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푸이

색인 푸이

1917년 복벽 사건 당시의 선통제 푸이 1922년 당시의 아이신줴뤄 푸이 아이신기오로 푸이(1906년 2월 7일 ~ 1967년 10월 17일)는 청나라의 마지막 12대 황제 선통제(宣統帝, 재위: 1908년 ~ 1912년, 황제의 칭호는 1924년까지 유지.)이자 만주국의 집정 및 황제(재위: 1932년 ~ 1934년, 1934년 ~ 1945년)이다. 만주국 집정으로는 대동왕(大同王, 다퉁왕), 황제로는 강덕제(康德帝, 캉더디)이며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의 전국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146 처지: 량치차오, 데므치그돈로브, 돤치루이, 도이하라 겐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레지널드 존스턴, 뤄전위, 리위안훙, 만주국, 만주국 경찰, 만주국 국무원, 만주국 협화회, 만주국 황궁, 만주국 황제, 만주국군, 만주국의 국기, 만주국의 국장, 만주족, 만주사변, 마지막 황제, 몽강연합자치정부, 몽골의 역대 칸, 묘호, 강덕 (만주국), 강방함대, 박정희, 건국대학 (만주국), 베이징 정변, 경운가, 복드 칸, 공종, 광서제, 부준, 금위대, 비명을 찾아서, 비행대 (만주국군), 김경재 (1899년), 대동, 대동 (만주국), 대훈위 국화장경식, 구왈기야 여우란, 국무총리대신, 남북의화, 다우르족, 다케다 쓰네요시, 단강황귀비, 단화, 효정경황후, 효정성황후, 우페이푸, ..., 회군, 장징후이, 장쉰, 재풍, 재원 (1816년), 펑궈장, 이누카이 쓰요시, 이우, 일본 제국,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내셔널리즘, 일본의 역사, 조지프 베리 키넌, 중국 국민당, 중국의 국가 목록, 중국의 제위 계승 순위,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일 전쟁, 중화민국의 대총통,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목록,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 중화민국의 역사, 진유즈, 진위장, 창춘 시, 청말신정, 청나라, 청나라 소조정, 청나라 소조정의 역대 황제, 청나라 소조정의 역대 황제 가계도, 청나라 소조정의 역사, 청나라 소조정의 섭정, 청나라의 국가, 청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 천다오밍, 추축국, 측복진 유가씨, 친일반민족행위자, 친왕, 캉유웨이, 팔기군, 위안스카이, 태황태후, 탄위링, 탕구 협정, 숭덕제, 순친왕, 숙순, 영수고륜공주, 혁현, 양 (시호), 여허나라 구이샹, 여허나라 나둥, 헌릉, 쑨원, 사시 (시호), 삼국전투기, 선기, 선통, 선통제의 섭정, 섭정, 서태후, 소련 대일 참전, 소련-일본 국경 분쟁, 쇼와 천황, 한간,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아이신기오로 유얀, 아이신기오로 헝전, 아이신기오로 푸기여, 아이신줴뤄 푸이, 아카데미 각색상, 신징, 신해혁명, 원슈, 황귀비, 완룽, 왕징웨이, 왕위 요구자, 10월 17일, 11월 5일, 1906년, 1909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35년, 1945년 국가 지도자 목록, 1960년대, 1967년, 20세기, 20세기 연표, 2월 12일, 2월 7일, 3.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96 더) »

량치차오

량치차오 량치차오(梁啓超, 양계초, 1873년 ~ 1929년)는 중국의 근대 사상가이자, 개혁가, 문학가, 사학가, 언론인, 교육가이.

새로운!!: 푸이와 량치차오 · 더보기 »

데므치그돈로브

므치그돈로브((몽골식 키릴 문자),,, 1902년 2월 8일 ~ 1966년 5월 23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몽골인 출신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데므치그돈로브 · 더보기 »

돤치루이

이 돤치루이(1865년 3월 6일 ~ 1936년 11월 2일)은 중국의 군벌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돤치루이 · 더보기 »

도이하라 겐지

전범 재판 당시의 도이하라 겐지 도이하라 겐지 (1883년 8월 8일 ~ 1948년 12월 23일)는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이자 대장이.

새로운!!: 푸이와 도이하라 겐지 · 더보기 »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푸이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더보기 »

레지널드 존스턴

1923년경, 완룽 황후와 함께 레지널드 존스턴 경(KCMG, CBE, 1874년 10월 13일 ~ 1938년 3월 6일)은 영국의 학자, 외교관이자 교육자이.

