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태종무열왕

색인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216 처지: DDH-976 문무대왕, 동륜태자, 동성혼, 마야부인 (신라), 무염, 무속신앙, 문명왕후, 문무왕, 묘호,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백강 전투, 백제의 멸망, 개부의동삼사, 갈문왕, 바다의 전설 장보고, 강릉 김씨, 박준혁 (배우), 강수 (신라),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시, 격구, 견신라사, 경주 무열왕릉, 경주 선덕왕릉, 경주 설씨, 경주향교, 경주시의 문화재, 검일, 고교쿠 천황, 고구려-당 전쟁, 고구려-수·당 전쟁, 고토쿠 천황, 곡성 도림사, 골품 제도, 보량궁주, 보덕왕, 보라궁주,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장왕, 계백 (드라마), 괴곡성, 관창, 부여 왕흥사지, 부여궁, 부여융, 근친혼, 귀실복신, 금돌성, 금강 (동음이의), 금강 (신라), ..., 금관가야, 금사면, 비담, 비형랑, 김 (성씨), 김문영 (신라), 김백반, 김범문, 김고타소, 김병세, 김국반, 김군관, 김용춘, 김흠돌, 김흠운, 김흠순, 김인문, 김인문묘, 김인태, 김주원, 김진종, 김유신, 김혁 (1974년), 김양 (신라), 김양도, 김헌창, 김품일, 김품석, 김서현, 김해 김씨, 김원술, 대명주원부인, 대나마,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왕의 꿈, 두품, 단령, 당 고종, 효자면, 요석공주, 자재암, 자의왕후, 흥덕왕, 이벌찬, 이두, 이의방, 이찬 (신라 관직), 이한 (전주 이씨), 의자왕, 은풍면,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전주 이씨, 정윤석, 조미압, 족보, 죽죽, 죽지, 진덕여왕, 진평왕, 지기삼사, 지소부인, 채상우, 청주 (9주), 천명공주, 천년의 신화, 천년호 (1969년 영화), 유승호, 윤충, 생해, 태백시, 태종, 태종무열왕, 태종무열왕릉비, 숙흘종, 영지사, 영창부인, 호조 마사코, 혼인, 혜공왕, 예원 (신라), 최수종, 양명공주, 역사스페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연개소문, 연개소문 (드라마), 연일 정씨, 열반종, 염장 (586년), 표충사 (밀양시), 풍월주, 사비, 사찬 (관직), 삼국 시대,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기, 삼국유사, 삼국사기, 삼척군, 선덕여왕, 선덕여왕 (드라마), 선덕왕, 선도해, 선화공주, 설 (성씨), 설총, 설원 (신라), 성덕왕, 성골과 진골, 성주산문, 성한 (신라), 서악서원, 송영창, 소래산, 소벌도리, 소정방, 통일전, 통일신라, 합천 대야성, 합천군, 한복,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국사 전, 한국사기, 알평, 알천, 하서주, 신라, 신라의 관등, 신라의 중앙 관제, 신라의 역대 국왕, 신라의 역대 왕비, 신라의 삼국통일, 신목왕후, 신문왕, 신영왕, 실직곡국, 시중 (신라의 관직), 원효, 원성왕, 황제, 황태후, 황산벌 (영화), 황산벌 전투, 화랑, 화랑세기, 왕문도, 왕국모 (고려의 문신), 왕태후, 왕순식, 홀 (물건), 603년, 654년, 655년, 656년, 657년, 658년, 659년, 660년, 661년, 6정.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6 더) »

DDH-976 문무대왕

DDH-976 문무대왕함(DDH-976文武大王艦)은 스텔스 기능을 갖춘 대한민국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2번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DDH-976 문무대왕 · 더보기 »

동륜태자

동륜(金銅輪, ? ~ 572년)은 신라의 왕족으로 진흥왕의 아들이고 제26대왕 진평왕의 아버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동륜태자 · 더보기 »

동성혼

동성혼(同姓婚)은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말.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동성혼 · 더보기 »

마야부인 (신라)

마야부인(摩耶夫人)은 신라 제26대 왕 진평왕의 왕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마야부인 (신라) · 더보기 »

무염

무염(無染, 800년~888년 12월 23일(음력 11월 17일))은 신라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무염 · 더보기 »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무속신앙 · 더보기 »

