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색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155 처지: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로마 가톨릭교회, 루가의 복음서, 마르탱 뤼크 위앵,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민극가, 박봉손, 박큰아기, 박희순 루치아, 박종원 (종교인), 박아기, 박후재, 가성직제도, 가톨릭교회 교리서, 가톨릭평화방송,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법정 (승려), 고순이, 공동번역성서, 권득인, 권희, 권진이, 권상연, 부산교구, 김 로사, 김 루치아, 김 루치아 (곱추), 김 바르바라, 김 율리에타, 김 테레사, 김범우, 김대건, 김효임, 김효주 (종교인), 김장금, 김임이, 김제준, 김수환, 김업이, 김성우, 김성임, 김아기, 꽃동네, 꽃동네학교, 대소성당, 대한민국-성좌 관계,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대한민국의 종교, 남명혁, 남경문 (1796년), ..., 남이관, 남종삼, 남양 성모동산, 당고개순교성지, 우술임, 우세영, 자비송, 자크 샤스탕, 장주기, 장성집, 임치백, 이 바르바라, 이 가타리나, 이 아가타, 이매임, 이명서, 이문우, 이간난, 이경이, 이광렬, 이광헌, 이인덕, 이정희 (종교인), 이윤일, 이영덕 (종교인), 이영희 막달레나, 이호영 베드로, 이연희 (종교인), 이소사, 이해인 (수녀), 인천광역시, 일본의 기독교, 전경협, 전장운, 정문호, 정국보, 정의배, 정정혜, 정철염, 정원지 (종교인), 정화경, 조 막달레나, 조증이, 조윤호 (종교인), 조신철, 조화서, 짐승의 숫자,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천주교 평양교구, 천주교 함흥교구,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천진암, 유대철, 유정률, 유진길, 유소사, 윤공희, 윤지충, 상투스, 수리산, 옥현진, 호인수, 현경련, 현석문, 최경환 (종교인), 최창흡, 최영이 (종교인), 최형, 허계임, 허협, 피에르 모방, 피에르 오메트르, 피에르앙리 도리,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교구, 손자선, 손선지, 손소벽, 해미순교성지, 한불 관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기독교, 한재권, 한이형, 한영이, 한아기, 안동시, 안중근, 하느님,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해박해,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원귀임, 홍병주, 홍금주, 홍영주, 황철수, 황석두, 1790년, 2006년, 2014년, 9월 28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5 더) »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Laurent-Joseph-Marius Imbert, 1797년 4월 15일 ~ 1839년 9월 21일)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며, 한국어명은 범세형(范世亨)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로랑조제프마리위스 앵베르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루가의 복음서

스의 기쁜 소식은 기독교의 신약성경에 포함된 복음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루가의 복음서 · 더보기 »

마르탱 뤼크 위앵

마르탱 뤼크 위앵(Martin Luc Huin, 1836년 10월 20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위앵 마르티노 루카는 프랑스의 가톨릭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르탱 뤼크 위앵 · 더보기 »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1818년 3월 16일 프랑스 아미앵 ~ 1866년 3월 30일(음력 2월 14일), 충청남도 보령)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의 선교사이며 천주교 조선교구의 제5대 교구장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리니콜라앙투안 다블뤼 · 더보기 »

민극가

민극가(閔克可, 1788년 ~ 1840년 1월 3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민극가 · 더보기 »

박봉손

박봉손(朴鳳孫, 1796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봉손 · 더보기 »

박큰아기

박큰아기(朴大阿只, 1786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큰아기 · 더보기 »

박희순 루치아

박희순(朴喜順, 1801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희순 루치아 · 더보기 »

박종원 (종교인)

박종원(朴宗源, 1793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종원 (종교인) · 더보기 »

박아기

박아기(朴阿只, 1783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아기 · 더보기 »

박후재

박후재(朴厚載, 1799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박후재 · 더보기 »

가성직제도

성직제도(假聖職制度)는 초기 한국천주교회에서 평신도들이 선교사(성직자)가 없는 상황에서 약 2년간 미사와 성사(성체성사,고해성사)의 집전을 대신한 제도를 일컫.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가성직제도 · 더보기 »

가톨릭교회 교리서

릭교회 교리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발간하는 기독교 교리서로, 1992년에 프랑스어와 라틴어로 처음 발행되고 1997년에 라틴어 표준판이 공포되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가톨릭교회 교리서 · 더보기 »

