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펄서

색인 펄서

서의 개념도. 중앙에 있는 구체는 중성자별을 뜻하며, 주변의 곡선은 자기장의 선을, 중성자별을 관통하고 있는 푸른 광선은 방출 빔을 의미한다. 가시광선 및 엑스선 영역으로 관측한 게성운을 합성한 사진. 주변 펄서풍 성운에서 자기장과 중심부 펄서에서 나오는 입자들로 인해, 싱크로트론 방출을 보여주고 있다. 맥동전파원(脈動電波源, 펄서)은 고도로 자기화된, 관측 가능한 전파의 형태로 전자기파의 광선을 뿜는, 자전하는 중성자별이.

68 처지: BOINC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목록, Einstein@Home, 러셀 앨런 헐스, 돛자리, 메시에 15, 메시에 28, 메시에 4,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물리학의 역사, 감마선 폭발, 감마선 천문학, 방패자리의 항성 목록, 베텔게우스, 겨울철의 별자리, 게 성운 펄서, 검은과부거미 펄서, 과학과 여성, 광원 목록, 극대거성, 블랙홀, 글리제 876 d, 구상성단, 땅꾼자리 제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슈퍼지구, 자전,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펄서 행성, 펄서풍 성운, 일반상대론 개론, 전파천문학, 전파원,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조셀린 벨 버넬, 중력파, 중성자별, 지구형 행성, 천문학, 천체, 초신성, 초신성잔해, 쌍성주위 행성, 행성계, 여우자리, 여우자리의 항성 목록, 앤서니 휴이시, 항성, 항성 자전, 알렉산데르 볼시찬,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싱크로트론복사, 황소자리의 항성 목록, 외계 행성, 외계 행성이 확인된 항성 목록,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PSR, PSR B1257+12, PSR B1509-58, PSR B1620-26, PSR B1620-26 b, PSR B1919+21, R136, RX J1856.5-3754, SETI@home, VFTS 102, Wow! 신호, 3C 58.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BOINC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목록

이 목록은 버클리 네트워크 컴퓨팅을 위한 공개 기반인 BOINC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목록이.

새로운!!: 펄서와 BOINC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 목록 · 더보기 »

Einstein@Home

Einstein@Home은 미국의 위스콘신 대학교 밀워키 캠퍼스에서 주관하고 있는 BOINC(Berkeley Open Infrastructure Network Computing) 기반의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 중 하나이.

새로운!!: 펄서와 Einstein@Home · 더보기 »

러셀 앨런 헐스

셀 앨런 헐스. 러셀 앨런 헐스(Russell Alan Hulse, 1950년 11월 28일~)는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펄서와 러셀 앨런 헐스 · 더보기 »

돛자리

돛자리(Vela)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로, 아르고자리로부터 나뉜 4개의 별자리(나머지는 고물자리, 나침반자리, 용골자리) 중 하나이.

새로운!!: 펄서와 돛자리 · 더보기 »

메시에 15

메시에 15(Messier 15, M15) 또는 NGC 7078은 페가수스자리에 위치한 구상성단으로, 1746년 진-도미니크 마릴디가 발견하였고 1764년 샤를 메시에의 "혜성과 유사한 천체 목록"에 포함되었.

새로운!!: 펄서와 메시에 15 · 더보기 »

메시에 28

M28 M28(NGC 6626)는 궁수자리에 있는 구상 성단이.

새로운!!: 펄서와 메시에 28 · 더보기 »

메시에 4

M4(NGC 6121)는 전갈자리에 있는 구상 성단이.

새로운!!: 펄서와 메시에 4 · 더보기 »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List of unsolved problems in physics)는 물리학 분야의 미해결 문제들로 이론적인 의미로는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관측 현상 및 실험 결과들을 의미.

새로운!!: 펄서와 물리학의 미해결 문제 목록 · 더보기 »

물리학의 역사

물리학은 물질의 구조, 운동과 그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하는 학문이.

새로운!!: 펄서와 물리학의 역사 · 더보기 »

감마선 폭발

량이 큰 항성의 일생. 항성은 가벼운 원소를 무거운 원소로 핵융합 하여 내부 압력을 유지면서 삶을 유지한다 더이상 핵융합이 불가능해지면 압력이 유지되지 않아 자체 중력으로 인해 항성은 급격히 붕괴하여 블랙홀을 형성한다. 이론적으로, 이 붕괴가 일어날 때 항성의 자전축 방향으로 분출되는 에너지가 감마선 폭발을 형성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 GRB)이란 멀리 떨어진 은하들에서 관측되는 에너지의 폭발로 인한 감마선의 섬광이.

