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판서

색인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268 처지: 류자광, 마승 (1393년), 마천목, 목 (성씨), 목창명, 목천 상씨, 목행선, 문정왕후 (조선), 문치주의, 민기, 민승호, 민치구, 민치상, 민원식, 방 (성씨), 방덕룡, 방강, 방진, 방유령, 방윤, 방호의, 반 (성씨), 반기문, 반석평, 박종래, 박중손, 박지원 (1737년), 강위, 박호, 강현 초상, 박아기, 가마, 거제 반씨, 경주 손씨, 곽충보, 공조 (행정기관), 공주의 남자, 병조, 변치명, 변옥란, 광주 반씨, 권맹손, 권절, 금위영, 김 로사, 김만기 (1633년), 김번, 김노경, 김효임, 김효정 (조선), ..., 김효주 (종교인), 김자지, 김흥경 (조선), 김익훈, 김종직, 김종수 (1728년), 김종서 (1383년), 김질 (1422년), 김육, 김상헌, 김온순 (1812년), 김신겸 (1693년), 김원량, 김홍집 (1842년), 구 (성씨), 남곤, 남이, 남은, 나주 임씨, 노진 (조선), 효령대군, 장만, 장흥 마씨, 장택상, 장순손, 임정 (1356년), 임사홍, 임한호, 입양, 평 (성씨), 평강 채씨, 평택 임씨, 평해 구씨, 흥친왕, 흥선대원군, 이량 (1519년), 이만수 (1752년), 이명한 (조선), 이경석 (1595년), 이경항 (1601년), 이복남, 이광헌, 이광식 (1493년), 이극돈, 이기 (1476년), 이회영, 이재긍, 이재완, 이이, 이이첨, 이정구 (1564년), 이조, 이종찬 (1936년), 이준경, 이준용 (1870년), 이징옥, 이지방 (1466년), 이윤용 (1854년), 이수형 (1435년), 이현일, 이언적, 이억기, 이산해, 이서우 (1633년), 이시영 (1868년), 이원경 (1827년), 이황, 이완용, 인동 장씨, 응천군, 은 (성씨), 은여림, 은신군, 전계대원군, 전성군 (1488년), 전성군 (1545년), 정도전, 정몽주, 정문부, 정보 (조선), 정국보, 정진 (1361년), 정창손, 정철, 조동호, 조려, 조문명, 조병호 (1847년), 조광조, 조극관, 조정만, 조태억,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의 정치, 지정, 참의, 참판, 채세영, 청주 양씨, 청안군 (1851년), 충주 평씨, 충주 지씨, 판선교 양종사도 대선사, 유봉휘, 육조, 윤동섬, 윤기견, 윤급, 윤임, 윤치호, 윤치왕, 윤휴, 윤휘, 윤영 (1611년), 윤사윤, 윤선도, 윤필상, 윤원형, 윤웅렬, 탁 (성씨), 상 (성씨), 상진, 태원 선우씨, 영의정, 영천 황보씨, 영월 엄씨, 오도일, 오명항, 오결, 오두인, 오승, 오재순, 오정방, 오윤겸, 오상 (해주), 오태주, 오억령, 오원 (조선), 온양 방씨, 호조, 예조, 예안 김씨, 형조, 최명길 (1586년), 최효원, 어 (성씨), 어효첨, 어세공, 양녕대군, 양정 (조선), 양헌수, 양성지, 행주 은씨, 여칭, 여성제, 연령군, 허목, 허균, 허윤, 허성, 엄집, 표연말, 풍계군, 사천 목씨, 삼정승, 설미수, 성봉조, 성승, 서광범, 서광하, 서지 (1468년), 서상우 (1831년), 서상정, 서영순 (1793년), 서필원, 송질, 송창 (1633년), 송시열, 함우치, 함종 어씨, 함양 여씨, 해를 품은 달 (드라마), 해주 오씨, 해주 최씨, 한명회, 안위, 하위지, 하연 (1376년), 신립, 신개, 신익희, 신정왕후 (조선), 신창 표씨, 신수근, 심의면, 심상규, 심영 (1910년), 심환지, 원주 변씨, 원주 원씨, 원호 (조선), 홍병주, 홍계희, 홍금주, 홍낙명, 홍우원, 홍인한, 홍윤성, 홍영주, 황경원, 황보 (성씨), 황희, 황주 변씨, 황치신, 황헌 (1502년), 왕흥, 1부 6조.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8 더)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판서와 류자광 · 더보기 »

