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풍양 조씨

색인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99 처지: 덕온공주, 명온공주, 박규수, 강음 단씨, 복온공주, 귀인 조씨 (영조), 김정희, 김유근, 김옥균, 김석옥,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대왕대비, 당은군 (1562년), 효의왕후, 효정왕후, 효순왕후, 장택상, 흥선대원군, 이현상 (1770년), 이하전, 인평대군, 인현왕후, 인석보, 인원왕후, 조 (성씨), 조동윤, 조동호, 조맹, 조만영, 조문명, 조경 (1541년), 조병건, 조병현, 조광희 (1917년), 조긍하, 조남철, 조남수, 조내양, 조운흘, 조재호 (1702년), 조인영, 조인성 (배우), 조익 (조선), 조정구 (1862년), 조중구, 조진관, 조지겸 (조선), 조지운, 조지헌, ..., 조상경 (1681년), 조상우, 조상진, 조순, 조영하, 조현명, 조형, 조엄 (조선), 조풍연, 조선, 조선 문조, 조선 장조, 조선 정조, 조선 진종, 조선 순조, 조선 헌종,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의 역사, 조성하 (1845년), 조속, 조완구, 진주민란, 철인왕후, 윤근수, 순원왕후, 수릉 (조선), 영의정, 오단, 혼수 (승려), 양원군 (1492년), 헌종실록, 풍양현, 선무공신, 세도정치, 항렬,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역사, 한국의 성씨, 한국의 성씨 목록, 신정왕후 (조선), 신채호, 신촌동 (안양시), 홍범식, 홍승목, 화순옹주 (영조), 831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9 더) »

덕온공주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년 음력 6월 10일 ~ 1844년 음력 5월 24일)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덕온공주 · 더보기 »

명온공주

명온공주(明溫公主, 1810년 음력 10월 13일 ~ 1832년 음력 6월 13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명온공주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박규수 · 더보기 »

강음 단씨

강음 단씨(江陰 段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강음 단씨 · 더보기 »

복온공주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년 음력 10월 26일 ~ 1832년 음력 5월 12일)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복온공주 · 더보기 »

귀인 조씨 (영조)

인 조씨(貴人 趙氏, 1707년 음력 10월 16일 ~ 1780년)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귀인 조씨 (영조)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유근

유근(金逌根, 1785년 3월 ~ 1840년 7월)은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시인, 화가, 문신으로 예조판서, 병조판서, 판돈령부사를.

새로운!!: 풍양 조씨와 김유근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석옥

석옥(金錫玉, 본명: 김옥희, 1939년 1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여성 성우 겸 배우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김석옥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대왕대비

왕대비(大王大妃)는 전왕의 어머니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대왕대비 · 더보기 »

당은군 (1562년)

당은군 이인령(唐恩君 李引齡, 1562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당은군 (1562년) · 더보기 »

효의왕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1754년 1월 5일(1753년 음력 12월 13일) ~ 18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는 조선 정조의 왕비로 본관은 청풍(淸風)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효의왕후 · 더보기 »

효정왕후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년 3월 6일(음력 1월 22일) ~ 1904년 1월 2일(1903년 음력 11월 15일))는 조선의 제24대 왕 헌종(憲宗)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효정왕후 · 더보기 »

효순왕후

효순왕후 조씨(孝純王后 趙氏, 1716년 1월 8일/1715년 음력 12월 14일 ~ 1751년 12월 30일/음력 11월 14일)는 영조의 장남 진종(眞宗, 효장세자)의 비이자, 정조의 양어머니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효순왕후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장택상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현상 (1770년)

이현상(李顯相, 1770년 6월 14일 - 1822년 7월 1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통역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이현상 (1770년)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이하전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인평대군 · 더보기 »

인현왕후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1667년 5월 15일(음력 4월 23일) ~ 1701년 9월 16일(음력 8월 14일))는 조선 제19대 임금인 숙종의 2번째 왕후(王后)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인현왕후 · 더보기 »

인석보

인석보(印錫輔, 1852년 ~ 1896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인석보 · 더보기 »

인원왕후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1687년 11월 3일/음력 9월 29일 ~ 1757년 5월 13일/음력 3월 26일)은 조선 숙종의 두 번째 계비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인원왕후 · 더보기 »

조 (성씨)

조(趙, 曺, 租)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 (성씨) · 더보기 »

조동윤

조동윤(趙東潤, 1871년 ~ 1923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동윤 · 더보기 »

