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카론 (위성)

색인 카론 (위성)

(Charon) 혹은 134340 명왕성 I(소행성명 134340 Pluto I)는 왜소행성 명왕성의 발견된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위성으로 1978년에 워싱턴 DC에 위치한 미군 해군 천문대에서 발견되었.

32 처지: 로슈 한계, 명왕성, 명왕성의 일식, 명왕성의 위성, 명왕성형 천체, ,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겉보기등급,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뉴 허라이즌스, 스틱스 (위성), 트리톤 (위성), 히드라 (위성), 이중행성, 점성술의 행성, 질량 중심,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 카론, 케르베로스 (위성), 위성, 위성 목록, 샤론, 태양계,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얼음 위성, 행성, 해왕성 바깥 천체, 왜행성, 1978년, 20세기 연표, 6월 22일, 90377 세드나.

로슈 한계

슈 한계(Roche limit) 혹은 로슈 반지름은 위성이 모행성의 중력에 의한 기조력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접근할 수 있. 로슈 한계 안쪽에서는 궤도를 도는 물질이 부서져 원반을 형성하며, 한계 바깥쪽의 물질은 한데 뭉치는 경향이 있. 이 한계는 1848년에 프랑스의 천문학자인 에두아르 로슈(Édouard Roche)가 처음 계산하였.

새로운!!: 카론 (위성)와 로슈 한계 · 더보기 »

명왕성

섬네일 명왕성(冥王星, Pluto) 또는 왜소행성 134340 명왕성(소행성명 134340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며, 현재 카이퍼 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파악되었.

새로운!!: 카론 (위성)와 명왕성 · 더보기 »

명왕성의 일식

명왕성의 일식은 명왕성에서 일어나는 일식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명왕성의 일식 · 더보기 »

명왕성의 위성

명왕성, 카론, 히드라, 닉스는 뉴 허라이즌스가 촬영한 이미지 이다. 명왕성과 카론의 크기비율은 비슷하나 나머지 4개의 위성은 일치하지 않는다. 명왕성의 위성은 현재 5개가 발견되었.

새로운!!: 카론 (위성)와 명왕성의 위성 · 더보기 »

명왕성형 천체

명왕성형 천체(Plutoid) 또는 얼음 왜행성(ice dwarf)이란 해왕성 바깥 천체인 왜행성을 말. 국제천문연맹에서는 해왕성 바깥 천체 중 명왕성, 에리스가 왜행성에 속한다고 공식 확인하였.

새로운!!: 카론 (위성)와 명왕성형 천체 · 더보기 »

물()은 산소와 수소가 결합된 것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화학 물질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물 · 더보기 »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이하 표는 반지름 순 태양계 천체 목록으로, 반지름 기준으로 큰 천체부터 작은 천체까지 차례대로 정. 이 목록은 모든 천체를 총망라한 것은 아니며, 태양, 행성, 큰 위성들 및 중요한 천체들을 싣고 있. 이하 표의 순서는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과 일치하지는 않. 왜냐하면 일부 천체의 경우 다른 천체보다 밀도가 작거나 더 큰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반지름순 태양계 천체 목록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겉보기등급 · 더보기 »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전적 카이퍼 대 천체(Classical Kuiper belt object)는 큐비원족(QB1族, Cubewano)라고도 불리며 해왕성 바깥 궤도를 도는 카이퍼 대 천체로, 해왕성의 궤도공명 효과를 받지 않는 천체를 말. 긴 반지름이 40~50AU로, 명왕성과 달리 해왕성의 궤도를 가로지르지 않. 큐비원족이라는 이름은 명왕성과 카론을 제외하고는 처음 발견된 해왕성 바깥 천체인 의 이름에서 왔.

새로운!!: 카론 (위성)와 고전적 카이퍼 대 천체 · 더보기 »

뉴 허라이즌스

이즌스(New Horizons:'새로운 지평선'이라는 뜻)는 명왕성으로 향하는 NASA이 추진하는 뉴 프런티어 계획의 일환인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뉴 허라이즌스 · 더보기 »

스틱스 (위성)

스틱스()는 명왕성의 위성 중 하나로, 마크 R. 쇼월터와 그의 연구팀이 2012년 6월 26일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명왕성계의 이미지에서 발견하여 같은 해 7월 11일에 발견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

새로운!!: 카론 (위성)와 스틱스 (위성) · 더보기 »

트리톤 (위성)

리톤(Triton 또는 Neptune I)은 해왕성의 가장 큰 위성이고,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천체에 속. 직경은 2706km 이며 태양계 위성 중에서 7번.