마승 (1393년)

마승(馬勝, 1393년 ~ 1463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마승 (1393년) · 더보기 »

마천목

마천목(馬天牧, 1358년~1431년 3월 14일 (음력 2월 1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마천목 · 더보기 »

목 (성씨)

목(睦)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목 (성씨) · 더보기 »

목창명

목창명(睦昌明, 1645년 ~ 169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목창명 · 더보기 »

목천 상씨

목천 상씨(木川 尙氏)는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목천 상씨 · 더보기 »

목행선

목행선(睦行善, 1609년 ∼ 1661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목행선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판서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문치주의

문치주의(文治主義) 또는 문치 정치는 학문을 최고의 가치 개념으로하여 정치에서 무인을 제외하고 문인을 주요 파벌로 내세우는 통치 이념이.

새로운!!: 판서와 문치주의 · 더보기 »

민기

민기(閔箕, 1504년 ~ 1568년 1월 18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민기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판서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판서와 민치구 · 더보기 »

민치상

민치상(閔致庠, 1825 - 1888)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민치상 · 더보기 »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새로운!!: 판서와 민원식 · 더보기 »

방 (성씨)

방(方, 房, 龐, 邦)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방 (성씨) · 더보기 »

방덕룡

방덕룡(方德龍, 1561년 ∼ 1598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 장군이.

새로운!!: 판서와 방덕룡 · 더보기 »

방강

방강(方綱, 1400년 ~ ?)은 조선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방강 · 더보기 »

방진

방진(方震, 1514년 ~ 15??년 10월 26일)은 보성군수를 역임한 조선의 무관이.

새로운!!: 판서와 방진 · 더보기 »

방유령

방유녕(方有寧, 1460년 ∼ 15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방유령 · 더보기 »

방윤

방륜(方輪, 1464년 ∼ 1534년)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판서와 방윤 · 더보기 »

방호의

방호의(方好義)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방호의 · 더보기 »

반 (성씨)

반(潘, 班)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반 (성씨) · 더보기 »

반기문

반기문(潘基文, 1944년 6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제7대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한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이.

새로운!!: 판서와 반기문 · 더보기 »

반석평

반석평(潘碩枰, 1472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반석평 · 더보기 »

박종래

박종래(朴宗來, 1746년 ~ 183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박종래 · 더보기 »

박중손

박중손(朴仲孫, 1412년 ~ 1466년 5월 26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박중손 · 더보기 »

박지원 (1737년)

박지원(朴趾源, 1737년 3월 5일(음력 2월 5일) ~ 1805년 12월 10일(음력 10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사상가, 외교관, 소설가이.

새로운!!: 판서와 박지원 (1737년)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판서와 강위 · 더보기 »

박호

박호(朴壕, 1466년 ~ 1533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박호 · 더보기 »

강현 초상

강현초상(姜鋧肖像)은 조선시대 문신이었던 강현을 그린 초상화이.

새로운!!: 판서와 강현 초상 · 더보기 »

박아기

박아기(朴阿只, 1783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박아기 · 더보기 »

가마

마 가마는 조그만 집 모양의 탈것으로, 그 안에 사람을 태우거나 물건을 싣고 앞뒤에서 둘 또는 네 사람이 가마에 연결된 손잡이를 잡거나 멜빵을 걸어메고 옮기는 것이.

