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친일인명사전

색인 친일인명사전

일인명사전(親日人名辭典)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일제 강점기에 민족 반역, 부일 협력 등 친일반민족행위를 자행한 한국인(친일파)의 목록을 정리해 2009년 11월 8일에 발간한 인명 사전이.

367 처지: 명인화, 문명기, 문재철, 문익환, 문정창, 문태준 (1895년), 민건식, 민복기, 민병석,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대표 33인, 민종묵, 민철훈, 민상호, 민영규, 민영기 (정치인), 민영휘, 민영소, 민원식, 배상명, 백관수, 백붕제, 백남신, 백낙준, 간도특설대, 강덕상, 박도순 (1888년), 박동익, 박동호 (1891년), 박문웅 (1890년), 강경희 (1858년), 박경양, 강보형, 박병운, 강병일, 강병옥, 박부양, 박기양, 박기환 (1896년), 박노태, 박용현 (1892년), 박용섭 (1892년), 박승봉, 박흥식 (1903년), 박희도 (1889년), 박이순 (1891년), 박이순 (1905년), 박인덕, ..., 강인우, 박제순, 박중양, 강창희 (1894년), 박춘금, 박상준 (1876년), 박태원 (1909년), 박순천, 박영희 (승려), 박영준 (1890년), 박영철 (1879년), 강영석, 박영신 (배우), 박선철 (1884년), 강성인, 박서양 (1875년), 박한용 (역사학자), 박암 (1905년), 강필성, 박원찬, 경술국적, 고려대학교에 대한 비판과 논란, 고광만, 고권삼, 고승제, 고재필, 고희경 (1873년), 고희준, 고일청, 고윤상 (경찰), 고영희 (1849년), 고원훈, 고황경, 곽기종, 공성학, 계광순, 계응규, 계정식, 권일 (1911년), 권중철, 권중현, 권상로, 권태환, 김덕기, 김도태, 김동조, 김동주 (1966년), 김동진 (1902년), 김동진 (1913년), 김동현 (1892년), 김동원 (1884년), 김명준 (1870년), 김명수 (1875년), 김명여, 김갑순, 김경주, 김복수, 김병익 (1837년), 김관 (1910년), 김관현, 김대우 (1900년), 김구하, 김두일 (1898년), 김두헌, 김낙헌, 김득황, 김용식 (법조인), 김우영 (1886년), 김승구, 김장섭 (정치인), 김응조 (군인), 김응준 (1869년), 김은호, 김정렬 (1917년), 김정호 (1909년), 김종석 (1918년), 김종한 (1844년), 김종원 (1922년), 김찬삼, 김창룡, 김창규 (1920년), 김윤근 (법조인), 김생려, 김태흡, 김순흥, 김영철 (1841년), 김사준, 김사철, 김삼웅, 김석범 (군인), 김선태 (1911년), 김성균 (1908년), 김성근 (1835년), 김성용, 김성태 (1910년), 김성수 (1891년), 김세완 (1894년), 김소운, 김한경 (1881년), 김한경 (1902년), 김학진, 김시현 (실업인), 김활란, 김완진 (1877년), 대종교,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구연직, 구연수, 남규희, 남장희, 남이섬, 남정철, 남상익 (1878년), 남상철 (1891년), 나기정 (1863년), 노덕술, 노봉익, 노익형, 노주봉, 노태식, 노성석, 장덕수, 장우성, 장인원, 장직상, 장지연, 장헌식, 장석주 (1848년), 임헌영 (문학평론가), 임선준, 이묘묵, 이각종,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하, 이겸제, 이범래 (1868년), 이범팔, 이병도, 이병숙, 이봉로, 이봉의, 이근명 (1840년), 이근상 (1874년), 이근택, 이근호 (조선), 이규완, 이긍종, 이기건, 이두황, 이용구, 이용원 (1832년), 이용원 (헌병), 이우, 이우식 (1901년), 이재각, 이재정 (1846년), 이재완, 이희두, 이인호 (1936년), 이정로, 이종건 (1843년), 이종욱 (승려), 이종찬 (1916년), 이주영 (1837년), 이준상 (1840년), 이진호 (1867년), 이지용, 이창훈 (조선귀족), 이상범 (1897년), 이영근 (1910년), 이석기 (1908년), 이항구, 이해창 (1865년), 이해학, 이한림, 이하영, 이원수 (작가), 이완용 (1872년), 의민태자, 은한섭, 정미칠적, 정병조, 정봉시, 정난교, 정인흥, 정주영 (1860년), 정진홍, 정춘수, 정한조, 조동희 (1856년), 조동윤, 조문기, 조갑제, 조두남, 조용순, 조중응, 조진만 (1903년), 조진태, 조영희, 조선공로자명감, 조선귀족,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원성, 천장욱, 친북 반국가 행위자 인명사전, 친일반민족행위자, 유동작, 유만겸, 유각경, 유정수 (1857년), 유진오, 유창렬 (1897년), 유영 (1892년), 유혁로, 유억겸, 유성준 (1860년), 유원식 (군인), 윤덕영, 윤갑병, 윤강로, 윤경로 (1947년), 윤길중, 윤두선, 윤희구, 윤익선 (1871년), 윤치영, 윤치호, 윤치소, 윤하영 (1867년), 윤웅렬, 오긍선, 오제영, 현기영, 현준호, 현채, 현영섭, 최린, 최경진, 최병모, 최병주, 최병혁 (1878년), 최근우, 최남선, 최승희, 최재서, 최주종, 최창학 (1891년), 최취허, 최상돈, 최연 (1897년), 최연국, 최석민, 최석현, 어담, 양국진 (1916년), 여규형, 여운형, 여운홍, 염무웅, 허하백, 엄인섭, 엄태영 (1875년), 성기운, 성하국, 서회보, 서은숙, 손정규, 손지환 (언론인), 송병준, 송금선, 송종헌, 송지헌 (1872년), 송헌빈, 함승호, 한동석 (1909년), 한규복 (1881년), 한국의 미술, 한상룡, 안병범 (1890년), 안병춘 (관료), 안광수 (1925년), 안용백, 안용대, 안인식, 안익조, 안익태, 안준 (대동민우회), 하준석 (1898년), 하판락, 하태경, 암태도 소작쟁의, 신봉조, 신기석, 신응희, 신상묵, 신태영 (1891년), 신태악, 신현준 (군인), 신학진, 시일야방성대곡, 원용덕, 홍승목, 홍재하, 홍종인, 홍진기, 홍태욱, 홍사익, 황철, 황신덕, 11월 8일, 2005년 8월, 2007년 11월, 2008년, 2008년 4월, 2009년 11월, 4월 29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17 더) »

명인화

명인화(明麟華, 일본식 이름: 明石麟華, 189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명인화 · 더보기 »

문명기

문명기(文明琦, 일본식 이름: 文明琦一郞(후미아키 기이치로), 1878년 6월 18일 ~ 1968년 10월 6일)는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상인, 기업인 겸 관료로, 본관은 남평,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면(현재의 영덕읍)이며 평안남도 안주군 출신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문명기 · 더보기 »

문재철

문재철(文在喆, 1883년 ~ 1955년 7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문재철 · 더보기 »

문익환

문익환(文益煥, 1918년 6월 1일 ~ 1994년 1월 18일)은 한국기독교장로회 목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문익환 · 더보기 »

문정창

문정창(文定昌, 일본식 이름: 文山定昌, 1899년, 부산 ~ 1980년)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재야 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문정창 · 더보기 »

문태준 (1895년)

문태준(文泰準, 1895년 11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문태준 (1895년) · 더보기 »

민건식

민건식(閔健植, 일본식 이름: 閔原健植, 1879년 음력 11월 27일 ~ 1944년 11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건식 · 더보기 »

