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코친차이나

색인 코친차이나

이나(交趾支那)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베트남 남부의 사이공을 중심으로 한 남부지역이었.

52 처지: 끼호아 전투, 락검-쏘아이뭇 전투, 명호작전, 미토 (베트남), 미토 점령, 바오다이 황제,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음악, 베트남 전쟁, 베트남 철도, 베트남-프랑스 관계, 베트남국, 베트남의 국기, 베트남의 철도, 베트남의 행정 구역, 베트남의 역사, 붕따우, 비명을 찾아서, 뜨득 황제, 대동아공영권, 나폴레옹 3세, 달랏, 쟈딘 성, 응우옌 왕조, 응우옌쭝쩍,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청불 전쟁, 코친차이나 공화국, 코친차이나 전역, 판타인잔, 호찌민, 호찌민 시, 호찌민 시 박물관, 호찌민 시립 극장, 호앙반타이, 옛 나라 목록, 사이공 포위전, 사이공 조약, 피에르 피뇨 드 비엔, 프랑스령 라오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프랑수아 쥘 아르망, 프란시스 가르니에, 통킹, 알렉상드르 드 로드, 안남, 안남 (동음이의), 앙리 리비에르, 식민지와 지배 국가 목록, 후에 조약 (1863년), ..., 후에 조약 (1883년), 후에 조약 (1884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 더) »

끼호아 전투

호아 전투(Battle of Kỳ Hòa)는 1861년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프랑스에게 중요한 승리를 가져다 준 코친차이나 전역(1858년 ~1862)의 일부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끼호아 전투 · 더보기 »

락검-쏘아이뭇 전투

락검-쏘아이뭇 전투()는 베트남의 떠이선군과 시암-응우옌아인 연합군 간에 1785년 1월 19일 현재 띠엔장으로 불리는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락검-쏘아이뭇 전투 · 더보기 »

명호작전

명호작전(明号作戰, Operation Bright Moon)은 1945년 3월 9일에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일본군이 실행한 전략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명호작전 · 더보기 »

미토 (베트남)

미토()는 베트남 띠엔장 성의 성도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미토 (베트남) · 더보기 »

미토 점령

미토 점령(Capture of My Tho)은 1861년 4월 12일 코친차이나 전역에서 중요한 승리를 거둔 전투였.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미토 점령 · 더보기 »

바오다이 황제

바오다이(保大, 1913년 10월 22일 ~ 1997년 7월 31일)는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제13대 황제(재위: 1925년 11월 13일(정식 즉위는 1926년 1월 8일) ~ 1945년 3월 11일)이자 베트남 제국의 황제(재위: 1945년 3월 11일 ~ 1945년 8월 23일)이고 베트남국(베트남 공화국)의 국장(재임: 1949년 6월 13일 ~ 1955년 4월 30일)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바오다이 황제 · 더보기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의 지도 베트남 공화국(越南共和國,, 월남공화) 또는 남베트남(南越南) 은 1955년 10월 26일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 북위 17도 베트남 군사분계선 이남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 공화국 · 더보기 »

베트남 음악

베트남의 음악은 원주민과 외국인의 영향으로 매우 다양하고 혼합적인 특색을 지니고 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 음악 · 더보기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1946년 12월 19일 - 1954년 8월 1일) 이후 분단되었던 베트남에서 1955년 11월 1일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 전쟁 · 더보기 »

베트남 철도

베트남 철도 부설의 과정 사이공 역을 출발하는 기차 하노이의 미터 궤간 철도 빈 역에 전시된 증기기관차 하노이 역 남북선의 객차 남북선의 침실차 달랏-탑짬 선을 운행중인 TU7 디젤 기관차 D4H-528 베트남 철도()는 베트남의 철도를 운영하는 베트남의 국유 철도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 철도 · 더보기 »

베트남-프랑스 관계

이 문서는 베트남-프랑스 간 관계에 대한 설명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프랑스 관계 · 더보기 »

베트남국

베트남국(越南國)은 1949년 6월 14일부터 1955년 10월 26일까지 베트남에 존재한 프랑스의 괴뢰국이었으며,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다이를 국가 원수로 내세워 베트남의 정통 국가로서 베트남 민주공화국에 대항.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국 · 더보기 »

