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864 처지: 러스크 서한, 러일 전쟁, 데라우치 마사타케, 도 (행정 구역), 도리이 류조, 도지사, 독일, 동요회, 동아시아의 역사, 매국노, 매일신보, 매천야록, 맹꽁이서당, 만국 우편 연합, 만화 혐한류, 마포형무소, 마산회원구의 행정 구역, 마산어시장, 면리제, 메이지 천황, 메이지 시대, 목포시, 문재철, 문종구, 묘호, 민갑완, 민건식, 민병석, 민재기 (1886년), 민족말살정책,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종묵, 민철훈, 민영린, 민영기, 민영기 (정치인), 민영익, 민영은, 민영환, 민형식 (1859년), 민원식, 방인혁, 배정자, 배석린, 백남신, 백낙원, 백작, 백영권, 백성수, 반일 감정,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14 더) »
러스크 서한
스크 서한 러스크 서한()은 1951년 8월 10일 미국 극동 담당 국무 차관보 딘 러스크가 양유찬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에게 보낸 외교 서한이.
러일 전쟁
일 전쟁()은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까지 계속된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이었.
데라우치 마사타케
우치 마사타케(가에이 5년 음력 2월 5일(1852년 2월 24일) ~ 다이쇼 8년(1919년) 11월 3일)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이.
도 (행정 구역)
(道)는 행정 구역의 이름이.
도리이 류조
리이 류조 (1952년) 도리이 류조(1870년 5월 4일 ~ 1953년 1월 14일)는 일본의 고고학자, 인류학자, 민속학자이.
도지사
사(道知事) 또는 주지사(州知事)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을 말.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독일
동요회
동요회(同耀會)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59명이 결성한 단체이.
동아시아의 역사
동아시아 지역 동아시아의 역사는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이.
매국노
매국노(賣國奴)는 승식 행위를 한 자를 비하하기 위해 쓰이는 용어이.
매일신보
1910년 8월 30일자 매일신보 창간호. 1945년 8월 15일자 매일신보 《매일신보》(每日申報, 每日新報)는 일제 강점기 동안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이.
매천야록
매천야록(梅泉野錄)은 구한말 시기 유생 학자이자, 재야문인 황현이 1864년부터 1910년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쓴 기록물이.
맹꽁이서당
맹꽁이서당은 만화가 윤승운이 창작한 역사명랑만화이.
만국 우편 연합
UPU 깃발 만국우편연합(萬國郵便聯合,,, UPU)은 우편물에 대한 유엔 산하의 국제 기구이.
만화 혐한류
《만화 혐한류》()는 일본 작가인 야마노 샤린(山野車輪)의 만화책이.
마포형무소
8월 16일 오전 9시 마포형무소 앞에서 석방된 독립운동가들. 이 사진은 광복 직후 남아있는 유일한 사진이다.8월 15일 서대문 형무소로 알려졌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한편, 가운데 검은색 바지 입은 인물 뒤에 이마만 보이는 인물이 당시 22살의 나이로 마포형무소에서 수감한 이갑상 마포형무소(麻浦刑務所)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 제국이 서울에 세워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까지 사용되었던 형무소이.
마산회원구의 행정 구역
마산회원구의 행정 구역은 1읍 11동 71리 256통 2,141반로 구성되어 있. 마산회원구의 면적은 90.58 km2이며, 인구와 세대는 2012년 7월 1일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
마산어시장
마산어시장(馬山魚市場)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서동(동성동, 남성동, 신포동2가) 일원에 위치한 수산물 시장이.
면리제
면리제(面里制)는 조선시대에 제정된 행정구역 제도였.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메이지 시대
러일전쟁 (1905년) 메이지 시대()는 메이지 유신 이후의 메이지 천황의 통치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1868년 1월 3일 왕정복고의 대호령에 의해 메이지 정부가 수립된 후 1912년 7월 30일 메이지 천황이 죽을 때까지 44년간이.
목포시
목포시청 청사 목포시(木浦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서남부 무안반도 남단에 있는 시이.
문재철
문재철(文在喆, 1883년 ~ 1955년 7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
문종구
문종구(文鍾龜, 일본식 이름: 平文鍾龜, 1884년 11월 16일 ~ 1952년 1월 28일)는 일제 강점기의 지주이자 기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묘호
민갑완
민갑완(閔甲完, 1897년 9월 16일(음력 8월 20일) ~ 1968년 2월 19일)은 대한제국의 귀족이며 명성황후의 일족인 민영돈(閔泳敦)의 딸이었.
민건식
민건식(閔健植, 일본식 이름: 閔原健植, 1879년 음력 11월 27일 ~ 1944년 11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민재기 (1886년)
민재기(閔載祺, 일본식 이름: 芝山祺, 1886년 3월 ~ 1948년 3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의 충청남도 지역 유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민족말살정책
200px 민족말살정책(民族抹殺政策) 또는 내선일체()는 일본 제국이 조선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저항을 철저히 분쇄·말살하여 최후까지 전쟁협력을 강요하기 위해 취한 정책이.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을사조약과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 가담한 이들의 명단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
민종묵
민종묵(閔種默, 1835년 양력 2월 14일 ~ 1916년 양력 7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민철훈
민철훈(閔哲勳, 1856년 9월 9일 ~ 1925년 7월 1일)은 조선 시대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민영린
민영린(閔泳璘, 1873년 음력 11월 15일 ~ 1932년 양력 6월 1일)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민영기
민영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민영기 (정치인)
민영기(閔泳綺, 1858년 음력 8월 1일 ~ 1927년 양력 1월 6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한일합방에 협조한 대가로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민영은
민영은(閔泳殷, 1870년 ~ 1943년 12월 20일)은 일제 강점기의 충청북도 지역 유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민형식 (1859년)
민형식(閔炯植, 1859년 양력 12월 6일 ~ 1931년 양력 8월 1일)은 조선 시대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민원식
민원식(閔元植, 1886년 7월 12일 ~ 1921년 2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사회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언론인, 사상가이.