문명왕후

문명왕후(文明王后, ? ~ 681년)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왕후로, 이름은 문희(文姬), 아명은 아지(阿之)이며, 본관은 김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문명왕후 · 더보기 »

문무왕

문무왕(文武王, 626년~681년 7월 21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 제30대 왕(재위: 661년 음력 6월 ~ 681년 음력 7월 1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문무왕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묘호 · 더보기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1182년 9월 11일 ~ 1204년 8월 14일)은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將軍)으로 초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의 적장자(嫡長子).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 더보기 »

백강 전투

백강 전투(白江戰鬪)는 663년 8월에 한반도의 백강(현재의 금강 하구 및 그 부근)에서 벌어진 백제·왜의 연합군과 당·신라의 연합군 사이의 전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백강 전투 · 더보기 »

백제의 멸망

백제의 멸망(百濟 ― 滅亡)은 660년에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이 백제를 정벌한 전쟁을 가리.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백제의 멸망 · 더보기 »

개부의동삼사

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는, 고대 중국의 관직의 이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개부의동삼사 · 더보기 »

갈문왕

문왕(葛文王)은 신라 때 왕실에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왕족 및 왕의 근친 귀족에게 추봉하던 왕명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갈문왕 · 더보기 »

바다의 전설 장보고

《바다의 전설 장보고》는 2002년에 방영된 해상 액션 애니메이션으로 KBS와 서울무비가 공동 제작.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바다의 전설 장보고 · 더보기 »

강릉 김씨

강릉 김씨(江陵 金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강릉 김씨 · 더보기 »

박준혁 (배우)

박준혁(1975년 1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박준혁 (배우) · 더보기 »

강수 (신라)

강수(强首,? ~ 692년)는 신라의 유학자·문장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강수 (신라) · 더보기 »

밀양 표충사 대광전

밀양 표충사 대광전(密陽 表忠寺 大光殿)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있는 불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밀양 표충사 대광전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밀양시 · 더보기 »

격구

격구(擊毬)는 전통 공놀이로서 통상적으로 편을 갈라 나무 채나 막대기 등을 이용해 달걀 크기 정도의 공을 쳐서 일정한 거리에 있는 구문(毬門)에 공을 넣어 경기장 밖으로 나가게 하거나, 구멍에 넣는 공놀이들을 가리.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격구 · 더보기 »

견신라사

신라사()는, 고대 일본에서 신라로 파견했던 사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견신라사 · 더보기 »

경주 무열왕릉

무열왕릉(武烈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신라 29대 태종무열왕의 능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주 무열왕릉 · 더보기 »

경주 선덕왕릉

경주 선덕여왕릉(慶州 善德女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신라 27대 왕인 선덕여왕(재위 632∼647)의 무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주 선덕왕릉 · 더보기 »

경주 설씨

경주 설씨(慶州 薛氏 / 慶州 偰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주 설씨 · 더보기 »

경주향교

경주향교(慶州鄕校)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향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주향교 · 더보기 »

경주시의 문화재

음은 대한민국 경주시의 지정 문화재 목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경주시의 문화재 · 더보기 »

검일

일(黔日, ? ~ 660년)은 신라 시대의 반역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검일 · 더보기 »

고교쿠 천황

황(594년 ~ 661년 8월 24일)은 사이메이 천황과 동일인물이며 일본의 35대(재위: 642년 1월 15일 ~ 645년 7월 12일)와 37대(재위: 655년 2월 14일 ~ 661년 8월 24일) 천황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교쿠 천황 · 더보기 »

고구려-당 전쟁

-당 전쟁은 645년에서 668년까지 고구려와 당나라 사이에서 벌어졌던 전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고구려-수·당 전쟁

수나라 및 당나라를 맞아 싸운 일련의 전쟁을 고구려-수·당 전쟁이라 총칭.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구려-수·당 전쟁 · 더보기 »

고토쿠 천황

황(596년 - 654년 11월 24일)은 일본의 36대 천황(재위:645년 ~ 654년)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고토쿠 천황 · 더보기 »

곡성 도림사

림사(道林寺)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곡성 도림사 · 더보기 »

골품 제도

제도(骨品制度)는 신라 사회의 신분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골품 제도 · 더보기 »