민복기

민복기(閔復基, 일본식 이름: 岩本復基, 1913년 12월 12일 ~ 2007년 7월 13일)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복기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병석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民族問題硏究所)는 재야운동가 임종국의 유지를 잇는다는 명분으로 설립된 단체로서, 1991년 2월 27일 '반민족문제연구소'로 시작하여 1995년 '민족문제연구소'로 개칭한 민간 단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족문제연구소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이 문서는 민족문제연구소가 2009년 11월 8일에 편찬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자들에 관한 명단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더보기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을사조약과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 가담한 이들의 명단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 더보기 »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民族代表三十三人)은 1919년 3·1 운동 때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에 서명한 33명을 가리.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족대표 33인 · 더보기 »

민종묵

민종묵(閔種默, 1835년 양력 2월 14일 ~ 1916년 양력 7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종묵 · 더보기 »

민철훈

민철훈(閔哲勳, 1856년 9월 9일 ~ 1925년 7월 1일)은 조선 시대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철훈 · 더보기 »

민상호

민상호(閔商鎬, 1870년 ~ 1933년)는 조선 시대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상호 · 더보기 »

민영규

민영규(閔泳奎, 1846년 양력 12월 12일~1922년 양력 11월 18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영규 · 더보기 »

민영기 (정치인)

민영기(閔泳綺, 1858년 음력 8월 1일 ~ 1927년 양력 1월 6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한일합방에 협조한 대가로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영기 (정치인) · 더보기 »

민영휘

민영휘(閔泳徽, 1852년 양력 5월 15일 ~ 1935년 양력 12월 30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초명은 영준(泳駿)이며, 자는 군팔(君八), 호는 하정(荷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영휘 · 더보기 »

민영소

민영소(閔泳韶, 1852년 ~ 1917년)는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영소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민원식 · 더보기 »

배상명

배상명(裵祥明, 일본식 이름: 蒲田祥明 또는 芳村祥明, 1906년 ~ 1986년 2월 17일)은 상명대학교를 설립한 한국의 교육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배상명 · 더보기 »

백관수

백관수(白寬洙, 1889년 1월 28일 고창 ~ 1951년 10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언론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백관수 · 더보기 »

백붕제

백붕제(白鵬濟, 1910년 2월 19일 ~ ?)는 한국의 친일파 관료,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백붕제 · 더보기 »

백남신

백남신(白南信, 1858년 12월 19일 ~ 1920년 3월 1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 부호로 본명은 낙신(樂信), 본관은 수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백남신 · 더보기 »

백낙준

백낙준(白樂濬, 1895년 3월 9일 ~ 1985년 1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교육자, 국문학자이자 한글학자, 기독교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백낙준 · 더보기 »

간도특설대

특설대() 또는 간도특설부대는 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만주국이 동북항일연군 · 팔로군 등 항일 조직을 공격하기 위해 1938년 조선인 중심으로 조직하여 1939년부터 본격적인 작전을 수행하였으며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존속한 800~900여 명 규모의 대대급 부대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간도특설대 · 더보기 »

강덕상

강덕상(姜德相, 1932년 6월 26일 ~)은 재일한국인으로 일본의 사학자로 한국 근현대사 분야에 종사하고 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덕상 · 더보기 »

박도순 (1888년)

박도순(朴道淳, 일본식 이름: 新井道淳, 1888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도순 (1888년) · 더보기 »

박동익

박동익(朴東翼, 일본식 이름: 朴原東翼,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동익 · 더보기 »

박동호 (1891년)

박동호(朴東鎬, 1891년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동호 (1891년) · 더보기 »

박문웅 (1890년)

박문웅 박문웅(朴文雄, 일본명:朴忠文雄 호추 후미오, 1890년 12월 7일 ~ 1959년 8월 14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문웅 (1890년) · 더보기 »

강경희 (1858년)

강경희(姜敬熙, 1858년 8월 15일 ~ ?)는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로 활동.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경희 (1858년) · 더보기 »

박경양

박경양(朴慶陽, 1864년 양력 8월 6일 ~ 1916년 양력 5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경양 · 더보기 »

강보형

강보형(姜寶馨, 일본식 이름: 鳥山馨, 1892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경찰 간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보형 · 더보기 »

박병운

박병운(朴秉蕓, 일본식 이름: 高木春光)은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병운 · 더보기 »

강병일

강병일(姜炳一, 1892년 6월 24일 ~ 1919년 3월 4일)은 3·1 운동 때 평안남도 강서군의 만세 시위 군중에게 발포했다가 시위대에게 살해된 일제 강점기의 친일 헌병보조원으로, 원적지는 평안남도 강서군 장안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병일 · 더보기 »

강병옥

강병옥(康秉鈺, 1880년 1월 19일 ~ 1928년 7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의사이자 평안남도 지역의 유지였고,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병옥 · 더보기 »

박부양

박부양(朴富陽, 1905년 6월 7일 ~ 1974년 4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부양 · 더보기 »

박기양

박기양(朴箕陽, 1856년 ~ 1932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기양 · 더보기 »

박기환 (1896년)

박기환(朴基煥, 일본식 이름: 松下一晟, 1896년 4월 12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기환 (1896년) · 더보기 »

박노태

박노태(朴魯泰, 일본식 이름: 大井茂生 또는 大井魯泰, 189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노태 · 더보기 »

박용현 (1892년)

박용현(朴龍鉉, 일본식 이름: 新井龍鉉, 1892년 12월 14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용현 (1892년) · 더보기 »

박용섭 (1892년)

박용섭(朴墉燮, 일본식 이름: 木山勝雄, 1892년 11월 26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용섭 (1892년) · 더보기 »

박승봉

박승봉(朴勝鳳, 1871년 ~ 1933년 6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도 관료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승봉 · 더보기 »

박흥식 (1903년)

박흥식(朴興植, 1903년 9월 26일 ~ 1994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대표적인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흥식 (1903년) · 더보기 »

박희도 (1889년)

박희도(朴熙道, 1889년 8월 11일 ~ 1952년 9월 25일)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기독교 목회자, 사상가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희도 (1889년) · 더보기 »

박이순 (1891년)

박이순(朴利淳, 일본식 이름: 大原一夫, 1891년 1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이순 (1891년) · 더보기 »

박이순 (1905년)

박이순(朴彛淳, 일본식 이름: 新井彛淳(신이 이준) 또는 新居 廣(신쿄 히로시), 1905년 7월 18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이순 (1905년) · 더보기 »

박인덕

박인덕(朴仁德, 일본식 이름: 永河仁德, 1896년 9월 24일 ~ 1980년 4월 3일)은 한국의 여성주의 운동가, 초등, 중학교 교사이자 대학 교수이고, 사상가, 언론인, 작가이며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인덕 · 더보기 »

강인우

강인우(姜麟右)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인우 · 더보기 »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제순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중양 · 더보기 »

강창희 (1894년)

강창희(姜昌熙, 1894년 12월 6일 ~ 1976년)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기업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창희 (1894년) · 더보기 »

박춘금

일본 중의원 의원 당선되었을때 당시 박춘금. (중앙에 있는 사람이 박춘금이다.) 박춘금(朴春琴, 1891년 4월 17일 ~ 1973년 3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직업적 친일 인물이자 정치 깡.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춘금 · 더보기 »

박상준 (1876년)

박상준(朴相駿, 일본식 이름: 朴澤相駿, 1876년 ~ 미상)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귀족원 의원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상준 (1876년) · 더보기 »

박태원 (1909년)

박태원(朴泰遠, 1909년 12월 7일 ~ 1986년 7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친일 사회주의 계파 시인, 문학평론가, 소설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태원 (1909년) · 더보기 »

박순천

박순천(朴順天, 1898년 10월 24일(음력 9월 10일) ~ 1983년 1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저술가, 여성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순천 · 더보기 »

박영희 (승려)

박영희(朴暎熙, 일본식 이름: 赫田元雄, 1893년 ~ 1990년 2월 6일)는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 겸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영희 (승려) · 더보기 »

박영준 (1890년)

박영준(朴永俊, 일본식 이름: 松本憲武, 1890년 3월 17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영준 (1890년) · 더보기 »

박영철 (1879년)