방인혁
방인혁(龐寅赫, 1878년 음력 6월 10일 ~ 1935년 양력 9월 23일)은 일제 강점기 충청북도 지방의 유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배정자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田山貞子(다야마 사다코), 1870년 2월 23일1870년 2월 27일 설도 있다. ~ 1952년 2월 27일)는 조선의 비구니이자 일본 제국의 조선 정보원, 외교관이.
배석린
배석린(裵錫麟, 1885년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백남신
백남신(白南信, 1858년 12월 19일 ~ 1920년 3월 1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 부호로 본명은 낙신(樂信), 본관은 수원이.
백낙원
백낙원(白樂元,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이었.
백작
백작의 관 백작(伯爵, 여성형: 백작부인(伯爵夫人), 여백작(女伯爵))은 동양에서는 귀족의 5계급 중 후작 다음가는 작위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백작
백영권
백영권(白濙權)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경찰이.
백성수
백성수(白聖洙, ?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로, 전라북도 지역에서 의병운동 진압에.
반일 감정
반일감정(反日感情)이란 일본이나 일본인에 대해 느끼는 반감을 말. 이러한 반일 감정은 러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일본의 식민 지배하에 있었거나 대립되었던 국가들(미국, 중국, 러시아, 한국)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
반한 감정
반한 감정(反韓感情)이란 한국 문화·한국인 등을 싫어하는 감정으로,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상 많은 충돌이 있었던 주변국(일본 및 중국 등)과의 사이의 전통적인 감정적 마찰과 더불어 근대 이후 서구의 여러 나라와 교류를 시작하면서 생긴 문화적 편견이나 오해 때문에 발생한 한국을 싫어하는 감정이.
박문사
박문사 (博文寺) 박문사(博文寺)는 일제 강점기에 서울 중구 장충단공원 동쪽 신라호텔 자리에 있던 사찰이.
박경양
박경양(朴慶陽, 1864년 양력 8월 6일 ~ 1916년 양력 5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박경석 (1875년)
박경석(朴經錫, 일본식 이름: 山本經錫, 1875년 음력 5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실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박병철 (1874년)
박병철(朴炳哲, 187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겸 금융인이.
박봉주 (1868년)
박봉주(朴鳳柱, 1868년 음력 12월 7일~1936년 양력 9월 29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박봉순 (만주보민회)
박봉순(朴逢舜, ? ~ ?)은 대한제국 시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일제 강점기 당시에 만주 지역에서 만주보민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본적은 중화민국 펑톈 성 환런 현(奉天省 桓仁縣, 봉천성 환인현, 1919년 당시 주소이며,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 번시 시 환런 만족 자치현)이.
박근수 (1892년)
박근수(朴根壽, 1892년 1월 17일 ~ 1976년 7월 1일)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박기순
박기순(朴基順, 1857년 5월 27일(음력 5월 5일) ~ 1935년 9월 30일)은 일제 강점기의 전라북도 지역 유지이.
박기양
박기양(朴箕陽, 1856년 ~ 1932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박기석 (1869년)
박기석(朴箕錫, 1869년 음력 1월 11일 / 양력 2월 21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박용대
박용대(朴容大, 1849년 5월 26일 ~ 1927년 2월 19일)는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박용구 (1879년)
박용구(朴容九, 1879년 음력 7월 12일 ~ 1943년 4월 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박용섭 (1892년)
박용섭(朴墉燮, 일본식 이름: 木山勝雄, 1892년 11월 26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박승봉
박승봉(朴勝鳳, 1871년 ~ 1933년 6월 23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도 관료를.
박승억
박승억(朴承億, 1885년 7월 ~ 1944년 9월 19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인으로, 평안남도 평양 출신이.
박희양
박희양(朴熙陽, 1867년 음력 8월 22일~1932년 양력 9월 8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박이양
박이양(朴彛陽, 1858년 음력 8월 4일 ~ 1925년 양력 1월 1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강인수 (경찰)
강인수(姜寅秀, ? ~ ?)는 대한제국의 경찰이.
박의병
박의병(朴義秉, 1853년 양력 3월 14일 ~ 1929년 12월 3일)은 한국의 관료로 대한제국 시대에 마지막 한성부판윤을,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박제균 (1887년)
박제균(朴濟均, 1887년 음력 4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박제빈
박제빈(朴齊斌, 1858년 ~ 1921년)은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박제승 (1890년)
박제승(朴齊昇, 일본식 이름: 松山齊昇, 1890년 12월 24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박제환 (1859년)
박제환(朴齊瓛, 1859년 양력 12월 2일 ~ 1938년 양력 1월 5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박정순 (경찰)
박정순(朴正純, ?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이.
박종렬 (1877년)
박종렬(朴宗烈, 일본식 이름: 吉井宗烈, 1877년 12월 12일(음력 11월 8일) ~ 1958년 1월 15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박지양 (일진회)
박지양(朴之陽,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박철희 (1877년)
박철희(朴喆熙, 일본식 이름: 竹村喆熙, 1878년 1월 14일(1877년 음력 12월 12일) ~ 1944년 1월 2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박치상
박치상(朴稚祥, 1866년 2월 10일 ~ 1918년 3월 7일)은 일제 강점기 초기에 성균관의 후신인 경학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은 유학자이.
박상준 (1876년)
박상준(朴相駿, 일본식 이름: 朴澤相駿, 1876년 ~ 미상)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귀족원 의원을.