보량궁주

보량궁주 설씨(寶良宮主 薛氏, 604년~670년)는 신라의 제16대 풍월주 보종전군의 딸로, 김춘추의 아내 보라궁주와는 자매지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량궁주 · 더보기 »

보덕왕

보덕왕(報德王) 또는 보덕국왕(報德國王) 고안승(高安勝, ? ~ 683년 이후, 재위: 670년 ~ 683년) 또는 고안순(高安舜)은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부흥운동 지도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덕왕 · 더보기 »

보라궁주

보라궁주 설씨(寶羅宮主 薛氏, ? ~ ?)는 《화랑세기》에서 태종무열왕의 첫 번째 정궁부인(正宮夫人)이라고 기록된 인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라궁주 · 더보기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保寧 聖住寺址 郎慧和尙塔碑)는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사지에 있는 비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더보기 »

보장왕

보장왕(寶臧王, ? ~ 682년)은 고구려의 제28대 국왕(재위: 642년 11월 ~ 668년 9월)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보장왕 · 더보기 »

계백 (드라마)

《계백》은 2011년 7월 25일부터 2011년 11월 22일까지 방송한 백제의 장군 계백을 조명한 문화방송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계백 (드라마) · 더보기 »

괴곡성

곡성(槐谷城)은 신라가 158년 죽령(竹嶺)을 개척하고 한강유역을 진출하기 위하여 전초기지를 구축한 관방유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괴곡성 · 더보기 »

관창

창(金官昌, 645년~660년)은 신라 중기의 화랑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관창 · 더보기 »

부여 왕흥사지

왕흥사(王興寺)는 백제 부여에 있던 사찰로 577년에 세워졌으나, 660년 백제 멸망 후에 폐허가 되어 현재는 절 터만 남아 있.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7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부여 왕흥사지 · 더보기 »

부여궁

부여궁(扶餘躬, ? ~ ?)은 사료를 달리 해석하여 발생한 가공의 사람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부여궁 · 더보기 »

부여융

부여융(扶餘隆, 615년 ~ 682년)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삼국 말기의 대표적인 경계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부여융 · 더보기 »

근친혼

혼(近親婚)은 혼인의 상대가 친가, 외가 모두 가까운 친척으로 근친(近親) 혈족이거나, 재혼의 상대가 전(前) 배우자의 근친인 혼인을 말.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신라의 왕실이나 귀족층에서 골품제도의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근친혼이 성행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근친혼 · 더보기 »

귀실복신

실복신(鬼室福信, 원래 이름은 부여복신(扶餘福信), ? ~ 663년)은 백제의 왕족·무장·관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귀실복신 · 더보기 »

금돌성

성(今突城)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있는 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금돌성 · 더보기 »

금강 (동음이의)

강(錦江)은 한반도의 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금강 (동음이의) · 더보기 »

금강 (신라)

강(金金剛, 생년미상 ~ 660년) 혹은 김강은 신라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금강 (신라)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금관가야 · 더보기 »

금사면

사면(金沙面)은 경기도 여주시의 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금사면 · 더보기 »

비담

비담(毗曇, 미상 ~ 647년 2월 26일(음력 1월 17일)) 은 신라 제 27대 선덕여왕 말기의 진골로 추정되는 귀족이며 성은 김(金)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비담 · 더보기 »

비형랑

비형(金鼻荊, 581년 ~ 몰년 미상)은 신라의 왕족으로 진지왕의 차남이자 서자로, 진평왕 때의 인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비형랑 · 더보기 »

김 (성씨)

외 김(金)씨는 성씨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 (성씨) · 더보기 »

김문영 (신라)

문영(金文穎, 생몰년 미상)은 7세기 신라의 장군이자 관인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문영 (신라) · 더보기 »

김백반

백반(金伯飯, 생몰년 미상)은 신라(新羅)의 왕족 종실이며, 신라(新羅) 제24대 군주 진흥왕(眞興王)의 손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백반 · 더보기 »

김범문

범문(金梵文, ?~825년)은 신라의 왕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범문 · 더보기 »

김고타소

소랑(古陀炤娘, 627년 이후 ~ 642년)은 대야성주 김품석의 부인으로, 김춘추(태종 무열왕)의 딸이며 김법민(문무왕)의 여동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고타소 · 더보기 »