새로운!!: 판서와 가마 · 더보기 »

거제 반씨

제 반씨(巨濟 潘氏)는 경상남도 거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거제 반씨 · 더보기 »

경주 손씨

경주 손씨(慶州 孫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경주 손씨 · 더보기 »

곽충보

곽충보(郭忠輔, ? ~ 1403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판서와 곽충보 · 더보기 »

공조 (행정기관)

공조(工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판서와 공조 (행정기관) · 더보기 »

공주의 남자

《공주의 남자》는 2011년 7월 20일부터 2011년 10월 6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24부작 특별기획드라마이.

새로운!!: 판서와 공주의 남자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판서와 병조 · 더보기 »

변치명

변치명(邊致明, 1693년 ~ 177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변치명 · 더보기 »

변옥란

변옥란(卞玉蘭, 1322년 ∼ 1395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이.

새로운!!: 판서와 변옥란 · 더보기 »

광주 반씨

광주 반씨(光州 潘氏)는 광주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광주 반씨 · 더보기 »

권맹손

맹손(權孟孫, 1390년∼145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권맹손 · 더보기 »

권절

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권절 · 더보기 »

금위영

위영은 5군영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숙종 때 설치되었.

새로운!!: 판서와 금위영 · 더보기 »

김 로사

사(金--, 1784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김 로사 · 더보기 »

김만기 (1633년)

만기(金萬基, 1633년 ~ 1687년 3월 15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인·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만기 (1633년) · 더보기 »

김번

번(金璠, 1479년 ~ 15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문서(文瑞)이며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판서와 김번 · 더보기 »

김노경

경(金魯敬, 1766년 ~ 183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노경 · 더보기 »

김효임

효임(金孝任, 1814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김효임 · 더보기 »

김효정 (조선)

효정(金孝貞, 1383년~1440년)은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김효정 (조선) · 더보기 »

김효주 (종교인)

효주(金孝珠, 1816년 ~ 1839년 9월 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김효주 (종교인) · 더보기 »

김자지

자지(金自知, 1367년 ~ 1435년)는 고려 말기와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김자지 · 더보기 »

김흥경 (조선)

흥경(金興慶, 1677년 ~ 17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흥경 (조선)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판서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종수 (1728년)

종수(金鍾秀, 1728년 ~ 1799년 1월 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종수 (1728년) · 더보기 »

김종서 (1383년)

종서(金宗瑞, 1383년 ~ 1453년 11월 10일 (음력 10월 1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가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국경(國卿), 호는 절재(節齋)이다. 도총제(都摠制) 김추(金錘)의 아들이다. 단종의 충신 3 상신(相臣) 중 한명이다.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새로운!!: 판서와 김종서 (1383년)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판서와 김육 · 더보기 »

김상헌

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김상헌 · 더보기 »

김온순 (1812년)

온순(金蘊淳, 1812년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온순 (1812년) · 더보기 »

김신겸 (1693년)

신겸(金信謙, 1693년 ~ 1738년)은 조선 후기의 문인, 학자, 화가, 시인이.

새로운!!: 판서와 김신겸 (1693년) · 더보기 »

김원량

원량(金元亮, 1589년 ~ 162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김원량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판서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구 (성씨)

(具, 仇)씨는 한국의 성씨이고, 구(丘)씨는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의 성씨.

새로운!!: 판서와 구 (성씨)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판서와 남곤 · 더보기 »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새로운!!: 판서와 남이 · 더보기 »

남은

은(南誾, 1354년 ~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의령이다. 고려 말기에 왜구 토벌과 신진사대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이성계를 도와 조선왕조 개국에 공을 세웠다. 개국공신 1등으로 의성군에 봉해졌고, 사후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된 뒤 의성부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본관은 의령이고, 시호는 강무(剛武)이다. 행촌 이암의 외손녀사위이기도 하다.