새로운!!: 푸이와 레지널드 존스턴 · 더보기 »

뤄전위

전위 뤄전위(1866년 8월 8일 ~ 1940년 5월 14일)는 중국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만주국 등지에서 활동한 고고학자, 문헌학자, 금석학자, 골동품학자이.

새로운!!: 푸이와 뤄전위 · 더보기 »

리위안훙

리위안훙(1864년 10월 19일 ~ 1928년 6월 3일)은 청나라의 군인이자, 중국의 혁명가이.

새로운!!: 푸이와 리위안훙 · 더보기 »

만주국

만주국의 영역 만주국()은 일본 제국이 만주 사변 직후부터 만주 지역에 세운 괴뢰국가였.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 · 더보기 »

만주국 경찰

만주국 치안부 청사 만주국 경찰(滿州國警察)에서는 만주국에 설치된 경찰제도에 대하여 설명.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 경찰 · 더보기 »

만주국 국무원

만주국 국무원 만주국 국무원()은 만주국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 국무원 · 더보기 »

만주국 협화회

만주국협화회(滿洲國協和會)는 만주국에서 결성되었던 주민 조직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 협화회 · 더보기 »

만주국 황궁

만주국 황궁 만주국 황궁(滿州國皇宮) 또는 위만황궁박물원(僞滿皇宮博物院)은 만주국의 수도 신징(新京,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창춘 시)에 건축된 만주국 황제 푸이의 궁전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 황궁 · 더보기 »

만주국 황제

만주국 황제기 만주국 황제()는 만주국의 국가 원수의 칭호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 황제 · 더보기 »

만주국군

만주국군 장군 만주국군 장교 만주군 군악대 만주국군(滿洲國軍)은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육군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군 · 더보기 »

만주국의 국기

만주국의 국기 만주국의 국기(滿州國의 國旗)는 1912년부터 1928년까지 사용되었던 옛 중화민국의 국기를 바탕으로 하여 노랑, 빨강, 파랑, 하양, 검정의 색을 사용한 기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의 국기 · 더보기 »

만주국의 국장

만주국의 국장 만주국의 국장(滿州國國章)은 일본 제국의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을 상징하는 국장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국의 국장 · 더보기 »

만주족

건륭제의 만주족 시위 (1760) 중국 베이징의 자금성에 있는 건청문(乾淸門) 현판. 왼쪽에는 한자, 오른쪽에는 만주문자로 적혀 있다. 만주족(滿洲族) 또는 만족()은 만주(중국 동북부;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연해주에서 발상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푸이와 만주족 · 더보기 »

만주사변

만주 사변(滿洲事變) 혹은 9·18 사변은 일본 제국이 1931년 9월 18일 류탸오후 사건(柳條湖事件)을 조작해 일본 관동군이 만주를 중국 침략을 위한 전쟁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 식민지화하기 위해 벌인 침략 전쟁을 말. 제1차 세계 대전 종전(1918년) 이후, 일본이 지원하는 중국의 군벌 봉천파(장쭤린)는 장제스의 국민혁명군에 밀리기 시작하여 일본 본국 정부는 장쭤린에게 퇴각을 권고했고, 만주에서 그를 보호하려 하였.(1927년) 일본 정부의 시각에 반발해, 관동군의 일부 참모들이 모의하여 장쭤린을 암살(1928년)하는데 성공하였.

새로운!!: 푸이와 만주사변 · 더보기 »

마지막 황제

《마지막 황제》()는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이며 후에 만주국 황제로 즉위한 선통제 부의의 생애를 그린 영화이.

새로운!!: 푸이와 마지막 황제 · 더보기 »

몽강연합자치정부

몽강연합자치정부() 또는 몽강국은 지금의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일대에 있던 나라이.

새로운!!: 푸이와 몽강연합자치정부 · 더보기 »

몽골의 역대 칸

몽골의 역대 칸은 다음과 같. 다만 칸과 카간을 포함하며, 그 둘은 서로 다르.

새로운!!: 푸이와 몽골의 역대 칸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푸이와 묘호 · 더보기 »

강덕 (만주국)

강덕(康德)은 푸이의 세 번째 연호인 동시에 만주국의 두 번째이자 최후의 연호이.

새로운!!: 푸이와 강덕 (만주국) · 더보기 »

강방함대

만주국 강방함대(滿洲國 江防艦隊)는 만주국의 해상 방위를 책임진 국가기관이며, 해군에 해당.

