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탄약

색인 탄약

M2 브라우닝에 장전된.50 BMG 탄약 벨트. 탄약(彈藥)은 총과 대포 등의 무기를 쏠 때 필요한 총알과 화약 (파우더)을 결합한 제품이.

48 처지: 데저트 이글, 무기고, 미네소타 주, 백동, 북해,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구닝터우 전투, 군범죄, 군사용품, 남대문 전투, 단발총, 스위스 가족의 로빈슨, 운동 에너지탄, 장교, 힌덴부르크 프로그램, 페니 (미국 주화), 일본 89식 소총, 제퍼슨 데이비스, 전투준비태세, 조병창, 조선인민군 73식 기관총, 주특기번호, 주한 미군, 콜트 자동권총탄, 콜트 파이선, 유효 사거리, 탄창, 탄약지원사령부, 오스트리아 내전, 오픈 볼트, 최재형, 헤클러운트코흐 HK416, 풍산 (기업), 서울공항, 약실, 필리핀, 신해혁명, 화기, M16 소총, M60 기관총, NATO탄, RT-20, SIG SG550, SR-25, .22 롱 라이플, .380 ACP, 5.56 × 45 mm NATO.

데저트 이글

DESERT EAGLE |종.

새로운!!: 탄약와 데저트 이글 · 더보기 »

무기고

베네치아 무기고 입구를 묘사한 그림 (카날레토 작, 1732년) 무기고(武器庫, Arsenal)는 무기와 탄약, 그 외의 군수품을 개발, 제조, 수리, 저장, 취급하는 시설을 가리.

새로운!!: 탄약와 무기고 · 더보기 »

미네소타 주

미네소타 주()는 미국 중북부에 위치한 주이.

새로운!!: 탄약와 미네소타 주 · 더보기 »

백동

백동(白銅)은 구리에 니켈이 10% 에서 30% 정도 포함한 합금이.

새로운!!: 탄약와 백동 · 더보기 »

북해

북해(北海)는 유럽 대륙붕에 있는 부속해이.

새로운!!: 탄약와 북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민국의 병역 제도는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한 징병제이.

새로운!!: 탄약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을 서술.

새로운!!: 탄약와 대한민국의 병역 제도에 대한 비판 · 더보기 »

구닝터우 전투

닝터우 전투(古寧頭之役, Gǔníngtóu zhī Yì), 혹은 진먼 전투(金門戰役, Jīnmén Zhànyì)는 1949년 제2차 국공 내전 도중 타이완 해협에서 금문도를 둘러싸고 벌인 전투로 중국 인민해방군은 금문도 침략에 실패하고 타이완을 침략할 기회를 잃.

새로운!!: 탄약와 구닝터우 전투 · 더보기 »

군범죄

범죄(軍犯罪)는 군사와 관련있는 범죄이.

새로운!!: 탄약와 군범죄 · 더보기 »

군사용품

용품(軍用品)은 군사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이.

새로운!!: 탄약와 군사용품 · 더보기 »

남대문 전투

랑스 언론 르 프티 주르날에 실린 남대문 전투프랑스 언론인 Le Petit Journal에서 남대문 전투를 묘사한 1907년 당시의 삽화. 삽화가가 직접 교전을 보고 그리지는 않아서 고증오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대한제국군의 모습을 기록한 사진과 삽화를 비교해보면 여러 차이점이 나타난다. 가장 눈에 띄는 오류는 서양식 군복을 입은지 오래인데도 흰색 한복을 그대로 입는 구식군인의 모습으로 그려진 것이다. 심지어 옆에 일본군에게 부상을 당했거나 무기를 들고 저항하는 사람들은 한복도 아닌 중국식 복색에 가깝다. 또한, 당시 일본 육군은 흰색 군복을 입지 않았는데 흰색 군복을 입고 있는 점과 당시 대한제국군은 베르당 단발 볼트액션 소총을 사용했는데 롤링블럭소총을 들고 있는 점, 그리고 대한제국군은 당시 세이버를 썼는데 그림에서 대한제국군이 쓰는 칼은 세이버가 아닌 점 등의 고증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a/Imperial_Korean_Army_Soldiers.JPG/200px-Imperial_Korean_Army_Soldiers.JPG. 남대문 전투는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군대해산에 저항하여 대한제국 군대가 반발, 교전을 벌인 전. 대한제국군 최대의 전투이자 한양이 수도가 된 이래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한양에서 벌어진 유일한 전투이.

새로운!!: 탄약와 남대문 전투 · 더보기 »

단발총

400px 단발총(single-shot firearms)은 총기 내부에 한 발의 탄약만 수납 가능하여, 발사 이후 재발사를 위해서는 매번 재장전을 해줘야 하는 총. 총기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연발총이 개발되기 전까지 모든 총기는 전장식, 후장식, 화승식, 치륜식, 수발식, 뇌관식 등 세세한 화기 작동방식을 막론하고 모두 단발총이었.