새로운!!: 카론 (위성)와 트리톤 (위성) · 더보기 »

히드라 (위성)

히드라(Hydra) 혹은 134340 명왕성 III(소행성명 134340 Pluto III)는 명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히드라 (위성) · 더보기 »

이중행성

와 달의 무게 중심은 지구의 표면 내에 있기 때문에 이들 두 천체는 행성 위성 시스템으로 언급되어왔다. 이중행성(二重行星) 혹은 복행성(複行星)은 비공식적 용어로 충분히 큰 위성이 있어 무게 중심이 행성의 표면 밖에 있는 행성을 서술하는데 쓰인.

새로운!!: 카론 (위성)와 이중행성 · 더보기 »

점성술의 행성

점성술의 행성(占星術-行星, Planets in astrology)은 행성이란 무엇인가를 이해하는 현대 천문학과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 망원경의 시대 이전에, 밤하늘은 매우 유사한 두 가지의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졌.: 각각 다른 것과 관계해서 정지된 상태로 있는 고정된 별들, 그리고 그 고정된 별들과 관련해서 한 해의 행로 위에서 움직이는 방랑하는 별들(고대 그리스어: ἀστέρες πλανῆται 아스테레스 플란네타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점성술의 행성 · 더보기 »

질량 중심

량 중심(質量中心)은 물체 전체의 질량의 중심점으로, 전체 질량이 질량 중심에 있는 것처럼 외부 계와 작용.

새로운!!: 카론 (위성)와 질량 중심 · 더보기 »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

본 문서는 질량 순으로 태양계의 천체들을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으로 정리.

새로운!!: 카론 (위성)와 질량순 태양계 천체 목록 · 더보기 »

카론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카론 (위성)와 카론 · 더보기 »

케르베로스 (위성)

르베로스(Kerberos)는 명왕성의 위성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케르베로스 (위성) · 더보기 »

위성

양계 위성 자연위성(自然衛星) 또는 단순히 위성(衛星)은 행성 따위의 둘레를 도는 천체를 말. 사람이 만든 위성은 인공위성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위성 · 더보기 »

위성 목록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들을 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위성들은 181개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위성 목록 · 더보기 »

샤론

샤론 또는 섀런(Sharon)은 영어권 인명으로,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카론 (위성)와 샤론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새로운!!: 카론 (위성)와 태양계 · 더보기 »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원시 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이론(太陽系- 形成- 進化理論)은 태양계의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해 그 과정을 이론으로 정립한 것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 · 더보기 »

얼음 위성

얼음 위성()은 표면 대부분이 얼음으로 뒤덮인 자연위성을 말. 얼음 위성은 표면 아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핵의 구성 성분은 철질 또는 규산염질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얼음 위성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행성 · 더보기 »

해왕성 바깥 천체

여덟 개의 가장 큰 해왕성 바깥 천체 해왕성 바깥 천체는 태양계에서 궤도 장반경이 해왕성의 그것보다 긴 천체를 말. 카이퍼 대나 산란원반, 오르트 구름에 있는 천체가 이에 속. 대표적인 천체인 명왕성은 1930년에 발견되었지만 그 후로 오랫동안 해왕성 바깥 쪽에서는 천체가 발견되지 않았.

새로운!!: 카론 (위성)와 해왕성 바깥 천체 · 더보기 »

왜행성

왜행성 에리스 왜행성(矮行星, dwarf planet)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에서 2006년 8월 24일 정의하였.

새로운!!: 카론 (위성)와 왜행성 · 더보기 »

1978년

197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1978년 · 더보기 »

20세기 연표

20세기의 연표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20세기 연표 · 더보기 »

6월 22일

6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3번째(윤년일 경우 17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카론 (위성)와 6월 22일 · 더보기 »

90377 세드나

90377 세드나(90377 Sedna)는 그 궤도가 태양계 외곽에 미치는 커다란 소행성체이.

새로운!!: 카론 (위성)와 90377 세드나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케이론 (위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