가톨릭평화방송

릭평화방송(가톨릭平和放送, Catholic Peace Broadcasting Corporation)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직영하는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계통 케이블 텔레비전·위성방송 및 FM 라디오 방송국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가톨릭평화방송 · 더보기 »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Bernard Louis Beaulieu, 1840년 10월 8일 ~ 1866년 3월 7일)는 프랑스인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베르나르 루이 볼리외 · 더보기 »

법정 (승려)

법정(法頂, 속명(본명) 박재철(朴在喆), 1932년 11월 5일(음력 10월 8일) ~ 2010년 3월 11일)은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이자 수필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법정 (승려) · 더보기 »

고순이

순이(高順伊, 1798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고순이 · 더보기 »

공동번역성서

공동번역성서(共同翻譯聖書)는 대한민국의 천주교와 개신교에서 에큐메니컬 운동의 일환으로 공동으로 구성한 성서공동번역위원회가 1977년 부활절에 편찬한 한국어 성경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공동번역성서 · 더보기 »

권득인

득인(權得仁, 1805년 ~ 1839년 5월 24일(음력 4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득인 · 더보기 »

권희

희(權喜, 179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희 · 더보기 »

권진이

이(權珍伊, 1819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진이 · 더보기 »

권상연

상연(權尙然, 1751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권상연 · 더보기 »

부산교구

부산교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부산교구 · 더보기 »

김 로사

사(金--, 1784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 로사 · 더보기 »

김 루치아

아(金---, 1818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 루치아 · 더보기 »

김 루치아 (곱추)

아(金---, 1769년 ~ 1839년 9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인 기해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 루치아 (곱추) · 더보기 »

김 바르바라

바르바라(金----, 1805년 ~ 1839년 5월 2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 바르바라 · 더보기 »

김 율리에타

율리에타(金----, 178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 율리에타 · 더보기 »

김 테레사

사(金---, 1797년 ~ 1840년 1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 테레사 · 더보기 »

김범우

범우(金範禹, 1751년 5월 22일 ~ 1787년 9월 14일)는 한국 천주교 첫 희생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범우 · 더보기 »

김대건

(金大建, 1821년 8월 21일 ~ 1846년 9월 16일, 세례명: 안드레아)은 한국인으로서 최초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순교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대건 · 더보기 »

김효임

효임(金孝任, 1814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효임 · 더보기 »

김효주 (종교인)

효주(金孝珠, 1816년 ~ 1839년 9월 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효주 (종교인) · 더보기 »

김장금

장금(金長金, 178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장금 · 더보기 »

김임이

임이(金任伊, 1811년 ~ 1846년 9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임이 · 더보기 »

김제준

제준(金濟俊, 1796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제준 · 더보기 »

김수환

수환(金壽煥, 1922년 7월 2일 ~ 2009년 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천주교 성직자이자 사회운동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수환 · 더보기 »

김업이

업이(金業伊, 1774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업이 · 더보기 »

김성우

성우(金星禹, 1795년 ~ 1841년 4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성우 · 더보기 »

김성임

성임(金成任, 1787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성임 · 더보기 »

김아기

아기(金阿只, 1787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김아기 · 더보기 »

꽃동네

꽃동네(Kkottongnae)는 비영리 재단법인 예수의꽃동네유지재단이 운영하는 한국 천주교의 복지, 교육 기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꽃동네 · 더보기 »

꽃동네학교

꽃동네학교는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위치한 지적장애아와 지체장애아를 위한 사립 특수학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꽃동네학교 · 더보기 »

대소성당

소성당은 성(聖) 요셉 성당이라고도 하며 천주교 청주교구의 음성지구에 속. 이 성당은 1932년 설립되어 1934년 성당 건축 이후 선교활동이 본격적으로 이뤄졌고, 1975년 진천 광혜원 본교회에 속하다 선교교회로 승격되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소성당 · 더보기 »

대한민국-성좌 관계

민국-성좌 관계는 대한민국과 성좌(바티칸 시국) 간의 관계를 말. 성좌는 국제 연합(UN)의 승인 이전에 대한민국을 가장 먼저 인정하여, 1947년 8월 패트릭 번 주교를 주한 교황 사절로 파견함으로써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받는데 결정적인 힘을 실어주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민국-성좌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에 대한 내용을 서술.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민국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종교

방과 더불어 종교의 탄압에서 벗어나게 된 것은 헌법에 의한 종교의 자유에 기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대한민국의 종교 · 더보기 »

남명혁

명혁(南明赫, 1802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명혁 · 더보기 »

남경문 (1796년)

경문(南景文, 1796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경문 (1796년) · 더보기 »