박영래 (1851년)
박영래(朴榮來, 1851년 음력 5월 7일 ~ 1934년 양력 10월 3일)은 일제 강점기에 전라북도 지역에서 사회단체 활동을.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박영철 (1879년)
박영철(朴榮喆, 1879년 2월 2일 ~ 1939년 3월 10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관료를 지냈고, 여러 친일 단체에서 활동.
박선철 (1884년)
박선철(朴善哲, 1884년 음력 1월 1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강성인
강성인(姜性仁, 일본식 이름: 花田芳吉,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며 법명은 길전(吉田)이.
박서양 (1875년)
박서양(朴敍陽, 1875년 음력 1월 26일 ~ 1944년 1월 1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박서양 (1885년)
박서양, 1908년 박서양(朴瑞陽, 1885년 9월 30일 ~ 1940년 2월 15일 황해도 연안 출생)은 대한제국의 외과 의사, 화학자,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외과 의사, 교육자, 독립운동가이.
박해령 (1857년)
박해령(朴海齡, 1857년 4월 6일 ~ 1920년 3월 9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경상북도 출신이.
강필성
강필성(姜弼成, 1885년 음력 10월 8일 ~ 1939년 양력 12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에 고위 관료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참의를.
가쓰라 다로
쓰라 다로(1848년 1월 4일 ~ 1913년 10월 10일)는 일본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
격암유록
격암유록(格菴遺錄)은 1977년에 처음 소개되고 1987년에 처음 번역되어 출간된 한국의 역사서이자 예언서로, 총 60장으로 구성되어 있. 조선 명종 때의 예언가 격암 남사고(1509년 ~ 1571년)가 어린 시절 ‘신인(神人)’을 만나 전수받았다고 주장되고 있으나, 현재 대한민국의 역사학계에서는 검토할 가치가 없는 위서라는 견해가 지배적이.
경부선
경부본선(京釜本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의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
경남일보 필화 사건
경남일보 필화 사건(慶南日報 筆禍 事件)은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 경상남도 진주에서 발행되던 《경남일보》에 황현의 〈절명시(絶命詩)〉가 실리면서 발생한 필화 사건이.
경천교회 (유교)
경천교회(敬天敎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결성된 유교 계열의 단체이.
경술
경술(庚戌)은 육십간지 중 47번째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경술
경술국적
경술국적(庚戌國賊)은 1910년 8월 대한제국에서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찬성, 협조한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시종원경 윤덕영, 궁내부대신 민병석, 탁지부대신 고영희, 내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조중응, 친위부장관 겸 시종무관장 이병무, 이완용의 처남인 승녕부총관 조민희 여덟 명의 친일파를 가리.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경성일보
《경성일보》()는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 발행된 신문이.
경성한인기자대표이등박문조례단
경성한인기자대표이등박문조례단(京城韓人記者代表伊藤博文弔禮團)은 1909년에 도쿄에서 거행된 이토 히로부미의 장례식에 파견된 한성부의 신문기자 대표단이.
경학원
경학원의 모습 경학원(經學院)은 일제 강점기 때의 유교 교육 기관이.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法官養成所)는 조선 말기에 설립되어 대한제국 시기 동안 존속했던 법률 교육 기관이.
고문 정치
문정치(顧問政治)란, 고문을 통해 간접통치하는 통치유형을 말. 1904년 8월 22일,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은 제1차 한일 협약을.
고운하
운하(高運河, 1874년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고희경 (1873년)
희경(高羲敬, 1873년 7월 22일 ~ 1934년 2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고종 양위 사건
종 양위 사건(高宗讓位事件)은 1907년 7월 20일 고종이 헤이그 밀사 사건의 책임을 추궁하는 일본의 강압에 못이겨 제위를 순종에게 위임했다가 바로 양위한 사건이.
고종 암약설
종 암약설(高宗暗弱說)은 조선 후기의 군주 고종이 암우(暗愚)하고 유약했다는 이론이.
고윤상 (경찰)
윤상(高允相)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고영근
영근(高永根, 1853년 ~ 1923년)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개화파 정치인이며 종2품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관료였.
고영희 (1849년)
영희(高永喜, 1849년 12월 16일(음력 11월 2일) ~ 1916년 1월 24일)는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고향의 봄
향의 봄은 이원수 작사, 홍난파 작곡의 동요이.
고원식
원식(高源植, 1876년 11월 27일 ~ 1947년 2월 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호는 송계(松溪), 본관은 제주이며 본적은 경성부 종로구 훈정동이.
곤양초등학교
양초등학교(昆陽初等學校)는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이.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普通學校用諺文綴字法)은 1912년에 조선총독부가 정한 한국어 맞춤법이며, 근대에 처음으로 작성된 한국어 맞춤법이.
곽인호
곽인호(郭麟浩, 일본식 이름: 保元麟浩, 1893년 12월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곽상훈
곽상훈(郭尙勳, 1896년 10월 21일 ~ 1980년 1월 1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1~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공작 (작위)
공작(公爵, Duke, 여성형: 여공작(女公爵, Duchess))은 귀족의 작위 중 하나로 오등작 중 최고위 작위이.
공성학
공성학, 1946년 사진 공성학(孔聖學, 1879년 ~ 1957년)은 조선의 유학자, 성리학자이자 교육자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 상인, 교육자이며 대한민국의 기업인, 교육자이.
병합
병합(倂合, Annexation)은 외국 영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자국 영토에 편입하여 주권을 넘겨받는 것을 말. 주권을 완전히 이양하지 않는 점령이나 조차지, 보호국, 보호령과는 구별.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병합
계란수
수(桂蘭秀, ?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계응규
응규(桂膺奎, 1869년 음력 2월 2일 ~ 1920년 양력 9월 1일)는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 관료이.