새로운!!: 푸이와 강방함대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새로운!!: 푸이와 박정희 · 더보기 »

건국대학 (만주국)

국대학 교사 건국대학()은 지난날 만주국의 수도 신징에 있었던 만주국 국무원 직할 대학이.

새로운!!: 푸이와 건국대학 (만주국) · 더보기 »

베이징 정변

베이징 정변(중국어:北京政变) 또는 북경정변은 1924년 10월 23일에 펑위샹이 쿠데타를 일으켜 북양군벌이자 중화민국 총통이었던 차오쿤을 몰아낸 사건을 일컫.

새로운!!: 푸이와 베이징 정변 · 더보기 »

경운가

경운가()는 1913년부터 1915년까지, 그리고 1921년부터 1928년까지 사용된 중국의 국가이.

새로운!!: 푸이와 경운가 · 더보기 »

복드 칸

복드 카간(1869년 ~ 1924년 5월 20일)은 복드 칸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푸이와 복드 칸 · 더보기 »

공종

공종.

새로운!!: 푸이와 공종 · 더보기 »

광서제

광서제(光緖帝,,, 1871년 8월 14일 ~ 1908년 11월 14일)는 청나라의 제11대 황제이.

새로운!!: 푸이와 광서제 · 더보기 »

부준

보국공 푸쥔(輔國公 溥儁, 보국공 부준, 1885년 1월 10일 ~ 1942년 1월 19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부준 · 더보기 »

금위대

위대 금위대 만주국 금위대(滿洲國禁衛隊)는 1933년 창설된 만주국 육군의 정예 부대이.

새로운!!: 푸이와 금위대 · 더보기 »

비명을 찾아서

《비명을 찾아서: 경성, 쇼우와 62년(碑銘을 찾아서: 京城, 쇼우와 62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복거일이 1987년에 발표한 장편 대체 역사 소설이.

새로운!!: 푸이와 비명을 찾아서 · 더보기 »

비행대 (만주국군)

비행대(飛行隊)는 만주국에 설치된 만주국군의 항공부대이.

새로운!!: 푸이와 비행대 (만주국군) · 더보기 »

김경재 (1899년)

경재(金璟載, 일본식 이름: 金澤秀雄(가네자와 히데오), 1899년 1월 14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친일 공산주의 계파 사회운동가 겸 언론인으로, 본관은 수안(遂安)이며, 황해도 황주군 출신이.

새로운!!: 푸이와 김경재 (1899년) · 더보기 »

대동

동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푸이와 대동 · 더보기 »

대동 (만주국)

동(大同)은 푸이의 두 번째 연호이자 만주국의 첫 번째 연호로, 푸이가 만주국 집정을 지내던 때 쓰던 연호이.

새로운!!: 푸이와 대동 (만주국) · 더보기 »

대훈위 국화장경식

大勲位菊花章頸飾1928年(昭和3年)、西園寺公望に授与された物。国立公文書館所蔵(請求番号:寄贈02115100)。 대훈위 국화장경식()은 일본의 훈장 가운데 하나이며, 1888년(메이지 21년)에 칙령에 따라 제정된 최고 등급의 훈장이.

새로운!!: 푸이와 대훈위 국화장경식 · 더보기 »

구왈기야 여우란

얼자 여우란(瓜爾佳 幼蘭, 과이가 유란, 1884년 ~ 1921년)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대복진 여성이며, 만주 정백기(正白旗) 출신이.

새로운!!: 푸이와 구왈기야 여우란 · 더보기 »

국무총리대신

국무총리대신 관저 국무총리대신(國務總理大臣)은 만주국 황제의 보좌기관인 국무원의 장의 관직명이.

새로운!!: 푸이와 국무총리대신 · 더보기 »

남북의화

북의화 교섭. 왼쪽이 탕사오이, 오른쪽이 오정방. 중앙은 중개역의 영국인 상인 리틀(Edward Selby Little). 남북의화 (南北議和)는 중국 신해혁명 이후,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난징의 중화민국 정부와, 베이징의 청나라 사이에서 이루어진 조정 및 정권통일을 위한 교섭과, 그 교섭에 따른 결과로서의 회의를 가리.

새로운!!: 푸이와 남북의화 · 더보기 »

다우르족

우르족(달알이족) 또는 다워르족은 내몽골 자치구와 헤이룽장 성에 주로 거주하는 중국의 몽골계 소수 민족 중 하나이.

