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평신도

색인 평신도

평신도(平信徒)는 기독교에서 성직을 받지 아니한 신자를 일컫는 말이.

55 처지: 독립 가톨릭교회, 독일 개신교회, 독일 신비주의, 레지오 마리애,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맬컴 엑스, 묵주, 미사, 감사성찬례, 방선기, 개신교, 가성직제도, 가톨릭 운동, 가톨릭대학교, 베니스의 개성상인, 법정 시간경, 복음주의, 복사 (기독교), 기리시탄, 김대건, 대한성공회 성가수도회,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교회, 교황 파비아노, 포콜라레 운동, 정하상, 조지아 정교회, 존 번연, 주문모, 주일학교, 침례교, 콘클라베, 윌리엄 스크랜턴, 위트니스 리,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부대에, 예배,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최양업, 사도, 피에르 모방, 피에르 오메트르, 설교, 성경, 성경 번역, 성공회 묵주, 성공회 기도서, 성서정과, 세계 공의회, 서임권 투쟁, 송인규, ...,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 스케테, 신학자 (기독교), 시간 전례.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독립 가톨릭교회

독립 가톨릭교회는 가톨릭이라고 생각하면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독립적인 평신도와 성직자를 말.

새로운!!: 평신도와 독립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독일 개신교회

독일 개신교회 로고 독일 개신교회(약칭: EKD)는 1948년에 루터교회(Lutheran), 개혁교회(Reformed), 연합 개신교 교회(United Protestant)을 기초로 한 독일의 개신교 교회이.

새로운!!: 평신도와 독일 개신교회 · 더보기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German mysticism)는 독일에서 시작된 중세 기독교 신비주의 운동이었.

새로운!!: 평신도와 독일 신비주의 · 더보기 »

레지오 마리애

오 마리애() 또는 통칭 레지오는, 가톨릭교회의 평신도 신앙 공동체이며, 가톨릭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사도직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단체로 자리매김하고 있. 명칭의 의미는 '마리아의 군단'(The Legion of Mary)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성모 마리아의 지휘 밑에서, 선행과 봉사 등으로 현세에서의 로마 가톨릭교회의 활동에 참가하기 위한 '영적인 군대'의 역할을 수행.

새로운!!: 평신도와 레지오 마리애 · 더보기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Laurent-Joseph-Marius Imbert, 1797년 4월 15일 ~ 1839년 9월 21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며, 한국어명은 범세형(范世亨)이.

새로운!!: 평신도와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 더보기 »

맬컴 엑스

맬컴 엑스(1925년 5월 19일 ~ 1965년 2월 21일)는 미국의 흑인 인권 운동 활동가이자 이슬람 운동가이.

새로운!!: 평신도와 맬컴 엑스 · 더보기 »

묵주

루르드의 성모 - 묵주를 오른쪽 팔에 걸고 기도하는 모습. 묵주(默珠) 또는 로사리오는 라틴어로 장미 화관을 뜻하는 ‘로사리우스’(Rosarius)에서 유래한 말로, 가장 보편적이며 전통적인 기독교의 성물이.

새로운!!: 평신도와 묵주 · 더보기 »

미사

미사()는 가톨릭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종교 의식이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사 가운데 하나인 성체성사가 중심을 이루는 라틴 전례 양식이 일반적인 미사의 개념이.

새로운!!: 평신도와 미사 · 더보기 »

감사성찬례

사성찬례(Eucharist)는 성공회에서 행하는 기독교 전례를 말. 1965년판 성공회 공동기도문(공도문)에서는 미사라고 했으나, 2004년 성공회 기도서가 개정되면서 Eucharist를 번역한 감사성찬례를 성찬례를 뜻하는 전례용어로 사용하고 있. 성공회 감사성찬례는 말씀전례와 성찬전례가 균형을 이룬 초대교회의 예배양식에 따라 입당 예식, 말씀의 전례, 성찬의 전례, 파송 예식순서로 집전.

새로운!!: 평신도와 감사성찬례 · 더보기 »

방선기

방선기는 대한민국의 개신교 목사이며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의 교수이.