조동호

조동호(趙東祜, 1892년 9월 24일(음력 8월 4일) ~ 1954년 9월 1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동호 · 더보기 »

조맹

조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맹 · 더보기 »

조만영

이한철의 작품) 조만영(趙萬永, 1776년 ~ 1846년)은 조선 후기의 정치가·문신 겸 서예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만영 · 더보기 »

조문명

조문명의 초상화 조문명(趙文命, 1680년-173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장인이며 효순현빈 조씨(뒤에 왕후로 추존)의 친정아버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문명 · 더보기 »

조경 (1541년)

조경(趙儆, 1541년 ~ 1609년 음력 5월 2일)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경 (1541년) · 더보기 »

조병건

조병건(趙秉健, 1853년 음력 11월 5일~1924년 양력 1월 31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근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병건 · 더보기 »

조병현

조병현(趙秉鉉, 1791년 ~ 184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풍양(豊壤)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병현 · 더보기 »

조광희 (1917년)

조광희(趙洸熙, 1917년 9월 12일 ~)는 대한민국의 전 국회의원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광희 (1917년) · 더보기 »

조긍하

조긍하(趙肯夏, 1919년 8월 16일 ~ 1982년 1월 28일)는 대한민국의 영화감독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긍하 · 더보기 »

조남철

조남철(趙南哲, 1923년 11월 30일 ~ 2006년 7월 2일)은 전라북도 부안에서 출생한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남철 · 더보기 »

조남수

조남수(趙南壽, 1916년 9월 25일 ~ 1976년 2월 9일)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남수 · 더보기 »

조내양

조내양(趙來陽 1614 ~ 1648)은 조선 중기 유학자로 포저(浦渚) 조익(趙翼)의 넷째 아들이며 조형중(趙瑩中)의 손자 이고, 조간(趙侃)의 증손(曾孫)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내양 · 더보기 »

조운흘

조운흘(趙云仡, 1332년~140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운흘 · 더보기 »

조재호 (1702년)

조재호(趙載浩, 1702년 ~ 1762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효장세자의 비 현빈 조씨의 친오빠이며, 정조의 양 외삼촌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재호 (1702년) · 더보기 »

조인영

조인영(趙寅永, 1782년 ~ 185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인영 · 더보기 »

조인성 (배우)

조인성(趙寅成, 1981년 7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인성 (배우) · 더보기 »

조익 (조선)

조익(趙翼, 1579년 5월 2일(음력 4월 7일)~ 1655년 4월 16일(음력 3월 10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익 (조선) · 더보기 »

조정구 (1862년)

조정구(趙鼎九, 1862년 ~ 1926년)는 이조판서 조봉하 (趙鳳夏)의 손자이며 조동석의 아들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정구 (1862년) · 더보기 »

조중구

조중구(趙重九, 일본식 이름: 竹村吳一郞, 1906년 5월 21일 ~ ?)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본관은 풍양, 본적은 경성부 통인동이며, 남작 조동윤의 아들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중구 · 더보기 »

조진관

조진관(趙鎭寬, 1739년 ~ 180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진관 · 더보기 »

조지겸 (조선)

조지겸(趙持謙, 1639년 ~ 168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지겸 (조선) · 더보기 »

조지운

조지운(趙之耘, 1637년 ~ 1691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작가, 화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지운 · 더보기 »

조지헌

조지헌(趙持憲 1642 ~ 1685)은 조선의 문신으로 좌의정을 지낸 문효공(文孝公) 포저(浦渚) 조익(趙翼)의 손자이며, 도산(道山) 조내양(趙來陽)의 아들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지헌 · 더보기 »

조상경 (1681년)

조상경(趙尙絅, 1681년 ~ 1746년)은 조선의 문신 겸 시인이며 정치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상경 (1681년) · 더보기 »

조상우

조상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상우 · 더보기 »

조상진

조상진(趙尙鎭, 1740년 ~ 182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상진 · 더보기 »

조순

조순(趙淳, 1928년 2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순 · 더보기 »

조영하

조영하(趙寧夏, 1845년 6월 ~ 1884년 12월 5일)는 조선의 문신, 무신, 척신,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영하 · 더보기 »

조현명

조현명(趙顯命, 1690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현명 · 더보기 »

조형

조형(趙珩, 1606년 ~ 167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형 · 더보기 »

조엄 (조선)