김병세

병세(金秉世, 1962년 9월 2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병세 · 더보기 »

김국반

국반(金國飯, 생몰년 미상)은 신라의 왕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국반 · 더보기 »

김군관

공(軍官公, 612년 ~ 681년)은 동란공(冬蘭公)의 아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군관 · 더보기 »

김용춘

용춘(金龍春, 578년 ~ 647년) 또는 김용수(金龍樹, 575년 ~ 632년)는 신라의 추촌왕으로, 진지왕의 아들이자,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아버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용춘 · 더보기 »

김흠돌

흠돌(金欽突, ? ~ 681년 9월 25일(음력 8월 8일))은 신라 중대와 통일신라의 군인이자 왕족, 무신, 외척이며 반란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흠돌 · 더보기 »

김흠운

흠운(金歆運, ? - 655년)은 신라 중기의 왕족 출신 장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흠운 · 더보기 »

김흠순

흠순(金欽殉, 598년 ~ 680년)은 가야의 왕족 출신으로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흠순 · 더보기 »

김인문

인문(金仁問, 629년~694년)은 신라의 왕족이자 문무왕 때의 장군 겸 정치가이고,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인문 · 더보기 »

김인문묘

인문묘(金仁問墓)는 신라 문무대왕의 친동생 김인문의 묘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 1982년 8월 4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인문묘 · 더보기 »

김인태

인태는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인태 · 더보기 »

김주원

주원(金周元)은 강릉 김씨 세보에 따르면 신라의 귀족으로 태종무열왕의 셋째 아들 김문왕의 6대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주원 · 더보기 »

김진종

종(金眞宗, 생몰년 미상)은 신라의 왕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진종 · 더보기 »

김유신

유신(金庾信, 595년 ~ 673년 8월 18일 (음력 7월 1일))은 신라의 군인 겸 정치가이자, 외척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유신 · 더보기 »

김혁 (1974년)

혁(1974년 11월 9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혁 (1974년) · 더보기 »

김양 (신라)

양(金陽, 808년~857년)은 신라의 왕족·공신으로, 자는 위흔(魏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양 (신라) · 더보기 »

김양도

양도(金良圖, ? ~ 670년)는 신라 중기의 귀족ㆍ장군ㆍ관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양도 · 더보기 »

김헌창

창(金憲昌, ? ~ 822년 음력 3월)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안국의 자칭 왕으로 태종 무열왕의 후손인 김주원의 아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헌창 · 더보기 »

김품일

일(金品日)은 신라 태종 무열왕 때의 장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품일 · 더보기 »

김품석

석(金品釋, ? ~642년)은 고타소공주의 부군으로, 신라장군 김품일의 형으로 김춘추(훗날 태종 무열왕)의 사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품석 · 더보기 »

김서현

서현(金舒玄, 564년 ~ ?)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군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서현 · 더보기 »

김해 김씨

씨(金海 金氏)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해 김씨 · 더보기 »

김원술

원술(金元述, ? ~ ?)은 신라의 화랑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김원술 · 더보기 »

대명주원부인

명주원부인 왕씨(大溟州院夫人 王氏)는 고려의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4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명주원부인 · 더보기 »

대나마

마(大奈麻)은 삼국사기에서 유리 이사금 때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법흥왕 7년(520년)에 율령(律令)을 공포하면서 제정된 신라 시대 17관등 중의 제10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나마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정부표준영정(政府標準影幀)은 한국의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민족적으로 추앙받고 있는 선현들의 영정 난립을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영정을 말. 모든 정부표준영정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훈령으로 지정된 《영정·동상 심의 규정》에 따른 심의 절차에 따라 지정되거나 해제.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한민국의 정부표준영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왕의 꿈

《대왕의 꿈》 은 KBS 1TV에서 기획한 삼국시대 영웅전의 세 번째 작품으로, 신라 제26대 진평왕, 제27대 선덕여왕, 제28대 진덕여왕, 제29대 태종무열왕, 제30대 문무왕까지의 치세와 흥무대왕 김유신, 그리고 삼국 말기의 고구려, 백제의 영웅들의 일대기를 재조명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대왕의 꿈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두품 · 더보기 »

단령

흑단령을 입은 흥선대원군 초상 단령(團領)은,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관리들이 입던 중국식 관복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단령 · 더보기 »