새로운!!: 푸이와 다우르족 · 더보기 »

다케다 쓰네요시

미야 쓰네요시 왕(1909년 3월 4일 ~ 1992년 5월 11일)는 일본의 방계 황족이.

새로운!!: 푸이와 다케다 쓰네요시 · 더보기 »

단강황귀비

강황귀비 타타랍씨(端康皇贵妃 他他拉氏, 1873년 1월 15일 ~ 1924년)는 중국 청나라 제11대 군주 광서제의 측실(側室)이며, 만주 양홍기(鑲紅旗) 출신이.

새로운!!: 푸이와 단강황귀비 · 더보기 »

단화

이혁정친왕(已革鄭親王, 1807년 8월 8일 ~ 1861년 12월 15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 귀족, 호족, 무관, 정치가(함풍제·동치제의 섭정)이며 휘(本名)은 아이신기오로 두완후아(愛新覺羅 端華, 애신각라 단화)이.

새로운!!: 푸이와 단화 · 더보기 »

효정경황후

효정경황후 엽혁나랍씨(孝定景皇后葉赫那拉氏, 1868년 1월 28일 ~ 1913년 2월 22일)는 청나라 광서제의 황후로, 서태후의 조카딸이.

새로운!!: 푸이와 효정경황후 · 더보기 »

효정성황후

효정성황후 박이제길특씨(孝静成皇后博尔吉济特氏, 가경(嘉慶) 17년 5월 11일(1812년 6월 19일) ~ 함풍(咸豊) 5년 7월 9일(1855년 8월 21일))는 청나라 8대 황제인 선종 도광제의 후궁이자 추존 황후이.

새로운!!: 푸이와 효정성황후 · 더보기 »

우페이푸

우페이푸 우페이푸(1874년 4월 22일 - 1939년 12월 4일)는 중화민국 베이징 정부의 군벌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푸이와 우페이푸 · 더보기 »

회군

회군(淮軍, huáijūn) 은 청나라 말기 태평천국을 진압하기 위해 증국번의 지시로 그의 제자였던 이홍장이 회하 유역(안휘 성)에서 조직한 의용부대를 말.

새로운!!: 푸이와 회군 · 더보기 »

장징후이

장징후이 장징후이(張景惠, 장경혜, 아명(兒名)은 장정후이(張澄煇, 장징휘), 1871년 ~ 1956년 1월 11일)는 일본 제국의 괴뢰정부국이었던 만주국의 총리대신을 지낸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장징후이 · 더보기 »

장쉰

장쉰 장쉰(張勳, Zhāng Xūn, 장훈, 1854년 9월 16일 ~ 1923년 9월 11일)은 청나라 말기와 중화민국 초기의 군벌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장쉰 · 더보기 »

재풍

순친왕 재풍(醇親王 載灃, 1883년 2월 12일 ~ 1951년 2월 3일)은 청나라의 황족이자 순현친왕 혁현(醇賢親王 奕譞)의 다섯째 아들(서자)이.

새로운!!: 푸이와 재풍 · 더보기 »

재원 (1816년)

이혁친왕(怡革親王, 1816년 10월 16일 ~ 1861년 11월 8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 귀족, 호족, 무관 관료, 정치가(동치제의 섭정)이며 휘(本名)은 아이신기오로 자이위안(愛新覺羅 載垣, 애신각라 재원)이.

새로운!!: 푸이와 재원 (1816년) · 더보기 »

펑궈장

펑궈장(1859년 1월 7일 ~ 1919년 12월 12일)은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펑궈장 · 더보기 »

이누카이 쓰요시

이누카이 쓰요시(1855년 6월 4일 ~ 1932년 5월 15일)는 일본 제국의 정치가이자 총리로 1931년 와카쓰키 레이지로 수상이 사임하자 그 뒤를 이어 총리가 되었.

새로운!!: 푸이와 이누카이 쓰요시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푸이와 이우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푸이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의 군사사

일본의 군사사(日本の軍事史)는 고대 율령제 조정의 징병제가 붕괴한 뒤 무가와 막부가 탄생한 순간, 그리고 이후 무로마치 막부가 붕괴하면서 센고쿠 시대를 거친 변화, 에도 막부의 문치 정치를 거쳐 메이지 유신 이후 현대 징병제에 근거한 국민군의 성립과 제국주의에 의한 대외 전쟁을 특징으.