변일
변일(卞一, ?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변일
변영화 (1886년)
변영화(卞榮和, 1886년 5월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광신고등학교
광신고등학교(光新高等學校)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
광화문
2011년 11월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
봉오동 전투
봉오동 전투(鳳梧洞戰鬪)는 1920년 6월 6일~6월 7일 만주에 주둔 중이던 홍범도(洪範圖), 최진동(崔振東, 일명 최명록(崔明錄)), 안무 등이 이끄는 대한군북로독군부(大韓軍北路督軍府)의 독립군 연합부대와 신민단 예하 이흥수, 한경세의 신민단 독립군 1개 중대가 연합, 중국 지린 성(吉林省) 허룽현(和龍縣) 봉오동에서 일본군 제19사단 월강추격대대, 남양수비대 예하 1개 중대와 싸운 전투이다.
관립한성외국어학교
립한성외국어학교(官立漢城外國語學校)는 개화기인 대한제국 시기에 관립으로 설립된 외국어 학교이.
북관대첩비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는 함경북도 북평사 직을 맡고 있던 정문부 장군이 임진왜란 중 의병을 모아 왜군을 격퇴한 공을 기려 조선 숙종 때 북평사 최창대가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면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김책시 임명동)에 세운 전공 기념 비석이.
권봉수
봉수(權鳳洙, 1870년 양력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30년 양력 2월 1일)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권종원
종원(權鍾原, 1889년 11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권중현
중현(權重顯, 1854년 11월 27일(음력 10월 8일) ~ 1934년 3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권상로
상로(權相老, 일본식 이름: 安東相老, 1879년 양력 2월 28일 ~ 1965년 양력 4월 19일)는 일제 강점기의 불교 승려이.
권태전
전(權泰銓, 1887년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권태한 (1871년)
(權泰翰, 1871년 음력 11월 1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권태환
환(權泰煥, 1876년 12월 5일(음력 10월 20일)~1947년 4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권업회
업회(勸業會)는 연해주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 단체이.
불교진흥회
불교진흥회(佛敎振興會)는 일제 강점기 초기에 조직된 불교 계열의 단체이.
불평등 조약
불평등 조약(不平等條約)은 조약을 맺은 두 나라 사이에서 한 나라에게 불리한 조건을 지게 맺어진 조약을 가리.
규장각
창덕궁 후원 부용지 주변에 세워진 규장각(2층 건물의 1층)과 서향각 규장각(奎章閣)은 조선 후기의 왕실 학문 연구 기관이자 왕실 도서관이.
기유각서
유각서(己酉覺書)는 융희 3년(1909년) 7월 12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기호흥학회
호흥학회(畿湖興學會)는 대한제국 시기에 결성된 애국계몽 운동 계열의 단체이.
김덕룡
덕룡(金德龍, 1941년 4월 6일 익산 ~)은 대한민국의 학생운동가, 정치인이.
김동삼
동삼(金東三, 1878년 6월 23일 ~ 1937년 4월 13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김동훈 (1886년)
동훈(金東勳, 일본식 이름: 金原邦光, 1886년 2월 9일(음력 1월 6일) ~ 1947년 5월 23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립 (1880년)
립(金立, 1880년 ~ 1922년 2월 6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독립운동가이며, 사회주의자였.
김만수 (1858년)
만수(金晩秀, 1858년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김명규 (1877년)
명규(金命圭, 1877년 음력 9월 4일 ~ 1930년 양력 12월 11일)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명준 (1870년)
명준(金明濬, 일본식 이름: 金田明, 1870년 양력 10월 26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언론인이.
김명순 (1896년)
명순 (1930년대) 김명순(金明淳, 1896년 1월 20일 ~ 1951년 6월 22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시인이며, 언론인, 영화배우, 연극배우였.
김명수 (1875년)
1927년 이완용 1주기를 기리기 위해 출판한 이완용 평전 《일당기사(一堂紀事)》 김명수(金明秀, 1875년 음력 11월 17일 ~ ?)는 대한제국의 외무 관리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부찬의를.
김명여
명여(金鳴汝, 1868년 11월 2일 ~ ?)는 일제 강점기의 만주 지역 유지이.
김갑순
갑순, 1910년 무렵 김갑순(金甲淳, 일본식 이름: 金井甲淳, 1872년 5월 22일 ~ 1961년 6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기업인, 자본가이.
김경중 (1863년)
경중(金暻中, 1863년 ~ 1945년 4월 27일)은 조선의 문신, 학자이며 일제강점기의 역사가, 작가, 교육인이.
김복수
복수(金福綏, 1872년 12월 2일 ~ 1950년 6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의 여성으로 윤덕영의 부인이.
김복한
복한(金福漢, 1860년 7월 24일 ~ 1924년 3월 29일)은 조선의 문신·유학자, 구한말의 의병장으로 자는 원오(元五), 호는 지산(志山),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김병로
병로(金炳魯, 1888년 1월 27일(1887년 음력 12월 15일) ~ 1964년 1월 13일)는 본관(本館)이 울산(蔚山)이며, 호가 가인(街人)이.
김병익 (1837년)
병익(金炳翊, 1837년~1921년)은 구한말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좌경(左卿)이며,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김병태 (1887년)
병태(金秉泰, 일본식 이름: 金村泰男(가네무라 야스오), 1887년 7월 24일 ~ 1943년 12월 13일)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총독부 관리였.
김관현
현(金寬鉉, 일본식 이름: 金光副臣, 1876년 3월 3일 ~ 1948년 12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무관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붕준
1945년 12월 3일. 임시정부요인 귀국기념 사진.두 번째 줄 오른쪽에 있는 이가 성주식 이시영, 차이석두 번째 줄 맨 왼쪽 성주식, 오른쪽 김붕준맨 뒷줄 왼쪽부터 조성환, 조소앙, 이청천, 이범석, 이름 미상 1947년 12월, 좌우합작위원회 해단식.