새로운!!: 펄서와 감마선 폭발 · 더보기 »

감마선 천문학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이 3년에 걸쳐 촬영한 전천의 감마선 사진. 감마선천문학(Gamma-ray astronomy)은 전자기 복사 중 가장 에너지가 큰(광자 에너지 100 킬로전자볼트 이상) 감마선을 통해 하늘을 관측하는 관측천문학 분야이.

새로운!!: 펄서와 감마선 천문학 · 더보기 »

방패자리의 항성 목록

이 문서는 방패자리에 있는 별들을 다루고 있. 겉보기 등급이 밝은 것부터 어두운 별의 순서로 정렬하였.

새로운!!: 펄서와 방패자리의 항성 목록 · 더보기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 또는 베텔기우스()(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하여 오리온자리 알파, α Ori)는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으면서 오리온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펄서와 베텔게우스 · 더보기 »

겨울철의 별자리

울철의 별자리는 일반적으로 겨울철(동지 ~ 입춘)에 북반구의 밤하늘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들을 의미.

새로운!!: 펄서와 겨울철의 별자리 · 더보기 »

게 성운 펄서

성운 펄서(Crab Pulsar, PSR B0531+21)는 SN 1054가 폭발하고 남은 잔해인 게 성운의 펄서이.

새로운!!: 펄서와 게 성운 펄서 · 더보기 »

검은과부거미 펄서

은과부거미 펄서()는 식 쌍성으로써, 밀리 초 펄사와 갈색 왜성과 동반성을 이루며 9.2의 주기를 가지며 식 기간은 대략 20분이.

새로운!!: 펄서와 검은과부거미 펄서 · 더보기 »

과학과 여성

"기하학을 가르치는 여성"중세 시기에 제작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의 삽화 과학에 대한 여성의 기여는 그 초기부.

새로운!!: 펄서와 과학과 여성 · 더보기 »

광원 목록

광원 목록.

새로운!!: 펄서와 광원 목록 · 더보기 »

극대거성

청색극대거성, 황색극대거성, 적색초거성, 적색극대거성의 비교. 적색극대거성은 우리 태양계 바깥에 놓여져 있다. 파란색 고리는 해왕성의 궤도를 의미한다. 극대거성(極大巨星)은 매우 큰 질량손실률을 보이는 아주 밝은 별이.

새로운!!: 펄서와 극대거성 · 더보기 »

블랙홀

궁수자리 A*의 모델로 제안된,O. Straub, F.H. Vincent, M.A. Abramowicz, E. Gourgoulhon, T. Paumard, ``Modelling the black hole silhouette in Sgr A* with ion tori'',Astron. Astroph 543 (2012) A8 전리물질의 토러스를 두르고 있으면서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의 상상도. 토러스 양 옆의 비대칭성은 블랙홀의 매우 강력한 중력적 인력으로 공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져 도플러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랙홀(black hole)은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인해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

새로운!!: 펄서와 블랙홀 · 더보기 »

글리제 876 d

리제 876 d또는 물병자리 IL d는 지구에서 물병자리 방향으로 15광년 떨어져 있는 글리제 876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펄서와 글리제 876 d · 더보기 »

구상성단

메시에 80. 구상성단(球狀星團, globular cluster) 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

새로운!!: 펄서와 구상성단 · 더보기 »

땅꾼자리 제타

뱀주인자리 제타 (ζ Oph)는 뱀주인자리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펄서와 땅꾼자리 제타 · 더보기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음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사람 목록이.

새로운!!: 펄서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슈퍼지구

적인 외계 지구형 행성 글리제 876d의 상상도 슈퍼지구는 지구처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질량이 매우 커서 지구질량의 2배 ~ 10배 정도에 이르는 천체이.

새로운!!: 펄서와 슈퍼지구 · 더보기 »

자전

자전(自轉)은 천체가 자기 자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이.

새로운!!: 펄서와 자전 · 더보기 »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FGST), 구칭 감마선 광역 우주망원경(Gamma-ray Large Area Space Telescope; GLAST)은 지구 저궤도에서 감마선천문학 관측을 수행 중인 우주망원경이.

새로운!!: 펄서와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 더보기 »

펄서 행성

서 PSR 1257+12 주변을 도는 행성의 상상도. 펄서 행성(pulsar planet)이란,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나 펄서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일컫는 명칭이.

새로운!!: 펄서와 펄서 행성 · 더보기 »

펄서풍 성운

허블 우주 망원경 (HST)에 의해 촬영된 게 성운으로, 펄서풍 성운의 한 예다. 펄서풍 성운()은 펄서의 펄서풍에 의해 작동하는 성운이.

새로운!!: 펄서와 펄서풍 성운 · 더보기 »

일반상대론 개론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07년에서 1915년 사이에 고안한 중력에 대한 이론이.

