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고전번역원

색인 한국고전번역원

국고전번역원(韓國古典飜譯院,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은 우리 조상들의 정신문화를 담고 있는 한국고전의 수집, 정리, 번역을 통해 한국학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2007년 11월 설립된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이.

12 처지: 만기요람, 고전번역교육원, 고전번역연구소,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주무부처별), 이강래 (1957년), 이건창, 이병도, 이광사, 이구지, 새끼 (줄), 양휘웅.

만기요람

만기요람(萬機要覽)이란 1808년(순조 8년)에 서영보(徐榮輔), 심상규(沈象奎)등이 왕명을 받아 왕이 나라의 군정(軍政)과 재정(財政)을 파악하도록 만든 책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만기요람 · 더보기 »

고전번역교육원

전번역교육원(古典飜譯敎育院)은 한문고전을 이해하고 번역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한국고전번역원 부설기관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고전번역교육원 · 더보기 »

고전번역연구소

전번역연구소(古典飜譯硏究所)는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한국고전번역원 소속기관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고전번역연구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주무부처별)

민국의 법률에 따라 기획재정부장관이 2016년도에 지정한 공공기관은 모두 321개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주무부처별) · 더보기 »

이강래 (1957년)

이강래(李康來, 1957년 ~)는 대한민국의 사학자이자, 국립전남대학교의 교수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이강래 (1957년)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이건창 · 더보기 »

이병도

이병도(李丙燾, 1896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989년 8월 14일)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대학 교수, 저술가이며,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호(號)는 두계(斗溪, 杜溪)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이병도 · 더보기 »

이광사

이광사(李匡師, 숙종 31년(1705) ~ 정조 1년(1777))는 조선의 문신, 서예가이며, 현대 한국학의 시조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이광사 · 더보기 »

이구지

현주 이구지(縣主 李仇之, ? ~ 1489년 3월 7일)는 조선 초기의 왕족, 기생으로,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의 8번째 서녀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이구지 · 더보기 »

새끼 (줄)

새끼 새끼 새끼는 짚으로 꼬아 줄처럼 만든 것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새끼 (줄) · 더보기 »

양휘웅

양휘웅(梁輝雄, 1973년 ~)은 대한민국의 번역가이.

새로운!!: 한국고전번역원와 양휘웅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민족문화추진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