남이관

이관(南履灌, 178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이관 · 더보기 »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종삼 · 더보기 »

남양 성모동산

양성모성지는 병인년(1866년) 대박해 때 이름 없이 치명하신 많은 순교자들을 현양하는 순교성지이며, 1991년 10월 7일 성모 마리아께 봉헌되고, 한국 천주 교회에서는 처음으로 성모성지로 공식 선포된 곳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남양 성모동산 · 더보기 »

당고개순교성지

당고개순교성지(堂峴殉敎聖地)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계동에 있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순교 성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당고개순교성지 · 더보기 »

우술임

우술임(禹述任, 1803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우술임 · 더보기 »

우세영

우세영(禹世英, 1845년 ~ 1866년 3월 1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우세영 · 더보기 »

자비송

그레고리오 성가에 실린 자비송 17 ("orbis factor") 키리에 (또는 자비송, 기도송)은 그리스도교 전례의 일부로서, 하느님의 자비를 구하는 노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자비송 · 더보기 »

자크 샤스탕

자크 오노레 샤스탕(Jacques Honor Chastan, 한국명: 정아각백(鄭牙各伯), 1803년 7월 10일 ~ 1839년 9월 21일)은 프랑스인 사제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자크 샤스탕 · 더보기 »

장주기

장주기(張周基, 1803년 ~ 1866년 3월 3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장주기 · 더보기 »

장성집

장성집(張--, 1786년 ~ 1839년 5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장성집 · 더보기 »

임치백

임치백(林致百, 1803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임치백 · 더보기 »

이 바르바라

이 바르바라(李----, 1825년 ~ 1839년 5월 2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 바르바라 · 더보기 »

이 가타리나

이 가타리나(李~, 1783년 - 1839년 10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 가타리나 · 더보기 »

이 아가타

이 아가타(李---, 1824년 ~ 1840년 1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 아가타 · 더보기 »

이매임

이매임(李梅任, 1788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매임 · 더보기 »

이명서

이명서(李--, 182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명서 · 더보기 »

이문우

이문우(李文祐, 1810년 ~ 1840년 2월 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문우 · 더보기 »

이간난

이간난(李干蘭, 1814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간난 · 더보기 »

이경이

이경이(李瓊伊, 1814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경이 · 더보기 »

이광렬

이광렬(李光烈, 1795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광렬 · 더보기 »

이광헌

이광헌(李光獻, 1787년 ~ 1839년 5월 24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광헌 · 더보기 »

이인덕

이인덕(李仁德, 1818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인덕 · 더보기 »

이정희 (종교인)

이정희(李貞喜, 1799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정희 (종교인) · 더보기 »

이윤일

이윤일(李--, 1823년 ~ 1867년 1월 2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윤일 · 더보기 »

이영덕 (종교인)

이영덕(李榮德, 1811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영덕 (종교인) · 더보기 »

이영희 막달레나

이영희(李英喜, 1809년 ~ 1839년 7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영희 막달레나 · 더보기 »

이호영 베드로

이호영(李--, 1803년 ~ 1838년 11월 2일)은 조선 말기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회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호영 베드로 · 더보기 »

이연희 (종교인)

이연희(李連熙, 180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연희 (종교인) · 더보기 »

이소사

이소사(李召史, 1784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소사 · 더보기 »

이해인 (수녀)

이해인(李海仁, 본명: 이명숙, 1945년 6월 7일 ~)은 천주교 수녀이자 시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해인 (수녀)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의 기독교

일본의 기독교()는 일본 전체 인구의 1%도 되지 않는, 또 0.5%에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는 일본에서의 소수 기독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본의 기독교 · 더보기 »

전경협

전경협(全敬俠, 1790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경협 · 더보기 »

전장운

전장운(全長雲, 1811년 ~ 1866년 3월 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전장운 · 더보기 »

정문호

정문호(鄭--, 1801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문호 · 더보기 »

정국보

정국보(丁--, 1799년 ~ 1839년 5월 2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국보 · 더보기 »

정의배

정의배(丁義培, 1795년 ~ 1866년 3월 1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의배 · 더보기 »

정정혜

정정혜(丁情惠, 1797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정혜 · 더보기 »

정철염

정철염(鄭鐵艶, 1817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철염 · 더보기 »

정원지 (종교인)

정원지(鄭--, 184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원지 (종교인) · 더보기 »

정화경

정화경(鄭--, 1807년 ~ 1840년 1월 23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정화경 · 더보기 »

조 막달레나

조 막달레나(趙~, 1806년 - 1839년 10월)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 막달레나 · 더보기 »