새로운!!: 평신도와 방선기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평신도와 개신교 · 더보기 »

가성직제도

성직제도(假聖職制度)는 초기 한국천주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선교사(성직자)가 없는 상황에서 약 2년간 미사와 성사(성체성사,고해성사)의 집전을 대신한 제도를 일컫.

새로운!!: 평신도와 가성직제도 · 더보기 »

가톨릭 운동

릭 운동() 또는 가톨릭 액션()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평신도들이 사회적으로 가톨릭 정신 선포를 장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든 평신도의 조직적 사도직에 속하는 여러 활동과 그러한 기독교 단체들을 아우르는 명칭이.

새로운!!: 평신도와 가톨릭 운동 · 더보기 »

가톨릭대학교

릭대학교(가톨릭大學校,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는 1855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천주교 계통 사립 대학으로, 한국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신학교이자 고등교육기관이.

새로운!!: 평신도와 가톨릭대학교 · 더보기 »

베니스의 개성상인

《베니스의 개성상인》은 사업가이자 작가인 오세영의 역사소설이.

새로운!!: 평신도와 베니스의 개성상인 · 더보기 »

법정 시간경

법정 시간경(法定時間經)은 기독교에서 하루를 여러 번 나누어 일정한 간격을 놓고 적절한 시간에 정해진 기도를 바치는 것을 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법정 시간경을 ‘신성한 직무’라는 의미의 단어인 성무일도(聖務日禱)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하루의 온 과정이 성화되도록 짜인 기도이기 때문이.

새로운!!: 평신도와 법정 시간경 · 더보기 »

복음주의

복음주의(福音主義)는 기독교에서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형성된 전통적인 종교개혁 세력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시작되었.

새로운!!: 평신도와 복음주의 · 더보기 »

복사 (기독교)

복사(服事, Altar server)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 등에서 사제의 예식집전을 보조하는 평신도를 말. 복사는 예식 중에 식을 집행하는 자의 곁에 위치하여, 물건을 나르거나, 종을 울리거나 하는 행위를.

새로운!!: 평신도와 복사 (기독교) · 더보기 »

기리시탄

리시탄()은 막부시대 일본의 크리스천 즉, 기독교 신자들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평신도와 기리시탄 · 더보기 »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새로운!!: 평신도와 김대건 · 더보기 »

대한성공회 성가수도회

성공회 성가수도회는 1925년에 설립된 대한성공회 수도회이.

새로운!!: 평신도와 대한성공회 성가수도회 · 더보기 »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학생성경읽기선교회(University Bible Federation, UBF)는 1961년 설립된 복음주의 초교파 선. 미국 시카고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본부가 있. 대학생 복음전도를 주 목적으로 하며, 성경을 통해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영접.

새로운!!: 평신도와 대학생성경읽기선교회 · 더보기 »

교회

회(敎會)는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평신도와 교회 · 더보기 »

교황 파비아노

황 파비아노(라틴어: Fabianus, 이탈리아어: Fabiano)는 제20대 교황(재위: 236년 1월 10일~250년 1월 20일)이.

새로운!!: 평신도와 교황 파비아노 · 더보기 »

포콜라레 운동

운동의 창설자 끼아라 루빅 포콜라레 운동(Focolare Movement)은 1943년 이탈리아 북부 트렌토에서 창설자인 끼아라 루빅(Chiara Lubich)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이탈리아 전역과 유럽,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가톨릭의 사도직 활동 단체이.

새로운!!: 평신도와 포콜라레 운동 · 더보기 »

정하상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1795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평신도 신학자, 교회 지도자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정약종의 아들이자 정약용의 조카이.

새로운!!: 평신도와 정하상 · 더보기 »

조지아 정교회

발 4000m, 캅카스 산의 뒷편에서는 2200m 고지대에 있는 츠민다 사메바 교회 조지아 정교회()는 조지아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기독교 종파이.

새로운!!: 평신도와 조지아 정교회 · 더보기 »

존 번연

존 번연 존 번연(John Bunyan, 1628년 11월 28일 ~ 1688년 8월 31일)은 영국의 침례교 평신도이자, 작가이.