새로운!!: 펄서와 일반상대론 개론 · 더보기 »

전파천문학

초대형 전파 망원경 배열, 미국, 뉴멕시코 주 전파천문학(電波天文學, radio astronomy)은 전파 주파수대에서 천체를 연구하는 천문학의 하위분야이.

새로운!!: 펄서와 전파천문학 · 더보기 »

전파원

전파원(電波源, radio source)은 강력한 전파를 방출하는 천체이.

새로운!!: 펄서와 전파원 · 더보기 »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2008년의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Joseph Hooton Taylor, Jr., 1941년 3월 29일~)는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며, 중력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던, 새로운 종류의 펄서를 발견한 공로로 러셀 앨런 헐스와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

새로운!!: 펄서와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 더보기 »

조셀린 벨 버넬

조셀린 벨 버넬(2009년) 수전 조셀린 벨 버넬 여사(DBE, FRS, 1943년 7월 15일 ~)는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에서 태어난 영국의 천체물리학자로, 대학원생 때 앤터니 휴이시의 지도를 받아 논문을 쓰다가 최초로 펄서를 발. (Who's Who 2013, A & C Blac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3; online edn, Oxford University Press)Pilkington, J. D. H.; Hewish, A.; Bell, S. J.; Cole, T. W. (1968).

새로운!!: 펄서와 조셀린 벨 버넬 · 더보기 »

중력파

중력파(重力波)는 움직이는 물체(질량)에 의하여 시공간 중력장의 곡률(뒤틀림)에 발생한 요동이 광속으로 진행하는 파동을 말. '중력복사'(重力輻射)는 이러한 중력파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말. 중력파를 방출하는 계(system)의 대표적인 예는 백색왜성, 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을 포함한 이중성계이.

새로운!!: 펄서와 중력파 · 더보기 »

중성자별

WISE 데이터)도 보인다. 중성자별(中性子-)은 초신성 폭발 직후 무거운 별이 중력붕괴하여 만들어진 밀집성의 일종이.

새로운!!: 펄서와 중성자별 · 더보기 »

지구형 행성

형 행성의 크기 비교. 차례대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다. 지구형 행성(地球型行星, terrestrial planet)은 태양계에서 규산염 따위로 된 암석이나 금속 등 고체 상태의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행성을 말.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이 이에 해당.

새로운!!: 펄서와 지구형 행성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펄서와 천문학 · 더보기 »

천체

양한 천체의 모습. 천체(天體)는 우주에 존재하여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암석·기체·먼지 등 여러 물질이 중력에 의해 묶여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 것과 그 집합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

새로운!!: 펄서와 천체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펄서와 초신성 · 더보기 »

초신성잔해

SN 1054 잔해 (게성운). 초신성잔해(超新星殘骸, Supernova remnant; SNR)는 초신성 폭발로 인해 형성된 별의 잔해이.

새로운!!: 펄서와 초신성잔해 · 더보기 »

쌍성주위 행성

쌍성주위 행성(circumbinary planet)은 쌍성 궤도 바깥을 공전하는 행성이.

새로운!!: 펄서와 쌍성주위 행성 · 더보기 »

행성계

어떤 행성계를 천체 예술가가 상상하여 만든 작품. 행성계(行星系, Planetary system)는 행성, 자연 위성, 소행성, 유성체, 혜성, 우주 먼지 등 항성이 아닌 천체들이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체계를 말. 태양 및 태양의 중력에 속박되어 있는 행성계(지구 포함)를 태양계라고 부른.

새로운!!: 펄서와 행성계 · 더보기 »

여우자리

여우자리(Vulpecula)는 여름의 대삼각형 가운데 끼어있는 작고 어두운 별자리이.

새로운!!: 펄서와 여우자리 · 더보기 »

여우자리의 항성 목록

이 문서는 여우자리에 있는 별들을 다루고 있. 겉보기 등급이 밝은 것부터 어두운 별의 순서로 정렬하였.

새로운!!: 펄서와 여우자리의 항성 목록 · 더보기 »

앤서니 휴이시

앤터니 휴이시 (Anthony Hewish, 1924년 5월 11일 -) 은 1974년에 구경 합성 기술을 개발하고 펄서를 발견한 공로로 마틴 라일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의 전파 천문학자이.

새로운!!: 펄서와 앤서니 휴이시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펄서와 항성 · 더보기 »

항성 자전

이 그림에서 아케르나르는 빠른 자전 때문에 적도가 부풀어올라 있다. 항성 자전은 자전축에 대한 항성의 각운동을 말. 항성의 자전속도는 별의 스펙트럼 또는 항성 표면의 활동적 특징들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 항성은 자전하면서 원심력 때문에 적도가 부풀어오른.

