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티베트어

색인 티베트어

베트어(བོད་སྐད་)는 티베트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이.

102 처지: 능격-절대격 언어, 랭-8, 더비 이슈트반, 라마 (호칭), 롭상 람파, 뤄바족, 만트라, 먼바족, 모모 (음식), 몽골 문자, 몽장 조약, 무라오족, 문자 발명가 목록, 문자별 언어 목록, 묘법연화경, 미국의 소리, 바탕 현,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거얼무 시, 건륭제, 베르톨트 라우퍼, 보드, 보여이 야노시, 부탄, 부탄의 국기, 부탄의 국장, 브라흐미계 문자, 금강정경, 빌헬름 그루베, 빔비사라, 대승기신론, 대장경, 대일경, 대지도론, 구룽족, 구글 번역, 남초호, 노블링카, 다두허, 달라이 라마, ISO 639, 우마 서먼, 승만경, 자판 배열, 자유 아시아 방송, 크리스토퍼 벡위스, 이폴리토 데시데리, 제13대 달라이 라마, 정토삼부경, 종카어, ..., 중국, 중국국제방송, 중국어파, 중국티베트어족, 중앙인민방송국, 중화인민공화국, 치송데짼, 켄포 소달지, 유마경, 파드마삼바바, 파스파 문자, 탱화, 탕구라산맥, 투바 공화국, 오사카 외국어대학, 언어 목록,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에베레스트산, 에스페란토 어원, 염마, 푸미족, 사라트 찬드라 다스, 사라족, 사딩딩, 사카구치 안고, 산난 시, 살라르어, 삼사라 (2001년 영화), 쓰촨 방송국, 쓰촨어, 섭대승론, 서하, 토번국, 해심밀경, 야크,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어, 아부기다, 아시아, 텐징 노르가이, 셰르파족, 티베트, 티베트 망명 정부, 티베트 문자, 티베트 대장경, 티베트 자치구, 티베트 왕국, 티베트족, 티베트영양, 원측,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화신 (청나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2 더) »

능격-절대격 언어

S:자동사의 주어.

새로운!!: 티베트어와 능격-절대격 언어 · 더보기 »

랭-8

랭-8(Lang-8)은 언어 교환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랭-8 · 더보기 »

더비 이슈트반

비 이슈트반(1943년 6월 12일 ~)는 헝가리의 번역가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더비 이슈트반 · 더보기 »

라마 (호칭)

현재의 달라이 라마. 라마(티베트어: བླ་མ་, "최고의"를 뜻함)는 달마의 티베트 스승을 부르는 호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라마 (호칭) · 더보기 »

롭상 람파

롭상 람파 (Tuesday Lobsang Rampa, 1910년 4월 8일 – 1981년 1월 25일)는 위서 '세 번째 눈' (The Third Eye)의 저자로서 알려진 인물.

새로운!!: 티베트어와 롭상 람파 · 더보기 »

뤄바족

바족(珞巴族, 낙파족, 락파족)은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의 산난 지구, 닝치 지구에 거주하는 티베트계 민족으로 중국 정부가 인정한 56개의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뤄바족 · 더보기 »

만트라

350px 만트라(데바나가리: मन्त्र Mantra, 티베트어: སྔགས་ ngak, 와일리 표기: sngags), 만트람(Mantram) 또는 진언(眞言: 참된 말, 진실한 말, 진리의 말)은 "영적 또는 물리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는 발음, 음절, 낱말 또는 구절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만트라 · 더보기 »

먼바족

먼바족(문파족)은 중화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티베트계 민족으로 중국 정부에 의해서 인정된 56개의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먼바족 · 더보기 »

모모 (음식)

모모() 또는 모그모그()는 티베트와 네팔을 비롯해 티베트인 디아스포라나 네와르족 상인의 영향을 받은 북동인도(시킴 주, 아삼 주, 다르질링)와 부탄 등에서 먹는 만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모모 (음식) · 더보기 »

몽골 문자

몽골 문자(монгол бичиг)는 몽골어를 위해 만들어진 여러 표기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몽골 문자 · 더보기 »