새로운!!: 푸이와 일본의 군사사 · 더보기 »

일본의 내셔널리즘

일본 제국의 국기 현대 일본국의 국기 일본의 민족주의()는 일본 제국의 제국주의 및 전체주의 사상과 현대 일본에서 국수주의적인 민족주의를 모. 여기에 대해, 일본 내에서는 일본의 민족주의와 제국주의는 분리되어야한다고 주장.

새로운!!: 푸이와 일본의 내셔널리즘 · 더보기 »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日本-歷史)는 일본과 일본인이 현재까지 걸어온 모든 역사적 과정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푸이와 일본의 역사 · 더보기 »

조지프 베리 키넌

조지프 베리 키넌(Joseph Berry Keenan, 1888년 1월 17일 ~ 1954년 12월 8일)은 미국의 정치가, 변호사이.

새로운!!: 푸이와 조지프 베리 키넌 · 더보기 »

중국 국민당

1945년 3월 촬영된 중국 국민당의 지도자 장제스 1924년에 열린 중국 국민당의 제 1회 당 대회 1938년, 티베트에서 촬영된 사진. 중국 국민당의 당기가 보인다. 신장에서의 중국 국민당 중일 전쟁 당시의 국민혁명군 2006년까지 타이베이 시에 존재했던 중국 국민당의 이전 중앙 당사 2004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 당시, 중국 국민당과 범람연맹 지지 세력들의 시위 2006년 6월에 촬영된 타이베이 시에 위치한 현재 중국 국민당의 중앙 당사 중국 국민당은 전 세계의 차이나 타운에 사무당사를 두는데, 미국의 중국 국민당 중앙 당사는 샌프란시스코 차이나 타운에 위치해 있다. 캐나다 밴쿠버의 차이나 타운에 위치한 중국 국민당의 당사 북벌 성공 이후 1928년 7월 6일에 촬영된 중국 국민당의 당원들. 장제스 등 여러 장군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국 국민당(Kuomintang of China)은 중화민국의 정당으로, 1894년에 홍콩에서 결성된 '흥중회', 1905년에 결성된 '중국동맹회', 1914년 일본 도쿄에서 결성된 '중화혁명당'을 계승 발전하여 현재의 형태로 완성되었.

새로운!!: 푸이와 중국 국민당 · 더보기 »

중국의 국가 목록

이 문서는 역사적으로 쓰였던 중국의 국가 (國歌)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푸이와 중국의 국가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제위 계승 순위

중국의 제위 계승 순위, 청나라의 황실 애신각라씨(愛新覺羅氏)는 1911년 신해혁명으로 선통제가 제위에서 내려오고, 옛 황실 수장으로서만 자금성에 머물.

새로운!!: 푸이와 중국의 제위 계승 순위 · 더보기 »

중국의 황제 목록

중국에서 황제란 명칭은 기원전 221년 진시황제에 의해 최초로 쓰였으며, "황제"의 어원으론 삼황오제에서 따왔다는 것이 정설이.

새로운!!: 푸이와 중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푸이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중일 전쟁

중일 전쟁(中日戰爭)은 1937년 7월 7일 일본의 중국 대륙 침략으로 시작되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된 중화민국과 일본제국 사이의 전쟁이.

새로운!!: 푸이와 중일 전쟁 · 더보기 »

중화민국의 대총통

중화민국의 대총통(中華民國의 大總統)은 1912년부터 1927년까지 15년간 지속되었던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체제를 뜻.

새로운!!: 푸이와 중화민국의 대총통 · 더보기 »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목록

이 문서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지도자에 관한 문서이.

새로운!!: 푸이와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목록 · 더보기 »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中華民國의 臨時 大總統)은 1912년부터 이듬해 1913년까지 1년간 임시 지속되었던 중화민국의 국가원수 체제를 뜻.

새로운!!: 푸이와 중화민국의 임시 대총통 · 더보기 »

중화민국의 역사

중화민국()은 신해혁명의 성공으로 1912년 1월 쑨원의 삼민주의를 강령으로 수립된 아시아 최초의 공화제 국가이.

새로운!!: 푸이와 중화민국의 역사 · 더보기 »

진유즈

유즈(1918년 9월 21일 ~ 2015년 4월 10일) 또는 아이신기오로 푸런(愛新覺羅溥任)은 청나라의 황족 후예이.

새로운!!: 푸이와 진유즈 · 더보기 »

진위장

위장(김육장,, 1942년 5월 23일 ~)은 만주국 황실의 수장이.

새로운!!: 푸이와 진위장 · 더보기 »

창춘 시

창춘()은 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에 있는 부성급시이.

