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한성순보

색인 한성순보

창간자 박영효 《한성순보》(漢城旬報)는 조선 말기인 1883년 10월 31일(고종 20년 음력 10월 1일) 창설된 순간(旬刊) 신문으로, 한국인이 발행한 한국 최초의 근대적 신문이라하나 일종의 관보이.

25 처지: 독립신문, 민영목, 박문국, 강위, 박영효, 김옥균, 대한민국의 관보,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01호 ~ 제600호), 대한민국의 신문 목록, 장석주 (1848년), 이노우에 가쿠고로, 음력 10월 1일, 유길준, 오용묵 (1854년), 오세창, 현영운, 역사 연표,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재, 한국 문학, 한국의 신문, 한성주보, 신문, 후쿠자와 유키치, 10월 31일, 1883년.

독립신문

독립신문 초판 독립신문(獨立新聞)은 1896년 4월 7일에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이었.

새로운!!: 한성순보와 독립신문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한성순보와 민영목 · 더보기 »

박문국

박문국(博文局)은 한국 최초의 근대식 인쇄소.

새로운!!: 한성순보와 박문국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한성순보와 강위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박영효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김옥균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관보

민국의 관보(大韓民國의 官報)는 국가가 국민에게 널리 알릴 사항을 편찬하여 발행하는 기관지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대한민국의 관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01호 ~ 제600호)

민국의 등록문화재(大韓民國 登錄文化財)는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501호 ~ 제600호)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신문 목록

음은 현재 대한민국에서 발간되는 신문의 목록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대한민국의 신문 목록 · 더보기 »

장석주 (1848년)

장석주(張錫周, 일본식 이름: 高谷義, 1848년 음력 12월 26일 ~ 1921년 양력 9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한성순보와 장석주 (1848년)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쿠고로

이노우에 가쿠고로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 角五郎, 1860년 10월 30일(만엔 원년 10월 18일)~1939년(쇼와 13년) 9월 23일)는 일본의 사업가, 정치인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이노우에 가쿠고로 · 더보기 »

음력 10월 1일

음력 10월 1일은 음력 10월의 1번째 날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음력 10월 1일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유길준 · 더보기 »

오용묵 (1854년)

오용묵(吳容默, 1854년 양력 1월 17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오용묵 (1854년) · 더보기 »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오세창 · 더보기 »

현영운

현영운(玄暎運, 아명(兒名)은 현영운(玄映運), 1868년 음력 6월 11일 ~ ?)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관료 겸 군인으로, 본관은 연주(延州)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현영운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한성순보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재

민국의 등록문화재 가운데 서울특별시에 있는 등록문화재는 다음의 목록과 같.

새로운!!: 한성순보와 서울특별시의 등록문화재 · 더보기 »

한국 문학

국 문학(韓國文學)은 한국인 또는 한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한국의 사상과 감정, 정서 등의 가치 있는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대의 표현 방식을 빌려 형상화한 문학의 총칭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한국 문학 · 더보기 »

한국의 신문

국의 신문은 1883년(고종 20년)에 창간된 순한문의 《한성순보(漢城旬報)》로부터 비롯되었.

새로운!!: 한성순보와 한국의 신문 · 더보기 »

한성주보

성주보(漢城周報)는 1886년에 간행된 신문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한성주보 · 더보기 »

신문

신문(新聞, Newspaper)은 대중에게 다양한 소식과 사건들을 전달해주는 정기 간행물의 한 종류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신문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한성순보와 10월 31일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한성순보와 1883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