새로운!!: 판서와 남은 · 더보기 »

나주 임씨

주 임씨(羅州 林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나주 임씨 · 더보기 »

노진 (조선)

(盧禛, 1518∼1578)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노진 (조선) · 더보기 »

효령대군

효령대군(孝寧大君, 1396년 1월 6일 (음력 1395년 12월 11일) ~ 1486년 6월 12일(음력 5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왕자, 왕족, 서예가,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효령대군 · 더보기 »

장만

장만(張晩, 1566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장만 · 더보기 »

장흥 마씨

장흥 마씨(長興馬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장흥 마씨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판서와 장택상 · 더보기 »

장순손

장순손(張順孫, 1453년『연려실기술』 ~ 1534년 9월 11일)은 조선의 문신으로, 자는 자활(自活), 본관은 인동(仁同)이.

새로운!!: 판서와 장순손 · 더보기 »

임정 (1356년)

임정(林整, 1356년 ∼ 141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임정 (1356년)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임사홍 · 더보기 »

임한호

임한호(林漢浩, 1752년 ~ 182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임한호 · 더보기 »

입양

입양(入養)은 혈연 관계와 상관없이 인위적으로 친자 관계를 맺는 것을 말. 이러한 행위로 자식의 자격을 얻은 사람을 양자(養子)라고 하며, 양자로 삼은 아이를 입양아(入養兒).

새로운!!: 판서와 입양 · 더보기 »

평 (성씨)

평(平)씨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평 (성씨) · 더보기 »

평강 채씨

평강 채씨(平康 蔡氏)는 강원도 평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평강 채씨 · 더보기 »

평택 임씨

평택 임씨(平澤 林氏)는 경기도 평택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평택 임씨 · 더보기 »

평해 구씨

평해 구씨(平海 丘氏)는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평해 구씨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판서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판서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량 (1519년)

이량(李樑, 1519년 11월 17일 ~ 1563년 3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자 문신, 외척이었.

새로운!!: 판서와 이량 (1519년) · 더보기 »

이만수 (1752년)

이만수(李晩秀, 1752년 ~ 1820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이만수 (1752년) · 더보기 »

이명한 (조선)

이명한(李明漢, 1595년 ~ 164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이명한 (조선)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판서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경항 (1601년)

이경항(李慶恒,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으로 자(字)는 사상(士常)·중구(中久)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판서와 이경항 (1601년)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판서와 이복남 · 더보기 »

이광헌

이광헌(李光獻, 1787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이광헌 · 더보기 »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이광식 (1493년) · 더보기 »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판서와 이극돈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판서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재긍

완영군 이재긍(完永君 李載兢, 1857년 3월 12일 - 1881년 1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증손이며, 흥인군 이최응(興寅君 李最應)의 아들이.

새로운!!: 판서와 이재긍 · 더보기 »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판서와 이재완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이이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정구 (1564년)

이정귀(李廷龜, 1564년∼1635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이정구 (1564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판서와 이조 · 더보기 »

이종찬 (1936년)

이종찬(李鍾贊, 1936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의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종찬 (1936년)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이준경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판서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지방 (1466년)

이지방(李之芳, 1466년 10월 15일 - 1537년 12월 1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판서와 이지방 (1466년) · 더보기 »

이윤용 (1854년)

이윤용(李允用, 1854년 ~ 1939년 9월 8일)은 대한제국 및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한일 병합 과정에서 일본에 협력.

새로운!!: 판서와 이윤용 (1854년)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이현일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억기

이억기(李億祺, 1561년 9월 3일 ~ 1597년 8월 27일)는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武臣),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억기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산해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새로운!!: 판서와 이원경 (1827년)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판서와 이황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이완용 · 더보기 »

인동 장씨

인동 장씨(仁同 張氏)는 경상북도 구미시 인동동(仁同洞)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인동 장씨 · 더보기 »

응천군

응천군 이돈(凝川君 李潡, 1579년 3월 3일 ~ 1617년 12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

새로운!!: 판서와 응천군 · 더보기 »

은 (성씨)

은(殷, 恩)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

새로운!!: 판서와 은 (성씨) · 더보기 »

은여림

은여림(殷汝霖)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은여림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판서와 은신군 · 더보기 »

전계대원군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1785년 4월 29일(음력 3월 21일) ~ 1841년 12월 14일(음력 11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농민이며, 철종의 생부이.