몽장 조약

몽장 조약 원문 몽장 조약() 또는 티베트·몽골 상호 승인 조약은 1913년 2월 2일 티베트와 몽골 양측이 몽골 우르가(현재의 울란바토르)에서 체결한 조약으로 티베트와 몽골 양측이 독립 국가로 국제적인 승인을 받기 위해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 그러나 조약에 서명한 티베트인의 인적이 불분명하여 조약의 타당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몽장 조약 · 더보기 »

무라오족

무라오족(仫佬族, Mùlǎozú, 무로족)은 중국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 중국 정부에 의해 공인된 56개의 소수민족 중 31번째로 많은 민족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무라오족 · 더보기 »

문자 발명가 목록

문자를 발명한 사람 목록은 역사적으로 기록된 문자를 발명한 사람들을 연대기순으로 나열.

새로운!!: 티베트어와 문자 발명가 목록 · 더보기 »

문자별 언어 목록

이 문서는 사용문자에 따른 언어목록을.

새로운!!: 티베트어와 문자별 언어 목록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미국의 소리

미국의 소리(약칭 VOA)는 미국 정부가 전 세계의 청취자를 향해 방송, 운영하는 국제방송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미국의 소리 · 더보기 »

바탕 현

바탕 현의 위치 바탕 현() 은 중화 인민 공화국 쓰촨 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의 현급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7852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50,000명이다. 남북의 길이는 260km, 동서의 길이는 45km이다. 현청 소재지는 바탕 진(샤충 진-夏邛镇)이다.

새로운!!: 티베트어와 바탕 현 · 더보기 »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베트족 자치주는 쓰촨 성에 위치한 티베트족 자치주로 중심지는 캉딩 시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 더보기 »

거얼무 시

무드 시의 위치 거얼무()는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 성의 현급시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거얼무 시 · 더보기 »

건륭제

보친왕 시절의 건륭제 건륭제(乾隆帝, 강희(康熙) 50년 음력 8월 13일 (1711년 9월 25일) ~ 가경(嘉慶) 4년 음력 1월 3일 (1799년 2월 7일))는 청나라의 제6대 황제(재위 1735년 ~ 1796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건륭제 · 더보기 »

베르톨트 라우퍼

베르톨트 라우퍼 베르톨트 라우퍼(1874년 10월 11일 ~ 1934년 9월 13일)는 독일 출신의 미국 인류학자이자 동양학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베르톨트 라우퍼 · 더보기 »

보드

보드(board)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보드 · 더보기 »

보여이 야노시

보여이가 태어난 곳 보여이 야노시(1802년 12월 15일 ~ 1860년 1월 27일)는 헝가리의 수학자.

새로운!!: 티베트어와 보여이 야노시 · 더보기 »

부탄

부탄 왕국(), 약칭 부탄()은 인도와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의 히말라야 산맥에 있는 남아시아의 나라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부탄 · 더보기 »

부탄의 국기

부탄의 국기는 1969년에 제정되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부탄의 국기 · 더보기 »

부탄의 국장

부탄의 국장 부탄의 국장은 부탄을 상징하는 문장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부탄의 국장 · 더보기 »

브라흐미계 문자

각 지방문자로 나타낸 주별 공용어 브라흐미계 문자(Brahmi系 文字)는 브라흐미 문자를 시조로 하는 인도 반도,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쓰이는 아부기다 꼴 문자의 총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브라흐미계 문자 · 더보기 »

금강정경

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금강정경》(金剛頂經)은 밀교(密敎)의 경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금강정경 · 더보기 »

빌헬름 그루베

빌헬름 그루베(1855년 8월 17일 ~ 1908년 7월 2일)는 러시아 제국 출신의 독일 중국학자이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빌헬름 그루베 · 더보기 »

빔비사라

빔비사라의 감옥, 라즈기르 빔비사라(बिम्भिसार, 頻婆娑羅 기원전 558—기원전 491)는 마가다 제국의 하리얀카 왕조의 왕(기원전 543년 즉위)이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빔비사라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대장경 · 더보기 »

대일경

태장계 만다라: 가운데에 여덟 개의 연꽃 잎이 있는 원이 있는데 이 원의 중심부에 대일여래가 있으며 각 연꽃 잎에도 한 명의 부처 또는 보살이 있다 《대일경(大日經)》은 불교의 밀교의 경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대일경 · 더보기 »