김극일 (1890년)
극일(金極一, 1890년 4월 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김규창
창(金奎昌,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김규식 (서로군정서)
식(金圭植, 1880년 8월 27일 ~ 1945년 8월 10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김기영 (1873년)
영(金璣泳, 1873년 ~ 1914년 4월 20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지방 관료이.
김기옥 (1877년)
옥(金基玉, 1877년 3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강원도 지역 유지이며, 기업인이.
김기원 (1878년)
원(金基元, 1878년 양력 11월 9일 ~ 1934년 양력 7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김대형
형(金大亨)은 전라북도에서 주로 활동한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김교성 (1860년)
성(金敎聲, 1860년 음력 4월 26일~1943년 양력 2월 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구하
(金九河, 1872년 양력 5월 7일 ~ 1965년 양력 10월 3일)는 한국의 승려이.
김낙헌
낙헌(김락헌)金洛憲, 1874년 양력 7월 28일(음력 6월 15일) ~ 1919년 양력 7월 2일)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지냈다.
김단야
야(金丹冶, 1899년 1월 16일 ~ 1938년 2월 13일)는 한말의 독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 해외에서 주로 활동했던 사회주의계열의 독립운동가·언론인이.
김승학
승학(金承學, 1881년 7월 12일 ~ 1965년 1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군인, 독립 운동가이.
김재룡
재룡(金在龍,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적극적으로 청원한 유교 계열의 인물이.
김재곤 (일진회)
재곤(金載坤, ? ~ 1913년 8월 15일)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재순(金在珣, ?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 법관이었.
김재홍 (승려)
재홍(金在弘, 일본식 이름: 金光智海, 1885년 ~ 1969년 7월 25일)은 한국의 승려이.
김인전
인전(1876년 10월 7일 ~ 1923년 5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목사이.
김의용
의용(金義鎔, 1888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응준 (1869년)
응준(金應駿, 1869년 음력 4월 20일 ~ ?)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김응선
응선(金應善, 1881년 음력 5월 26일 ~ 1932년 양력 8월 2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김은성 (만주보민회)
은성(金殷盛 또는 金殷成, ? ~ ?)은 대한제국 시기에는 일진회 회원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만주보민회 회원으로 만주 지역에서 활동.
김정록 (미학자)
정록(金正祿, 1907년 ~ 1982년)은 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를 지낸 학자이.
김정국 (일진회)
정국(金鼎國,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김정해
정해(金晶海, 1888년 ~ ?)는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김종순 (1886년)
종순(金鍾淳, 일본식 이름: 金原種淳, 1886년 11월 1일 ~ 1957년 4월 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종선
종선(金鍾善, 1898년 전남 ~ 1950년 10월 1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종한 (1844년)
종한(金宗漢, 1844년 ~ 1932년)은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경제인이.
김중건
중건 김중건(金中建, 1889년 12월 6일 - 1933년 3월 24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김준용 (1870년)
준용(金準用, 1870년 음력 8월 2일~1923년 양력 2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준연
준연(金俊淵, 1895년 3월 14일 ∼ 1971년 12월 31일)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였고,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김진태 (일진회)
(金振泰,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이었.
김지순 (승려)
순(金之淳, ? ~ 1913년 5월 8일)은 일제 강점기 초기까지 활동한 승려이.
김창숙
창숙(金昌淑, 1879년 8월 27일(음력 7월 10일) ~ 1962년 5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시인 겸 교육자이.
김창한
창한(金彰漢, 일본식 이름: 金山昌市, 1870년 9월 28일 ~ 1950년 11월 8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안동(安東), 본적은 경성부 원서정이.
김철정
정(金澈禎, 1877년 음력 4월 2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김춘희
희(金春熙, 1855년 양력 9월 14일 ~ 1926년 양력 8월 19일)는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김유정 (소설가)
유정(金裕貞, 1908년 1월 11일 ~ 1937년 3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
김윤정 (1869년)
윤정, 1925년 김윤정(金潤晶, 일본식 이름: 淸道金次郞, 1869년 6월 25일 ~ 1949년 10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김택현 (일진회)
택현(金澤鉉, ? ~ 1920년 9월 15일)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부회장을.
김태집
집(金泰潗, 일본식 이름: 金井泰潗, 1888년 음력 9월 21일 ~ 1947년 10월 8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성부 지역 유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순봉 (1888년)
순봉(金舜鳳, 1888년 2월 1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김순애
순애(金淳愛, 1889년 6월 10일(음력 5월 12일) ~ 1976년 5월 17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회운동가이.
김영철 (1841년)
영철(金永哲, 1841년 ~ 1923년)은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김영택 (실업인)
영택(金泳澤, 1874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실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영석 (1887년)
영석(金永碩, 1887년 ~ ?)은 통감부 기수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영한 (1857년)
영한(金榮漢, 1857년 음력 6월 14일 ~ 1927년 양력 8월 1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김옥현 (1888년)
옥현(金玉鉉, 1888년 ~ ?)은 통감부 시절부터 관리로 재직한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김호규
호규(金虎圭, 1911년 11월 22일 ~ 1961년 8월 5일)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 출신 관료, 사회운동가로, 해방 후 반민특위에 기소.
김현수 (1875년)
현수(金顯洙, 1875년 ~ ?)는 대한제국 시기의 일본 유학생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형옥
형옥(金衡玉, 1868년 4월 2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인으로, 본관은 안의, 본적은 경성부 남부(南部) 죽동(竹洞)이.
김형섭 (1878년)
형섭(金亨燮, 1878년 음력 1월 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김연상 (1878년)
연상(金然尙, 1878년 음력 4월 25일~1924년 양력 4월 2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사묵
사묵(金思默, 1856년 4월 9일 ~ 1921년 4월 12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교육인으로, 본관은 (구)안동이.