새로운!!: 평신도와 존 번연 · 더보기 »

주문모

주문모(1752년 ~ 1801년 5월 31일)사제는 조선에서 순교한 중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새로운!!: 평신도와 주문모 · 더보기 »

주일학교

주일학교(主日學校) 또는 교회학교(敎會學校)는 기독교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회내 어린이 교육부서를 말.

새로운!!: 평신도와 주일학교 · 더보기 »

침례교

의 세례 침례교(浸禮敎, baptist)는 개신교의 한 교파이.

새로운!!: 평신도와 침례교 · 더보기 »

콘클라베

베가 행해지는 장소인 시스티나 성당. 콘클라베()는 ‘열쇠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는 방’, ‘걸쇠로 문을 잠근 방’을 의미하는 단어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황을 선출하는 선거 시스템이.

새로운!!: 평신도와 콘클라베 · 더보기 »

윌리엄 스크랜턴

윌리엄 스크랜턴 윌리엄 벤턴 스크랜턴(William Benton Scranton, 1856~1922) 선교사는 미국 북감리교회에서 한국에 파송한 선교사로 서울 시병원과 아현교회, 상동교회, 동대문교회 등을 설립하였고 전덕기를 비롯한 많은 교회 지도자들을.

새로운!!: 평신도와 윌리엄 스크랜턴 · 더보기 »

위트니스 리

위트니스 리(Witness Lee,, 1905년 9월 3일 ~ 1997년 6월 9일)는 타이완과 미국에 있는 '지방 교회들'이라는 그리스도인 그룹에 속한 중국인 기독교 성경교사이자 리빙 스트림 미니스트리(Living Stream Ministry) 설립자였.

새로운!!: 평신도와 위트니스 리 · 더보기 »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부대에

죽부대를 짊어진 사람, 니코 피로스마니 작품 새 포도주를 낡은가죽 부대에(New Wine into Old Wineskin)는 예수의 비유이.

새로운!!: 평신도와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부대에 · 더보기 »

예배

예배(禮拜)는 문자적으로는 ‘예를 갖추어 절한다’ 라는 뜻으로,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에게 존경과 숭앙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말. 각 종교마다 예배의 구체적 의미와 형식은 차이를 보일 수 있.

새로운!!: 평신도와 예배 · 더보기 »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줄여서 후기성도 교회는 초대 교회의 신권 조직과 교리와 운영 원리를 그대로 회복하였다고 하며 회복된 기독교를 표방하고 있는,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설립된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평신도와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 더보기 »

최양업

양업(崔良業, 1821년 3월 1일 ~ 1861년 6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가톨릭 사제이.

새로운!!: 평신도와 최양업 · 더보기 »

사도

사도(使徒)라는 말은 신약성경의 그리스어인 코이네 그리스어(이하 헬라어)의 '사신', '사절'을 의미하는 호 아포스톨로스()에서 유래하였.

새로운!!: 평신도와 사도 · 더보기 »

피에르 모방

에르 필리베르 모방(한국명: 나백다록(羅伯多祿), 1803년 9월 20일 ~ 1839년 9월 21일(음력 8월 14일))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회원이며, 한국교회사 최초의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로 여. 그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평신도와 피에르 모방 · 더보기 »

피에르 오메트르

에르 오메트르(Pierre Aumaître, 1837년 4월 8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오메트르 베드로는 프랑스의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평신도와 피에르 오메트르 · 더보기 »

설교

설교(說敎)는 기독교에서 성직자가 성경을 해석하는 예배의 순서이.다른 종교에서도 “설교”가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기독교에 한정.

새로운!!: 평신도와 설교 · 더보기 »

성경

성경 또는 성서 (聖經, 聖書, Bible)은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평신도와 성경 · 더보기 »

성경 번역

성경 번역(聖經飜譯)은 원본이 히브리어, 아람어와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인 성경을 수많은 언어로 번역하는 일 또는 그렇게 번역된 책을 의미.