대지도론

《대지도론》(大智度論, K.0549, T.1509)은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로 인도의 대승불교 승려인 용수(龍樹: 150?~250?)가 저술한 불교 논서 또는 주석서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대지도론 · 더보기 »

구룽족

룽족은 네팔의 히말라야 지역 중앙부에 사는 민족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구룽족 · 더보기 »

구글 번역

번역()은 텍스트 번역을 위해 구글이 무료로 제공하는 다언어 기계 번역 서비스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구글 번역 · 더보기 »

남초호

호()는 중국 티베트 자치구 라싸의 당슝 현과 나취 지구의 반거 현 사이에 있는 호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남초호 · 더보기 »

노블링카

블링카의 모습(1993년도 8월) 노블링카()는 중국 티베트 자치구의 수도 라싸에 있는 별궁과 그 정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노블링카 · 더보기 »

다두허

(大渡河, 대도하, 티베트어: rgyal rong rgyal mo rngul chu)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 성 서부를 흐르는 큰 강으로 민강의 지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다두허 · 더보기 »

달라이 라마

이 라마()는 1391년부터 전세된 티베트 불교 겔룩파 《소환사》, 도서출판 들녘(2000년)에 속하는 존재로 이어져 환생하는 라마(스승, 대사)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달라이 라마 · 더보기 »

ISO 639

ISO 639는 전 세계의 언어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ISO 639 · 더보기 »

우마 서먼

우마 카루나 서먼(1970년 4월 29일 ~)은 미국의 배우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우마 서먼 · 더보기 »

승만경

《승만경(勝鬘經)》은 대승 불교 경전 중의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승만경 · 더보기 »

자판 배열

일반적인 컴퓨터 자판 배열 자판 배열(字板配列), 키보드 레이아웃()은 타자기, 전신 인자기, 컴퓨터 등의 자판의 문자 시퀀스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자판 배열 · 더보기 »

자유 아시아 방송

자유아시아방송(Radio Free Asia, 약칭 RFA)은 1994년 미국 국회가 입법한 국제 방송법(International Broadcasting Act)에 의해, 1996년에 미국 의회의 출자, 투자에 의해 설립된 국제 방송국 이. 미국 하원의 지원을 받아 9개 언어로 아시아 전 지역을 향해 단파방송을 하고 있. 지사는 미국 워싱턴 D.C.에 있으며 한국어 방송국 위치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 자유아시아방송의 지침은 설교하지 말 것, 강의하지 말 것, 직접적인 메시지 전달 방식을 피할 것, 주관적인 표현을 피할 것, 어떤 아젠다도 제시하지 말 것 등으로 사실전달의 목적이 분명.

새로운!!: 티베트어와 자유 아시아 방송 · 더보기 »

크리스토퍼 벡위스

리스토퍼 벡위스(1945년 ~)는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의 중앙유라시아학과 교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크리스토퍼 벡위스 · 더보기 »

이폴리토 데시데리

이폴리토 데시데리가 그려진 우편물의 소인 이폴리토 데시데리(1684년 12월 21일 ~ 1733년 4월 14일)는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이폴리토 데시데리 · 더보기 »

제13대 달라이 라마

1910년, 34세 때 사진 툽땐갸초(ཐུབ་བསྟན་རྒྱ་མཚོ་, 1876년 5월 5일 ~ 1933년 12월 17일)는 티베트 불교 겔룩파의 제13대 달라이 라마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제13대 달라이 라마 · 더보기 »

정토삼부경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은 정토교의 근본 성전인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 2권, 《관무량수경(觀無量t壽經)》 1권, 《아미타경(阿彌陀經)》 1권으로 된 3종의 대승경전(經典)의 총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정토삼부경 · 더보기 »

종카어

종카어는 중국티베트어족의 분파인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종카어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중국 · 더보기 »

중국국제방송

중국국제방송의 로고 중국국제방송(중국국제광파전대,, China Radio International, 약칭 CRI)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유일한 국영대외방송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중국국제방송 · 더보기 »

중국어파

중국어파(中國語派, 중국어 간체자: 汉语族, 영어: Sinitic)는 중국티베트어족의 한 어파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중국어파 · 더보기 »