김사준
사준(金思濬, 1855년 ~ 1917년)은 구한말의 관료이.
김사철
사철(金思轍, 1847년 양력 8월 21일 ~ 1935년 양력 2월 17일)은 구한말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김사영 (일진회)
사영(金士永,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호는 겸암(謙庵)이.
김성근 (1835년)
성근(金聲根, 1835년 양력 3월 19일 ~ 1919년 양력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서예가, 정치인이자 성리학자이며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관료, 조선귀족, 친일반민족행위자이.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성한 (1887년)
성한(金星漢, 188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서규
서규(金瑞圭, 1875년 음력 11월 10일 ~ 1935년 양력 8월 17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해룡
룡(金海龍, 일본식 이름: 金江龍雄, 1877년 7월 2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김한경 (1881년)
경(金漢卿, 1881년 ~ ?)은 일제강점기의 관료, 군수였.
김필희
희(金弼熙, 1872년 9월 14일(음력 8월 12일) ~ 1960년 양력 8월 1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김학진
학진(金鶴鎭, 1838년 양력 4월 3일 ~ 1917년 양력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김시권
시권(金時權, 일본식 이름: 菊山時權, 1884년 5월 1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김시현 (실업인)
시현(金時鉉, ? ~ 1911년 7월 27일 / 7월 29일)은 구한말, 일제 강점기 초기의 실업인이.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김환 (언론인)
환(金丸, ? ~ ?)은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김화준 (1890년)
화준(金化俊, 일본식 이름: 金海化俊,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김완규
완규(金完圭, 1878년 8월 7일(음력 7월 9일) ~ 1948년 양력 5월 25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김완진 (1877년)
완진(金完鎭, 1877년 음력 2월 17일 ~ 1948년 양력 2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유교 계열 인물이.
김완섭
완섭(金完燮, 1963년 ~)은 대한민국의 인터넷 논객이.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대구교도소
소(大邱矯導所)는 일제 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교도소이.
대이동
이동(大梨洞)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의 동이.
대정실업친목회
정실업친목회(大正實業親睦會)는 일제 강점기 초기에 결성된 경제인 단체이.
대한독립선언서
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또는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는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창간호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는 1904년 2월에 일어난 러일 전쟁을 취재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던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이 양기탁을 비롯해 민족 진영 인사들에게 도움받아 1904년 7월 18일에 창간한 신문으로서 일제시대의 매일신보와 현재 서울신문의 전신이.
대한민보
《대한민보(大韓民報)》는 대한제국 말기에 대한협회에 발행한 신문이.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민국 건국절 논쟁은 대한민국의 건국기념일을 정하자는 데서, 건국일이 언제인지에 대한 논쟁을 말하는 것이.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민국 임시 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
대한민국 제1공화국
민국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 의해 1948년 8월 15일 이승만 정부가 수립되어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탄생하기 전까지 지속된 첫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大韓民國 政府 發表 親日反民族行爲者 名單)은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적용, 조사하여 공식 발표한 일제 강점기의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대한민국 영문 표기 논쟁
민국 영문 표기 논쟁은 일부에서 주장하는 '한국의 영어 국호인 KOREA의 K가 일제에 의하여 C에서 K로 바뀌었으므로 이를 원래의 C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과 그를 둘러싼 논쟁을 말.
대한민국의 민속예술제
민국에서 '민속'이란 어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경술국치를 전후하여 일제가 식민지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조사사업을 벌일 때이며, 또 이 방면의 선구자들이 등장하여 처음으로 연구사업을 벌일 때부터이.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에 대해 서술.
대한민국의 철도
민국의 철도는 대한민국에서 운영하는 철도 노선, 시스템, 차량 등을 의미.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대한국민의회
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는 1919년 2월 1일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문창범 등이 중심이 되어 3월 17일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설립한 첫 임시정부이.
대한노동회
동회(大韓勞動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결성된 경제 단체이.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육군무관학교(陸軍武官學校) 또는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는 대한제국의 육군 장교 양성 기관이.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대한제국의 국가
제국 애국가(大韓帝國 愛國歌)는 대한제국의 국가였.
대한제국의 황실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실 가족 (1918년) 대한제국의 황실(大韓帝國皇室)은 조선 왕실의 후계로 대한제국의 성립 때부터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실질적인 황실의 주인이었.
대한협회
협회(大韓協會)는 대한 제국 시기인 1907년 11월 10일에 결성된 애국 계몽 운동 계열의 정치 단체이.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교동면
동면(喬桐面)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구도 다케시로
시로()는 일본인 의사로서 1905년에 설립된 경성공립 한성병원의 설립 멤버 가운데 한 사람이며 일제 강점기 때 서울(당시 경성)의 사립병원인 경성산부인과병원 원장이자 소유자였.
구자경 (1888년)
자경(具滋璟, 일본식 이름: 竹山淸, 1888년 5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구희서 (1861년)
희서(具羲書, 1861년 8월 2일 ~ 1921년 4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능성이며 본적은 한성부 중서(中署) 정선방(貞善坊) 하돈녕계(下敦寧契) 하한동(下漢洞)이.
구연직
연직(具然直, 일본식 이름: 具道信夫, 1891년 7월 9일 ~ 1967년)은 일제 강점기 한국과 대한민국의 장로교 목사이.
구연수
연수(具然壽, 1866년 10월 8일 ~ 1925년 5월 6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관련자이자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출신 고위 협조자의 한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국민동지찬성회
국민동지찬성회(國民同志贊成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에 지지 의사를 표명하고 지지 여론을 확산시키기 위해 조직된 단체이.
국민의무찬성회
국민의무찬성회(國民義務贊成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을 지지하며 결성된 단체이.