박영철(朴榮喆, 1879년 2월 2일 ~ 1939년 3월 10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관료를 지냈고, 여러 친일 단체에서 활동.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영철 (1879년) · 더보기 »

강영석

강영석(姜永錫, 1906년 5월 14일 ~ 1991년 1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 사회주의 운동가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영석 · 더보기 »

박영신 (배우)

박영신(朴永信)은 한국의 배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영신 (배우) · 더보기 »

박선철 (1884년)

박선철(朴善哲, 1884년 음력 1월 1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선철 (1884년) · 더보기 »

강성인

강성인(姜性仁, 일본식 이름: 花田芳吉,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며 법명은 길전(吉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성인 · 더보기 »

박서양 (1875년)

박서양(朴敍陽, 1875년 음력 1월 26일 ~ 1944년 1월 1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서양 (1875년) · 더보기 »

박한용 (역사학자)

'박한용은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한용 (역사학자) · 더보기 »

박암 (1905년)

박암(朴巖, 1905년 10월 10일 ~ ?)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관리를 지낸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암 (1905년) · 더보기 »

강필성

강필성(姜弼成, 1885년 음력 10월 8일 ~ 1939년 양력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에 고위 관료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강필성 · 더보기 »

박원찬

박원찬(朴圓讚, 일본식 이름: 新井圓讚)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며 법명은 운제(雲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박원찬 · 더보기 »

경술국적

경술국적(庚戌國賊)은 1910년 8월 대한제국에서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찬성, 협조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시종원경 윤덕영, 궁내부대신 민병석, 탁지부대신 고영희, 내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친위부장관 겸 시종무관장 이병무, 이완용의 처남인 승녕부총관 조민희 여덟 명의 친일파를 가리.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경술국적 · 더보기 »

고려대학교에 대한 비판과 논란

학교(高麗大學校, Korea University)와 관련된 각종 사건들 가운데 물의를 일으켜서 비판받는 사건들이 다수 존재.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려대학교에 대한 비판과 논란 · 더보기 »

고광만

광만(高光萬, 일본식 이름: 高峰啓光, 1904년 ~ ?)은 제3공화국 문교부장관과 부산대학교 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광만 · 더보기 »

고권삼

삼(高權三)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권삼 · 더보기 »

고승제

승제(高承濟, 1917년 2월 5일 ~ 1995년 12월 1일)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승제 · 더보기 »

고재필

재필(高在珌, 1913년 4월 20일 ~ 2005년 1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관료를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재필 · 더보기 »

고희경 (1873년)

희경(高羲敬, 1873년 7월 22일 ~ 1934년 2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희경 (1873년) · 더보기 »

고희준

희준(高羲駿, 일본식 이름: 高島基, 1880년 11월 ~ ?)은 일제 강점기에 친일 단체 국민협회 간부를 지냈고, 일제 말기에 태평양 전쟁 지원에 참여한 인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희준 · 더보기 »

고일청

일청(高一淸, 일본식 이름: 高峰一淸, 1886년 1월 14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일청 · 더보기 »

고윤상 (경찰)

윤상(高允相)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윤상 (경찰) · 더보기 »

고영희 (1849년)

영희(高永喜, 184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일) ~ 1916년 1월 24일)는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영희 (1849년) · 더보기 »

고원훈

원훈(高元勳, 일본식 이름: 高元勳, 1881년 3월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원훈 · 더보기 »

고황경

황경(高凰京, 1909년 3월 6일 ~ 2000년 11월 2일)은 한국의 사회학자이며 대학교수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고황경 · 더보기 »

곽기종

곽기종(郭基琮, 일본식 이름: 西原祐一)은 한국의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곽기종 · 더보기 »

공성학

공성학, 1946년 사진 공성학(孔聖學, 1879년 ~ 1957년)은 조선의 유학자, 성리학자이자 교육자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상인,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기업인, 교육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공성학 · 더보기 »

계광순

광순(桂珖淳, 1909년 2월 16일 ~ 1990년 3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계광순 · 더보기 »

계응규

응규(桂膺奎, 1869년 음력 2월 2일 ~ 1920년 양력 9월 1일)는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계응규 · 더보기 »

계정식

정식(桂貞植, 1904년 ~ 1974년 10월 3일)은 한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계정식 · 더보기 »

권일 (1911년)

일(權逸, 일본식 이름: 權藤嘉郞, 1911년 8월 22일 ~ 2001년 4월 3일)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법조인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권일 (1911년) · 더보기 »

권중철

중철(權重喆)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간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권중철 · 더보기 »

권중현

중현(權重顯, 1854년 11월 27일(음력 10월 8일) ~ 1934년 3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권중현 · 더보기 »

권상로

상로(權相老, 일본식 이름: 安東相老, 1879년 양력 2월 28일 ~ 1965년 양력 4월 19일)는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권상로 · 더보기 »

권태환

환(權泰煥, 1876년 12월 5일(음력 10월 20일)~1947년 4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권태환 · 더보기 »

김덕기

덕기(金悳基, 1890년 ~ 1950년?)는 일제 강점기의 고등계 경찰 출신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덕기 · 더보기 »

김도태

(金道泰, 1891년 9월 11일 ~ 1956년 12월 26일)는 한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도태 · 더보기 »

김동조

동조(金東祚, 1918년 8월 14일 ~ 2004년 12월 9일, 부산)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외교관, 공무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동조 · 더보기 »

김동주 (1966년)

동주(金東周, 1966년 ~ 2013년 12월 17일)는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 언론인이자 작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동주 (1966년) · 더보기 »

김동진 (1902년)

동진(金東進, 일본식 이름: 金本東進, 1902년 ~ ?)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언론인이며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동진 (1902년) · 더보기 »

김동진 (1913년)

동진(金東振, 일본식 이름: 金森東振, 1913년 3월 22일 ~ 2009년 7월 31일)은 한국의 작곡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동진 (1913년) · 더보기 »

김동현 (1892년)

동현(金東炫, 일본식 이름: 金谷東炫, 1892년 7월 23일 ~ ?)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동현 (1892년) · 더보기 »

김동원 (1884년)

동원(金東元, 일본식 이름: 金岡東元 가네오카 히가시모토, 1884년 2월 1일 ~ 1951년 3월 20일)은 구한말기 애국계몽운동가, 일제강점기 교육인, 사업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동원 (1884년) · 더보기 »

김명준 (1870년)

명준(金明濬, 일본식 이름: 金田明, 1870년 양력 10월 26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명준 (1870년) · 더보기 »

김명수 (1875년)

1927년 이완용 1주기를 기리기 위해 출판한 이완용 평전 《일당기사(一堂紀事)》 김명수(金明秀, 1875년 음력 11월 17일 ~ ?)는 대한제국의 외무 관리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명수 (1875년) · 더보기 »

김명여

명여(金鳴汝, 1868년 11월 2일 ~ ?)는 일제 강점기의 만주 지역 유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명여 · 더보기 »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갑순 · 더보기 »

김경주

경주(金敬注, 일본식 이름: 金山敬注, 1896년 ~ ?)는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며,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경주 · 더보기 »

김복수

복수(金福綏, 1872년 12월 2일 ~ 1950년 6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의 여성으로 윤덕영의 부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복수 · 더보기 »

김병익 (1837년)

병익(金炳翊, 1837년~1921년)은 구한말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좌경(左卿)이며,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병익 (1837년) · 더보기 »

김관 (1910년)

(金管, 일본식 이름: 金澤竹一郞, 1910년 ~ 1946년)은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음악평론가로, 본명은 김복원(金福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관 (1910년) · 더보기 »

김관현

현(金寬鉉, 일본식 이름: 金光副臣, 1876년 3월 3일 ~ 1948년 12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무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관현 · 더보기 »

김대우 (1900년)

우(金大羽, 1900년 7월 10일 ~ 1976년 4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출신 관료로, 평안남도 강동군 출신이며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대우 (1900년) · 더보기 »

김구하

(金九河, 1872년 양력 5월 7일 ~ 1965년 양력 10월 3일)는 한국의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구하 · 더보기 »

김두일 (1898년)