새로운!!: 푸이와 창춘 시 · 더보기 »

청말신정

청말신정(淸末新政)은 청나라 최후의 개혁으로, 서태후 주도 하에 진행된 정치 개혁이.

새로운!!: 푸이와 청말신정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 · 더보기 »

청나라 소조정

청나라 소조정(淸國 小朝廷)은 1912년 청나라가 공식적으로 멸망하여 중화민국이 건국된 이후, 약 12년간 유지되었던 구황실을 의미.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 소조정 · 더보기 »

청나라 소조정의 역대 황제

분류:중국의 역사 분류:청나라 분류:신해혁명.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 소조정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청나라 소조정의 역대 황제 가계도

분류:중국의 역사 분류:청나라.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 소조정의 역대 황제 가계도 · 더보기 »

청나라 소조정의 역사

이 문서는 청나라 소조정의 역사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 소조정의 역사 · 더보기 »

청나라 소조정의 섭정

이 문서는 청나라 소조정의 섭정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 소조정의 섭정 · 더보기 »

청나라의 국가

빛나는 상배()는 청나라의 국가이.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의 국가 · 더보기 »

청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

음은 청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이.

새로운!!: 푸이와 청나라의 역대 황제 가계도 · 더보기 »

천다오밍

오밍(1955년 4월 26일 -)은 중화인민공화국 출신의 남자 배우로 톈진 출신이.

새로운!!: 푸이와 천다오밍 · 더보기 »

추축국

축국 참가 국가 (파란색). 추축국(樞軸國)은 20세기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연합국 측에 대항하여 전쟁을 한 세력을 일컫.

새로운!!: 푸이와 추축국 · 더보기 »

측복진 유가씨

소복진 유가씨(小福晉 劉佳氏, 1866년 ~ 1925년)는 중국 청나라의 제8대 황제 선종 도광제(宣宗 道光帝)의 서자(庶子)인 순현친왕 이쉬안(醇賢親王 奕譞)의 첫째 측실(側室)이고 순친왕 짜이펑(醇親王 載灃)의 어머니이며 청나라 제12대 황제이자 중국 최후의 황제였던 청 공종 선통제 푸이(淸 恭宗 宣統帝 溥儀)의 친할머니이.

새로운!!: 푸이와 측복진 유가씨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새로운!!: 푸이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친왕

동아시아에서, 친왕(親王)은 황태자를 제외한 남자 황족에게 부여되는 칭호이.

새로운!!: 푸이와 친왕 · 더보기 »

캉유웨이

캉유웨이(康有爲, 강유위, 1858년3월 19일 ~ 1927년3월 31일)는 중국 청나라 때부터 중화민국 때까지의 사상가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캉유웨이 · 더보기 »

팔기군

()은 청나라 시대 특유의 제도로, 만주족이 주도가 된 군사·행정 조직이며, 팔기군에 속한 사람들을 일컬어 기인(旗人)이.

새로운!!: 푸이와 팔기군 · 더보기 »

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1859년 8월 20일 ~ 1916년 6월 6일)는 중국 허난 성 쉬창 부 샹청 현 출신으로,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이.

새로운!!: 푸이와 위안스카이 · 더보기 »

태황태후

황태후(太皇太后)는 현 황제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황제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푸이와 태황태후 · 더보기 »

탄위링

위링(담옥령,, 1920년 8월 11일 ~ 1942년 8월 14일)은 청나라의 마지막(12대) 황제인 선통제의 후비.

새로운!!: 푸이와 탄위링 · 더보기 »

탕구 협정

탕구 협정의 협상장 모습 탕구협정()은 1933년 5월 31일 중국 톈진 시 탕구 구에서 일본 제국과 중화민국끼리 맺은 휴전 협정이.

새로운!!: 푸이와 탕구 협정 · 더보기 »

숭덕제

숭덕제(崇德帝, 1592년 11월 28일 ~ 1643년 9월 21일)는 후금의 제2대 한이자, 청 제국의 개국 황제(재위 1626년 ~ 1643년)이.

새로운!!: 푸이와 숭덕제 · 더보기 »

순친왕

순친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푸이와 순친왕 · 더보기 »

숙순

이혁보국군왕(已革輔國郡王, 1816년 11월 26일 ~ 1861년 9월 10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 귀족, 호족, 무관, 정치가(동치제의 섭정)이.