새로운!!: 평신도와 성경 번역 · 더보기 »

성공회 묵주

성공회 묵주 성공회 묵주()는 성공회에서 기도할 때 사용하는 묵주이.

새로운!!: 평신도와 성공회 묵주 · 더보기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聖公會祈禱書, Book of Common Prayer)는 성공회에서 감사성찬례와 성사(성례전)등의 전례 또는 예전 집전에 사용하는 전례글을 말. 평신도들이 기독교의 전례(Liturgy)와 성사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며, 성공회의 전례는 성공회 기도서에 뿌리를 두고 있. 성공회 공동기도문(줄여서 공도문), 공동기도서라고도 했지만, 2004년 개정되면서 성공회기도서가 공식명칭이.

새로운!!: 평신도와 성공회 기도서 · 더보기 »

성서정과

독서집(Lectionary) 또는 성서일과(聖書日課)는 기독교에서 교회력에 따라 배치한 전례 성서를 말. 대림절(Advent), 성탄절(Christmas),공현절(Epiphany),사순절(Lent),성 주간(Holy Week), 부활절(Easter), 연중주일(Season after), 성령강림절(Pentecost)등의 교회력 절기에 맞추어 성서 말씀이 배치되어 있.

새로운!!: 평신도와 성서정과 · 더보기 »

세계 공의회

세계 공의회(世界公議會, 영어: ecumenical councils, 라틴어: Concilium Ecumenicum)는 교리와 의식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 규정하기 위하여 “전체 교회”의 주교와 대표자들을 소집하여 진행하는 기독교의 종교회의인데, “전체 교회”의 의미는 교파마다 차이가 있. 예를 들어 로마 가톨릭의 경우 로마의 주교와 상통관계(full communion)가 있는 신자들을 일컫.

새로운!!: 평신도와 세계 공의회 · 더보기 »

서임권 투쟁

중세의 왕이 주교를 임명하는 모습 서임권 투쟁 (敍任權鬪爭)은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에 교황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가 기독교 평신도의 성직임명권인 서임권을 놓고 벌인 권력다툼을 말. 이 서임권 투쟁으로 독일에서는 약 50년 동안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그 결과 귀족이 황제보다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

새로운!!: 평신도와 서임권 투쟁 · 더보기 »

송인규

송인규 (1949년~)는 장로교 목사이자 기독교 신학자, 개신교 서적 작가이.

새로운!!: 평신도와 송인규 · 더보기 »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는 1931년 제정된 한국 천주교 공용 지도서를 대체하여 마련되어, 1995년 6월 4일부터 시행된, 현행 한국 천주교회의 지역 교회법전이.

새로운!!: 평신도와 한국 천주교 사목 지침서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평신도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신 스케테

신 스케테(New Skete)는 뉴욕 주 캠브리지(지리적으로 화이트 크리크시와 인접함)에 있는 기독교 정교회의 3 개의 수도원 공동체들이..

새로운!!: 평신도와 신 스케테 · 더보기 »

신학자 (기독교)

조직신학자들, 제35차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정기학회, 2018년 5월 12일, 과천소망교회 신학자(theologian of Christianity)란 기독교의 진리을 쳬계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로 정의.

새로운!!: 평신도와 신학자 (기독교) · 더보기 »

시간 전례

시간 전례(時間典禮) 또는 성무일도(聖務日禱)는 천주교 의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 등이 매일 정해진 시간에 하느님을 찬미하는 공적이고 공통적인 일련의 기도를 말. 미사와 마찬가지로, 시간 전례의 내용은 교회에서 공인받은 생활 기도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로 찬미가와 시편 기도, 짧은 독서 등으로 엮여 있. 모든 성직자에게는 시간 전례를 바쳐야 할 의무가 있으며, 수도자들은 수도회 회헌 규정에 따라 시간 전례를 바. 특히 시간 전례는 천주교 수도 생활에 있어서 기도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 평신도들에게도 가급적 시간 전례를 바칠 것을 권유하고 있.

새로운!!: 평신도와 시간 전례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