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의 불교

색인 한국의 불교

국의 불교는 기원후 4세기와 5세기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동진 시대(317-420)와 남북조 시대(439-589)의 중국을 거쳐 들어온 종교로서 한국 민족과 더불어 자라온 중요한 종교 사상의 하나이.

55 처지: 돈오돈수, 묘법연화경, 미국의 불교, 밀교 (불교), 가산불교문화연구원, 법계 (역사), 법상종, 법성종, 고려의 불교, 보살, 공 (불교), 불교, 불교의 역사, 불교의 사상, 불상, 비단 (음악 그룹), 대승불교, 대승기신론, 대한민국의 종교, 대한불교조계종, 대한불교천태종, 교상판석, 구산문, 남도육종, 우바새와 우바이, 재 (동음이의), 이차돈, 이청담, 젠도, 정토교, 조계종, 천태종, 총림, 유가행파, 육도 (불교), 수계 (불교), 영관 (조선), 오계, 호법, 향산군, 열반종, 선사, 서역의 불교, 해동고승전, 한국 불교의 종파, 한국 불교의 종파 목록,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의 사찰, 한암, ..., 템플스테이, 십우도, 원오극근, 화엄 사상, 화엄종.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 더) »

돈오돈수

오돈수(頓悟頓修, Subitism)는 한국불교에서, 찰나에 깨달아 부처가 되어, 더는 수행할 것이 없다는 이론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돈오돈수 · 더보기 »

묘법연화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묘법연화경》 2권 변상도(1340년 고려(高麗)에서 간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또는 《법화경》(法華經)은 대승경전의 하나로, 예로부터 모든 경전의 왕으로 생각되었으며, 초기 대승경전(大乘經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묘법연화경 · 더보기 »

미국의 불교

서구의 최대 불교 사찰인 캘리포니아의 서래사. 15 에이커의 면적을 차지한다. 미국의 불교는 기독교, 유대교, 무종교에 이어 미국 최대의 종교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미국의 불교 · 더보기 »

밀교 (불교)

밀교(密敎)는 비밀의 가르침이란 뜻으로 문자 언어로 표현된 현교(顯敎)를 초월한 최고심원(最高深遠)한 가르침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밀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일본에서는 진언종의 구카이(空海)가 불교를 현밀이교(顯密二敎)로 판별하여 금강승, 즉 밀교의 우위를 주장.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밀교 (불교) · 더보기 »

가산불교문화연구원

산불교문화연구원은 한민족 이천년 정신사를 지도하면서 수승한 민족의 문화를 창출하여 온 한국불교 전통을 창의적으로 계승하여 고도기계문명시대를 슬기롭게 지도해 나갈 불교정신의 민족적 자주화를 실현하는 일하는 공동체로서, 인류공존의 우주적 세계관인 불교사상을 실천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대승적 방편을 구현하여 국위 선양의 실질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하며 대한불교조계종 종지 종통을 계승 발전을 목적으로 1993년 3월 31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가산불교문화연구원 · 더보기 »

법계 (역사)

법계(法階)는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법계 (역사)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법상종 · 더보기 »

법성종

법성종(法性宗)은 일체 만유(萬有)는 같은 법성을 가졌고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교의를 가진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법성종 · 더보기 »

고려의 불교

불화 미륵하생경변상도 이 문서는 고려 시대의 불교를 설명.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고려의 불교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보살 · 더보기 »

공 (불교)

공(空)은 순야타()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공 (불교)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불교 · 더보기 »

불교의 역사

이 문서는 인도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인 인도 불교의 역사, 즉 인도 불교사에 대해 특히.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불교의 사상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창시된 종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불교의 사상 · 더보기 »

불상

Gandhara: 1세기 - 2세기): 고타마 붓다를 표현한 최초의 불상들 중 하나이다 마투라 불상: 고타마 붓다의 보살상 (2세기) Gandhara)는 현재의 파키스탄 북부와 아프가니스탄 동부에 자리하였다 국보 제83호) 불상(佛像)은 부처와 보살의 형상(形象形像)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불상 · 더보기 »

비단 (음악 그룹)

비단(VIDAN)은 대한민국의 여성 퓨전국악팀으로 소속사는 예비사회적기업 케이앤아츠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비단 (음악 그룹)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대승불교의 논서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대승기신론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종교

방과 더불어 종교의 탄압에서 벗어나게 된 것은 헌법에 의한 종교의 자유에 기인.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대한민국의 종교 · 더보기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은 대한민국 불교 최대 종단(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대한불교조계종 · 더보기 »

대한불교천태종

불교천태종(大韓佛敎天台宗)은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교단(敎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대한불교천태종 · 더보기 »

교상판석

상판석(敎相判釋)은 중국 불교에서 유래한 불교 용어로, 수천 권에 달하는 불교 경전은 고타마 붓다가 일생 동안 행한 설법의 집대성이라고 보고 불교 경전을 설법의 형식방법순서내용교리에 따라 분류 및 체계화하고 가치판단을 행하는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역사 > 교학연구의 발달 > 교상판석,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교상판석은 교상(敎相)교판(敎判) 또는 판교(判敎).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교상판석 · 더보기 »

구산문

선종 구산(禪宗九山Nine Mountain Monasteries)은 남북국 시대의 신라 때부터 시작되어 고려 태조 때 완성된 불교 선종(禪宗)의 구산문(九山門)을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구산문 · 더보기 »