새로운!!: 판서와 전계대원군 · 더보기 »

전성군 (1488년)

전성군(全城君) 이대(李對, 1488년 ∼ 1543년 10월 19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자(字)는 성중(盛仲)이.

새로운!!: 판서와 전성군 (1488년) · 더보기 »

전성군 (1545년)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전성부원군 이준(全城府院君 李準, 1545∼1624)은 조선 왕족이며,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재(懶眞齋)·서파(西坡)·삼귀(三鬼)이고 시호(諡)는 숙헌(肅憲)이.

새로운!!: 판서와 전성군 (1545년)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판서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정몽주 · 더보기 »

정문부

정문부(鄭文孚, 1565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란 일등 공신 좌찬성 대제학 의병장이.

새로운!!: 판서와 정문부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국보

정국보(丁--, 1799년 ~ 1839년 5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정국보 · 더보기 »

정진 (1361년)

정진(鄭津, 1361년 ~ 1427년)은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정치인으로 시호는 희절공(僖節公)이며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의 아들이.

새로운!!: 판서와 정진 (1361년)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판서와 정철 · 더보기 »

조동호

조동호(趙東祜, 1892년 9월 24일(음력 8월 4일) ~ 1954년 9월 1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조동호 · 더보기 »

조려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조려(趙旅, 1420년 ~ 1489년)는 조선 세종, 문종, 단종 때의 문신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조려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판서와 조문명 · 더보기 »

조병호 (1847년)

조병호(趙秉鎬, 1847년 ~ 1910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조병호 (1847년)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조광조 · 더보기 »

조극관

조극관(趙克寬, ? ~ 1453년)의 조선의 문신(文臣), 무신(武臣)이며 단종의 충신 즉, 삼중신 중 한명이.

새로운!!: 판서와 조극관 · 더보기 »

조정만

조정만(趙正萬, 1654년 ~ 1739년 4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조정만 · 더보기 »

조태억

가노 츠네노부가 그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태억 초상 조태억(趙泰億, 1675년 ~ 17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조태억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판서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의 정치

조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자 즉시 중외(中外)의 신료와 군사와 백성에게 교서를 내려 즉위한 사실을 알리는 가운데서, 국호를 종전대로 ‘고려’라 칭하고, 의복과 장식, 그리고 법률제도도 고려의 전통을 따를 것을 선언하였.

새로운!!: 판서와 조선의 정치 · 더보기 »

지정

정(池淨, ?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지정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판서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판서와 참판 · 더보기 »

채세영

세영(蔡世英, 1490년 ~ 156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채세영 · 더보기 »

청주 양씨

청주 양씨(淸州 楊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청주 양씨 · 더보기 »

청안군 (1851년)

청안군 이재순(淸安君 李載純, 1851년 10월 24일 ~ 1904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이었던 은언군(恩彦君)의 양증손이며, 철종의 조카이자 누동궁(樓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판서와 청안군 (1851년) · 더보기 »

충주 평씨

충주 평씨(忠州平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충주 평씨 · 더보기 »

충주 지씨

충주 지씨(忠州 池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충주 지씨 · 더보기 »

판선교 양종사도 대선사

선교 양종사도 대선사는 명종시절에 문정왕후가 불교를 중흥시킴에 도움을 받기 위해 만든 벼슬로, 승려 보우를 여기에 앉혔.

새로운!!: 판서와 판선교 양종사도 대선사 · 더보기 »

유봉휘

유봉휘(柳鳳輝, 1659년 ~ 1727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유봉휘 · 더보기 »

육조

육조(六曹)는 고려와 조선에서 행정을 각각 분담하여 집행하였던 여섯 개의 중앙 관서를 가리.

