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폴 디랙

색인 폴 디랙

랙(1902년 8월 8일 ~ 1984년 10월 20일)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

60 처지: 로버트 헨리 딕, 로열 메달, 루프 양자중력,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모든 것의 이론, 무 (철학), 무신론자 목록, 물리학자의 목록, 반양성자, 경로 적분 공식화, 괴팅겐의 노벨상 수상자, 브라-켓 표기법, 브리스틀 대학교, 두 문화,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디랙, 디랙 델타 함수, 디랙 방정식, 디랙 괄호, 디랙 연산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노벨상 수상자 목록, 다가 함수, 스피너, 특수상대론의 역사, 슈뢰딩거 묘사, 슈뢰딩거 방정식, 자기, 자기 홀극, 자기회전비율, 페르미-디랙 통계, 정준 양자화, 존 폰 노이만, 진공, 칼 데이비드 앤더슨, 코펜하겐 해석, 코플리 메달,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유카와 히데키, 파동 함수, 휘호 테트로더, 위그너 함수, 상호작용 묘사, 수학적 미, 영국 과학자의 목록, 양자 화학, 양자역학, 양전자, 엔리코 페르미, 표준 모형, ..., 플랑크 상수, 프레드 호일, 솔베이 회의, 하리시찬드라, 시간, 10월 20일, 1902년, 1933년, 1984년, 8월 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 더) »

로버트 헨리 딕

버트 헨리 딕 (1916년 5월 6일 – 1997년 3월 4일)는 미국의 물리학자로, 천체 물리학과 원자 물리학, 그리고 우주론과 중력의 분야에 공헌하였.

새로운!!: 폴 디랙와 로버트 헨리 딕 · 더보기 »

로열 메달

열 메달(Royal Medal)은 왕립학회가 매년 영국 연방에서 "자연에 대한 지식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공헌을 한" 두 사람과 "응용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공헌을 한" 한 사람에게 주는 상으로, 금도금된 은메달이 수여.

새로운!!: 폴 디랙와 로열 메달 · 더보기 »

루프 양자중력

격자 루프 양자중력() 또는 고리 양자중력은 중력(Gravity)의 양자적 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

새로운!!: 폴 디랙와 루프 양자중력 · 더보기 »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마리아 괴퍼트메이어(Maria Goeppert-Mayer, 1906년 6월 28일 - 1972년 2월 20일)은 원자핵의 껍질 모형을 제안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독일계 미국인 이론 물리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마리아 괴퍼트메이어 · 더보기 »

모든 것의 이론

모든 것의 이론(Theory of Everything, ToE) 또는 만물 이론이란, 자연계의 네 가지 힘인 전자기력, 강력, 약력, 중력을 하나로 통합하는 가상의 이론이.

새로운!!: 폴 디랙와 모든 것의 이론 · 더보기 »

무 (철학)

서로 쓴 無 갑골문자에 나타난 無 무(無)는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가리키며, 이는 철학, 물리학 등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받아들여.

새로운!!: 폴 디랙와 무 (철학) · 더보기 »

무신론자 목록

무신론자 목록은 유명한 무신론자를 나열한 목록이.

새로운!!: 폴 디랙와 무신론자 목록 · 더보기 »

물리학자의 목록

음은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물리학자의 목록이.

새로운!!: 폴 디랙와 물리학자의 목록 · 더보기 »

반양성자

반양성자(Antiproton, \overline)는 양성자의 반입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반양성자 · 더보기 »

경로 적분 공식화

양자역학에서 경로 적분(經路積分, path integral)은 해밀턴의 원리를 일반화하여 양자론을 기술하는 방법이.

새로운!!: 폴 디랙와 경로 적분 공식화 · 더보기 »

괴팅겐의 노벨상 수상자

팅겐의 노벨상 수상자는 지금까지 40명이.

새로운!!: 폴 디랙와 괴팅겐의 노벨상 수상자 · 더보기 »

브라-켓 표기법

양자역학에서, 브라-켓 표기법(bra–ket notation)은 선형대수학의 연산을 꺾쇠괄호로 나타내는 수학적 표기법이.

새로운!!: 폴 디랙와 브라-켓 표기법 · 더보기 »

브리스틀 대학교

브리스틀 대학교(University of Bristol)는 노벨상 수상자 12명을 배출한 영국의 전통적인 명문대학으로 학문적인 성향이 강. 1876년 설립된 유니버시티 칼리지, 브리스틀이 전신이고 1909년에 왕실의 인가를 받았.

새로운!!: 폴 디랙와 브리스틀 대학교 · 더보기 »

두 문화

문화는 영국의 과학자 겸 소설가 찰스 퍼시 스노우가 행한 영향력 있는 1959년 리드 강좌(Rede Lecture)의 제목이.

새로운!!: 폴 디랙와 두 문화 · 더보기 »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국가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은 1901년 부터 수여되고 있는 노벨상의 나라별 수상자 및 단체의 목록이.

새로운!!: 폴 디랙와 나라별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디랙

랙(Dirac)의 의미는 다음과 같.