조엄(趙曮, 1719년 ~ 177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엄 (조선) · 더보기 »

조풍연

조풍연(趙豊衍, 1914년 7월 16일 ∼ 1991년 7월 15일)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수필가·소설가·언론인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풍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장조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장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진종

종(眞宗, 1719년 4월 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진종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헌종

종(憲宗,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 1849년 7월 25일(음력 6월 6일))은 조선의 제24대 왕(재위: 1834년 ~ 1849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 헌종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성하 (1845년)

조성하(趙成夏, 1845년 3월 ~ 1881년 7월)는 조선의 문신, 척신, 정치가, 시인, 저술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성하 (1845년) · 더보기 »

조속

조속(趙涑, 1595년(선조 28년) ~ 1668년(현종 9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사대부(士大夫) 화가, 서예가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속 · 더보기 »

조완구

조완구(趙琬九, 1881년 4월 18일(음력 3월 20일) ~ 1954년 10월 27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조완구 · 더보기 »

진주민란

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년) 봄 진주에서 일어난 민중의 봉기 사건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진주민란 · 더보기 »

철인왕후

인왕후 金氏(哲仁王后, 1837년 4월 27일(음력 3월 23일) ~ 1878년 6월 12일(음력 5월 12일))는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비(妃)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철인왕후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윤근수 · 더보기 »

순원왕후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1789년 6월 8일 (음력 5월 15일) ~ 1857년 9월 21일 (음력 8월 4일))는 조선 제23대 왕인 순조의 정비(正妃)이자 문조(효명세자, 文祖)의 어머니이며 헌종의 할머니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순원왕후 · 더보기 »

수릉 (조선)

수릉(綏陵)은 조선 제 23대 왕 순조의 세자 효명세자(후 익종, 문조로 추존)와 비 신정왕후 조씨의 능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수릉 (조선)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풍양 조씨와 영의정 · 더보기 »

오단

오단(吳端, 1592년 ~ 16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오단 · 더보기 »

혼수 (승려)

혼수(混脩, 1320년 4월 21일(음력 3월 13일)~1392년 10월 4일(음력 9월 18일))는 고려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혼수 (승려) · 더보기 »

양원군 (1492년)

양원군 이희(楊原君 李憘, 1492년 ~ 1551년)은 조선의 왕족으로, 조선 제9대 성종의 서자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양원군 (1492년) · 더보기 »

헌종실록

《헌종경문위무명인철효대왕실록》(憲宗經文緯武明仁哲孝大王實錄) 또는 《헌종실록》(憲宗實錄)은 1834년 음력 11월부터 1849년 음력 6월까지 조선 헌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헌종실록 · 더보기 »

풍양현

풍양현(豐壤縣)은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일대에 있었던 조선 초기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풍양현 · 더보기 »

선무공신

선무공신(宣武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공을 세웠거나 후방에서 지원한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선무공신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세도정치 · 더보기 »

항렬

항렬(行列)은 같은 씨족 안에서 상하의 차례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만든 서열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항렬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성씨

국의 성씨(姓氏)는 전통적으로 270여 개가 있. 1486년(성종)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277개, 1766년(영조) 《도곡총설(陶谷叢說)》에 298개, 1908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496개, 1960년 대한민국 국세조사에서는 258개의 성씨.

새로운!!: 풍양 조씨와 한국의 성씨 · 더보기 »

한국의 성씨 목록

음은 한국의 성씨 목록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한국의 성씨 목록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채호

신채호(申采浩, 1880년 12월 8일 ~ 1936년 2월 21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적 아나키스트, 사학자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신채호 · 더보기 »

신촌동 (안양시)

신촌동(新村洞)은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의 행정동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신촌동 (안양시) · 더보기 »

홍범식

홍범식(洪範植, 1871년 9월 7일(음력 7월 23일) ~ 1910년 양력 8월 29일)은 구한말의 관료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홍범식 · 더보기 »

홍승목

홍승목(洪承穆, 1847년 음력 10월 11일 ~ 1925년 양력 2월 1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새로운!!: 풍양 조씨와 홍승목 · 더보기 »

화순옹주 (영조)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년 ~ 1758년 1월 17일)는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英祖, 1694~1776, 재위 1724~1776)의 차녀로 어머니는 정빈 이씨(靖嬪 李氏, 1694~1721)이.

새로운!!: 풍양 조씨와 화순옹주 (영조) · 더보기 »

8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풍양 조씨와 83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풍양조씨.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