새로운!!: 펄서와 항성 자전 · 더보기 »

알렉산데르 볼시찬

알렉산데르 볼시찬(폴란드어: Aleksander Wolszczan,, 1946년 폴란드 슈체치네크 출생)은 폴란드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펄서와 알렉산데르 볼시찬 · 더보기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는 태양과 비슷한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펄서와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c · 더보기 »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는 태양과 비슷한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펄서와 안드로메다자리 웁실론 d · 더보기 »

싱크로트론복사

싱크로트론복사(synchrotron radiation) 또는 싱크로트론방출(synchrotron emission) 는 싱크로트론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적 방사선이.

새로운!!: 펄서와 싱크로트론복사 · 더보기 »

황소자리의 항성 목록

이 문서는 황소자리에 있는 별들을 다루고 있. 겉보기 등급이 밝은 것부터 어두운 별의 순서로 정렬하였.

새로운!!: 펄서와 황소자리의 항성 목록 · 더보기 »

외계 행성

HR 8799을 도는 행성 셋을 헤일 망원경이 찍은 사진. 별에서 나오는 빛은 벡터 소용돌이 코로나그래프를 사용해서 가렸다. 2MASS J044144은 갈색 왜성으로 목성 질량 5~10배의 동반 천체를 거느리고 있다. 동반 천체가 준갈색왜성인지 행성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화가자리 AB와 동반천체(좌하단). 동반천체는 갈색 왜성이거나 무거운 행성일 것이다. 2003년 3월 16일 VLT로 촬영. 항성 위에 1.4초각 크기의 오컬팅 마스크를 위치시켰다. 외계 행성(外界行星) 또는 계외 행성(系外行星)은 태양계 밖의 행성으로, 태양이 아닌 다른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이.

새로운!!: 펄서와 외계 행성 · 더보기 »

외계 행성이 확인된 항성 목록

이 문서는 외계 행성이 확인된 항성 목록을 다루고 있. 외계 행성들 중 가장 처음 발견된 존재는 펄서 주위를 공전하는 PSR B1257+12 B와 PSR B1620-26b였.

새로운!!: 펄서와 외계 행성이 확인된 항성 목록 · 더보기 »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원자에 의해 가동되는 SETI@home의 화면 보호기 모습. 외계의 지적생명탐사(SETI)는 외계 지적생명체를 찾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통칭적으로 부르는 말이.

새로운!!: 펄서와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 더보기 »

PSR

PSR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펄서와 PSR · 더보기 »

PSR B1257+12

PSR B1257+12 또는 PSR 1257+12는 지구에서 980광년 떨어져 있는 펄서이.

새로운!!: 펄서와 PSR B1257+12 · 더보기 »

PSR B1509-58

PSR B1509-58은 2009년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에 의해 발견된 밀리초 주기를 갖는 펄서이.

새로운!!: 펄서와 PSR B1509-58 · 더보기 »

PSR B1620-26

PSR B1620-26은 전갈자리 M4 구상성단 안에 있는 펄서이.

새로운!!: 펄서와 PSR B1620-26 · 더보기 »

PSR B1620-26 b

PSR B1620-26 b는 전갈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12,4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외계 행성이.

새로운!!: 펄서와 PSR B1620-26 b · 더보기 »

PSR B1919+21

PSR B1919+21은 1.3373 초의 주기를 갖는 펄서로, 1967년 11월 28일 조셀린 벨 버넬과 앤서니 휴이시가 발견하였.

새로운!!: 펄서와 PSR B1919+21 · 더보기 »

R136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R136 R136 성단의 폭주성 R136은 독거미 성운의 중심 부근에 있는 산개 성단이.

새로운!!: 펄서와 R136 · 더보기 »

RX J1856.5-3754

RX J1856.5-3754(때로는 RX J185635-3754, RX J185635-375 로 불린다) 는 남쪽왕관자리에 위치한 가까이에 있는 중성자별이.

새로운!!: 펄서와 RX J1856.5-3754 · 더보기 »

SETI@home

SETI@home(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은 SET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분산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이용해 외계 지적 생명체를 탐구하는 프로젝트이.

새로운!!: 펄서와 SETI@home · 더보기 »

VFTS 102

VFTS 102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운 내 타란툴라성운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펄서와 VFTS 102 · 더보기 »

Wow! 신호

제리 R. 이만의 당시 로그 종이 와우 신호()는 SETI 프로젝트가 진행되던 도중에 발견된 특이한 신호이.

새로운!!: 펄서와 Wow! 신호 · 더보기 »

3C 58

3C 58은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1만 광년 정도 떨어져 있는 초신성 잔해와 그중심부의 펄서 PSR J0205+64(PSR J0205+6449)를 아울러 부르는 명칭이.

새로운!!: 펄서와 3C 58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맥동전파원, 펄사, 풀사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