새로운!!: 탄약와 단발총 · 더보기 »

스위스 가족의 로빈슨

스위스 가족의 로빈슨()은 1812년에 처음 출판된 요한 데이비드 위스의 소설로 오스트레일리아 포트잭슨 만으로 가는 도중 동인도 제도에서 난파된 스위스 가족과 관련된 소설이.

새로운!!: 탄약와 스위스 가족의 로빈슨 · 더보기 »

운동 에너지탄

운동 에너지탄은 폭약을 가지고 있지 않고 순수히 운동 에너지만으로 목표물을 관통하는 탄약을 말. 분류:탄약 분류:전차.

새로운!!: 탄약와 운동 에너지탄 · 더보기 »

장교

2005년, 미국 해군 사관학교 졸업생들이 모자를 집어던지며 기뻐하고 있다. 장교(將校, commissioned officers)는 한국군에서 위관급 이상의 계급의 간부를 말. 부사관과 병을 지휘하는 계급으로 사관학교나 일반대학교 재학자 또는 졸업자들 가운데 선발.

새로운!!: 탄약와 장교 · 더보기 »

힌덴부르크 프로그램

1916년 9월의 힌덴부르크와 루덴도르프 힌덴부르크 프로그램()은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의 세 번째 육군최고사령부가 1916년 시행한 군수, 경제 계획을 이르는 이름이.

새로운!!: 탄약와 힌덴부르크 프로그램 · 더보기 »

페니 (미국 주화)

(Penny)로 잘 알려진 미국 1센트 주화은 미국 달러의 100분의 1에 해당하는 통화 단위를 가진 주화이.

새로운!!: 탄약와 페니 (미국 주화) · 더보기 »

일본 89식 소총

일본 89식 소총(89式5.56mm小銃)은 일본 자위대의 주력 제식 돌격소총이.

새로운!!: 탄약와 일본 89식 소총 · 더보기 »

제퍼슨 데이비스

제퍼슨 데이비스 제퍼슨 피니스 데이비스 (Jefferson Finis Davis, 1808년 6월 3일 ~ 1889년 12월 6일) 는 미국의 정치가이며, 남북 전쟁 당시 아메리카 연합국의 대통령이었.

새로운!!: 탄약와 제퍼슨 데이비스 · 더보기 »

전투준비태세

() 또는 전투 준비 태세(戰鬪準備態勢)는 디펜스 컨디션(defense condition)은 전시상태에 사용하는 것이고 DEFCON은 비전시상태에서 사용.

새로운!!: 탄약와 전투준비태세 · 더보기 »

조병창

조병창(造兵廠)은 무기, 탄약 등의 설계, 제조, 유지 관리, 수리, 저장, 보급 등을 담당하기 위해 사용되는 군대 직속의 공장 및 기관을 가리.

새로운!!: 탄약와 조병창 · 더보기 »

조선인민군 73식 기관총

73식 기관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73년에 채택한 탄띠 및 탄창 겸용 분대지원화기이.

새로운!!: 탄약와 조선인민군 73식 기관총 · 더보기 »

주특기번호

주특기번호는 군사특기에 따라 대한민국 국군에서 장교, 준사관(준위), 부사관, 병 모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말. 4가지 신분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와 특기가 각기 다르.

새로운!!: 탄약와 주특기번호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탄약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콜트 자동권총탄

.45 ACP 설계도. ACP 시리즈는 크기만 다를 뿐 모양은 거의 대동소이하다. 콜트 자동권총탄(Automatic Colt Pistol; ACP)은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여러 탄약군을 총칭하는 것으로, 주로 콜트 및 에르스탈에서 만든 권총의 탄종으로 사용.

새로운!!: 탄약와 콜트 자동권총탄 · 더보기 »

콜트 파이선

이선은.357 매그넘 구경의 탄약을 사용하는 콜트사의 리볼버 권총이.

새로운!!: 탄약와 콜트 파이선 · 더보기 »

유효 사거리

유효 사거리(有效射距離)란 보통 화기의 포탄이나 총탄이 표적을 맞힐 수 있고, 일정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거리를 말. 무기체계에 따라 개념이 조금씩 다르.

새로운!!: 탄약와 유효 사거리 · 더보기 »

탄창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M1 개런드 용 en-bloc 클립, M14 소총 용 탄창, M16 소총용 20발/30발 탄창 9 x 19 mm 탄 권총 탄창 SIG 550 용 반투명 탄창 SKS는 고정식 탄창을 가지고 있으며 총탄은 위쪽에 볼트를 열어 클립으로 장전한다. 탄창(彈倉) 또는 탄알집은 탄약을 저장하고 화기에 공급하는 장치이.

새로운!!: 탄약와 탄창 · 더보기 »

탄약지원사령부

약지원사령부(Ammunition Support Command)는 탄약의 저장 및 관리, 지원 전담 대한민국 육군의 기능 사령부이.

새로운!!: 탄약와 탄약지원사령부 · 더보기 »

오스트리아 내전

오스트리아 내전() 또는 2월 폭동()은 사회주의 정당인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과 보수주의 정당인 조국전선 등이 1934년 2월 12일부터 2월 16일까지 벌인 오스트리아의 내전이.

