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팔리어

색인 팔리어

빨리어 또는 빠알리어(Pāḷi, Pāli, पा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중기 인도아리아어) 즉 프라크리트어에 속하는 언어이.

목차

  1. 92 처지: 데바나가리 문자, 동남아시아 문학, 로버트 시저 칠더스, 마음챙김, , 메난드로스 1세, 미얀마, 믿음 (불교), 방콕, 반야, 바이샬리, 가전연, 경장, 벵골어, 버마 문자, 버마족, 버마어, 버마어 수사, 법구경, 보리 (불교), 보살,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ㅌ, 불교 용어 목록/경, 불교 용어 목록/삼, 불교 용어 목록/삽, 불교 아나키즘, 불교의 사상, 빌헬름 가이거, 빔비사라, 대법론, 대장경, 나가르주나, 나콘시탐마랏 주, 나후라, 따웅우 왕조, 논장, ISO 639, 스리랑카, 우바리, 자타카, 펠드하위스 표기법, 크메르어, 인도 문학,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목록, 즈냐나, 축생도, 카로슈티 문자,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2 더) »

데바나가리 문자

바나가리 데바나가리 문자(देवनागरी)는 고대 인도에서 생겨나 발달한 문자이.

보다 팔리어와 데바나가리 문자

동남아시아 문학

동남아시아의 문학(東南-文學)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발달한 문학으로, 소수 천재의 두뇌노동의 산물이나 또는 극소수층의 지적 유희의 일종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민족의 욕구 내지는 소망의 자연적 발로로서 존재하여 왔.

보다 팔리어와 동남아시아 문학

로버트 시저 칠더스

버트 시저 칠더스(Robert Caesar Childers) 또는 로버트 칠더스는 대영제국의 학자이.

보다 팔리어와 로버트 시저 칠더스

마음챙김

마음챙김(Mindfulness)이란 위빠사나 명상의 싸띠(sati)에서 유래한 용어로 "매 순간 순간의 알아차림"(moment-by-moment awareness)을 말. 마음챙김은 MBSR로 유명한 서양의 명상이고, 산스크리트어 스므리티, 팔리어 싸띠, 한국에서는 염(念)이.

보다 팔리어와 마음챙김

멸(滅)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불이) 꺼지다, (불을) 끄다, 멸망하다, 없어지다, 죽다, 다하다' 등인데, 불교 용어로서의 멸(滅)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보다 팔리어와 멸

메난드로스 1세

메난드로스 1세(Menandros,, ? -?)는 인도 북서부에 세워진 헬레니즘계 왕조인 인도 그리스 왕국의 국왕(재위: 기원전 155년경 - 기원전 130년경)이.

보다 팔리어와 메난드로스 1세

미얀마

미얀마 연방공화국(), 약칭 미얀마()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국가이며 수도는 네피도이.

보다 팔리어와 미얀마

믿음 (불교)

믿음 또는 신(信)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팔리어와 믿음 (불교)

방콕

방콕(프랑스어/영어: Bangkok) 정식 명칭 끄룽텝 마하나콘(로마자: Krung Thep Maha Nakorn), 말하기 끄룽텝()은 태국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

보다 팔리어와 방콕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보다 팔리어와 반야

바이샬리

인도 비하르 주의 지도 고대 도시 바이샬리(Vaishali), 베살리(Vesali: 팔리어) 또는 비사리(毗舍離)는 리차비족과 밪지 동맹의 수도였.

보다 팔리어와 바이샬리

가전연

전연 (迦旃延) 은 석가의 십대제자의 한 명. 논의제일로 칭. 마하 (Maha.

보다 팔리어와 가전연

경장

경장(經藏)은 경(經: Sutra)을 집대성한 것이.

보다 팔리어와 경장

벵골어

벵골어(বাংলা, "방라")는 벵골인의 언어이.

보다 팔리어와 벵골어

버마 문자

버마 문자()는 아부기다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며, 버마족들이 사용.

보다 팔리어와 버마 문자

버마족

버마족()은 미얀마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족으로 미얀마 인구의 68%(약 3000만 명)를.