일(金斗一, 일본식 이름: 平川斗一, 1898년 3월 30일 ~ ?)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두일 (1898년) · 더보기 »

김두헌

(金斗憲, 일본식 이름: 鶴山憲, 1903년 12월 27일 ~ 1981년 10월 22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윤리학자이며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두헌 · 더보기 »

김낙헌

낙헌(김락헌)金洛憲, 1874년 양력 7월 28일(음력 6월 15일) ~ 1919년 양력 7월 2일)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지냈다.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낙헌 · 더보기 »

김득황

득황(金得榥, 1915년 10월 7일 ~ 2011년 5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관리를 지내며 항일 운동을 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며 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득황 · 더보기 »

김용식 (법조인)

용식(金龍式, 1896년 ~ 1963년 5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용식 (법조인) · 더보기 »

김우영 (1886년)

우영(金雨英, 일본식 이름: 金雨英, 1886년 10월 23일 ~ 1958년 4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화가 나혜석의 남편이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우영 (1886년) · 더보기 »

김승구

승구(金承久, ? ~ 1994년 11월)는 일제 강점기의 연극인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나리오 작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승구 · 더보기 »

김장섭 (정치인)

장섭(金長涉, 일본식 이름: 金山長涉 또는 金山博信, 1910년 8월 17일 ~ 1993년 12월 21일, 경북 포항)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장섭 (정치인) · 더보기 »

김응조 (군인)

응조(金應祚, 1909년 10월 14일 ~ 1996년 9월 2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응조 (군인) · 더보기 »

김응준 (1869년)

응준(金應駿, 1869년 음력 4월 20일 ~ ?)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응준 (1869년) · 더보기 »

김은호

은호(金殷鎬, 일본식 이름: 鶴山殷鎬 쓰루야마 마사시노기, 1892년 6월 24일 ~ 1979년 2월 7일)는 대한민국의 동양화가, 한국화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은호 · 더보기 »

김정렬 (1917년)

정렬(金貞烈, 일본식 이름: 香川貞雄 카가와 사다오,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외교관, 기업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정렬 (1917년) · 더보기 »

김정호 (1909년)

정호(金正晧, 1909년 1월 19일 ~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정호 (1909년) · 더보기 »

김종석 (1918년)

종석(金鍾碩, 일본식 이름: 日原正人 니치하라 마사히토, 1918년 ~ 194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종석 (1918년) · 더보기 »

김종한 (1844년)

종한(金宗漢, 1844년 ~ 1932년)은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경제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종한 (1844년) · 더보기 »

김종원 (1922년)

종원(金宗元,, 1922년 ~ 1964년 1월 30일, 경북 경산)은 일본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국군의 장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종원 (1922년) · 더보기 »

김찬삼

삼(1926년 6월 5일 ~ 2003년 7월 2일)은 황해도 신천 출신의 여행가 겸 대학교수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찬삼 · 더보기 »

김창룡

창룡(金昌龍, 1920년 7월 18일 ~ 1956년 1월 30일)은 일본군과 대한민국 국군에서 복무를 한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창룡 · 더보기 »

김창규 (1920년)

창규(金昌圭, 1920년 3월 7일 ~)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기업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창규 (1920년) · 더보기 »

김윤근 (법조인)

윤근(金潤根, 일본식 이름: 金村潤根, 1909년 1월 26일 ~ 1996년 10월은26일)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윤근 (법조인) · 더보기 »

김생려

생려(金生麗, 일본식 이름: 金山生麗, 1912년 11월 25일 ~ 1995년 12월 18일)는 한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며 지휘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생려 · 더보기 »

김태흡

흡(金泰洽, 일본식 이름: 金山泰洽, 1899년 4월 4일 ~ 1989년 4월 13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한국의 불교 승려이고, 본명은 김용업(金龍業), 법명은 태흡(泰洽)이고 아호는 소하(素荷)이며 본적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영천동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태흡 · 더보기 »

김순흥

순흥(金淳興, 일본식 이름: 金本淳興, 1910년 12월 28일 ~ 1981년 10월 26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과 대한민국의 자본가이며, 일제 강점기 당시에 친일파로 지목된 바 있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순흥 · 더보기 »

김영철 (1841년)

영철(金永哲, 1841년 ~ 1923년)은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영철 (1841년) · 더보기 »

김사준

사준(金思濬, 1855년 ~ 1917년)은 구한말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사준 · 더보기 »

김사철

사철(金思轍, 1847년 양력 8월 21일 ~ 1935년 양력 2월 17일)은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사철 · 더보기 »

김삼웅

삼웅(金三雄, 1943년 3월 3일 ~)은 대한민국의 작가·언론인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이며, 독립기념관장을 역임하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삼웅 · 더보기 »

김석범 (군인)

석범(金錫範, 일본식 이름: 金山 照 가네야마 미쓰시, 1915년 11월 2일 ~ 1998년 2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석범 (군인) · 더보기 »

김선태 (1911년)

선태(金善太, 일본식 이름: 金澤善太, 1911년 8월 2일 ~ 1978년 11월 28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선태 (1911년) · 더보기 »

김성균 (1908년)

성균(金聲均, 1908년 ~ 1983년)은 일제 강점기에 검열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성균 (1908년) · 더보기 »

김성근 (1835년)

성근(金聲根, 1835년 양력 3월 19일 ~ 1919년 양력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서예가, 정치인이자 성리학자이며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관료, 조선귀족, 친일반민족행위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성근 (1835년) · 더보기 »

김성용

성용(金星鏞, 일본식 이름: 武宮廣明, 1918년 1월 9일 ~ 1999년 1월 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성용 · 더보기 »

김성태 (1910년)

성태(金聖泰, 일본식 이름: 가네시로 히지리타이, 1910년 11월 9일 ~ 2012년 4월 21일)는 대한민국의 바이올린 연주자, 작곡가, 지휘자, 음악교육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성태 (1910년)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성수 (1891년) · 더보기 »

김세완 (1894년)

세완(金世玩, 일본식 이름: 金川遠, 1894년 12월 16일 ~ 1973년 3월 11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대법관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세완 (1894년) · 더보기 »

김소운

소운(金素雲, 1907년 1월 5일 ~ 1981년 11월 2일)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며 수필가, 번역문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소운 · 더보기 »

김한경 (1881년)

경(金漢卿, 1881년 ~ ?)은 일제강점기의 관료, 군수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한경 (1881년) · 더보기 »

김한경 (1902년)

경(金漢卿, 일본식 이름: 金本憲治, 190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운동가, 이론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한경 (1902년) · 더보기 »

김학진

학진(金鶴鎭, 1838년 양력 4월 3일 ~ 1917년 양력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학진 · 더보기 »

김시현 (실업인)

시현(金時鉉, ? ~ 1911년 7월 27일 / 7월 29일)은 구한말, 일제 강점기 초기의 실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시현 (실업인) · 더보기 »

김활란

활란(金活蘭, 일본식 이름: 天城活蘭(아마기 가쓰란),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 친일파이며 아호는 '우월'(又月)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활란 · 더보기 »

김완진 (1877년)

완진(金完鎭, 1877년 음력 2월 17일 ~ 1948년 양력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김완진 (1877년) · 더보기 »

대종교

종교(大倧敎)는 한민족의 교조로 여겨지는 단군을 신봉하는 신흥 종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대종교 · 더보기 »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반민규명위 보고서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大韓民國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 약칭 반민규명위)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이 2004년 3월 22일 공포되면서 이 법률의 시행령에 따라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발족한 기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민국의 뉴라이트(New Right)는 '신흥 우파'를 표방하는 이념이며,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주사파에서 우익으로 전향한 대한민국의 정치 분파를 포괄적으로 뜻하는 용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대한민국의 뉴라이트 · 더보기 »

구연직

연직(具然直, 일본식 이름: 具道信夫, 1891년 7월 9일 ~ 1967년)은 일제 강점기 한국과 대한민국의 장로교 목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구연직 · 더보기 »