당 고종

당 고종(唐 高宗, 628년 7월 21일 ~ 683년 12월 27일)은 중국 당나라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당 고종 · 더보기 »

효자면

효자면(孝子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예천군의 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효자면 · 더보기 »

요석공주

요석공주(瑤石公主)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보희부인(寶姬夫人)의 딸로 김흠운(金歆運)과 원효(元曉)의 아내이자 설총(薛聰)의 어머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요석공주 · 더보기 »

자재암

자재암(自在庵)은 소요산에 위치한 신라 무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유서 깊은 고찰로 원효대사와 요석공주가 기거했다는 전설 때문인지 무수한 승려들이 수도차 거쳐가는 곳으로도 유명.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자재암 · 더보기 »

자의왕후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년)는 신라의 제30대 왕인 문무왕의 왕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자의왕후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흥덕왕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벌찬 · 더보기 »

이두

이두 개설서인 《유서필지》 이두(吏讀)는 한자에 의한 한국어 표기법의 한 가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두 · 더보기 »

이의방

이의방(李義方, 1121년 ~ 1175년 1월 12일(1174년 음력 12월 1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의방 · 더보기 »

이찬 (신라 관직)

이찬(伊湌)은 법흥왕 7년(520년) 에 시행한 신라 17관등(官等)의 제2등으로 잡찬의 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찬 (신라 관직) · 더보기 »

이한 (전주 이씨)

이한(李翰, ? ~ ?)은 전주 이씨의 시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이한 (전주 이씨) · 더보기 »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의자왕 · 더보기 »

은풍면

은풍면(殷豊面)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예천군의 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은풍면 · 더보기 »

제1차 고구려-당 전쟁

제1차 고구려-당전쟁(第一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제1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제2차 고구려-당 전쟁

제2차 고구려-당 전쟁(第二次高句麗-唐戰爭)은 서기 660년 당 고종이 고구려를 침공하여 662년까지 지속된 전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제2차 고구려-당 전쟁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윤석

정윤석(2003년 4월 30일 ~)은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정윤석 · 더보기 »

조미압

조미압(租未押)은 신라-가야계 백제 관료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조미압 · 더보기 »

족보

보첩(譜牒)은 한 가문, 즉 씨족의 계통과 혈연관계를 부계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나타낸 책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족보 · 더보기 »

죽죽

죽죽(竹竹, ? ~642년)은 신라의 화랑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죽죽 · 더보기 »

죽지

죽지(竹旨, ?–?)는 신라시대의 대신, 화랑 출신 장군으로 다른 이름은 죽만(竹曼), 지관(智官), 죽만랑(竹曼郞), 죽지랑(竹旨郞)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죽지 · 더보기 »

진덕여왕

경주 진덕여왕릉 (사적 24호)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 또는 진덕왕(眞德王) 은 신라 제28대 왕이며 두번째 여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덕여왕 · 더보기 »

진평왕

평왕(眞平王, ? ~ 632년, 재위 579년 ~ 632년)은 신라의 제26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진평왕 · 더보기 »

지기삼사

삼사(知幾三事)란 선덕여왕이 즉위 당시 세 가지 신비로운 일을 예측한 것을 의미.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지기삼사 · 더보기 »

지소부인

소부인(智炤夫人)은 태종무열왕과 문명왕후의 딸로 김유신의 두 번째 정실 부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지소부인 · 더보기 »

채상우

상우(蔡相宇, 1999년 3월 31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채상우 · 더보기 »

청주 (9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청주(菁州) 또는 강주(康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청주 (9주) · 더보기 »

천명공주

명공주(天明公主)는 신라 상대(上代)시기의 왕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천명공주 · 더보기 »

천년의 신화

의 신화는 대한민국의 게임 회사 HQ팀이 제작한 RTS게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천년의 신화 · 더보기 »

천년호 (1969년 영화)

《천년호》는 1969년 공개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천년호 (1969년 영화) · 더보기 »

유승호

유승호(兪承豪 1993년 8월 1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유승호 · 더보기 »

윤충

윤충(允忠)은 백제 의자왕 때 대야성 전투에서 신라에 대승한 왕족 종실, 장군,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윤충 · 더보기 »

생해

생해(生偕)(633 ~ 690)는 고구려(高句麗) 말기의 속국 말갈의 무장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생해 · 더보기 »