조증이

조증이(趙曾伊, 1781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증이 · 더보기 »

조윤호 (종교인)

조윤호(趙--, 1848년 ~ 1866년 12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윤호 (종교인) · 더보기 »

조신철

조신철(趙信喆, 1795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신철 · 더보기 »

조화서

조화서(趙--, 1815년 ~ 1866년 12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조화서 · 더보기 »

짐승의 숫자

윌리엄 블레이크의 ‘짐승의 숫자 666’ 짐승의 숫자는 기독교의 경전인 신약성경의 요한묵시록에서 ‘짐승’을 언급할 때 나온 특정 개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짐승의 숫자 · 더보기 »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天主敎 德源自治修道院區, Territorial Abbacy of Tŏkwon)는 함경도를 관할하던 원산대목구가 분리되면서 덕원베네딕도 대수도원에 위탁된 한국천주교회의 자치수도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 더보기 »

천주교 평양교구

주교 평양교구(天主敎 平壤敎區)는 평안도를 관할하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평양교구 · 더보기 »

천주교 함흥교구

주교 함흥교구(天主敎 咸興敎區)는 함경도를 관할하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 함흥교구 · 더보기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天主敎正義具現全國司祭團, Catholic Priests' Association for Justice, CPAJ)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일부사제들로 구성된 사설단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 더보기 »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병자를 위해 기도하는 천주의 성 요한과 그의 천사.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Brothers Hospitallers of St. John of God)는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위하여 천주의 성 요한(1495~1550년)이 설립한 수도회로, 1539년 가을에 스페인 그라나다에서 그의 동료들과 함께 시작하였.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주의 성 요한 수도회 · 더보기 »

천진암

암(天眞菴)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천진암로 1203 에 있는 천주교의 성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천진암 · 더보기 »

유대철

유대철(劉大喆, 1826년 - 1839년 10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으로, 그들 중 가장 나이 어린 성인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유대철 · 더보기 »

유정률

유정률(劉正律, 1837년 ~ 1866년 2월 1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유정률 · 더보기 »

유진길

유진길(劉進吉, 1791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유진길 · 더보기 »

유소사

유소사(柳召史, 1761년 ~ 1839년 11월 2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유소사 · 더보기 »

윤공희

윤공희(尹恭熙, 1924년 11월 8일 ~)는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윤공희 · 더보기 »

윤지충

윤지충(尹持忠, 1759년 ~ 1791년 12월 8일)은 조선 후기의 로마 가톨릭 교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윤지충 · 더보기 »

상투스

상투스(), 거룩하시도다는 예배때 하느님의 거룩함을 찬미하는 기독교의 예식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상투스 · 더보기 »

수리산

수리산(修理山)은 경기도 군포시, 안양시 만안구와 안산시 상록구의 경계에 있는 높이 475m의 산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수리산 · 더보기 »

옥현진

옥현진(玉賢進, 1968년 3월 5일 -)은 대한민국 가톨릭교회의 성직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옥현진 · 더보기 »

호인수

호인수(扈寅秀. 세례명 베네딕토)는 대한민국 천주교 신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호인수 · 더보기 »

현경련

현경련(玄敬連, 1794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현경련 · 더보기 »

현석문

현석문(玄錫文, 1797년 ~ 1846년 9월 1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현석문 · 더보기 »

최경환 (종교인)

경환(崔京煥, 1805년 ~ 1839년 9월 12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경환 (종교인) · 더보기 »

최창흡

창흡(崔昌洽, 1786년 ~ 1839년 12월 29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창흡 · 더보기 »

최영이 (종교인)

영이(崔榮伊, 1818년 ~ 1840년 2월 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영이 (종교인) · 더보기 »

최형

형(崔炯, 1814년 ~ 1866년 3월 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최형 · 더보기 »

허계임

임(許季任, 1773년 ~ 1839년 9월 26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허계임 · 더보기 »

허협

협(許-, 1796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허협 · 더보기 »

피에르 모방

에르 필리베르 모방(한국명: 나백다록(羅伯多祿), 1803년 9월 20일 ~ 1839년 9월 21일(음력 8월 14일)) 신부는 파리 외방 전교회의 회원이며, 한국교회사 최초의 서양인 천주교 선교사로 여. 그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로 인해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피에르 모방 · 더보기 »

피에르 오메트르

에르 오메트르(Pierre Aumaître, 1837년 4월 8일 ~ 1866년 3월 30일) 또는 오메트르 베드로는 프랑스의 선교사로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피에르 오메트르 · 더보기 »