보다 팔리어와 버마족

버마어

버마어(မြန်မာဘာသာ, IPA)는 미얀마의 공용어이.

보다 팔리어와 버마어

버마어 수사

버마어 수사는 버마어에서 나타나는 수사이.

보다 팔리어와 버마어 수사

법구경

《법구경》(法句經, K.1021, T.0210)은 서기 원년 전후의 인물인 인도의 다르마트라타()가 편찬한 불교의 경전으로 석가모니 사후 삼백년 후에 여러 경로를 거쳐 기록된 부처의 말씀을 묶어 만들었.

보다 팔리어와 법구경

보리 (불교)

보리(菩提)는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에서 수행자가 최종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참다운 지혜깨달음 또는 앎의 경지를 일컫는 단어 bodhi(बोधि)에서 나왔다. 이는 깨어나다, 알게 되다, 알리다, 알다, 혹은 이해하다라는 의미의 동사 어근 budh로부터 형성된 추상 명사로, 팔리어 동사 bujjhati나 산스크리트어 동사 bodhati 및 budhyate 등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보다 팔리어와 보리 (불교)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보다 팔리어와 보살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보다 팔리어와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ㅌ

심지(他心智)는 10지(十智)와 11지(十一智) 가운데 하나로, 남의 마음을 아는 지혜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 용어 목록/ㅌ

불교 용어 목록/경

경각(警覺)의 일반 사전적인 의미는 '잘못을 하지 않도록 정신을 차리고 깨어 있음' 으로, 불교 용어로는 심경각성(心警覺性) 또는 경각성(警覺性)의 줄임말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 용어 목록/경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 용어 목록/삼

불교 용어 목록/삽

삽가야견(颯迦耶見)은 유신견(有身見)의 다른 말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 용어 목록/삽

불교 아나키즘

불교 아나키즘은 아나키즘의 이념을 불교(특히 선)의 가르침과 관련시킨 개념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 아나키즘

불교의 사상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창시된 종교이.

보다 팔리어와 불교의 사상

빌헬름 가이거

빌헬름 루트비히 가이거(Wilhelm Ludwig Geiger, 1856년 ~ 1943년)는 독일의 동양학자로, 팔리어, 싱할라어 등의 전문가로 알려졌.

보다 팔리어와 빌헬름 가이거

빔비사라

빔비사라의 감옥, 라즈기르 빔비사라(बिम्भिसार, 頻婆娑羅 기원전 558—기원전 491)는 마가다 제국의 하리얀카 왕조의 왕(기원전 543년 즉위)이었.

보다 팔리어와 빔비사라

대법론

법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보다 팔리어와 대법론

대장경

대한민국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대장경(大藏經)은 불경을 집대성한 경전을 말. 부처가 사용한 언어는 동부 인도의 속어(俗語)인 고대 마가다어라고 하는데 이 언어에 관한 한 문헌은 오늘날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그것이 서북 인도의 속어인 팔리어로 옮겨져 스리랑카로부터 동남아시아로 전해지게 되었.

보다 팔리어와 대장경

나가르주나

용수(龍樹: 150?-250?)는 중관(中觀Madhyamaka)을 주창한 인도의 불교 승려이.

보다 팔리어와 나가르주나

나콘시탐마랏 주

시탐마랏 주()는 태국 남부의 주(창왓)의 하나로, 타이 만의 연안에 위. 이웃한 주는 남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송클라 주, 파탈룽 주, 뜨랑 주, 끄라비 주, 수랏타니 주이.

보다 팔리어와 나콘시탐마랏 주

나후라

후라 (羅睺羅, 이름에 대해서는 후술) 는 석가의 친자식이며, 또 그 제자의 1명.

보다 팔리어와 나후라

따웅우 왕조

웅우 왕조(1531년~1752년)는 버마의 왕조이.

보다 팔리어와 따웅우 왕조

논장

장(論藏)은 삼장(三藏)의 하나이.

보다 팔리어와 논장

ISO 639

ISO 639는 전 세계의 언어 명칭에 고유 부호를 부여하는 국제 표준이.