구연수

연수(具然壽, 1866년 10월 8일 ~ 1925년 5월 6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관련자이자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출신 고위 협조자의 한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구연수 · 더보기 »

남규희

희(南奎熙, 1859년 12월 19일 ~ 1937년 5월 8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근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남규희 · 더보기 »

남장희

장희(南章熙, 1877년 음력 1월 7일 ~ 1953년 1월 15일)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 남정철 남작의 장남 이며 아버지의 남작위를 습작.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남장희 · 더보기 »

남이섬

이섬의 메타세쿼이아 가로수 길 남이섬(南怡ー)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리에 있는 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남이섬 · 더보기 »

남정철

정철(南廷哲, 1840년 ~ 1916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남정철 · 더보기 »

남상익 (1878년)

상익(南相翊, 1878년 12월 5일(음력 11월 12일) ~ ?)은 대한제국 무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며, 대한민국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남상익 (1878년) · 더보기 »

남상철 (1891년)

상철(南相喆, 1891년 ~ 1978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가톨릭 계열 인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남상철 (1891년) · 더보기 »

나기정 (1863년)

정(羅基貞, 1863년 ~ 1915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조선총독부의 지방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나기정 (1863년) · 더보기 »

노덕술

덕술(盧德述,, 1899년 6월 1일 ~ 1968년 4월 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노덕술 · 더보기 »

노봉익

봉익(盧鳳翼, 일본식 이름: 玉浦義明,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노봉익 · 더보기 »

노익형

익형(盧益亨, 일본식 이름: 瑞原益亨)은 일제 강점기의 출판인이자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노익형 · 더보기 »

노주봉

주봉(盧周鳳, 일본식 이름: 豊川守弘, 1900년 7월 25일 ~ 1945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로, 아명(兒名)은 노주현(盧周鉉)이며 본관은 풍천(豊川)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노주봉 · 더보기 »

노태식

식(盧台植, 일본식 이름: 豊川台植 또는 豊川豊吉, 1892년 2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노태식 · 더보기 »

노성석

성석(盧聖錫, 일본식 이름: 瑞原聖, 1914년 11월 17일 ~ 1946년 1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출판인이자 언론인으로,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노성석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덕수 · 더보기 »

장우성

장우성(張遇聖, 1912년 6월 22일 ~ 2005년 2월 28일)은 한국의 현대 화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우성 · 더보기 »

장인원

장인원(張寅源, 1870년 3월 29일 ~ 1949년 3월 18일)은 조선귀족 장석주의 아들로, 일제 강점기에 남작 작위를 물려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인원 · 더보기 »

장직상

장직상(張稷相, 일본식 이름: 張元稷相 하리모토 지키쇼, 1883년 ~ 1947년)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직상 · 더보기 »

장지연

장지연(張志淵, 1864년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은 대한제국의 애국 계몽 운동가 겸 언론인이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지연 · 더보기 »

장헌식

장헌식(張憲植, 1869년 음력 9월 21일 ~ 1950년 양력 8월 20일)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 관료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헌식 · 더보기 »

장석주 (1848년)

장석주(張錫周, 일본식 이름: 高谷義, 1848년 음력 12월 26일 ~ 1921년 양력 9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장석주 (1848년) · 더보기 »

임헌영 (문학평론가)

임헌영(任軒永, 1941년 1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작가, 언론인, 교육자이며 진보적 문학평론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임헌영 (문학평론가) · 더보기 »

임선준

임선준(任善準, 양력 1861년 1월 27일(1860년 음력 12월 17일) ~ 1919년 양력 2월 21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정미칠적의 한 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임선준 · 더보기 »

이묘묵

이묘묵(李卯默, 일본식 이름: 李宮卯默, 1902년 12월 9일 ~ 1957년 2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평안남도 중화군 상원면 출신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묘묵 · 더보기 »

이각종

이각종(李覺鍾, 일본식 이름: 靑山覺鍾, 1888년 4월 23일 ~ 1968년 6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상북도 대구부 수정(竪町)이며 대구 출신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각종 · 더보기 »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李鍵, 1909년 10월 28일 ~ 1990년 12월 21일) 는 일본의 육군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건 (대한제국 황족) · 더보기 »

이건하

이건하(李乾夏, 1835년 음력 4월 27일 ~ 1913년 양력 11월 7일)는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건하 · 더보기 »

이겸제

이겸제(李謙濟, 일본식 이름: 福田謙治, 1867년 11월 9일 ~ 1947년 7월 6일)는 구한말 무관으로 개화파의 일원이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겸제 · 더보기 »

이범래 (1868년)

이범래(李範來, 1868년 4월 25일 ~ ?)는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범래 (1868년) · 더보기 »

이범팔

이범팔(李範八, 1866년 3월 8일 ~ 1919년 1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남작 작위 습작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범팔 · 더보기 »

이병도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989년 8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이며,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두계(斗溪, 杜溪)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병도 · 더보기 »

이병숙

이병숙(李炳璹, ?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관료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병숙 · 더보기 »

이봉로

이봉로(李鳳魯, 1872년 음력 6월 16일 ~ 1922년 양력 8월 3일)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봉로 · 더보기 »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봉의 · 더보기 »

이근명 (1840년)

이근명(李根命, 1840년 양력 1월 21일 ~ 1916년 양력 6월 11일)은 조선의 의정대신이며 일본 제국으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근명 (1840년) · 더보기 »

이근상 (1874년)

이근상(李根湘, 1874년 9월 14일 ~ 1920년 1월 20일)은 을사오적 이근택의 동생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근상 (1874년) · 더보기 »

이근택

이근택(李根澤, 1865년 9월 30일(음력 8월 11일) ~ 1919년 12월 16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근택 · 더보기 »

이근호 (조선)

이근호(李根澔, 1860년 ~ 1923년)는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근호 (조선)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규완 · 더보기 »

이긍종

이긍종(李肯鍾, 1895년 ~ 1951년 1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긍종 · 더보기 »

이기건

이기건(李奇建, 191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기건 · 더보기 »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두황 · 더보기 »

이용구

이용구(李容九, 1868년 양력 2월 14일(음력 1월 21일) 경상북도 상주 ~ 1912년 양력 5월 22일)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장을 지내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찬성 여론을 이끌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용구 · 더보기 »

이용원 (1832년)

이용원(李容元, 1832년 음력 9월 30일~1911년 양력 8월 16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용원 (1832년) · 더보기 »

이용원 (헌병)

이용원(李容洹, ? ~ ?)은 3·1 운동 때 경상남도 창원군에서 시위 군중에게 총격을 가해 살상한 일제 강점기의 헌병보조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용원 (헌병)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우 · 더보기 »

이우식 (1901년)

이우식(李愚軾, 1901년 11월 26일 ~ 1985년 8월 13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법조인으로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우식 (1901년) · 더보기 »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재각 · 더보기 »

이재정 (1846년)

이재정(李在正, 1846년 음력 1월 7일 ~ 1919년 양력 9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초반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재정 (1846년) · 더보기 »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재완 · 더보기 »

이희두

이희두(李熙斗, 1869년 음력 6월 8일 ~ 1925년 양력 6월 21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희두 · 더보기 »

이인호 (1936년)

이인호(李仁浩, 1936년 5월 19일 ~)는 외교관과 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 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인호 (1936년) · 더보기 »

이정로

이정로(李正魯, 1838년 음력 12월 2일~1923년 양력 5월 1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정로 · 더보기 »

이종건 (1843년)

이종건(李鍾健, 1843년 ~ 1930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종건 (1843년) · 더보기 »

이종욱 (승려)

이종욱(李鍾郁, 일본식 이름: 廣田鍾郁(히로타 쇼이쿠), 1884년 ~ 1969년)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종욱 (승려) · 더보기 »

이종찬 (1916년)

이종찬(李鐘贊, 1916년 3월 10일 ~ 1983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일본군 장교 출신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종찬 (1916년) · 더보기 »

이주영 (1837년)

이주영(李胄榮, 1837년 음력 3월 13일 ~ 1917년 양력 12월 18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주영 (1837년) · 더보기 »