중국티베트어족

녹색: 티베트 언어. 적색: 중국 언어. 중국티베트어족()은 중국어파와 티베트버마어파로 구성된 어족으로 한장어족()이라고도 하며, 250여개에 달하는 언어가 속해있는 대어족으로 그 화자 수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 다음으로 많. 중국어, 티베트어 등이 이 어족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중국티베트어족 · 더보기 »

중앙인민방송국

중앙인민방송국의 로고 중앙인민방송국(중앙인민광파전대;; China National Radio; 약칭: CNR)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영 라디오 방송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중앙인민방송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치송데짼

송데짼(ཁྲི་སྲོང་ལྡེ་བཙན, Khri-sRong lDe-bTsan, Trisong Detsen, Chisong Dêzän, 742년 ~ 797년)은 토번의 제38대 짼뽀(재위: 756년 ~ 797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치송데짼 · 더보기 »

켄포 소달지

소달지 켄포 소달지(티베트어:མཁན་པོ བསོད་དར་རྒྱས;영어:Khenpo Sodargye;중국어:堪布索达吉)는 1962년 캄(康區)이라고 알려진 티베트 동부 지역에서 태어났다. 1985년 중국 쓰촨성에 위치한 라롱 오명불학원에서 출가하였다. 이 불학원은 세계에서 가장 큰 불교 대학이다. 그는 당대의 뛰어난 대덕 중 한 명인 켄쳔 직메푼촉 린포체(Khenchen Jigme Phuntsok Rinpoche)로부터 직접 가르침을 받고 수행하였다. 켄포 소달지는 불교 전통 철학 경전 과정을 깊이 있게 수학하였으며, 또한 티베트 불교의 완전한 전승을 받았다.(《중관(中觀)》 《반야(般若)》 《구사(俱捨)》 《계율(戒律)》 《인명(因明》의 오부대론에서부터, 《대원만(大圓滿)》, 《시륜금강(時輪金剛)》, 마이펑 린포체의 《밀장속(密藏續)》, 롱친바(龍欽巴)의 《칠보장(七寶藏)》, 《삼대휴식(三大休息)》을 포함한다.) 이후 라롱 오명불학원의 관리자로 임명이 되고, 주요한 교수 중 한 명이 되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켄포 소달지 · 더보기 »

유마경

《유마경(維摩經)》은 원명을 비말라키르티 수트라(Vimalakīrti Sūtra)라고 하며 《반야경》에 이어 나타난 초기 대승경전 중에서도 그 성립이 오랜 것 중의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유마경 · 더보기 »

파드마삼바바

마삼바바의 상 (인도) 파드마삼바바(티베트어: པདྨ་འབྱུང་གནས, 한자:蓮華生上師) 또는 연꽃에서 태어난 자(蓮華生, 연화생)는 티베트 불교에서 등장하는 인물로, 부처는 자기가 죽은 뒤 '파드마삼바바(蓮華生)'라는 이름으로 부활할 것이라고 말. 전설에 따르면 파드마삼바바는 연꽃 봉우리 안에서 태어난 부처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파드마삼바바 · 더보기 »

파스파 문자

스파 문자(영어: Phagspa script 또는 'Phags-pa script), 팔사파어(八思巴語)는 1265년 몽골 원나라(元) 국사(國師)인 파스파(八思巴)가 쿠빌라이 칸(세조 世祖)의 명을 받아 몽골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로서, 몽골신자·방형몽골문자라고도 하는데, 파스파의 백부(伯父) 사펜이 처음 고안한 것을 파스파가 개량한 것이라는 설도 있. 몽골어뿐 아니라 중국어·티베트·산스크리트 ·튀르크 등 몽골 통치 아래 있는 여러 민족의 언어를 표기하기 위한 공용문자로 고안되어 1269년 처음 완성되어 공표되었는데, 본래 티베트 문자를 방형화(方形化), 즉 네모지게 만들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로 쓰게 만든 표음문자로 자음 30자, 모음 8자, 기호 9개로 되어 있었고, 뒤에 성종(成宗) 및 무종(武宗)의 제사(帝師)인 추크 오세르가 연모음(軟母音)과 복합 모음의 표기법을 고안·개정하여, 모음 8자, 자음 31자의 39개 자모(字母)로 개량되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파스파 문자 · 더보기 »