보다 팔리어와 ISO 639

스리랑카

스리랑카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약칭 스리랑카()는 남아시아에 있는 섬나라이며 법률상의 수도는 스리자야와르데네푸라코테이고, 제일 큰 도시는 콜롬보이.

보다 팔리어와 스리랑카

우바리

우바리(優波離)는 석가의 십대제자의 한 명. 지률제일로 칭해졌.

보다 팔리어와 우바리

자타카

《자타카(Jataka)》 또는 《본생담(本生譚)》은 팔리어로 씌어진 고대 인도의 불교 설화집이.

보다 팔리어와 자타카

펠드하위스 표기법

위스 표기법은 펠드하위스()가 1991년 에 산스크리트어 데바나가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만든 입력법이.

보다 팔리어와 펠드하위스 표기법

크메르어

메르어(ភាសាខ្មែរ)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 베트남어와 더불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을 이루는 주요 언어이.

보다 팔리어와 크메르어

인도 문학

인도(印度)는 원래 인구가 많고 국토가 넓은데 이에 따른 민족의 이동종교의 복잡성다양한 언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인도의 문학(印度의 文學)도 단순하지가 않. 종교의 종류도 브라만교불교자이나교힌두교 등의 인도 고유의 것이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슬람교조로아스터교 등이 있으며, 이들 종교들 상호간에는 충돌과 교류가 있었.

보다 팔리어와 인도 문학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은 인도이란어파의 한 어군이.

보다 팔리어와 인도아리아어군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목록

* 고전어.

보다 팔리어와 인도아리아어군의 언어 목록

즈냐나

()는 "지식(Knowledge)" 또는 "앎(Knowing)"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및 팔리어 낱말이.

보다 팔리어와 즈냐나

축생도

축생도(畜生道) 또는 축생(畜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보다 팔리어와 축생도

카로슈티 문자

슈티 문자는 고대의 남아시아 서북부 및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된 문자이.

보다 팔리어와 카로슈티 문자

카우샴비

삼비(Kosambi, 팔리어) 또는 카우샴비(Kaushambi, 산스크리트어)는 기원전 500년 인도의 붓다 시대의 최대 도시 중의 하나였.

보다 팔리어와 카우샴비

유루와 무루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보다 팔리어와 유루와 무루

팔라 왕조

왕조(Pala dynasty)는 750년에서 1174년경까지, 인도 북동부 지역(벵골 지역과 비하르 지방을 중심으로 한 지역)을 지배한 불교 왕조(750년 - 1162년 또는 1174년)이.

보다 팔리어와 팔라 왕조

팔리 삼장

리 삼장 또는 티피타카(띠삐따까, Tipiṭaka) 또는 팔리어 삼장은 3가지(ti)로 분류된 팔리어 불경을 함께 부르는 말이.

보다 팔리어와 팔리 삼장

팔리어 대장경

리어 대장경 또는 팔리어 경전은 팔리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보다 팔리어와 팔리어 대장경

팔정도

8정도(八正道), 8성도(八聖道) 또는 8지성도(八支聖道)는 사성제 가운데 마지막의 도제에서 가르치는, 깨달음(멸제)을 성취하는 원인이 되는 "여덟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길, 수단 또는 실천 덕목"이.

보다 팔리어와 팔정도

위자야

위자야(Vijaya)는 팔리어로 된 고대 스리랑카의 여러 연대기에서 스리랑카 최초의 왕이 되는 인물이.

보다 팔리어와 위자야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보다 팔리어와 상응

상좌부 불교

상좌부 불교(上座部佛敎) 또는 테라바다(Theravada)는 부처의 계율을 원칙대로 고수하는 불교를 말. 대중부 불교와 함께 인도 불교의 2대 부문(部門)의 하나이.

보다 팔리어와 상좌부 불교

택법

택법(擇法)은 모든 법(法)을 살펴서 참된 것과 거짓된 것, 선한 것과 악한 것을 판별하여, 참된 것과 선한 것을 취하고 거짓된 것과 악한 것을 버리는 것이.