새로운!!: 폴 디랙와 디랙 · 더보기 »

디랙 델타 함수

랙 델타 함수는 이론물리학자 폴 디랙이 고안해낸 함수로, δ(x)와 같이 표기하며, 크로네커 델타의 연속함수화로도 볼 수 있. 이 함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함수는 아니며, 0에서 완전히 축퇴된 분포의 확률밀도함수같은 것으로 정의할 수 있. 신호 처리 분야에서는 임펄스 함수라고 부르.

새로운!!: 폴 디랙와 디랙 델타 함수 · 더보기 »

디랙 방정식

랙 방정식(Dirac 方程式)은 스핀이 ½인 페르미온을 나타내는 상대론적 양자 파동 방정식이.

새로운!!: 폴 디랙와 디랙 방정식 · 더보기 »

디랙 괄호

밀턴 역학에서, 디랙 괄호()는 해밀토니언과 가환하지 않는 구속이 가해진 고전적 계에서 시간 변화를 나타내는 괄호.

새로운!!: 폴 디랙와 디랙 괄호 · 더보기 »

디랙 연산자

미분기하학과 이론물리학에서, 디랙 연산자(Dirac演算子)는 라플라스 연산자의 제곱근인 미분 연산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디랙 연산자 · 더보기 »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음은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사람 목록이.

새로운!!: 폴 디랙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노벨상 수상자 목록

아래는 노벨상 수상자 목록이.

새로운!!: 폴 디랙와 노벨상 수상자 목록 · 더보기 »

다가 함수

수학에서 다가 함수(多價函數)는 함수 y.

새로운!!: 폴 디랙와 다가 함수 · 더보기 »

스피너

현론과 양자역학에서, 스피너()란 넓은 의미에서 로런츠 대수의 표현 가운데 텐서가 아닌 것들이.

새로운!!: 폴 디랙와 스피너 · 더보기 »

특수상대론의 역사

특수상대론의 역사는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 헨드릭 로런츠, 앙리 푸앵카레 등으로부터 시작.

새로운!!: 폴 디랙와 특수상대론의 역사 · 더보기 »

슈뢰딩거 묘사

슈뢰딩거 묘사(Schrödinger picture)란 연산자는 시간과 무관하지만 상태 벡터를 시간의존적으로 놓는 양자역학의 수식화이.

새로운!!: 폴 디랙와 슈뢰딩거 묘사 · 더보기 »

슈뢰딩거 방정식

에르빈 슈뢰딩거 슈뢰딩거 방정식(Schrödinger方程式)은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적 계의 시간에 따른 진화를 나타내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폴 디랙와 슈뢰딩거 방정식 · 더보기 »

자기

자기(magnetism, 磁氣)는 자석(magnet)이 주위 물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 여기서 말하는 영향이란, '자석이 갖고있는 힘'을 주위에게 행사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

새로운!!: 폴 디랙와 자기 · 더보기 »

자기 홀극

항상 자석은 쪼개어질 경우 다른 N극과 S극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아무리 잘게 조게고 어떠한 조건을 달아도 양극은 항상 존재하게 된다. 그렇다면 한 극만을 지니는 입자 혹은 물질은 존재할 수 없는가? 이에 대한 논의는 곧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물리학의 논의로 파고들게 되고, 새로운 입자의 존재에 대해 예측하게끔 했다. 지금까지도 이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 100년 전부터 이루어진 예측들은 자기 홀극의 존재의 필연성 혹은 수많은 예측들을 낳았다. 자기 홀극(磁氣홀極, magnetic monopole)은 홀극의 꼴의 자기장을 만드는 가상의 물질 또는 입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자기 홀극 · 더보기 »

자기회전비율

자기회전비율(磁氣回轉比率, gyromagnetic ratio, magnetogyric ratio)은 어떤 물체나 계의 자기모멘트와 각운동량의 비이.

새로운!!: 폴 디랙와 자기회전비율 · 더보기 »

페르미-디랙 통계

통계역학에서, 페르미-디랙 통계(Fermi–Dirac statistics)는 열적 평형 상태에서 페르미 입자들이 보이는 통계적 분.

새로운!!: 폴 디랙와 페르미-디랙 통계 · 더보기 »

정준 양자화

양자장론에서, 정준 양자화란 주어진 고전 이론을 양자화하는 여러 방법 중 하나이.

새로운!!: 폴 디랙와 정준 양자화 · 더보기 »

존 폰 노이만

존 폰 노이만(1903년 12월 28일 - 1957년 2월 8일)은 헝가리 출신 미국인 수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존 폰 노이만 · 더보기 »

진공

공(眞空)은 직관적으로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

새로운!!: 폴 디랙와 진공 · 더보기 »

칼 데이비드 앤더슨

이비드 앤더슨 (1905년 9월 3일 ~ 1991년 1월 11일)은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칼 데이비드 앤더슨 · 더보기 »

코펜하겐 해석

석()은 양자역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 중의 하나로 닐스 보어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등에 의한 정통해석으로 알려져 있. 이는 그 논의의 중심이었던 코펜하겐의 지명으로부터 이름이 붙여진 것이며, 20세기 전반에 걸쳐 가장 영향력이 컸던 해석으로 꼽힌.