베트남의 국기

베트남의 국기는 금성홍기(金星紅旗)라고도 하며, 베트남 혁명가인 응우옌 흐우 티엔이 1940년 프랑스 식민통치에 반기를 든 코친차이나 봉기에서 처음 사용.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의 국기 · 더보기 »

베트남의 철도

베트남의 철도는 베트남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 시스템, 차량 등을 의미.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의 철도 · 더보기 »

베트남의 행정 구역

베트남의 행정 구역 베트남의 행정 구역은 3단계로 성(제1급 행정구), 현(제2급 행정구), 사(제3급 행정구) 단위로 구성되어 있. 보다 큰 단위로는 전국을 8개 지방으로 나눈 것도 있지만 편의상 행정 구역이며 정식 지방 행정 단위는 아. 2008년 8월 1일 하떠이 성이 하노이에 편입됨으로써 59개 성(tỉnh)이 58개로 줄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베트남의 역사

이 문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온 베트남의 역사에 대해 서술.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베트남의 역사 · 더보기 »

붕따우

붕따우((봉조))는 베트남 남쪽 바리어붕따우 성의 도시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붕따우 · 더보기 »

비명을 찾아서

《비명을 찾아서: 경성, 쇼우와 62년(碑銘을 찾아서: 京城, 쇼우와 62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복거일이 1987년에 발표한 장편 대체 역사 소설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비명을 찾아서 · 더보기 »

뜨득 황제

사덕제(민망(明命) 10년 8월 25일(1829년 9월 22일) ~ 뜨득(嗣德) 36년 6월 6일(1883년 7월 9일))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제 4대 군주(재위: 1847년 - 1883년)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뜨득 황제 · 더보기 »

대동아공영권

1942년 일본제국의 최대판도 대동아공영권()은 쇼와 시대 일본 제국 정부와 일본군에 의해 고안, 점령지의 아시아인들에게 동아시아보다 더 큰 영역에서의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의 문화적, 경제적 통합이라고 선전된 개념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대동아공영권 · 더보기 »

나폴레옹 3세

옹 3세 또는 샤를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1808년 4월 20일 ~ 1873년 1월 9일)는 최초의 프랑스 대통령이자 두 번째 프랑스 황제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나폴레옹 3세 · 더보기 »

달랏

랏 시()는 베트남의 럼동 성(Lâm Đồng)의 성도로 럼비엔(Lâm Viên) 고원에 자리하고 있. 해발 1,500m 고도에 넓이는 393.29km2, 인구는 2009년 기준 206,895명(1999년을 기준 12만명)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달랏 · 더보기 »

쟈딘 성

요새의 원형 설계도 쟈딘 성(한월어: 嘉定城, IPA: /tʰɐn˨˩ za dɪn˨/) 또는 사이공 성(Citadel of Saigon)은 1790년에 축조되고 1859년 2월에 파괴된 베트남의 사이공(현 호찌민 시)에 구축된 별모양 요새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쟈딘 성 · 더보기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1558년 ~ 1777년, 1802년 ~ 1945년) 또는 완조()는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응우옌 왕조 · 더보기 »

응우옌쭝쩍

응우옌쭝쩍((), 1839년 - 1868년 10월 27일)는 1860년대 베트남 남부 메콩 델타에서 프랑스 식민지 세력과 맞서 마을 민병대를 조직하고 이끌어 낸 베트남 어부였.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응우옌쭝쩍 · 더보기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The First Indochina War) 또는 베트남 독립 전쟁은 1946년 12월 19일부터 1954년 8월 1일까지 프랑스와 비엣민 간의 전쟁으로 프랑스-베트남 전쟁(the Franco-Vietminh War) 등으로 불린.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더보기 »

청불 전쟁

청불 전쟁(淸佛戰爭) 혹은 중불 전쟁(中佛戰爭)은 1884년 8월에서 1885년 4월까지 베트남 북부의 통킹을 프랑스가 차지하기 위하여 벌인 전쟁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청불 전쟁 · 더보기 »

코친차이나 공화국

이나 공화국의 국기 코친차이나 공화국 또는 남기 공화국, 남기국, 인도차이나 공화국()은 베트남 남부 코친차이나(Cochinchina)에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존속한 공화국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코친차이나 공화국 · 더보기 »