보다 팔리어와 택법

샤덴프로이데

샤덴프로이데 (또는 드물게 Schadensfreude)는 남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면서 느끼는 기쁨을 말. 상반되는 뜻을 담은 두 독일어 단어 'Schaden' (손실, 고통)과 'Freude' (환희, 기쁨)의 합성어이.

보다 팔리어와 샤덴프로이데

태국어

국어(泰國語), 타이어 또는 중부 태국어 (남부 태국어: ภาษาไทยถิ่นกลาง) 또는 시암어 는 따이까다이어족에 속하는 언어의 하나로, 태국의 다수 종족인 타이족의 언어이자 태국의 공용어이.

보다 팔리어와 태국어

타이 문자

이 문자()는 태국어의 표기에 쓰이는 표음문자이.

보다 팔리어와 타이 문자

오온

5온(五蘊)은 불교에서 생멸변화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유위법(有爲法)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다섯 요소를 말. 이들을 각각 색온(色蘊: 육체, 물질)수온(受蘊: 지각, 느낌)상온(想蘊: 표상, 생각)행온(行蘊: 욕구, 의지)식온(識蘊: 마음, 의식)이라고도 부른.

보다 팔리어와 오온

오사카 외국어대학

오사카 외국어대학()은 1921년에 창립된 오사카 외국어학교(大阪外國語學校)를 모체로, 1949년에 신제(新制) 국립 대학으로 발족하였.

보다 팔리어와 오사카 외국어대학

온 (불교)

온(蘊, 스칸다, 칸다,, mass, heap)은 초기불교 이래의 불교의 대표적 법체계인 5온(五蘊)과 특히 관련된 용어이.

보다 팔리어와 온 (불교)

현장

현장 현장(玄奘, 602년 4월 6일 ~ 664년 3월 7일)은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로 흔히 현장삼장(玄奘三藏)이.

보다 팔리어와 현장

언어 목록

이 문서는 사어를 제외하여 지금까지 발견된 가나다 순 394개 언어의 목록이.

보다 팔리어와 언어 목록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이 문서는 각언어별 위키백과에 대한 목록이.

보다 팔리어와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언어별 숫자 목록

아래의 표들은 여러 언어에서 0부터 10까지를 표기할 때 쓰이는 수사(數詞)들을 나열한 것이.

보다 팔리어와 언어별 숫자 목록

연각

연각(緣覺,, 프라트예카 붓다,, 빳쩨까 붓다,, solitary realizer, enlightened by contemplation on dependent arising)의 산스크리트어 원어 프라트예카(pratyeka)와 팔리어 원어 빳쩨까(pacceka)는 모두 '홀로(each one, single)' 또는 '도움을 받지 않고(by oneself)'를 뜻.

보다 팔리어와 연각

사마타

사마타(Samatha)는 고요함을 개발하는 불교의 명상법이.

보다 팔리어와 사마타

사견

사견(邪見)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첫 번째의 사견(邪見)은 모든 잘못된 견해를 통칭하는 말이.

보다 팔리어와 사견

사념처

사념처는 불교의 37도품 수행법 중 하나이.

보다 팔리어와 사념처

사카구치 안고

사카구치 안고, 1946 사카구치 안고(1906년∼1955년)은 일본의 문학가로 본명은 사카구치 헤이고()이.

보다 팔리어와 사카구치 안고

사티

사티(Sati)는 다음을 뜻.

보다 팔리어와 사티

사티 (불교)

사티(sati)는 팔리어 불교 용어로서, 한국에서는 팔정도의 정념(正念), 서양에서는 마음챙김이라고 부른.

보다 팔리어와 사티 (불교)

삼삼매

3삼매(三三昧)는 3가지 종류의 삼매 또는 3가지 삼매를 말. 3삼마지(三三摩地)3등지(三等持) 또는 3정(三定)이.