새로운!!: 판서와 육조 · 더보기 »

윤동섬

윤동섬(尹東暹, 1710년 ~ 179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윤동섬 · 더보기 »

윤기견

윤기견(尹起畎, ? ~ ?)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 병조참판 윤구의 아버지이자 10대 임금 연산군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판서와 윤기견 · 더보기 »

윤급

상화 윤급(尹汲, 1697년 음력 2월 30일 ~ 1770년 음력 5월 19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윤급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판서와 윤임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판서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왕

윤치왕(尹致旺, 일본식 이름: 이토 지오(伊東致旺), 1895년 2월 17일 ~ 1982년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의 산부인과, 외과 의사이자 의학자, 의학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산부인과 의사, 군의관이.

새로운!!: 판서와 윤치왕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윤휴 · 더보기 »

윤휘

윤휘(尹暉, 1571년 - 1644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윤휘 · 더보기 »

윤영 (1611년)

윤영(尹鍈, 1611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윤영 (1611년) · 더보기 »

윤사윤

윤사윤(尹士昀, 1409년 - 1461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세조와 중종의 외척이었.

새로운!!: 판서와 윤사윤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판서와 윤선도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판서와 윤필상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판서와 윤원형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판서와 윤웅렬 · 더보기 »

탁 (성씨)

탁(卓)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탁 (성씨) · 더보기 »

상 (성씨)

상(尙)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상 (성씨) · 더보기 »

상진

상진(尙震, 1493년 ~ 156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상진 · 더보기 »

태원 선우씨

원 선우씨(太原 鮮于氏)는 기자조선을 기원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태원 선우씨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판서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천 황보씨

영천 황보씨(永川 皇甫氏)는 경상북도 영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영천 황보씨 · 더보기 »

영월 엄씨

영월 엄씨(寧越 嚴氏)는 강원도 영월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영월 엄씨 · 더보기 »

오도일

오도일(吳道一, 1645년 ~ 170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도일 · 더보기 »

오명항

오명항(吳命恒, 1673년 5월 29일(음력 4월 14일) ~ 1728년 10월 12일(음력 9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명항 · 더보기 »

오결

오결(吳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결 · 더보기 »

오두인

오두인(吳斗寅, 1624년 ∼ 1689년)의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두인 · 더보기 »

오승

오승(吳陞, 1364년 ~ 144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승 · 더보기 »

오재순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재순 · 더보기 »

오정방

오정방(吳定邦, 1552년 ∼ 1625년)의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정방 · 더보기 »

오윤겸

오윤겸(吳允謙, 1559년 ~ 163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오윤겸 · 더보기 »

오상 (해주)

오상(吳祥, 1512년 ∼ 15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상 (해주) · 더보기 »

오태주

오태주(吳泰周, 1668년 ∼ 1716년)는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 제18대 왕 현종의 부마이.

새로운!!: 판서와 오태주 · 더보기 »

오억령

오억령(吳億齡, 1552년 ~ 161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억령 · 더보기 »

오원 (조선)

오원(吳瑗, 1700년 ~ 17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오원 (조선) · 더보기 »

온양 방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는 충청남도 아산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온양 방씨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판서와 호조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판서와 예조 · 더보기 »

예안 김씨

예안 김씨(禮安 金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예안 김씨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판서와 형조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최효원

효원(崔孝元, 1638년 2월 23일 ~ 1672년 8월 15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무신으로 숙빈 최씨의 친정아버지이자 영조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판서와 최효원 · 더보기 »

어 (성씨)

어(魚)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어 (성씨) · 더보기 »

어효첨

어효첨(魚孝瞻, 1405년 ~ 1475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어효첨 · 더보기 »

어세공

어세공(魚世恭, 1432년 ~ 148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어세공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판서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양정 (조선)

양정 (楊汀, ? ~ 1466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

새로운!!: 판서와 양정 (조선) · 더보기 »

양헌수

양헌수(梁憲洙, 1816년 ~ 1888년)는 조선 말의 무신이.