코친차이나 전역

이나 전역(Cochinchina Campaign, 1858년–1862년)은 프랑스와 스페인이 연합하여, 베트남과 벌인 전쟁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코친차이나 전역 · 더보기 »

판타인잔

리에서 촬영한 사진 판타인잔(1796년 11월 11일 - 1867년 8월 4일)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 말기의 정치인, 유학자, 외교관, 군인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판타인잔 · 더보기 »

호찌민

호찌민(호치민.), 1890년 5월 19일 ~ 1969년 9월 2일)은 베트남의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원래 이름은 응우옌신꿍()이며 자(字)는 떳타인(), 호(號)는 아이꾸옥(), 투옹()이다. 가명으로는 응우옌 아이꾸옥(), 리투이() 등을 사용하였다. 베트남 사람들에게는 호 아저씨()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호찌민이라는 이름은 깨우치는 자라는 뜻을 지녔다. 호치민은 중국어 독음 이름 후즈밍을 비롯하여 생전에 가명과 필명이 모두 약 160여 개 이상 되었다. 호찌민은 판보이쩌우 이후 베트남 독립운동의 주요 인물로 일생을 베트남의 독립을 위해 바쳤으며,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독립연맹 등을 창건하였고, 1945년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선포하고 정부수상(1946-1955)과 국가주석(1955~1969)을 지냈다. 호찌민은 1911년 대 초 사이공에서 프랑스 선적의 배에 선원으로 취직하여 미국을 거쳐 프랑스로 가 유학하던 중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30년에는 중국에서 베트남 공산당(현 베트남 노동당의 전신)을 창건하여 이끌었고, 제2차 세계대전 중 베트남으로 돌아가 항일 독립 전쟁을 하였다. 전쟁이 종결된 1945년 9월 2일 프랑스 의 괴뢰로 전락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 바오다이를 폐위시키고 독립을 선언하였다. 1946년, 프랑스와 독립 협상을 추진하였으나 프랑스가 협상 전에 베트남 남부에 임시 정부를 설치한 뒤 이를 코친차이나 공화국으로 발전시키자 이에 반발, 협상을 결렬시킨 뒤 반프랑스 전쟁을 감행하였다.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최종 승리하여 프랑스군을 몰아냈다. 그러나 미국, 소련 등이 가담하고 베트남 전쟁이 벌어지면서 북베트남의 최고 군사 지휘관으로서 전쟁을 지속하였다. 호찌민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9년 9월 2일 베트남의 통일을 보지 못한 채 심장질환으로 사망하였다. 호찌민은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피식민지 독립국가의 정치지도자의 한 사람이자 저명한 사회주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베트남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의 여러 방언과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였으며 태국어,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에도 능했다. 종전 후 베트남 공화국의 수도였던 사이공은 그의 이름을 따 호치민 시로 개명되었다.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호찌민 · 더보기 »

호찌민 시

호찌민 시(胡志明市, 호지명시)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도시로 사이공 강과 동나이 강 하류에 자리잡고 있. 16세기에 베트남인에게 정복되기 전에는 프레이 노코르 란 이름의 캄보디아의 주요 항구였.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호찌민 시 · 더보기 »

호찌민 시 박물관

호찌민 박물관 호찌민 시 박물관()은 베트남 호찌민 시에 있는 박물관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호찌민 시 박물관 · 더보기 »

호찌민 시립 극장

호치민 시립 극장() 또는 사이공 오페라 하우스()는 베트남 호치민 시에 있는 극장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호찌민 시립 극장 · 더보기 »

호앙반타이

호앙반타이(1915년 5월 1일 ~ 1986년 7월 2일)은 베트남의 독립운동가이자, 공산주의 정치인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호앙반타이 · 더보기 »

옛 나라 목록

옛 나라 목록에서는 인류 역사상 과거에 존재했던 국가, 국제 기구 또는 영토를 점유한 게릴라, 정부, 정권, 테러 조직, 망명 정부, 부대 그리고 무장단체 등을 기술하였습.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옛 나라 목록 · 더보기 »

사이공 포위전

사이공 포위전(Siege of Saigon)은 1859년 2월 17일 샤를 리고 드 주누이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스페인 연합군에 의해 사이공이 함락된 이후에 베트남 군이 2년 동안 전개한 포위 공격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사이공 포위전 · 더보기 »