새로운!!: 탄약와 오스트리아 내전 · 더보기 »

오픈 볼트

오픈 볼트 방식(open bolt design, open bolt firing, 개방 노리쇠 방식)은 반자동화기 혹은 자동화기에서 발사 준비 상태일 때, 탄약이 약실에 없고 노리쇠(bolt) 및 노리쇠 뭉치 등이 후퇴해 있는 방식이.

새로운!!: 탄약와 오픈 볼트 · 더보기 »

최재형

재형(崔在亨, 1860년 8월 15일 ~ 1920년 4월 7일)은 대한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

새로운!!: 탄약와 최재형 · 더보기 »

헤클러운트코흐 HK416

헤클러&코흐 HK416은 향상된 M4 카빈/M16 소총 형태의 화기를 생산하기 위한 헤클러&코흐 사의 프로젝트이.

새로운!!: 탄약와 헤클러운트코흐 HK416 · 더보기 »

풍산 (기업)

주식회사 풍산은 1968년 부평공장 설립을 시초로 국내 신동공업을 태동시킨 구 (주)풍산으로부터 인적 분할하여 신규 설립된 회사이.

새로운!!: 탄약와 풍산 (기업) · 더보기 »

서울공항

서울공항 또는 서울비행장 (Seoul Air Base)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공군 기지이.

새로운!!: 탄약와 서울공항 · 더보기 »

약실

실린더에 6개의 약실이 보인다. 약실(Chamber)이란 총기에서 탄약이 격발되는 곳이.

새로운!!: 탄약와 약실 · 더보기 »

필리핀

리핀 공화국(), 약칭 필리핀()은 서태평양에 있는 동남아시아의 섬나라이.

새로운!!: 탄약와 필리핀 · 더보기 »

신해혁명

신해혁명(辛亥革命)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다. 이 혁명은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이라고도 불린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 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다.《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 p142 이런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중국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反淸)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11년 청나라는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다.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혁명파가 한 공작으로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 성(省)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다. 1911년이 신해년(辛亥年)이라서 신해혁명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혁명(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帝制)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1915년 일본의 '21개 조 요구' 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했는데 이를 ‘제3차 혁명’(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중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새로운!!: 탄약와 신해혁명 · 더보기 »

화기

섬네일 섬네일 화기(火器)는 화약을 이용하여 총탄 등을 발사하는 무기를 말.

새로운!!: 탄약와 화기 · 더보기 »

M16 소총

M40 마스크와 M16A1 소총을 가지고 훈련 중인 미군 병사 M203 유탄발사기 장착 M16A1소총으로 무장한 대한민국 병사 미 육군 병사가 M16A2로 사격하고 있다. 5.56 mm 구경 M16 소총(Rifle, Caliber 5.56 mm, M16)은 아말라이트 AR-15 소총의 군용 개량형으로, 미군의 주력 제식소총이.

새로운!!: 탄약와 M16 소총 · 더보기 »

M60 기관총

M60 기관총은 7.62 × 51 mm NATO 탄을 사용하는 미국의 탄띠급탄식 다목적 기관총이.

새로운!!: 탄약와 M60 기관총 · 더보기 »

NATO탄

NATO탄(나토탄) 또는 NATO 표준탄은 다음의 탄을 가리.

새로운!!: 탄약와 NATO탄 · 더보기 »

RT-20

RT-20(의 두문자어)는 1990년대에 크로아티아에서 개발한 볼트 액션방식으로 작동하는 20밀리의 대장갑 및 대물 저격총이.

새로운!!: 탄약와 RT-20 · 더보기 »

SIG SG550

SIG SG550은 스위스의 SAN Swiss Arms (과거 SIGARMS)에 의해 생산되는 돌격소총이.

새로운!!: 탄약와 SIG SG550 · 더보기 »

SR-25

SR-25(Stoner Rifle-25)은 유진 스토너가 설계하고 나이츠 아르마먼트 컴퍼니에서 생산하는 반자동 저격총이.

새로운!!: 탄약와 SR-25 · 더보기 »

.22 롱 라이플

.22 롱 라이.22 롱 라이플(.22 Long Rifle)은 구경 5.5 mm인 림파이어 탄약이.

새로운!!: 탄약와 .22 롱 라이플 · 더보기 »

.380 ACP

9 mm 쇼트(9 mm short).380 ACP와 9 mm 루거 비.380 ACP(Automatic Colt Pistol) 탄은 존 브라우닝(John Browning)이 설계한 9 mm 구경의 중형 자동권총용 탄약이.

새로운!!: 탄약와 .380 ACP · 더보기 »

5.56 × 45 mm NATO

NATO탄 비교. 좌측부터 7.62 × 51 mm NATO, 5.56 × 45 mm NATO, 9 × 19 mm NATO 5.56 × 45 mm NATO탄(STANAG 4172)은 NATO 군의 표준 소총탄이.

새로운!!: 탄약와 5.56 × 45 mm NATO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