새로운!!: 판서와 양헌수 · 더보기 »

양성지

양성지(梁誠之, 1415년~1482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판서와 양성지 · 더보기 »

행주 은씨

행주 은씨(幸州 殷氏)는 경기도 고양시 행주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행주 은씨 · 더보기 »

여칭

여칭(呂稱, 1351년 ∼ 1423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여칭 · 더보기 »

여성제

여성제(呂聖齊, 1625년 ~ 1691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여성제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판서와 연령군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판서와 허목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판서와 허균 · 더보기 »

허윤

윤(許玧, 1645년 ~ 17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허윤 · 더보기 »

허성

성(許筬, 1548년~161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허성 · 더보기 »

엄집

엄집(嚴緝, 1635년 ∼ 171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엄집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판서와 표연말 · 더보기 »

풍계군

풍계군 이당(豐溪君 李瑭, 1783년 2월 1일 - 1826년 5월 8일)은 조선후기의 왕족으로 사도세자(장조)의 서손자이자 은전군(恩全君)의 양아들이며 생부는 은언군(恩彦君)이.

새로운!!: 판서와 풍계군 · 더보기 »

사천 목씨

사천 목씨(泗川 睦氏)는 경상남도 사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사천 목씨 · 더보기 »

삼정승

삼정승(三政丞)은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칭하는 말로 조선시대에 쓰였으며, 의정부의 정승들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판서와 삼정승 · 더보기 »

설미수

설미수(偰眉壽, 1359년 ~ 1415년 4월 13일(음력 3월 4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설미수 · 더보기 »

성봉조

성봉조(成奉祖, 1401년 ~ 1474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성봉조 · 더보기 »

성승

성승(成勝, ?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무신, 군인이며 단종 복위 운동의 가담자의 한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성승 · 더보기 »

서광범

서광범(徐光範, 1859년 11월 8일 ~ 1897년 7월 17일 또는 8월)은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개화파 사상가이.

새로운!!: 판서와 서광범 · 더보기 »

서광하

서광하(徐光夏)는 조선 후기의 인물로,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서재필의 양아버지이자 7촌 재당숙이며, 서재창, 서재우, 서재춘, 서재형의 7촌 재당숙이.

새로운!!: 판서와 서광하 · 더보기 »

서지 (1468년)

서지(徐祉, 1468년 ~ 1537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서지 (1468년) · 더보기 »

서상우 (1831년)

서상우(徐相雨, 1831년 ~ 1903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개화파이.

새로운!!: 판서와 서상우 (1831년) · 더보기 »

서상정

서상정(徐相鼎, 1813년 8월 23일 ~ 1876년 7월 1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서상정 · 더보기 »

서영순 (1793년)

서영순(徐英淳, 1793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판서와 서영순 (1793년) · 더보기 »

서필원

서필원(徐必遠, 1614년 ~ 167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서필원 · 더보기 »

송질

송질(宋軼, 1464년 ~ 152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송질 · 더보기 »

송창 (1633년)

송창(宋昌, 1633년 ~ 170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판서와 송창 (1633년)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판서와 송시열 · 더보기 »

함우치

우치(咸禹治, 1408년 ~ 1479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함우치 · 더보기 »

함종 어씨

종 어씨(咸從 魚氏)는 평안남도 증산군 함종리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함종 어씨 · 더보기 »

함양 여씨

양 여씨(咸陽 呂氏)는 경상남도 함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함양 여씨 · 더보기 »

해를 품은 달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은 소설가 정은궐이 집필한 동명의 장편 소설 을 원작으로 한 MBC의 수목 미니시리즈이.