태백시

백시(太白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남동부의 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태백시 · 더보기 »

태종

종(太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흔히 국가의 기틀을 다지거나 국가의 제2대 제왕에게 붙이는 묘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태종 · 더보기 »

태종무열왕

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3년~661년 음력 6월)은 신라(新羅)의 제29대 임금(재위: 654년~661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태종무열왕 · 더보기 »

태종무열왕릉비

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는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무열왕릉에 있는 신라 중기(7세기)에 건립된 신라 태종무열왕의 능비(陵碑)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태종무열왕릉비 · 더보기 »

숙흘종

숙흘종(金肅訖宗, 생년 미상)은 신라의 왕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숙흘종 · 더보기 »

영지사

영지사(靈芝寺)는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영지사 · 더보기 »

영창부인

보희(金寶姬)는 김유신의 누이이자, 아명은 아해(阿海), 본관은 김해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영창부인 · 더보기 »

호조 마사코

호조 마사코 호조 마사코(호엔(保元) 2년(1157년) - 가오(嘉應) 원년 음력 7월 11일(1225년 8월 16일))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초기의 여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호조 마사코 · 더보기 »

혼인

서양의 결혼식 혼인(婚姻)은 가족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으로, 쌍방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는 법률행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혼인 · 더보기 »

혜공왕

혜공왕(惠恭王, 758년 8월 31일(음력 7월 23일) ~ 780년, 재위: 765년 ~ 780년)은 신라의 제36대 국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혜공왕 · 더보기 »

예원 (신라)

예원공(禮元公)은 20대 풍월주로, 보리공의 아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예원 (신라) · 더보기 »

최수종

수종(崔秀宗, 1962년 12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최수종 · 더보기 »

양명공주

양명공주(良明公主)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의 공주로, 신라의 제 26대 왕 진평왕과 보명궁주 사이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양명공주 · 더보기 »

역사스페셜

《역사스페셜》은 한국 역사에 관한 KBS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역사스페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연개소문

연개소문(淵蓋蘇文, 617년 ~ 666년 5월)은 고구려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연개소문 · 더보기 »

연개소문 (드라마)

《연개소문》(淵蓋蘇文)은 2006년 7월 8일 ~ 2007년 6월 17일까지 SBS에서 방영된 대하사극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연개소문 (드라마) · 더보기 »

연일 정씨

연일 정씨(延日 鄭氏)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연일 정씨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열반종 · 더보기 »

염장 (586년)

염장(廉長, 586년 ~ 648년)은 신라 진덕여왕 재위 시절의 진골 귀족, 무관,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염장 (586년) · 더보기 »

표충사 (밀양시)

PAGENAMEBASE 표충사(表忠寺)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표충사 (밀양시) · 더보기 »

풍월주

풍월주(風月主)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기록된 화랑도의 수장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풍월주 · 더보기 »

사비

사비성(泗沘城)은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사비 · 더보기 »

사찬 (관직)

사찬(沙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사찬 (관직)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 시대 인물 목록

음은 삼국시대 주요 인물들의 목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 시대 인물 목록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문학

삼국 시대의 문학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성립된 시기와 후삼국 시대까지 대개 서기 1세기부터 10세기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 시대의 문학 · 더보기 »

삼국기

《삼국기》(三國記)는 대하드라마로 1992년 4월 12일부터 1993년 4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방영된 50부작 사극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기 · 더보기 »

삼국유사

《삼국유사》(三國遺事)는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에 인각사(麟角寺)에서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유사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척군

삼척군(三陟郡)은 1895년 6월 23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존재했던 강원도 동해안의 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삼척군 · 더보기 »

선덕여왕

선덕여왕(善德女王, ? ~ 647년 2월 17일(음력 1월 8일), 재위: 632년 ~ 647년) 또는 선덕왕(善德王) 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한국사 최초의 여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덕여왕 · 더보기 »

선덕여왕 (드라마)

《선덕여왕(善德女王)》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12월 22일까지 방영된, 한민족 최초의 여왕인 신라 선덕여왕의 일대기를 소재로 한 문화방송의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덕여왕 (드라마) · 더보기 »

선덕왕

선덕왕(宣德王, ? ~ 785년, 재위: 780년 ~ 785년)은 신라의 제37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덕왕 · 더보기 »