국민협회
국민협회(國民協會)는 1920년 1월에 설립된 일제 강점기의 시민 사회운동 단체로 신일본주의를 표방하였으며, 조선인 참정권, 자치권 운동을 추진하던 단체이.
국민협성동진회
국민협성동지회(國民協成同進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을 찬성하면서 결성된 단체이.
국민협성회
국민협성회(國民協成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에 지지를 표명하면서 병합을 추진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이.
국민협성진보회
국민협성진보회(國民協成進步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일진회의 한일 병합 청원을 적극 찬성하면서 결성된 단체이.
국민연설회
국민연설회(國民演說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결성된 정치 단체이.
국민신보
《국민신보》(國民新報)는 대한제국 말기에 발행된 신문이.
국시유세단
국시유세단(國是遊說團)은 대한제국 말기에 선전 활동을 수행한 정치 단체이.
둔덕면
덕면(屯德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의 면이.
남궁억
서 남궁억 선생상(속초초등학교) 남궁 억(南宮 檍, 1863년 12월 27일 ~ 1939년 4월 5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교육자, 계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 사회운동가, 시인, 작사가, 작곡가, 언론인이.
남규희
희(南奎熙, 1859년 12월 19일 ~ 1937년 5월 8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근무.
남대문 전투
랑스 언론 르 프티 주르날에 실린 남대문 전투프랑스 언론인 Le Petit Journal에서 남대문 전투를 묘사한 1907년 당시의 삽화. 삽화가가 직접 교전을 보고 그리지는 않아서 고증오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대한제국군의 모습을 기록한 사진과 삽화를 비교해보면 여러 차이점이 나타난다.
남정철
정철(南廷哲, 1840년 ~ 1916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내일동
일동(內一洞)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이.
나기정 (1863년)
정(羅基貞, 1863년 ~ 1915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조선총독부의 지방 관료이.
나철
(羅喆, 1863년 12월 2일 ~ 1916년 음력 8월 15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종교의 창시자이고 대한제국의 독립운동가로, 본명은 나두영(羅斗永), 개명은 나인영(羅寅永)이며 아호는 홍암(弘巖)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나철
나수연
수연(羅壽淵, 1861년 음력 10월 20일~1926년 양력 6월 16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개화파 무관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농상공부
농상공부(農商工部) 또는 농상아문(農商衙門)은 조선 후기 농업, 상업, 공업, 통신, 해운 등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노백린
백린 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비행사이.
노창안
창안(盧蒼顔, 일본식 이름: 富山蒼顔, 1879년 음력 11월 9일 ~ 1940년 양력 11월)은 일제 강점기의 황해도 지역 유지로 도평의회원을 다섯 차례 지냈으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도 역임.
뉴욕한인교회
thumb 뉴욕한인교회()는 1921년에 창립된 미국 연합 감리교회에 소속된 감리교공동체이.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남동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울산광역시의 역사
반구대암각화 울산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 무렵부터 시작하여 반구대암각화라는 역사적 증거물을 남겼고, 이후에도 한강 이남의 지정학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
회중 교회
콩코드 소재 회중 교회(會衆敎會)는 회중정치로 교회를 운영하는 개신교 교회이.
회사령
회사령(會社令, 메이지 43년 제령 13호)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회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제령이.
회원현
회원현(檜原縣)은 지금의 창원시 마산 지역 일대의 옛 지명으로 합포(合浦)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졌.
자위단원호회
자위단원호회(自衛團援護會)는 대한제국 말기의 일진회 산하 단체이.
장동환
장동환(張東煥,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장면
장기빈
장기빈(張箕彬, 1874년 9월 9일 ~ 1959년 7월 2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의 기업가였고 때때로 시인과 번역가, 평론가로도 활동하였.
장인원
장인원(張寅源, 1870년 3월 29일 ~ 1949년 3월 18일)은 조선귀족 장석주의 아들로, 일제 강점기에 남작 작위를 물려받았.
장직상
장직상(張稷相, 일본식 이름: 張元稷相 하리모토 지키쇼, 1883년 ~ 1947년)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기업인, 대한민국의 기업인이.
장지연
장지연(張志淵, 1864년 11월 30일 ~ 1921년 10월 2일)은 대한제국의 애국 계몽 운동가 겸 언론인이었.
장충단공원
장충단 공원(奬忠壇公園)은 서울 중구의 남산 북쪽 기슭에 있는 공원이.
장충단비
장충단비(奬忠壇碑)는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에 있는, 대한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장충단에 서 있던 비석이.
장위동
장위동(長位洞)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속한 행정동 및 법정동이.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장형 (1889년)
장형(張炯, 1889년 1월 18일 ~ 1964년 12월 30일)은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이.
장헌식
장헌식(張憲植, 1869년 음력 9월 21일 ~ 1950년 양력 8월 20일)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 동안 관료를.
장석주 (1848년)
장석주(張錫周, 일본식 이름: 高谷義, 1848년 음력 12월 26일 ~ 1921년 양력 9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이자 언론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장안동 (서울)
장안동(長安洞)은 서울특별시의 동대문구에 위치한 법정동의 명칭이.
재일 한국인
재일 한국인의 수 변화 그래프 재일 한국인(在日韓國人) 또는 재일 조선인(在日朝鮮人)은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이.
잔 다르크
잔 다르크(1412년 1월 6일 ~ 1431년 5월 30일) 또는 성녀 요안나 아르크()는 프랑스의 국민적 영웅이자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이.
임병찬
임병찬(林炳瓚, 1851년 2월 5일 ~ 1916년 5월 23일)은 최익현과 함께 거병했던 구한말의 의병장이.