피에르앙리 도리

에르앙리 도리(Pierre-Henri Dorie, 1839년 9월 23일 ~ 1866년 3월 7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피에르앙리 도리 · 더보기 »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은 한강의 동북쪽 강변에 있는 사적 제399호로 지정된 양화나루와 잠두봉 일원을 말. 한강의 이 지역의 교량으로는 서북쪽에 길이가 약 1.2km인 양화대교, 동남쪽에 역시 약 1.2km 짜리 당산철교가 서로 약 400m 간격으로 놓여있.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 더보기 »

서울교구

서울교구는 기독교 각 종파에 설치된 다음 교구들을 의미.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서울교구 · 더보기 »

손자선

손자선(孫--, 1844년 ~ 1866년 5월 18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손자선 · 더보기 »

손선지

손선지(孫--, 1820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손선지 · 더보기 »

손소벽

손소벽(孫小碧, 1801년 ~ 1840년 1월 3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손소벽 · 더보기 »

해미순교성지

미순교성지(海美殉敎聖地)는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성지1로 13에 위치한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순교 성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해미순교성지 · 더보기 »

한불 관계

국과 프랑스의 관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 프랑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상임이사국, 주요 8개국 정상회의(G8, Group of 8) 회원국, 세계 제6위 경제 대국,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통합의 주도국으로서 한국 안보·경제 외교의 주요 협력 파트너 역할을 하고 있. 프랑스는 유럽연합 국가 중 한국의 제5위 교역국이자 제4위 투자국의 위치에 있. 한불관계의 시작점은 조선 시대 후기로 거슬러 올. 조선 후기에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포함된 천주교신자들을 조선정부가 탄압(병인박해)하면서 외교문제가 되었고 이를 빌미로 프랑스군대와 조선군이 격돌하는 사건 - 병인양요 - 이 일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불 관계 · 더보기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국 천주교 주교회의(韓國天主敎主敎會議)는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의 공동선이 증진되도록 사목 임무를 공동으로 조정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사도좌의 승인 아래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라는 명칭으로 국가에 등록된 기독교 법인으로 설립된 주교회의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기독교

국의 기독교()는 크게 보면 두 집단으로 나뉘는데,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 2015년 기준 약 980만 명의 개신교와 약 380만 명의 천주교로 구성.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국의 기독교 · 더보기 »

한재권

재권 또는 한원서(韓--, 1836년 ~ 1866년 12월 1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재권 · 더보기 »

한이형

이형(韓履亨, 1799년 ~ 1846년 9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이형 · 더보기 »

한영이

영이(韓榮伊, 1784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영이 · 더보기 »

한아기

아기(韓阿只, 1739년 ~ 1839년 5월 24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한아기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안동시 · 더보기 »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안중근 · 더보기 »

하느님

은 한국어에서 절대적인 존재(God)이신 신이 계신 위치, '하늘'과 '신자들 내적 마음' 중 '하늘'을 선택하여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하느님 · 더보기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新天地예수敎 證據帳幕聖殿, 신천지, 신천지예수교, 신천지예수교회, 신천지교회)는 이만희가 1984년 3월 14일에 창설한 신흥종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 더보기 »

신해박해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가톨릭에 대한 박해 사건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신해박해 · 더보기 »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Siméon-François Berneux, 1814년 5월 14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시메옹프랑수아 베르뇌 · 더보기 »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Simon Marie Antoine Just Ranfer de Bretenieres, 1838년 2월 28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 더보기 »

원귀임

원귀임 마리아(元貴任, 181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원귀임 · 더보기 »

홍병주

홍병주(洪秉周, 1798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홍병주 · 더보기 »

홍금주

홍금주(洪今珠, 1804년 ~ 1839년 9월 26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홍금주 · 더보기 »

홍영주

홍영주(洪永周, 1801년 ~ 1840년 1월 31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명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홍영주 · 더보기 »

황철수

황철수(黃哲洙, 1953년 4월 15일 -)는 대한민국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황철수 · 더보기 »

황석두

황석두(黃錫斗, 1813년 ~ 1866년 3월 30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황석두 · 더보기 »

1790년

179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1790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06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2014년 · 더보기 »

9월 28일

9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1번째(윤년일 경우 27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와 9월 28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 가톨릭교회,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교회,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 가톨릭, 한국 가톨릭교회, 한국 교회,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 천주교, 한국 천주교회, 한국교회사, 한국의 가톨릭, 한국의 가톨릭교회, 한국의 로마 가톨릭, 한국의 천주교, 한국의 천주교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