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1 처지: 라유, 무속신앙, 민속놀이, 백고좌, 고려, 고려 정종 (10대), 고려 현종, 고려 성종, 고려도경, 고려의 음악, 관등놀이, 궁예, 기생, 김저 (고려), 교방가무희, 나희, 이광정 (고려), 이준 (고려), 이순우 (고려), 진흥왕, 팔선, 위계정, 태봉, 숙창원비, 호국 불교 사상, 혜량, 최항 (972년), 연등회, 산대나례, 산대잡극, 삼국 시대의 문화,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 철학, 한국의 민속놀이,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의 인형극, 한국의 제천 행사, 한국의 줄타기, 한국의 연극, 한국의 선교, 신라의 불교.
라유
유(羅裕, ? ~ 1292년)는 고려의 무신이.
보다 팔관회와 라유
무속신앙
무속신앙(巫俗信仰), 또는 간단히 무속(巫俗), 무(巫)는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Shamanism)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이.
보다 팔관회와 무속신앙
민속놀이
민속놀이(民俗演戱)라 함은 민족집단원의 정서를 자극시켜 대중적 흥취를 돋우고, 공동감흥 속에서 다소나마 짜임새 있는 구조적 행동을 공동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상황 조성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 이러한 상황 조성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은 연극을 비롯하여 연중행사놀이, 종교의례, 민족집단적 기념행사, 지배자 내지 지배층을 위한 축제행사와 산발적으로 행해지는 특수놀이 등인데, 이런 것들은 모두 다 민족집단의 문화의 전통적 양식과 규범에 따라서 행.
보다 팔관회와 민속놀이
백고좌
백고좌(百高座), 백고좌법회(百高座法會) 또는 인왕백고좌도장(仁王百高座道場)은 신라 때의 국가적인 불교 행사의 하나이.
보다 팔관회와 백고좌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보다 팔관회와 고려
고려 정종 (10대)
정종(靖宗) 1018년 8월 31일 (음력 7월 18일) ~ 1046년 6월 24일 (음력 5월 18일)은 고려 제10대 국왕(제위: 1034년 ~ 1046년)이.
고려 현종
현종(顯宗, 992년 8월 1일(음력 7월 1일)《고려사》〈세가〉권5 ~ 1031년 6월 17일(음력 5월 25일)은 고려 제8대 국왕(재위: 1009년 ~ 1031년)이다. 휘는 순(詢), 자는 안세(安世), 보위 즉위 이전의 작위는 대량원군이었고, 묘호는 현종, 시호는 대효덕위달사원문대왕(大孝德威達思元文大王)이며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선재(禪齋)이다.
보다 팔관회와 고려 현종
고려 성종
성종(成宗, 961년 1월 15일 (960년 음력 12월 26일) ~ 997년 11월 29일 (음력 10월 27일))은 고려 제6대 국왕(재위: 981년 ~ 997년)이.
보다 팔관회와 고려 성종
고려도경
선화봉사고려도경 《고려도경》(高麗圖經)은 송나라의 사신 서긍(徐兢, 1091년 ~ 1153년)이 1123년에 고려를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보고서.
보다 팔관회와 고려도경
고려의 음악
아래는 고려의 음악을 설명한 것이.
보다 팔관회와 고려의 음악
관등놀이
등놀이는 한국의 민속놀이 중. 4월 8일은 초파일(初八日)이라고 하여, 이 날은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이므로 민가에서는 절에 가서 제를 올리고 관등하는 풍속이 있. 초파일 며칠 전부터 뜰에 등간(燈竿)을 세우고, 그 위에는 꿩꼬리를 꽂고 비단으로 기를 만들어 달았는데 이를 호기(呼旗)라 하고, 호기에 줄을 매달았으며, 등간을 만들지 못하는 집에서는 추녀끝이나 나무가지에 줄을 매고 등을 달아 초파일 밤에 불을 밝히니 호화찬란하기 이를 데 없었.
보다 팔관회와 관등놀이
궁예
궁예(金弓裔, 869년 음력 5월 5일 ~ 918년 7월 24일, 재위: 901년 7월 ~ 918년 7월 24일(음력 6월 14일))는 신라의 왕가 서족(王家 庶族) 출신의 승려이자, 태봉의 군주이.
보다 팔관회와 궁예
기생
전모를 쓴 기생 그림 기생 기생(妓生) 혹은 기녀(妓女)는 춤·노래·풍류 등으로 주연석이나 유흥장의 흥을 돋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는 관기(官妓) ·민기(民妓) ·약방기생 ·상방기생 등 예기(藝妓)의 총칭이.