이준상 (1840년)

이준상(李濬相, 1840년 음력 11월 29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준상 (1840년) · 더보기 »

이진호 (1867년)

이진호(李軫鎬,, 1867년 8월 30일(음력 8월 2일) ~ 1946년 9월 3일)는 조선 후기의 개화파 무관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진호 (1867년) · 더보기 »

이지용

이지용(李址鎔, 1870년 10월 23일 ~ 1928년 6월 28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지용 · 더보기 »

이창훈 (조선귀족)

이창훈(李昌薰, 1890년 9월 11일 ~ 1947년 4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원선(元善), 호는 소덕(小悳).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창훈 (조선귀족) · 더보기 »

이상범 (1897년)

이상범(李象範, 1897년 9월 21일 ~ 1972년 5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화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상범 (1897년) · 더보기 »

이영근 (1910년)

이영근(李泳根, 일본식 이름: 河本龍雄, 上田龍男, 191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 이론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영근 (1910년) · 더보기 »

이석기 (1908년)

이석기(李錫基, 일본식 이름: 安平錫基 또는 安平禎秀, 1907년 11월 26일 ~ 1974년 6월 25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석기 (1908년) · 더보기 »

이항구

이항구(李恒九, 1881년 8월 21일 ~ 1945년 3월 6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항구 · 더보기 »

이해창 (1865년)

이해창(李海昌, 1865년 10월 15일 ~ 1945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민족계몽운동과 교육사업에 힘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해창 (1865년) · 더보기 »

이해학

이해학(1943년 11월 3일~)은 한국기독교장로회 목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해학 · 더보기 »

이한림

이한림(李翰林, 1921년 2월 10일 ~ 2012년 4월 29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가,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한림 · 더보기 »

이하영

이하영(李夏榮, 1858년 8월 15일 ~ 1929년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통역관, 외교관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으로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하영 · 더보기 »

이원수 (작가)

이원수(李元壽, 1912년 1월 5일 ~ 1981년 1월 24일)는 대한민국의 아동 문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원수 (작가) · 더보기 »

이완용 (1872년)

이완용(李完鎔, 1872년 12월 13일(음력 11월 13일) ~ 1937년 2월 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장조의 5대손이자 고종의 조카뻘되는 인물이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이완용 (1872년)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은한섭

은한섭(殷漢燮, 1881년 음력 1월 29일 ~ 1953년 양력 5월 17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본관은 행주이며 본적은 전라북도 정읍군 영원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은한섭 · 더보기 »

정미칠적

정미칠적(丁未七賊)은 대한제국에서 을사늑약 체결 2년 후인 1907년 7월에 체결된 한일신협약(제3차 한일협약 또는 정미7조약) 조인에 찬성한 내각 대신 일곱 친일파를 가리.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미칠적 · 더보기 »

정병조

정병조(鄭丙朝, 1863년 양력 11월 2일 ~ 1945년 양력 6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학자로, 자는 관경(寬卿), 호는 규원(葵園)이며 본관은 동래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병조 · 더보기 »

정봉시

정봉시(鄭鳳時, 1855년 양력 6월 5일 ~ 1937년 양력 12월 3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봉시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난교 · 더보기 »

정인흥

정인흥(鄭寅興, 1852년 음력 6월 5일 ~ 1924년 양력 6월 7일)은 의병 재판에 참가한 구한말의 관료,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인흥 · 더보기 »

정주영 (1860년)

정주영(鄭周永, 1860년 12월 23일 ~ 1923년 3월 21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에 남작 작위를 습작한 조선귀족으로, 본관은 영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주영 (1860년) · 더보기 »

정진홍

정진홍(鄭鎭弘, 1855년 음력 3월 22일 ~ 1926년 양력 4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진홍 · 더보기 »

정춘수

정춘수(鄭春洙, 일본식 이름: 禾谷春洙(가타니 슌주), 1875년 2월 11일 ~ 1951년 10월 27일)는 로마 가톨릭 신자이며 파면된 감리교 목사, 친일 행적으로 감리교 성도 자격 상실과 목사직 파면, 로마 가톨릭교회로 개종, 독립운동가였으나 후에 친일파로 변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춘수 · 더보기 »

정한조

정한조(鄭漢朝, 1835년 음력 8월 15일~1917년 양력 5월 28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정한조 · 더보기 »

조동희 (1856년)

조동희(趙同熙, 1856년 8월 4일 ~ 1934년 5월 26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자는 유선(有先), 본관은 양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동희 (1856년) · 더보기 »

조동윤

조동윤(趙東潤, 1871년 ~ 1923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동윤 · 더보기 »

조문기

유만수 조문기(趙文紀, 1927년 5월 19일 ~ 2008년 2월 5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문기 · 더보기 »

조갑제

조갑제(趙甲濟, 1945년 10월 24일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갑제 · 더보기 »

조두남

조두남(趙斗南, 1912년 ~ 1984년 11월 8일)은 한국의 작곡가이자 피아노 연주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두남 · 더보기 »

조용순

조용순(趙容淳, 1898년 2월 19일 - 1975년 8월 27일, 대전)은 일제 강점기에 판사를 지낸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용순 · 더보기 »

조중응

조중응(趙重應, 1860년 11월 4일(음력 9월 22일) ~ 1919년 양력 8월 2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된 인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중응 · 더보기 »

조진만 (1903년)

조진만(趙鎭滿, 일본식 이름: 朝家庸夫, 1903년 10월 20일 ~ 1979년 2월 12일, 인천)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진만 (1903년) · 더보기 »

조진태

조진태(趙鎭泰, 1853년 음력 6월 6일 ~ 1933년 양력 12월 17일)는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 설립위원을 지낸 금융인,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진태 · 더보기 »

조영희

조영희(趙英熙, 1855년 2월 21일(음력 1월 5일) ~ 1930년 3월 14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영희 · 더보기 »

조선공로자명감

조선공로자명감(朝鮮功勞者銘鑑)은 조선총독부가 1935년에 출간한 1910년부터 1935년까지 25년 간 일제통치에 협력한 민관 공로자를 직접 선정한 명단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선공로자명감 · 더보기 »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선귀족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중추원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樞院)은 일제 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으로 존재한 기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 더보기 »

조원성

조원성(趙源誠, 1850년 음력 2월 27일 ~ 1917년 양력 7월 2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조원성 · 더보기 »

천장욱

장욱(千章郁, 일본식 이름: 大山健正, 大山健忠, 1867년 음력 6월 1일 ~ 1923년 양력 9월 1일)은 상인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지방 관료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천장욱 · 더보기 »

친북 반국가 행위자 인명사전

《친북 반국가 행위자 인명사전》(親北 反國家 行爲者 人名辭典, 줄여서 친북인명사전)은 대한민국의 보수계열 민간단체인 국가정상화추진위원회가 친북·반국가 행위자 명단을 수록하여 편찬하고자 하는 사전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친북 반국가 행위자 인명사전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유동작

유동작(柳東作, 1877년 8월 14일(음력 7월 6일) ~ 1910년 1월 31일)은 대한제국 말기 의병 재판에 참가한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동작 · 더보기 »

유만겸

유만겸(兪萬兼, 1889년 7월 13일 ~ 1944년 12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만겸 · 더보기 »

유각경

유각경(兪珏卿, 1892년 ~ 1966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 여성운동가, 기독교 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각경 · 더보기 »

유정수 (1857년)

유정수(柳正秀, 1857년 음력 4월 11일 ~ 1938년 양력 4월 17일)는 개항기 최초의 일본 유학생 중 한 명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정수 (1857년) · 더보기 »

유진오

유진오(兪鎭午, 1906년 5월 13일 ~ 1987년 8월 30일)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법학자,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진오 · 더보기 »

유창렬 (1897년)

유창렬(柳昌烈, 1897년 10월 17일 ~ 1937년 4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창렬 (1897년) · 더보기 »

유영 (1892년)

유영(柳瑛, 일본식 이름: 平山瑛, 1892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영 (1892년)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혁로 · 더보기 »

