문과 예의(例義) 부분만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한 것이.

새로운!!: 치음 (음운학)와 훈민정음 언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정치음, 치두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