남도육종

육종(南都六宗)은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710~794)에 헤이조쿄를 중심으로 번창한 다음의 6개의 불교 종파의 총칭으로 나라 불교(奈良仏教).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남도육종 · 더보기 »

우바새와 우바이

우바새와 우바이(優婆塞와 優婆夷)는 불교의 출가하지 않은 신자들, 즉 남녀 재가신자(在家信者)를 통칭하는 낱말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우바새와 우바이 · 더보기 »

재 (동음이의)

재는 다음과 같이 가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재 (동음이의) · 더보기 »

이차돈

이차돈(異次頓, 506년~527년 9월 15일(음력 8월 5일))은, 신라 법흥왕(法興王)의 근신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이차돈 · 더보기 »

이청담

이청담(李靑潭: 1902년 10월 20일 ~1971년 11월 15일)은 대한민국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이청담 · 더보기 »

젠도

일본 불교의 사찰인 젠도 젠도(禅堂)는 일본 불교의 사찰을 말. 의역하면, "메디테이션 홀" "명상 홀"을 의미.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젠도 · 더보기 »

정토교

정토교(淨土敎)는 정토종(淨土宗) 또는 정토문(淨土門)으로 불리.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정토교 · 더보기 »

조계종

조계종(曹溪宗)은 한국 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조계종 · 더보기 »

천태종

종(天台宗TiantaiTendaiLotus School)은 《법화경》(法華經Lotus Sūtra)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천태종 · 더보기 »

총림

총림(叢林)은 빈댜바나()의 의역으로 음역하여 빈다바나(貧陀婆那).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총림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육도 (불교)

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6도(六道)는,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불교에서 중생이 깨달음을 증득하지 못하고 윤회할 때 자신이 지은 업(業)에 따라 태어나는 세계를 6가지로 나눈 것으로, 지옥도(地獄道)아귀도(餓鬼道)축생도(畜生道)아수라도(阿修羅道)인간도(人間道)천상도(天上道)를 말. '나아가는 세계 또는 장소'라는 뜻의 취(趣)을 써서, 6취(六趣).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육도 (불교) · 더보기 »

수계 (불교)

수계(受戒Buddhist initiation ritual)는 출가자(出家者)재가자(在家者)의 구별 없이, 불교를 받드는 자들이 지켜야 하는 계율(戒律)에 따를 것을 맹세하는 것으로, 일정한 의식법이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수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수계를 주는 승려를 수계사(授戒師) 또는 계사(戒師).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수계 (불교) · 더보기 »

영관 (조선)

영관(靈觀, 1485 ~ 1571)은 조선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영관 (조선) · 더보기 »

오계

5계(五戒)는 산스크리트어 판차실라(pañca-śīla)를 번역한 말로서, 재가인(在家人)이 지켜야 할 다음의 5종의 계(戒)를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의례와 수행·교단조직 > 의례와 수행 > 5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오계 · 더보기 »

호법

호법(護法: 530~561), 다르마팔라(Dharmapāla) 또는 달마바라(達磨波羅)는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호법 · 더보기 »

향산군

향산군(香山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북도의 동부에 위치하는 군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향산군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열반종 · 더보기 »

선사

선사(禪師)는 일반적으로 선정(禪定)에 통달한 승려를 부르는 호칭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선사 · 더보기 »

서역의 불교

서역의 불교(西域의 佛敎) 또는 서역 불교(西域佛敎)는 서역(西域)에서 전개된 불교를 통칭.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서역의 불교 · 더보기 »

해동고승전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은 삼국 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고려 고종 2년(1215)에 각훈(覺訓)이 편찬한 현존하는 책 가운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승려 전기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해동고승전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종파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한국 불교에서는 때로는 새로운 종파가 성립되기도 하고 때로는 기존의 종파들이 통합되기도 하면서 여러 종파들이 성립발전하였.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한국 불교의 종파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종파 목록

이 문서는 한국의 역대 불교 종파와 해당 종파의 시조(始祖)를 가나다순으로 나열한 목록 문서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한국 불교의 종파 목록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의 사찰

국의 사찰은 한국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설립되었으며, 최초의 사찰은 고구려 소수림왕때 지어진 이불란사와 초문사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한국의 사찰 · 더보기 »

한암

방중원(方重遠: 1876~1951)은 대한민국의 승려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한암 · 더보기 »

템플스테이

사 템플스테이 모습 템플스테이() 또는 산사체험은 한국의 전통사찰에 머물면서 사찰의 일상 생활을 체험하고 한국 불교의 전통 문화와 수행 정신을 체험해보는 것을 의미.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템플스테이 · 더보기 »

십우도

십우도(Ten Bulls)는 선불교에서 견성에 이르는 참선 수행의 과정을 10개의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십우도 · 더보기 »

원오극근

원오극근(圜悟克勤, Yuanwu Keqin, 1063–1135)은 중국 송나라의 임제종 양기파(楊枝派)에 속한 스님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원오극근 · 더보기 »

화엄 사상

화엄 사상(華嚴思想)은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華嚴經)》을 기반으로 전개된 불교 사상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화엄 사상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한국의 불교와 화엄종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한민국의 불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교, 한국 불교, 한국불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