유억겸

유억겸 (1947년) 유억겸(兪億兼, 1896년 10월 23일 ~ 1947년 11월 8일)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계몽운동가이자 법조인,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억겸 · 더보기 »

유성준 (1860년)

유성준(兪星濬, 1860년 음력 9월 7일 ~ 1934년 양력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인물로 일제 강점기에 고위 관료를 역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성준 (1860년) · 더보기 »

유원식 (군인)

유원식(柳原植, 1914년? ~ 198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유원식 (군인) · 더보기 »

윤덕영

윤덕영(尹德榮, 1873년 12월 27일 ~ 1940년 10월 18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로, 본관은 해평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덕영 · 더보기 »

윤갑병

윤갑병(尹甲炳, 일본식 이름: 平沼秀雄, 1863년 8월 28일 ~ 1943년 1월 5일)은 일제 강점기에 여러 친일단체에서 활동했던 인물로, 본적은 경성부 명륜정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갑병 · 더보기 »

윤강로

윤강로(尹强老, 1919년 2월 12일 ~ 1965년 5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 겸 대한민국의 의사로,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강로 · 더보기 »

윤경로 (1947년)

윤경로(尹慶老, 1947년 4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대학교수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경로 (1947년) · 더보기 »

윤길중

윤길중(尹吉重, 일본식 이름: 平沼吉重, 1916년 8월 14일 함경남도 북청군 ~ 2001년 10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변호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길중 · 더보기 »

윤두선

윤두선(尹斗善, 일본식 이름: 伊東光善 또는 伊藤善太郞)은 일제 강점기의 테너 성악가이며 작곡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두선 · 더보기 »

윤희구

윤희구(尹喜求, 1867년 ~ 1926년)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희구 · 더보기 »

윤익선 (1871년)

윤익선(尹益善, 일본식 이름:平沼榮一, 1871년 ~ 1946년)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익선 (1871년)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치소 · 더보기 »

윤하영 (1867년)

윤하영(尹夏榮, 1867~1915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하영 (1867년)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윤웅렬 · 더보기 »

오긍선

오긍선(吳兢善, 일본식 이름: 吳兢善, 1878년 10월 4일 ~ 1963년 5월 18일)은 구한 말의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의학자,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오긍선 · 더보기 »

오제영

오제영(吳悌泳, 1877년 음력 10월 15일 ~ 1920년 양력 1월 2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오제영 · 더보기 »

현기영

현기영(玄基榮, 1941년 1월 16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현기영 · 더보기 »

현준호

현준호(玄俊鎬, 1889년 8월 29일 ~ 1950년 9월 28일)는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현준호 · 더보기 »

현채

현채(玄采, 1856년 ~ 1925년)는 조선말기 역관,교육인이자,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활동했던 교육인,역사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현채 · 더보기 »

현영섭

현영섭(玄永燮, 일본식 이름: 아마노 미치오(190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 이론가로, 본명은 현영남(玄永男)이며 본적은 경성부 장사동이다.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현영섭 · 더보기 »

최린

린(崔麟, 1878년 1월 25일 ~ 1958년 1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린 · 더보기 »

최경진

경진(崔慶進, 1908년 ~ ?,創氏名:江東慶進)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경찰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공무원이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경진 · 더보기 »

최병모

병모(崔炳模,1949년~)는 대한민국의 변호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병모 · 더보기 »

최병주

병주(崔丙柱, 1903년 ~ ?)는 대한민국의 대법관 출신의 제2대 국회의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병주 · 더보기 »

최병혁 (1878년)

병혁(崔丙赫, 1878년 10월 19일(음력 9월 24일) ~ 1920년 8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병혁 (1878년) · 더보기 »

최근우

우(崔謹愚, 1897년 12월 17일 ~1961년 8월 3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근우 · 더보기 »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남선 · 더보기 »

최승희

승희(崔承喜, 1911년 11월 24일 ~ 1969년 8월 8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용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승희 · 더보기 »

최재서

재서(崔載瑞, 일본식 이름: 石田耕造 이시다 고조, 1908년 2월 11일 ~ 1964년 11월 16일)는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며 영문학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재서 · 더보기 »

최주종

주종(崔周鍾, 1922년 ~ 1998년 3월 3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주종 · 더보기 »

최창학 (1891년)

창학(崔昌學, 일본식 이름:, 1891년 ~ 1959년 10월 12일)은 일제 강점기 및 광복 후 대한민국의 광공업 분야 대표적 친일 기업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창학 (1891년) · 더보기 »

최취허

(崔就墟, 1865년 ~ ?)는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취허 · 더보기 »

최상돈

상돈(崔相敦, 1869년 음력 5월 8일 ~ 1916년 양력 12월 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상돈 · 더보기 »

최연 (1897년)

연(崔燕, 일본식 이름: 高山淸只, 1897년 3월 6일 ~ 1958년 11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경찰로, 본명은 최령(崔鈴)이며 본적은 함경남도 함흥시 복부동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연 (1897년) · 더보기 »

최연국

연국(崔演國, 일본식 이름: 朝日昇, 1886년 2월 24일 ~ 1951년 2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인, 교육인으로, 호는 남주(南洲)이며 본적은 경상남도 사천군 사천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연국 · 더보기 »

최석민

석민(崔錫敏, 1858년 8월 6일 ~ 1915년 양력 12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석민 · 더보기 »

최석현

석현(崔錫鉉, 일본식 이름: 山本祥資, 1893년 8월 17일 ~ 1956년 4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본적은 경상북도 대구부 횡정(橫町)이며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출신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최석현 · 더보기 »

어담

어담(魚潭, 일본식 이름: 西川潭一(니시카와 단이치), 1881년 음력 5월 7일 ~ 1943년 양력 7월 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으로, 본관은 함종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어담 · 더보기 »

양국진 (1916년)

양국진(楊國鎭, 1916년 ~ 1981년)는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 활동.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양국진 (1916년) · 더보기 »

여규형

여규형(呂圭亨, 1848년 ~ 1921년)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여규형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여운형 · 더보기 »

여운홍

여운홍(呂運弘, 1891년 9월 1일 ~ 1973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며 아호는 근농(勤農)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여운홍 · 더보기 »

염무웅

염무웅(廉武雄, 본명 염홍경, 1941년 ~)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염무웅 · 더보기 »

허하백

백(許河伯, 일본식 이름: 金村河伯 가네무라 가와하쿠, 1909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교육인 겸 여성계 인물로 조각가 김복진의 부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허하백 · 더보기 »

엄인섭

엄인섭(嚴仁燮, 1875년 ~ 1936년)은 일제강점기 시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한 일제 밀정으로 악명이 높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엄인섭 · 더보기 »

엄태영 (1875년)

엄태영(嚴台永, 1875년 음력 7월 28일 ~ 1912년 양력 9월 15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엄태영 (1875년) · 더보기 »

성기운

성기운(成岐運, 1847년 12월 10일 ~ 1924년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봉서(鳳瑞), 호는 건제(健齊)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성기운 · 더보기 »

성하국

성하국(成夏國, 1846년 음력 4월 2일 ~ 1915년 양력 2월 24일)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성하국 · 더보기 »

서회보

서회보(徐晦輔, 1849년 음력 7월 27일 ~ 1919년 양력 7월 27일)는 대한제국의 지방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서회보 · 더보기 »

서은숙

서은숙(徐恩淑, 일본식 이름: 徐城恩淑, 1900년 12월 19일 ~ 1977년 7월 2일)은 한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서은숙 · 더보기 »

손정규

손정규(孫貞圭, 일본식 이름: 伊原圭 또는 伊原貞圭, 1896년 ~ 1950년?)는 한국의 교육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손정규 · 더보기 »

손지환 (언론인)

손지환(孫枝煥, 1910년 7월 3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으로 만주 지역에서 활동.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손지환 (언론인) · 더보기 »