보다 팔리어와 삼삼매

삼십칠도품

37도품(三十七道品)은 '깨달음(도, 보리)에 이르는 37가지의 법'을 말하는데, 초기불교의 《아함경》에서 고타마 붓다가 언급하거나 설명하고 있는 37가지의 도품(道品) 즉 수행법(修行法)을 가리키는 낱말로, 사실상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통칭하는 낱말이.

보다 팔리어와 삼십칠도품

성문 (불교)

성문(聲聞, 스라바카, 사바카)의 팔리어의 원어 사바카(sāvaka)의 뜻은 단순히 '듣는 자 (hearer)' 또는 '제자 (disciple)'이며, 한자어 성문(聲聞)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직접적인 가르침을 듣는다'로, 낱말의 뜻 그 자체로는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듣고 깨달음을 구하는 수행자, 즉 불제자(佛弟子) 즉 '불교에 귀의한 사람'을 뜻.

보다 팔리어와 성문 (불교)

소승불교

소승불교(小乘佛敎) 또는 히나야나(Hinayana)는 '열등의 작은 탈 것'(smaller vehicle)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대승불교 운동이 전개 후 불자들이 스스로를 이타(利他)를 목표로 한 '위대하고 뛰어난 탈것'(great vehicle)이라 하고 그 이전의 부파 불교를 자리(自利)만에 시종하는 열악(劣惡)한 탈것이라고 폄칭(貶稱)한 데서 이렇게 불리게 된 것이.

보다 팔리어와 소승불교

소의

소의(所依)는 의존처(依存處)의지처(依止處)의지(依止)근거(根據) 또는 발동근거(發動根據)를 뜻. 능의(能依: 의지하는 자)의 반대이.

보다 팔리어와 소의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보다 팔리어와 한자

아르다마가디어

아르다마가디어(Ardha-Māgadhī) 또는 반(半) 마가다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에 속하는 언어이.

보다 팔리어와 아르다마가디어

아리야카 문자

아리야카 문자는 타이 국왕인 라마 4세가 팔리어를 표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한 문자이.

보다 팔리어와 아리야카 문자

아부기다

착 캐나다어를 위해 기독교 전도자들이 개발한 아부기다, "캐나다 토착 음절 문자"를 사용한 스웸피 크리어의 비문 아부기다(abugida)는 음절 문자와 자모 문자의 특성을 모두 지닌 표기 체계이.

보다 팔리어와 아부기다

아나률

아나률 (阿那律 등, 이름에 대해서는 후술) 은 십대제자의 한 명. 천안제일.

보다 팔리어와 아나률

아함경

《아함경(阿含經)》은 불교 초기의 경전 모음이.

보다 팔리어와 아함경

신 (불교)

신(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에 해당하는 몸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

보다 팔리어와 신 (불교)

십이연기설

THDL: tendrel yenlak chunyi THDL: tendrel yenlak chunyi --@> |th.

보다 팔리어와 십이연기설

화락천

화락천 (범어: Nirmānnarati, 팔리어: Nimmānarati)은, 욕계(欲界)의및 육욕천 (六欲天)중 제 5 천이. 화천(化天) 화자락천(化自楽天), 화자재천(化自在天) 악변화천(楽変化天)이라고도 불린.

보다 팔리어와 화락천

12부경

12부경(十二部經, 십이부경) 또는 12분교(十二分敎, 십이분교)는 불교의 경전 분류 방법 중 하나이.

보다 팔리어와 12부경

또한 빠알리어로 알려져 있다.

, 카우샴비, 유루와 무루, 팔라 왕조, 팔리 삼장, 팔리어 대장경, 팔정도, 위자야, 상응, 상좌부 불교, 택법, 샤덴프로이데, 태국어, 타이 문자, 오온, 오사카 외국어대학, 온 (불교), 현장, 언어 목록, 언어별 위키백과 목록, 언어별 숫자 목록, 연각, 사마타, 사견, 사념처, 사카구치 안고, 사티, 사티 (불교), 삼삼매, 삼십칠도품, 성문 (불교), 소승불교, 소의, 한자, 아르다마가디어, 아리야카 문자, 아부기다, 아나률, 아함경, 신 (불교), 십이연기설, 화락천, 12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