탱화

조선왕조 시대의 탱화 탱화(幀畵)는 천이나 비단에 부처나 보살의 그림을 그려 액자나 족자를 만들어서 거는 불교의 불화(佛畫)의 한 유형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탱화 · 더보기 »

탕구라산맥

칭하이에서 본 탕구라 산맥 탕구라 산맥()은 티베트 고원의 중앙부를 북서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종단하고 있는 산맥의 하나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탕구라산맥 · 더보기 »

투바 공화국

바 공화국()은 러시아의 공화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투바 공화국 · 더보기 »

오사카 외국어대학

오사카 외국어대학()은 1921년에 창립된 오사카 외국어학교(大阪外國語學校)를 모체로, 1949년에 신제(新制) 국립 대학으로 발족하였.

새로운!!: 티베트어와 오사카 외국어대학 · 더보기 »

언어 목록

이 문서는 사어를 제외하여 지금까지 발견된 가나다 순 394개 언어의 목록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언어 목록 · 더보기 »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이 문서는 각언어별 위키백과에 대한 목록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 더보기 »

에베레스트산

에베레스트산(중국조선말: 쵸몰라마봉)은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해발 이라는 수식어가 앞에 붙게 되면 에베레스트산이 가장 높지만 해발이란 수식어가 붙지 않는다면 에베레스트 보다 더 높은 산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에베레스트산 · 더보기 »

에스페란토 어원

에스페란토는 국제어로서 다양한 언어들에서 어휘를 빌어 쓴. 이들 대부분은 유럽의 언어(주로 라틴어,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에서 왔지만, 최근에 생긴 어휘는 비유럽어권에서 온 경우도 있. 다국어주의에 의해 대부분의 어휘는 서로 유사한 다양한 언어의 공통적인 부분에서 가져왔.

새로운!!: 티베트어와 에스페란토 어원 · 더보기 »

염마

17세기 티베트의 염마 탱화. 염마() 또는 염마왕()은 힌두교와 불교에서 사후세계를 관장하는 가상의 군주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염마 · 더보기 »

푸미족

미족(普米族, Pǔmǐ Zú)은 중국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 중국 정부에 의해 공인된 56개의 소수민족 중 41번째로 많은 민족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푸미족 · 더보기 »

사라트 찬드라 다스

사라트 찬드라 다스 사라트 찬드라 다스(1849년 ~ 1917년)는 인도의 티베트학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사라트 찬드라 다스 · 더보기 »

사라족

살라르족(Salarlar)은 중국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 중국 정부에 의해 공인된 56개의 소수민족 중 38번째로 많은 민족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사라족 · 더보기 »

사딩딩

섬네일 사딩딩(본명 Zhou Peng(저우펑), 12월 27일 ~)은 중국의 여성 싱어송라이터이자 행위예술가이.내몽골 자치구에서 외조모와 어린시절을 보냈으며,베이징 중앙음악원에서 대중음악 작곡을 전공하였고, 2008년 몽골,인도,티베트와 중국 한족의 문화를 아우르는 자신만의 음악으로 채운 첫 솔로 앨범 Alive 를 발매하며 데뷔, 일렉트로니카와 전통음악을 이상적으로 혼합하여 아시아의 이니그마라는 칭호를 얻었.

새로운!!: 티베트어와 사딩딩 · 더보기 »

사카구치 안고

사카구치 안고, 1946 사카구치 안고(1906년∼1955년)은 일본의 문학가로 본명은 사카구치 헤이고()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사카구치 안고 · 더보기 »

산난 시

산난 시는 티베트 자치구에 있는 지급시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산난 시 · 더보기 »

살라르어

살라르어는 칭하이 성, 간쑤 성에 거주하는 살라르족들이 사용하는 투르크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살라르어 · 더보기 »

삼사라 (2001년 영화)

《삼사라》(Samsara)는 2002년 공개된 영화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삼사라 (2001년 영화) · 더보기 »