송병준

송병준(宋秉畯,, 개명전, 1857년 10월 7일(음력 8월 20일) ~ 1925년 2월 1일)은 조선 말기에 활동한 무관 정치인으로, 정미칠적 중 한 사람이며 한일 합병 조약 체결 과정에서도 일진회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송병준 · 더보기 »

송금선

송금선(宋今璇, 일본식 이름: 福澤玲子(후쿠자와 레이코), 1905년 1월 15일 ~ 1987년 10월 24일, 한성부 출생)은 덕성여자대학교 초대 학장을 지낸 한국의 교육자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송금선 · 더보기 »

송종헌

송종헌(宋鍾憲, 일본식 이름: 野田鍾憲, 1876년 10월 19일 ~ 1949년 5월 21일)은 송병준의 아들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송종헌 · 더보기 »

송지헌 (1872년)

송지헌(宋之憲, 1872년 음력 10월 29일~1934년 양력 11월 26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송지헌 (1872년) · 더보기 »

송헌빈

송헌빈(宋憲斌, 1841년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송헌빈 · 더보기 »

함승호

승호(咸升鎬, 1894년 ?월 ?일 ~ 1981년 ?월 ?일)는 일제 강점기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법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함승호 · 더보기 »

한동석 (1909년)

동석(韓東錫, 일본식 이름: 朝川東錫, 1909년 4월 30일 ~ 1956년 8월 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한동석 (1909년) · 더보기 »

한규복 (1881년)

복 한규복(韓圭復, 일본식 이름: 井垣圭復, 1881년 7월 7일 ~ 1967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통역관, 화가, 서예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서예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한규복 (1881년) · 더보기 »

한국의 미술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한국의 미술은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서 발생했던 미술을 말. 고분벽화, 불화, 문인화, 산수화 같은 평면 시각매체 예술과, 불상, 석탑, 도자기 같은 입체 시각매체 예술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한국의 미술 · 더보기 »

한상룡

상룡 한상룡(韓相龍, 1880년 10월 16일 ~ 1947년 10월 30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금융인, 기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참의와 고문을 지냈으며 본관은 청주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한상룡 · 더보기 »

안병범 (1890년)

안병범(安秉範, 일본식 이름: 亀村貞信, 1890년 ~ 1950년 7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병범 (1890년) · 더보기 »

안병춘 (관료)

안병춘(安秉春)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병춘 (관료) · 더보기 »

안광수 (1925년)

안광수(安光銖, 일본식 이름: 龜村正經, 1925년 ~ 1975년 1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예편 후에는 외교관으로도 활동.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광수 (1925년) · 더보기 »

안용백

안용백(安龍伯, 일본식 이름: 竹山龍伯, 1901년 2월 24일 ~ 1977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대한민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용백 · 더보기 »

안용대

안용대(安龍大, 일본식 이름: 安田龍大, 1913년 1월 13일 경북 경주 ~ 1999년 5월 6일)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용대 · 더보기 »

안인식

안인식(安寅植, 1891년 11월 14일 ~ 1969년 3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이자 유교 계열의 학자로, 자는 공작(公鵲), 호는 미산(嵋山)이며 본적은 충청남도 당진군 순성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인식 · 더보기 »

안익조

안익조(安益祚, 1903년 ~ 1950년 11월 7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음악인, 의사 겸 군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익조 · 더보기 »

안익태

안익태(安益泰,, 1906년 12월 5일 ~ 1965년 9월 16일)는 한국 출신의 스페인 작곡가, 첼리스트, 트럼페터,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로, 대한민국의 국가(國歌)인 애국가를 작곡했으며, 대표 작품으로 한국환상곡이 있. 현재 친일인명사전에 올라가 있.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익태 · 더보기 »

안준 (대동민우회)

안준(安浚, 1889년 ~ ?)은 일제강점기 공산주의 운동가·언론인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말기에 친일파로 변절해 대동민우회 단체 이사장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안준 (대동민우회) · 더보기 »

하준석 (1898년)

준석(河駿錫, 일본식 이름: 河本駿錫, 1898년 4월 28일 ~ 1976년 1월 21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본적은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면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하준석 (1898년) · 더보기 »

하판락

락(河判洛, 일본식 이름: 가와모토 한라쿠(河本判洛), 가와모토 마사오(河本正夫), 1912년 2월 15일 ~ 2003년 9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고등계 경찰로,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원적지는 경상남도 진주군 명석면 관지리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하판락 · 더보기 »

하태경

경(河泰慶, 1968년 4월 26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하태경 · 더보기 »

암태도 소작쟁의

암태도 소작쟁의(巖泰島小作爭議)는 1923년 8월부터 1924년 8월 사이에 전라남도 무안군 암태면(오늘날의 신안군 암태면) 암태도의 소작농들이 벌인 농민항쟁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암태도 소작쟁의 · 더보기 »

신봉조

신봉조(辛鳳祚, 일본식 이름: 辛島 純 가나이시마 준, 1900년 ~ 1992년 12월 27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봉조 · 더보기 »

신기석

신기석(申基碩, 1908년 5월 6일 ~ 1989년 2월 2일)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국 관리를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교육인,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기석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응희 · 더보기 »

신상묵

신상묵(辛相默, 1916년 8월 ~ 1984년)은 일제 강점기의 일본 군인 이자 대한민국의 경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상묵 · 더보기 »

신태영 (1891년)

신태영(申泰英, 일본식 이름: 平山輔英 히라야마 타스쿠에이, 1891년 2월 1일 ~ 1959년 4월 8일)은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자 대한민국 육군 장성 및 정치인이며 본관은 평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태영 (1891년) · 더보기 »

신태악

신태악(辛泰嶽, 일본식 이름: 三川泰嶽 또는 三川淸, 1902년 3월 4일 ~ 1980년)은 대한변호사협회 제9대 회장을 지낸 한국의 법조인, 정치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태악 · 더보기 »

신현준 (군인)

신현준(申鉉俊, 1915년 10월 23일 ~ 2007년 10월 15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현준 (군인) · 더보기 »

신학진

신학진(申鶴鎭, 1911년 11월 6일 ~ 1995년 1월 27일)은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예편 후에는 기업인으로서 사회 단체에서도 활동.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신학진 · 더보기 »

시일야방성대곡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 2면 사설란에 실린 '시일야방성대곡'.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은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올린 글의 제목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시일야방성대곡 · 더보기 »

원용덕

원용덕(元容德, 1908년 ~ 1968년 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겸 내과 의사 및 정치가로 제1공화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원용덕 · 더보기 »

홍승목

홍승목(洪承穆, 1847년 음력 10월 11일 ~ 1925년 양력 2월 1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홍승목 · 더보기 »

홍재하

홍재하(洪在夏, 1852년 음력 2월 14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홍재하 · 더보기 »

홍종인

홍종인(1903년 11월 27일(음력) ~ 1998년 6월 10일)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홍종인 · 더보기 »

홍진기

홍진기(洪璡基, 1917년 3월 13일 ~ 1986년 7월 13일)는 대한민국의 관료이자 언론인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홍진기 · 더보기 »

홍태욱

홍태욱(洪泰旭, 일본식 이름: 德山道平, ? ~ 1945년 12월 28일)은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홍태욱 · 더보기 »

홍사익

홍사익과 그 가족 홍사익(洪思翊, 1887년 2월 2일 ~ 1946년 9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일본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 육군 중장을.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홍사익 · 더보기 »

황철

황철(黃徹, 1912년 1월 11일 ~ 1961년 6월 9일)은 일제 강점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 배우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황철 · 더보기 »

황신덕

황신덕 황신덕(黃信德, 1898년 ~ 1983년 11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교육자, 사회운동가, 여성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교육자, 여성운동가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황신덕 · 더보기 »

11월 8일

1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2번째(윤년일 경우 3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11월 8일 · 더보기 »

2005년 8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2005년 8월 · 더보기 »

2007년 1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2007년 11월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2008년 · 더보기 »

2008년 4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2008년 4월 · 더보기 »

2009년 1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2009년 11월 · 더보기 »

4월 29일

4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9번째(윤년일 경우 12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친일인명사전와 4월 29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