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편경

색인 편경

200px 200px 편경(編磬)은 중국과 한국의 전통 악기이.

14 처지: 박연 (1378년), 병주 (음악), 국악박물관,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세종, 종묘 제례악, 팔음, 영동 난계사, 역사채널e, 피리, 함화진, 한국 전통 악기, 아악, 아악기.

박연 (1378년)

박연 (朴堧, 1378년 음력 8월 20일 ~ 1458년 3월 23일)은 조선 초기의 문신, 도학자, 경세가, 문장가, 천문학자, 음악가이.

새로운!!: 편경와 박연 (1378년) · 더보기 »

병주 (음악)

병주(倂奏)는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 두 악기가 나란히 연주되는 것으로, ‘2중주’에 해당.

새로운!!: 편경와 병주 (음악) · 더보기 »

국악박물관

국악박물관(國樂博物館)은 대한민국의 국악 전문 박물관이.

새로운!!: 편경와 국악박물관 · 더보기 »

조선 전기의 문학

조선 전기의 문학(朝鮮前期-文學)은 조선시대 초기의 아악의 정비와 훈민정음 창제의 영향으로 악장, 시조, 가사 문학이 발달하였.

새로운!!: 편경와 조선 전기의 문학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편경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종묘 제례악

종묘 제례악의 일무 종묘 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노래·무용의 총칭으로 '종묘악'이.

새로운!!: 편경와 종묘 제례악 · 더보기 »

팔음

증보문헌비고에서는 한국 악기를 나눌 때, 제작 재료에.

새로운!!: 편경와 팔음 · 더보기 »

영동 난계사

사는 박연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건립과 유실을 거듭하다가 1972년 12월에 현재의 위치인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515에 재건되었.

새로운!!: 편경와 영동 난계사 · 더보기 »

역사채널e

역사채널e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방송하는 5분 정도 길이의 단편 역사 프로그램이.

새로운!!: 편경와 역사채널e · 더보기 »

피리

리 부는 모습 피리(觱篥)는 한국의 관악기이.

새로운!!: 편경와 피리 · 더보기 »

함화진

화진(咸和鎭, 1884년 ~ 1948년)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국악인이.

새로운!!: 편경와 함화진 · 더보기 »

한국 전통 악기

국 전통 악기(韓國 傳統 樂器)는 한국 전통 음악에 쓰이는 악기로 수십 종에 이르며, 여러 기준으로 나누어 볼 수 있. 한국 전통 악기는 50 ~ 60여 종에 이른.

새로운!!: 편경와 한국 전통 악기 · 더보기 »

아악

아악 (雅樂)은 당시 민간 음악인 향악과 당악과 구별되는 제례악·궁중 연례악·정악을 통틀어 말하며, 좁은 의미로는 문묘 제례악을 가리.

새로운!!: 편경와 아악 · 더보기 »

아악기

아악기는 중국의 아악을 연주할 때 사용되는 악기이.

새로운!!: 편경와 아악기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