쓰촨 방송국

쓰촨 방송국(약칭 SRT)은 중화인민공화국 쓰촨 성에서 있는 방송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쓰촨 방송국 · 더보기 »

쓰촨어

쓰촨어()는 주로 중국의 쓰촨성(四川省)과 충칭시(重慶市)에서 쓰이는 중국어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쓰촨어 · 더보기 »

섭대승론

《섭대승론(攝大乘論,, 또는 Discourse on the Perfection of Consciousness-only)》은 "대승(大乘)을 포섭(包攝)한 논"이라는 뜻으로 무착(無着: c. 310~390)이 저술한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섭대승론 · 더보기 »

서하

서하(중국어: 西夏 병음: Xī Xià, 티베트어: 미냐크(Minyak))는 1032년에서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의 간쑤 성(甘肅省), 산시 성(陝西省)에 위치했던 티베트의 분파인 탕구트족의 왕조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서하 · 더보기 »

토번국

번(吐蕃)은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7세기 송첸캄포에서 9세기 중순 랑다르마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

새로운!!: 티베트어와 토번국 · 더보기 »

해심밀경

《해심밀경》(解深密經)은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해심밀경 · 더보기 »

야크

야크(Yak, 학명: Bos grunniens)는 티베트와 히말라야 주변, 티베트어를 사용하는 몽골에 주로 사육되는 긴털을 가진 소의 일종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야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티베트어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티베트어와 한국어 · 더보기 »

아부기다

착 캐나다어를 위해 기독교 전도자들이 개발한 아부기다, "캐나다 토착 음절 문자"를 사용한 스웸피 크리어의 비문 아부기다(abugida)는 음절 문자와 자모 문자의 특성을 모두 지닌 표기 체계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아부기다 · 더보기 »

아시아

아시아의 인공위성 합성사진 동남아시아 아시아(음역: 亞細亞 아세아) 또는 아주(亞洲)는 지구에서 가장 넓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면적은 44,579,000km²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아시아 · 더보기 »

텐징 노르가이

징 노르가이(1914년 5월 29일 ~ 1986년 5월 9일)는 네팔인 셰르파족 산악인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텐징 노르가이 · 더보기 »

셰르파족

셰르파족()은 네팔의 산악지대에 거주하는 민족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셰르파족 · 더보기 »

티베트

중국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티베트()는 중앙아시아에 있는 티베트 고원의 지역으로, 토착 티베트인들의 고향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 · 더보기 »

티베트 망명 정부

베트 망명 정부의 수상 티베트 망명 정부() 또는 중앙 티베트 행정부(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CTA)는 1959년에 제14대 달라이 라마가 인도에서 수립한 티베트의 망명 정부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 망명 정부 · 더보기 »

티베트 문자

베트 문자(藏文字母, Tibetan script)는 티베트어의 표기에 이용하는 문자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 문자 · 더보기 »

티베트 대장경

베트 대장경은 티베트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 대장경 · 더보기 »

티베트 자치구

베트 자치구() 또는 시짱 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서남부의 티베트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 자치구 · 더보기 »

티베트 왕국

베트 왕국()은 1912년부터 1950년까지 티베트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 왕국 · 더보기 »

티베트족

장족 또는 티벳족은 아시아의 민족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족 · 더보기 »

티베트영양

베트영양 또는 치루(Pantholops hodgsonii)는 티베트영양속의 유일한 종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티베트영양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원측 · 더보기 »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황남 티베트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칭하이 성에 위치하는 자치주로 칭하이 성의 동쪽에 위. 황난 짱족 자치주라고도 칭. 황난의 티베트명은 "마로"(rma lho)인데, "마"는 황하 상류에 있는 강인 마취 강(rma chu)을, "로"는 "남쪽"을 뜻. 따라서 "마로"는 티베트어로 "마취 강의 남쪽"을 뜻. 중국어 이름 "황난"은 그 축어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황난 티베트족 자치주 · 더보기 »

화신 (청나라)

호록화신(鈕祜祿和珅,, 1750년 7월 1일 ~ 1799년 2월 22일)은 청나라 건륭 ~ 가경 연간 대신으로 원명은 선보(善保), 자는 치재(致齋)이.

새로운!!: 티베트어와 화신 (청나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서장어, 티벳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