새로운!!: 판서와 해를 품은 달 (드라마) · 더보기 »

해주 오씨

주 오씨(海州 吳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해주 오씨 · 더보기 »

해주 최씨

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해주 최씨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판서와 한명회 · 더보기 »

안위

안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판서와 안위 · 더보기 »

하위지

위지(河緯地, 1412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이며 조선 단종 때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하위지 · 더보기 »

하연 (1376년)

연(河演, 1376년 ~ 1453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하연 (1376년) · 더보기 »

신립

신립(申砬, 1546년 10월 23일 ~ 1592년 4월)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판서와 신립 · 더보기 »

신개

신개(申槩, 1374년(공민왕 23년) ∼ 1446년(세종 28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신개 · 더보기 »

신익희

신익희(申翼熙, 1892년 6월 9일 ~ 1956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신익희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판서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창 표씨

신창 표씨(新昌 表氏)는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신창 표씨 · 더보기 »

신수근

신수근(愼守勤, 1450년 ~ 1506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판서와 신수근 · 더보기 »

심의면

심의면(沈宜冕, 1808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주경(周卿),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판서와 심의면 · 더보기 »

심상규

심상규(沈象奎, 1766년 ~ 183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심상규 · 더보기 »

심영 (1910년)

심영(沈影, 1910년 9월 3일 또는 1909년 ~ 1971년 7월 24일 또는 1973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배우이자 영화배우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이.

새로운!!: 판서와 심영 (1910년) · 더보기 »

심환지

심환지 영정, 보물 1480호 심환지(沈煥之, 1730년 - 1802년 10월 18일)는 조선 영조·정조 시대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심환지 · 더보기 »

원주 변씨

원주 변씨(原州 邉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원주 변씨 · 더보기 »

원주 원씨

원주 원씨(原州 元氏)는 강원도 원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원주 원씨 · 더보기 »

원호 (조선)

원주 치악산의 삼공제명암 (오른쪽 첫 번째가 원호 (관란), 가운데는 조려 (어계), 왼쪽은 이수형 (도촌)) 원호(元昊, 1397년 ∼ 1463년)는 조선 단종 때의 문신·학자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원호 (조선) · 더보기 »

홍병주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홍병주 · 더보기 »

홍계희

《조선인래조기(朝鮮人來朝記)》. 1748년 통신사가 파견되었을 당시 일본에서 기록한 책이다. “조선국왕 이금(영조) 朝鮮國王 李衿, 정사 홍계희(洪啓禧), 부사 남태기(南泰耆), 종사 조명채(曺命采)”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부산에서 대마도를 거쳐 에도江戶에 이르는 통신사 노정을 보여주는 「사로승구도」를 그린 화원 이성린(李聖麟)의 이름도 찾아볼 수 있다. 홍계희(洪啓禧, 1703년 ~ 1771년)는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판서와 홍계희 · 더보기 »

홍금주

홍금주(洪今珠, 180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판서와 홍금주 · 더보기 »

홍낙명

홍낙명(洪樂命, 1722년 ~ 178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홍낙명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판서와 홍우원 · 더보기 »

홍인한

홍인한(洪麟漢, 1722년 ~ 1776년 7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판서와 홍인한 · 더보기 »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홍윤성 · 더보기 »

홍영주

홍영주(洪永周, 1801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명이.

새로운!!: 판서와 홍영주 · 더보기 »

황경원

황경원(黃景源, 1709년 ~ 178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황경원 · 더보기 »

황보 (성씨)

황보(皇甫)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황보 (성씨)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판서와 황희 · 더보기 »

황주 변씨

황주 변씨(黃州 邉氏)는 황해북도 황주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판서와 황주 변씨 · 더보기 »

황치신

황치신(黃致身, 1397년 ~ 148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황치신 · 더보기 »

황헌 (1502년)

황헌(黃憲, 1502년 ~ 157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판서와 황헌 (1502년) · 더보기 »

왕흥

왕흥(王興, ? ~ 1401년)은 여말선초의 정치인이.

새로운!!: 판서와 왕흥 · 더보기 »

1부 6조

1부 6조는 고려, 조선의 중앙 정치 제도이.

새로운!!: 판서와 1부 6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