새로운!!: 폴 디랙와 코펜하겐 해석 · 더보기 »

코플리 메달

리 메달()은 과학 업적에 대해 수여되는 가장 오래된 상이.

새로운!!: 폴 디랙와 코플리 메달 · 더보기 »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스위스 쪽에서 본 연구소 건물 유럽 입자 물리학 연구소(-粒子物理學硏究所,, CERN)는 스위스 제네바와 프랑스 사이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입자 물리학 연구소이.

새로운!!: 폴 디랙와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 더보기 »

유카와 히데키

유카와 히데키(1907년 1월 23일 ~ 1981년 9월 8일)는 일본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유카와 히데키 · 더보기 »

파동 함수

양자역학에서, 파동 함수(波動函數, wavefunction)는 양자역학적 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복소 함수이다. 고전적인 파동 방정식을 따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지만, 고전적인 파동과는 여러 면에서 다르다. 파동 함수의 절댓값의 제곱은 입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할 확률 밀도 함수이다 (보른 해석, Born interpretation). 수학적으로, 파동 함수의 집합은 힐베르트 공간을 이룬다. 즉, 파동 함수는 힐베르트 공간 안의 벡터로 간주할 수 있다.

새로운!!: 폴 디랙와 파동 함수 · 더보기 »

휘호 테트로더

휘호 마르틴 테트로더(1895–1931)는 네덜란드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휘호 테트로더 · 더보기 »

위그너 함수

위그너 함수(Wigner函數, Wigner function) 또는 위그너 준확률분포(Wigner 準確率分布)는 양자역학에서 계의 위상 공간 위에 존재하는 함수 또는 준확률분.

새로운!!: 폴 디랙와 위그너 함수 · 더보기 »

상호작용 묘사

양자역학에서, 상호작용 묘사(相互作用描寫, interaction picture)는 양자역학적 계의 상태 벡터와 관측가능량 연산자가 서로 다른 해밀토니언을 따라 변화하는 묘사.

새로운!!: 폴 디랙와 상호작용 묘사 · 더보기 »

수학적 미

'''표현의 미'''의 일례: 망델브로 집합의 경계 부근, 중심 좌표 (0.282, -0. 01), 대각선 좌표 (0.278587, -0. 012560) ~ (0.285413, -0. 007440)의 영역의 확대. 수학적 미 (數學的美)는 수학에 관한 심미적·미학적인 의식·의의·측면을 여러가지 관점으로부터 다루는 개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수학적 미 · 더보기 »

영국 과학자의 목록

이 문서는 영국 과학자의 목록 문서이.

새로운!!: 폴 디랙와 영국 과학자의 목록 · 더보기 »

양자 화학

양자화학이란 화학의 분야 중 하나로, 양자역학의 여러 원리를 화학의 여러 문제에 적용하여 원자와 전자의 움직임부터 분자구조와 물성 또는 화학 반응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학문 분야이.

새로운!!: 폴 디랙와 양자 화학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폴 디랙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양전자

양전자(positron) 또는 반전자(antielectron)는 전자와 전하 켤레 대칭(charge conjugation) 관계에 있는 입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양전자 · 더보기 »

엔리코 페르미

엔리코 페르미(1901년 9월 29일 – 1954년 11월 28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엔리코 페르미 · 더보기 »

표준 모형

소립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標準模型)은 자연계의 기본 입자와, 중력을 제외한 그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을 다루는 게이지 이론이.

새로운!!: 폴 디랙와 표준 모형 · 더보기 »

플랑크 상수

랑크 상수(Planck常數, Planck constant, 기호 h)는 입자의 에너지와 드브로이 진동수의 비 (h.

새로운!!: 폴 디랙와 플랑크 상수 · 더보기 »

프레드 호일

호일 경(1915년 6월 24일 ~ 2001년 8월 20일)은 정상우주론을 처음 주장한 것으로 유명한 영국의 천문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폴 디랙와 프레드 호일 · 더보기 »

솔베이 회의

온네스, 아인슈타인, 랑제방. 물리학과 화학을 위한 국제 솔베이 기구()는 벨기에의 기업가인 어네스트 솔베이가 1912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세웠.

새로운!!: 폴 디랙와 솔베이 회의 · 더보기 »

하리시찬드라

리시찬드라 메로트라(1923–1983)는 인도 태생 미국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새로운!!: 폴 디랙와 하리시찬드라 · 더보기 »

시간

시간(時間)은 사물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개념이.

새로운!!: 폴 디랙와 시간 · 더보기 »

10월 20일

10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3번째(윤년일 경우 29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폴 디랙와 10월 20일 · 더보기 »

1902년

190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폴 디랙와 1902년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폴 디랙와 1933년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폴 디랙와 1984년 · 더보기 »

8월 8일

8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0번째(윤년일 경우 2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폴 디랙와 8월 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디락, 폴 디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