선도해

선도해(先道解)는 고구려의 관료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도해 · 더보기 »

선화공주

선화공주(善花公主)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진평왕의 셋째 딸이자, 무왕의 왕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선화공주 · 더보기 »

설 (성씨)

설(薛, 偰)씨는 한국의 성씨 및 중국의 성씨.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설 (성씨) · 더보기 »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설총 · 더보기 »

설원 (신라)

설원(薛原) 또는 설화랑(薛花郞)은 최초의 화랑 국선이자 제7대 풍월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설원 (신라)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덕왕 · 더보기 »

성골과 진골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제인 골품 제도(骨品制度)의 등급으로, 신라 사회의 최고 신분층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골과 진골 · 더보기 »

성주산문

성주산문(聖住山門) 또는 성주산파(聖住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주산문 · 더보기 »

성한 (신라)

성한(星漢, 생몰년 미상) 또는 김성한(金星漢)은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추정되는 인물로, 성한왕(星漢王), 또는 태조 성한왕(太祖 星漢王)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성한 (신라) · 더보기 »

서악서원

서악서원(西嶽書院)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서악서원 · 더보기 »

송영창

송영창(宋永彰, 1958년 4월 2일 ~)은 대한민국의 탤런트 겸 영화 배우, 방송인, 연극배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송영창 · 더보기 »

소래산

소래산은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과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의 경계에 위치한 산으로, 서쪽에는 높이는 해발 299.4m에 이르고 있. 서쪽으로 인천대공원이 있는 관모산을 마주보고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소래산 · 더보기 »

소벌도리

소벌도리(蘇伐道理 또는 蘇伐都利, ? ~ ?)는 신라 초기의 신화적인 인물로 서라벌 6촌 중 돌산고허촌(突山高墟村)의 촌장이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소벌도리 · 더보기 »

소정방

소정방(蘇定方, 592년 ~ 667년)은 당나라의 장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소정방 · 더보기 »

통일전

통일전(統一殿)은 경상북도 경주시 칠불암길 6에 있. 신라가 이룩한 삼국 통일의 위엄을 기리고, 한국의 통일에 의지와 염원을 밝히기 위한 것이며, 역사적 의의와 통일전을 세운 깊은 뜻을 밝힌 기념비가 있. 1977년에 박정희의 지시로 건립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통일전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합천 대야성

합천 대야성(陜川 大耶城)은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 해발 90m의 매봉산 정상울 둘러 쌓은 성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합천 대야성 · 더보기 »

합천군

합천군(陜川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합천군 · 더보기 »

한복

원삼 당의 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복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

삼국은 각기 부족 연맹으로부터 세력을 키워 고대 국가로 성장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체의 문학을 발전시켰던 것으로 보인.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의 삼국시대 시가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한국사기

국사기(韓國史記)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3월 19일까지 매주 일요일 밤 9시 40분에 KBS 1TV에서 방송되는 10부작 팩추얼 다큐드라마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한국사기 · 더보기 »

알평

경주시 동천동에 위치한 경주이씨시조휘알평경모비 (慶州李氏始祖諱謁平景募碑) 알평(謁平, 생몰년 미상)은 신라 초기 신화에 등장하며, 사로6촌장(진한) 중 알천양산촌(閼川楊山村) 촌장으로 경주 이씨의 시조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알평 · 더보기 »

알천

알천(閼川) 활동연대: 636년~654년)은 신라 중기의 문신, 군인, 화랑이다. 신라 선덕여왕·진덕여왕, 태종무열왕 때의 진골 귀족으로 화백회의 의장인 상대등(上大等)을 역임하였다. 진덕여왕 사후에는 대리청정(섭정)으로 추대되었으나 태종 무열왕 김춘추(金春秋)에게 양보하였다. 진주 소씨는 알천을 자신들의 조상으로 보고 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알천 · 더보기 »

하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하서주(河西州) 또는 명주(溟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하서주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관등

신라의 관직 제도는 법흥왕 때 완성된 경위(京位) 17 관등과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지방인에게 주는 11위는 통일신라 이후인 674년(문무왕 14년)에 지방세력가들을 지배체제 속에 포섭하기 위해서 지방 출신에게도 일률적으로 경위를 주게 됨에 따라 자연히 폐지되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관등 · 더보기 »