새로운!!: 푸이와 숙순 · 더보기 »

영수고륜공주

영수고륜공주(榮壽固倫公主, 1854년 2월 28일 ~ 1924년 7월 5일)는 중국 청나라 제9대 황제 문종 함풍제(文宗 咸豊帝)의 이복 조카딸이며 청 황족 종실 공충친왕(恭忠親王)의 장녀(長女)이.

새로운!!: 푸이와 영수고륜공주 · 더보기 »

혁현

순현친왕 혁현(醇賢親王 奕譞, 1840년 10월 16일 ~ 1891년 1월 1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이고 청나라 제8대 황제 도광제(道光帝)의 서자(庶子)이며 청나라 제9대 황제 함풍제(咸豊帝)의 이복 동생이.

새로운!!: 푸이와 혁현 · 더보기 »

양 (시호)

양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푸이와 양 (시호) · 더보기 »

여허나라 구이샹

여허나라 구이샹(葉赫那拉 桂祥, 1849년 ~ 1913년 12월 15일)은 청나라의 귀족 겸 외척이.

새로운!!: 푸이와 여허나라 구이샹 · 더보기 »

여허나라 나둥

둥(那桐, 1857년 9월 11일 ~ 1925년 6월 28일)은 청 제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여허나라 나둥 · 더보기 »

헌릉

릉은 중국과 한국의 왕릉이.

새로운!!: 푸이와 헌릉 · 더보기 »

쑨원

쑨원(손문, 1866년 11월 12일 ~ 1925년 3월 12일)은 중국의 외과 의사이자 정치가이며 신해혁명을 이끈 혁명가,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의 창립자이.

새로운!!: 푸이와 쑨원 · 더보기 »

사시 (시호)

사시(私諡)는 근대 이전 한국, 중국에서 개인에게 붙이는 이름으로, 시호를 받지 못한 개인에게 친구, 문인, 개인, 단체 등에서 붙이는 시호를 가리.

새로운!!: 푸이와 사시 (시호) · 더보기 »

삼국전투기

《삼국전투기》는 대한민국의 만화가 최훈이 연재하던 웹툰이.

새로운!!: 푸이와 삼국전투기 · 더보기 »

선기

숙충친왕 선기(肅忠親王 善耆, 1866년 3월 15일 ~ 1922년 3월 15일)은 중국 청나라의 황족 종실 및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푸이와 선기 · 더보기 »

선통

선통(宣統)은 청나라의 12대이자 마지막 황제인 푸이의 첫번째 연호이.

새로운!!: 푸이와 선통 · 더보기 »

선통제의 섭정

이 문서는 청나라 공종 선통제의 섭정에 대해서 서술.

새로운!!: 푸이와 선통제의 섭정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푸이와 섭정 · 더보기 »

서태후

서태후(1835년 11월 29일 ~ 1908년 11월 15일)는 청나라 말기의 독재 권력자이자 함풍제의 세 번째 황후이며 섭정 황태비이.

새로운!!: 푸이와 서태후 · 더보기 »

소련 대일 참전

소련 대일 참전(/ 러시아어: Совет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소베츠코-이폰스카야 바이나)이란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일본 제국과의 소비에트 연방-일본 중립 조약을 파기하고 8월 9일 일본 제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을 말. 소련이 이 전쟁에서 승리하였.

새로운!!: 푸이와 소련 대일 참전 · 더보기 »

소련-일본 국경 분쟁

소련-일본 국경 분쟁은 소비에트 연방 및 몽골 인민 공화국 연합국과 1932년부터 1939년까지 일본 제국 육군이 국경 지방에서 충돌한 사건이.

새로운!!: 푸이와 소련-일본 국경 분쟁 · 더보기 »

쇼와 천황

쇼와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은 일본의 제124대 천황이.

새로운!!: 푸이와 쇼와 천황 · 더보기 »

한간

중일전쟁 시기 '한간'(漢奸) 처단 포스터 한간 (漢奸)이란, 중국에서 외국 침략자와 내통하거나 부일, 협력한 사람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푸이와 한간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아이신기오로 울히춘(1958년 ~)은 중국 출신으로 현재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언어학자이.

새로운!!: 푸이와 아이신기오로 울히춘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유얀

아이신기오로 유얀(愛新覺羅毓嵒, 1918년 5월 17일 ~ 1999년 1월 18일)은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푸이의 양자이자 상속인, 청나라의 왕위요구자, 청나라 황실의 수장이.

새로운!!: 푸이와 아이신기오로 유얀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헝전

아이신기오로 헝전 아이신기오로 헝전(恒镇, 1944년 ~)은 제14대 청나라 황실 수장이.

