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국통사

색인 한국통사

국통사(韓國痛史)는 박은식이 저술한 한문으로 된 한국의 민족주의 역사서이.

15 처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명성황후, 민족사학, 박은식, 흥선대원군, 이상설, 이한응, 을미사변, 윤효정, 오카모토 류노스케, 역사 연표, 송병선, 한국독립운동지혈사, 한국의 역사학, 홍계훈.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한국통사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한국통사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민족사학

민족사학(民族史學)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 첫째, 일제강점기 한민족의 우수성과 자율 주체적인 발전을 강조하고 민족사의 기원을 밝힌 국사학의 한 이념을 말. 역사관으로서의 성격과 함께 재야사학과 연결되는 경향이 있. 이는 근대적인 국민(nation) 개념에 입각한 역사관으로 단재 신채호 이래 독립운동기의 학자들과 20세기 중반 군사정권의 조국근대화 시기에 국민만들기(nation-building)에 동원된 학자들로 양분할 수 있. 두 번째로는 ethnohistory에 대한 번역술어로서 이는 독일 민족학(ethnology)과 독일 역사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분야로 미국의 역사인류학과 유사.

새로운!!: 한국통사와 민족사학 · 더보기 »

박은식

박은식(朴殷植, 1859년 10월 25일(음력 9월 30일) ~ 1925년 11월 1일)은 일제 강점기의 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박은식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상설

이상설(李相卨, 1871년 1월 27일(1870년 음력 12월 7일) ~ 1917년 양력 3월 2일)은 조선(대한제국)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이상설 · 더보기 »

이한응

이한응(李漢應, 1874년 9월 21일 ~ 1905년 5월 12일)은 본관은 전의예안 이씨(全義)후손 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순국 열사(殉國 烈士)로 자는 경천(敬天)이며 호는 국은(菊隱)이고 李漢膺(이한응)이라는 일명으로도 불리었.

새로운!!: 한국통사와 이한응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윤효정

윤효정(尹孝定, 1858년 ~ 1939년)은 구한말의 문신, 학자, 애국지사로 경기도 양주출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운정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윤효정 · 더보기 »

오카모토 류노스케

오카모토 류노스케(岡本 柳之助, 1852년 8월 14일 ~ 1912년 5월 14일)는 기슈 번 출신의 군인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오카모토 류노스케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한국통사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송병선

송병선(宋秉璿 1836년 ∼ 1905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송병선 · 더보기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역사학자 박은식이 1920년에 집필하고, 상하이의 유신사(維新社)에서 간행한 한국의 항일 독립운동에 관한 한문으로 된 역사서이.

새로운!!: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더보기 »

한국의 역사학

이 글은 한국의 역사학과 역사사상을.

새로운!!: 한국통사와 한국의 역사학 · 더보기 »

홍계훈

홍계훈(洪啓薰, 1842년 ~ 1895년)은 조선 후기의 무장으로 초명은 재희(在熙), 본관은 남양(南陽).

새로운!!: 한국통사와 홍계훈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