신라의 중앙 관제

신라의 중앙 관제는 삼국 시대와 남북국 시대로 나누어 볼 수 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중앙 관제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왕비

음은 신라의 왕비 연대표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新羅-三國統一)은 한민족의 역사에서 최초의 민족 통일로 간주되는 사건으로, 676년 신라가 한반도의 제국가(諸國家)를 통일한 것을 말. 신라는 가야, 백제, 고구려 등 한반도에 있던 나라들을 차례로 멸망시켜 병합하였고, 676년에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북쪽으로 축출하여 통일을 달성하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라의 삼국통일 · 더보기 »

신목왕후

신목왕후 김씨(神穆王后 金氏, 655년 이전 ~ 700년 6월 1일)는 신라 신문왕의 왕비이며, 효소왕과 성덕왕의 모후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목왕후 · 더보기 »

신문왕

신문왕(神文王, ? ~ 692년, 재위: 681년 ~ 692년)은 신라의 제31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문왕 · 더보기 »

신영왕

신영왕은 신라 추존왕 중 한 명으로, 원성왕의 증조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신영왕 · 더보기 »

실직곡국

실직곡국(悉直谷國), 실직국(悉直國), 혹은 실직(悉直)은 현재의 삼척시(구 삼척군) 에 위치해 있던 소국으로 설립은 전해지지 않으며 102년 음즙벌국과의 영토 분쟁이 있었.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실직곡국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원효 · 더보기 »

원성왕

원성왕(元聖王, ? ~ 798년 음력 12월 29일/양력 799년 2월 8일, 재위: 785년 2월 26일(음력 1월 13일) ~ 798년 음력 12월 29일)은 신라의 제38대 왕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원성왕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제 · 더보기 »

황태후

황태후(皇太后)는 전 황제의 정실 배우자이며, 현 황제의 어머니뻘 되는 황실 여성에게 붙이는 칭호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태후 · 더보기 »

황산벌 (영화)

《황산벌》은 2003년 개봉된, 황산벌 전투를 다룬 대한민국의 역사 코미디 영화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산벌 (영화) · 더보기 »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黃山벌 戰鬪)는 660년 8월 20일 (음력 7월 9일) 황산벌(오늘날의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신양리 및 신암리 일대)에서 백제군과 신라군 사이에 일어났던 전투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황산벌 전투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화랑 · 더보기 »

화랑세기

《화랑세기》(花郞世記)는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화랑세기 · 더보기 »

왕문도

왕문도(王文度, ? ~ 660년)는 당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왕문도 · 더보기 »

왕국모 (고려의 문신)

왕국모(王國髦, ? ~ ?)는 고려 현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강릉(江陵)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왕국모 (고려의 문신) · 더보기 »

왕태후

왕태후(王太后)는 독립국 국왕의 친모를 일컫는 칭호였.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왕태후 · 더보기 »

왕순식

왕순식(王順式)은 강원도 명주의 호족 허월(許越)의 아들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왕순식 · 더보기 »

홀 (물건)

송(宋) 왕조의 재상 범중엄(范仲淹)의 초상화. 홀을 들고 있다. 홀(笏)은, 고대 중국에서 대신이 입조할 때 조복에 갖추어 손에 하나씩 갖추어 들었던 조금 휘어진 형태의 판자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홀 (물건) · 더보기 »

6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03년 · 더보기 »

65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4년 · 더보기 »

65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5년 · 더보기 »

6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6년 · 더보기 »

6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7년 · 더보기 »

6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8년 · 더보기 »

6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59년 · 더보기 »

66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60년 · 더보기 »

6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61년 · 더보기 »

6정

6정(六停)은 544년(진흥왕 5년)부터 9주 5소경 체제가 정립된 685년(신문왕 5년)까지 신라의 지역 최고 군사조직으로서 행정조직의 기능을 겸하였고, 이후 9주 5소경 체제를 마련하는데 기반이 된 조직이.

새로운!!: 태종무열왕와 6정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인태 (신라), 김인태 (왕족), 김춘추, 무열대왕, 무열왕, 춘추공, 춘추랑, 신라 무열왕, 신라 태종, 신라 태종 무열왕, 신라 태종무열왕, 신라 태종왕, 태종 무열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