새로운!!: 푸이와 아이신기오로 헝전 · 더보기 »

아이신기오로 푸기여

여와 부인 히로의 결혼식 사진 아이신기오로 푸기여(1907년 4월 16일 ~ 1994년 2월 28일)는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던 선통제의 남동생이며 예비역 만주국 육군 대좌였.

새로운!!: 푸이와 아이신기오로 푸기여 · 더보기 »

아이신줴뤄 푸이

아이신줴뤄 푸이라는 이름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푸이와 아이신줴뤄 푸이 · 더보기 »

아카데미 각색상

아카데미 각색상(Academy Award for Writing Adapted Screenplay)은 아카데미상 종류의 하나로, 각색을 잘 한 작품에게 수여.

새로운!!: 푸이와 아카데미 각색상 · 더보기 »

신징

신징()은 만주국의 수도로,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 창춘 시이.

새로운!!: 푸이와 신징 · 더보기 »

신해혁명

신해혁명(辛亥革命)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다. 이 혁명은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이라고도 불린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 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다.《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 p142 이런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중국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反淸)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11년 청나라는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다.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혁명파가 한 공작으로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 성(省)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다. 1911년이 신해년(辛亥年)이라서 신해혁명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혁명(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帝制)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1915년 일본의 '21개 조 요구' 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했는데 이를 ‘제3차 혁명’(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중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새로운!!: 푸이와 신해혁명 · 더보기 »

원슈

원슈(1909년 12월 20일 ~ 1953년 9월 17일)는 청나라 마지막(12대) 황제였던 선통제의 후비이며, 만주 양황기(鑲黃旗) 출신이.

새로운!!: 푸이와 원슈 · 더보기 »

황귀비

황귀비(皇貴妃)는 명(明)·청(淸)·대한 제국의 황제의 후궁의 작위 중 하나이.

새로운!!: 푸이와 황귀비 · 더보기 »

완룽

효각민황후 고불로씨(孝恪愍皇后 郭布羅氏, 1906년 11월 13일 ~ 1946년 6월 20일)는 중국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 푸이의 황후였으며, 이름은 간단하게 완용으로 부른.(만주어 발음:고불로 완룽) 완룽의 자는 모홍(慕鸿), 호는 식련(植莲)이.

새로운!!: 푸이와 완룽 · 더보기 »

왕징웨이

왕징웨이(1883년 5월 4일 ~ 1944년 11월 10일), 본명 왕자오밍()은 중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푸이와 왕징웨이 · 더보기 »

왕위 요구자

왕위 요구자(王位 要求者, Pretender)는 이미 없어졌거나 혹은 다른 이가 차지한 왕위(王位, throne)에 관한 권리를 주장하는 이를 의미하는 용어인데 영어로는 이를 프리텐더(Pretender)라 부른.

새로운!!: 푸이와 왕위 요구자 · 더보기 »

10월 17일

10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0번째(윤년일 경우 29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푸이와 10월 17일 · 더보기 »

11월 5일

11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9번째(윤년일 경우 31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푸이와 11월 5일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푸이와 1906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푸이와 1909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푸이와 1910년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푸이와 1911년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푸이와 1912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푸이와 1935년 · 더보기 »

1945년 국가 지도자 목록

이 문서는 1945년의 국가 지도자 목록을 정리한 문서이.

새로운!!: 푸이와 1945년 국가 지도자 목록 · 더보기 »

1960년대

1960년대는 1960년에서 1969년까지를 가리.

새로운!!: 푸이와 1960년대 · 더보기 »

1967년

196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푸이와 1967년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푸이와 20세기 · 더보기 »

20세기 연표

20세기의 연표이.

새로운!!: 푸이와 20세기 연표 · 더보기 »

2월 12일

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3번째(윤년일 경우도 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푸이와 2월 12일 · 더보기 »

2월 7일

2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8번째(윤년일 경우도 3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푸이와 2월 7일 · 더보기 »

3

3(삼, three)은 2보다 크고 4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푸이와 3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덕제, 강덕황제, 공종 선통제, 만주국 강덕제, 만주국 대동제, 만주국 대동왕, 부의, 대동왕, 다퉁왕, 청 공종, 청 민제, 청 선통제, 청 헌종, 청공종, 캉더디, 선통제, 선통황제, 손제, 애신각라 부의, 애신각라 푸이, 애신각라부의, 아이신교로 푸이, 아이신기오로 푸이, 헨리 푸이.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