보다 팔관회와 기생
김저 (고려)
저(金佇, ? ~ 1389년 11월)는 고려의 무관 관료 겸 정치가이며 최영 장군의 생질(甥姪)이.
보다 팔관회와 김저 (고려)
교방가무희
《교방가요》에 실린 교방가무 교방가무희(敎坊歌舞戱)는 고려·조선 시대에, 교방악(敎坊樂)을 사용한 가무희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
보다 팔관회와 교방가무희
나희
희(儺戱)는 고대 한반도에서 이루어졌던 유희의 일종이.
보다 팔관회와 나희
이광정 (고려)
이광정(李光挺, ? ~ 1194년)은 고려의 군인이.
이준 (고려)
이준(李竴, 1338년『고려열조등과록』 ~ ?)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이.
보다 팔관회와 이준 (고려)
이순우 (고려)
이순우(李純祐, ? ~ 1196년음력 3월)는 고려 중후기의 문신이며, 초명은 이청(李請), 자는 발지(拔之)이.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보다 팔관회와 진흥왕
팔선
바다를 건너고 있는 중국의 팔선: 고려의 팔선은 중국의 팔선과는 달리 불교의 부처.cw보살.cw우바이 등이 도교의 선인이 되었다 팔선(八仙)은 주로 중국 신화의 전설적인 도교 선인을 가리.
보다 팔관회와 팔선
위계정
위계정(魏繼廷, 1038년? ~ 1107년)은 고려 중기의 문신이.
보다 팔관회와 위계정
태봉
봉(泰封)은 후삼국 시대를 구성하던 나라로, 901년에 궁예를 국왕으로 하고 송악(개성)을 도읍삼아 건국하였.
보다 팔관회와 태봉
숙창원비
숙창원비 김씨(淑昌院妃 金氏, 생몰년 미상) 또는 숙비 김씨(淑妃 金氏)는 고려의 제25대 왕 충렬왕의 제3비이자 충선왕의 후궁이.
보다 팔관회와 숙창원비
호국 불교 사상
호국 불교 사상(護國佛敎思想) 또는 호국 사상(護國思想)은 진호국가(鎭護國家), 즉 불교의 교법(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이.
혜량
혜량(惠亮: fl. 551)은 6세기 경의 신라의 승려이.
보다 팔관회와 혜량
최항 (972년)
항(崔沆, 972년 ~ 1024년)은 고려의 문신이.
연등회
연등회(燃燈會)는 한국에서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해서 등불을 밝혀 세상을 밝히고자 하는 불교 행사이.
보다 팔관회와 연등회
산대나례
산대나례(山臺儺禮)는 조선조에 이루어지던 유희의.
보다 팔관회와 산대나례
산대잡극
산대잡극(山臺雜劇)은 고려 말기에 비롯된 잡기(雜技)의.
보다 팔관회와 산대잡극
삼국 시대의 문화
삼국 시대의 문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초기의 부족 연맹체적 특징과 함께 한자 문화권에 편입되었다는 점과 고분 및 유물과 벽화로써 전해졌고, 불교 색채를 띤 유물과 유적이 많다는 점이.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한국 철학
국 철학은 신라와 고려의 불교 사상, 조선의 성리학, 실학 등 유교 사상을.
보다 팔관회와 한국 철학
한국의 민속놀이
국의 민속놀이(韓國-民俗-)는 한국의 전통적인 놀이를 말. 예로부터 주로 서민층에서 명절이나 혹은 특별한 일이 있을 경우에 예식의 하나로서 여흥을 돋구고자, 또는 어린이들 사이에서 교육과 유희를 위해 행하여졌.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한국의 인형극
국의 인형극에는 문헌상에는 민속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덜미), 발탈, 만석중놀이 등이 전해졌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꼭두각시놀음'만 남게 되었.
보다 팔관회와 한국의 인형극
한국의 제천 행사
국의 제천 행사(韓國의 祭天 行事)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행사라는 뜻으로, 나아가 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이.
한국의 줄타기
민국 전주시에서 벌어진 줄타기 무대 모습 줄타기는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이.
보다 팔관회와 한국의 줄타기
한국의 연극
국 연극(韓國_演劇)의 장르는 가면극, 인형극, 판소리, 창극, 신파극, 신극의 여섯으로 크게 나눌 수 있.梁在淵, 문화·민속/한국의 연극/한국의 연극[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보다 팔관회와 한국의 연극
한국의 선교
국의 선교(仙敎)는 한반도의 고유 종교이.
보다 팔관회와 한국의 선교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보다 팔관회와 신라의 불교
또한 팔관재회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