사이공 조약

사이공 조약(Hòa ước Nhâm Tuất)은 1862년에 응우옌 왕조의 월남과 프랑스 간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사이공 조약 · 더보기 »

피에르 피뇨 드 비엔

에르 조제프 조르주 피뇨(1741년 11월 2일 - 1799년 10월 9일)는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피에르 피뇨 드 비엔 · 더보기 »

프랑스령 라오스

랑스령 라오스(영어:French Laos)는 프랑스의 보호령이자 식민지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프랑스령 라오스 · 더보기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랑스령 인도차이나(印度支那)는 동남아시아의 프랑스 식민지로 이뤄진 연방으로 코친차이나 · 통킹 · 안남 · 라오스 · 캄보디아로 이루어져 있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더보기 »

프랑수아 쥘 아르망

랑수아 쥘 아르망(Jules Harmand, 1845년 10월 23일 ~ 1921년 1월 14일)은 프랑스의 정치인, 의사, 탐험가, 외교관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프랑수아 쥘 아르망 · 더보기 »

프란시스 가르니에

마리 조제프 프랑수아 가르니에(Marie Joseph François Garnier, 1839년 7월 25일 - 1873년 12월 21일) 또는 프란시스 가르니에(Francis Garnier)는 프랑스의 해군 장교, 탐험가로 동남아시아의 메콩강 탐험으로 알려져 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프란시스 가르니에 · 더보기 »

통킹

시대별 베트남 지도 통킹(로마자로는 Tonkin, Tongkin, Tongking 등으로 표기)은 베트남 북부 홍 강 유역 지역을 말. 이 지역의 중심 도시인 하노이의 15세기경 옛 이름인 "동낀"()에서 유. 프랑스의 식민지 체제 하에서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를 구성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 북부의 보호령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되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통킹 · 더보기 »

알렉상드르 드 로드

알렉상드르 드 로드 알렉상드르 드 로드(1591년 3월 15일 -1660년 11월 5일)는 프랑스 아비뇽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알렉상드르 드 로드 · 더보기 »

안남

안남(安南)은 당나라가 하노이에 설치한 안남도호부에 유래하여 현재의 베트남 북부에서 중부를 가리키는 지리적 명칭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안남 · 더보기 »

안남 (동음이의)

안남(安南)은 아래와 같은 뜻을 내포하고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안남 (동음이의) · 더보기 »

앙리 리비에르

앙리 로랑 리비에르(Henri Laurent Rivière, 1827년 12월 12일- 1883년 5월 19일)는 프랑스 해군의 장교이자 작가였으며, 1880년대에 통킹(베트남 북부)에서 프랑스 정복을 진전시키는 데 있어 그의 역할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 1882년 4월 하노이 성을 리비에르가 점령한 것은 프랑스와 청나라 간 선전포고가 되지 않은 적대 행위로 2년 후 청불 전쟁(1884년 8월 ~ 1885년 4월)에서 절정에.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앙리 리비에르 · 더보기 »

식민지와 지배 국가 목록

이 목록은 식민지, 보호국, 주권 위임국, 신탁 통치 지역, 지배 또는 부속된 국가, 다른 국가에 의존하는 국가, 다른 주권 권력 또는 (불공평한) 동군연합에 소속된 정치 독립체와 이들을 지배한 국가 (또는 제국)에 관한 넓고 다양한 범위를 대상으.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식민지와 지배 국가 목록 · 더보기 »

후에 조약 (1863년)

후에 조약(Treaty of Huế)은 1863년 4월 14일에 베트남과 프랑스 제2제국의 대표 사이에 서명되었.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후에 조약 (1863년) · 더보기 »

후에 조약 (1883년)

후에 조약(Treaty of Huế) 또는 제1차 후에 조약은 1883년 8월 25일 프랑스와 베트남 사이에 맺어진 조약으로 안남과 통킹을 프랑스 보호령으로 인정한 조약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후에 조약 (1883년) · 더보기 »

후에 조약 (1884년)

제2차 후에 조약(Treaty of Huế) 또는 보호령 조약은 1884년 6월 6일 프랑스와 베트남 사이에 맺어진 조약이.

새로운!!: 코친차이나와 후에 조약 (188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교지지나, 남기, 남키,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