임예환
임예환(林禮煥, 1865년 7월 17일 ~ 1949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임선준
임선준(任善準, 양력 1861년 1월 27일(1860년 음력 12월 17일) ~ 1919년 양력 2월 21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정미칠적의 한 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임시찬성건의소
임시찬성건의소(臨時贊成建議所)는 1910년에 조직된 한일 병합 찬성 단체이.
평남선
평남선(平南線)은 평양직할시에 있는 평양역과 평안남도 온천군에 있는 평남온천역을 연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노선이.
흥례문
흥례문 흥례문(興禮門)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건물이.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이능화
이능화(李能和, 조선 고종(高宗) 6년(1869년 ~ 1943년 4월 12일)는 한국의 역사학자·민속학자이다. 자는 자현(子賢), 호는 간정(侃亭)·상현(尙玄)·무능거사(無能居士)이다.
이덕응 (1861년)
이덕응(李悳應, 1861년 음력 12월 20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도익
이도익(李度翼, 1865년 음력 4월 18일 ~ 1942년 양력 10월 27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동성 (1872년)
이동성(李東成, 1872년 음력 9월 17일 ~ ?)은 대한제국 시기에 일진회 간부로, 일제 강점기에 만주 지역에서 활동했던 인물이.
이만규 (1868년)
이만규(李晩奎, 1868년 음력 10월 13일 ~ 1931년 양력 9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만용 (1886년)
이만용(李萬用, 1886년 음력 10월 2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명환 (1881년)
이명환(李明煥, 1881년 음력 7월 2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문하 (1872년)
이문하(李文夏, 1872년 음력 9월 10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민영 (1877년)
이민영(李敏寧, 1877년 음력 2월 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민하 (1891년)
이민하(李玟河, 1891년 음력 5월 ~ ?)는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이강원 (1863년)
이강원(李康元, 일본식 이름: 東園康元, 1863년 10월 4일 ~ 1944년 5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전라북도 지역 유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李鍵, 1909년 10월 28일 ~ 1990년 12월 21일) 는 일본의 육군 군인이.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이건춘 (1873년)
이건춘(李建春, 1873년 음력 1월 18일~1936년 양력 1월 11일)은 대한제국의 외교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건하
이건하(李乾夏, 1835년 음력 4월 27일 ~ 1913년 양력 11월 7일)는 조선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이겸제
이겸제(李謙濟, 일본식 이름: 福田謙治, 1867년 11월 9일 ~ 1947년 7월 6일)는 구한말 무관으로 개화파의 일원이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경재 (1880년)
이경재(李庚在, 1880년 음력 7월 16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며, 퇴직 이후에 중국에서 활동했던 인물이.
이경희 (1880년)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
이경식 (1883년)
이경식(李敬植, 일본식 이름: 李敬植, 1883년 음력 8월 9일 ~ 1945년 양력 11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범래 (1868년)
이범래(李範來, 1868년 4월 25일 ~ ?)는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범관 (1888년)
이범관(李範觀, 일본식 이름: 淸原範觀, 1888년 음력 9월 23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이범익 (1883년)
이범익(李範益, 일본식 이름: 淸原範益, 1883년 음력 10월 1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범진 (1852년)
이범진(李範晋, 1852년 9월 3일 ~ 1911년 1월 26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이며 순국지사로 자(字)는 성삼(聖三)이며 세종대왕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의 17대손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이범찬 (관료)
이범찬(李範贊, ?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국민동지찬성회 회장을.
이범철 (일진회)
이범철(李範喆,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이범윤
이범윤(李範允, 1863년 12월 29일 ~ 1940년 10월 20일)은 대한제국의 간도관리사를 지낸 구한말 시대 독립운동가이.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이보담
이보담(李寶潭, 일본식 이름: 木村寶潭, 1859년 양력 4월 15일~?)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이병렬 (1870년)
이병렬(李炳烈, 일본식 이름: 淸原炳烈, 1870년 7월 28일 (음력 7월 1일) ~ 1955년 양력 11월 20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이병립 (1874년)
이병립(李秉立, 1874년 음력 3월 29일 ~ ?)은 대한제국 시기에 일진회와 시천교 간부를.
이병무
이병무(李秉武, 1864년 2월 8일(음력 1월 1일)~1926년 양력 12월 6일)는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모두 포함된 대한제국의 정치인이.
이병민 (1857년)
이병민(李秉民, 1857년 음력 9월 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병휘 (1851년)
이병휘(李秉煇, 1851년 음력 6월 13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계석 (1874년)
이계석(李啓奭, 1874년 음력 2월 2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이봉로
이봉로(李鳳魯, 1872년 음력 6월 16일 ~ 1922년 양력 8월 3일)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이봉종 (1883년)
이봉종(李鳳鍾, 1883년 음력 6월 2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이근명 (1840년)
이근명(李根命, 1840년 양력 1월 21일 ~ 1916년 양력 6월 11일)은 조선의 의정대신이며 일본 제국으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근우 (1877년)
이근우(李根宇, 1877년 9월 20일 ~ 1938년 5월 13일)는 일제 강점기의 강원도 지역 유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근상 (1874년)
이근상(李根湘, 1874년 9월 14일 ~ 1920년 1월 20일)은 을사오적 이근택의 동생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근택
이근택(李根澤, 1865년 9월 30일(음력 8월 11일) ~ 1919년 12월 16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이.
이근호 (조선)
이근호(李根澔, 1860년 ~ 1923년)는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이규진 (1890년)
이규진(李揆眞, 1890년 음력 5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규한 (1890년)
이규한(李圭漢,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이기 (1855년)
이기(李琦, 1855년 음력 10월 8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기방
이기방(李基枋, 일본식 이름: 松村基弘, 1888년 음력 7월 16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기용
이기용(李埼鎔, 1889년 11월 1일 ~ 1961년 3월 4일)은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장조의 서자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대원왕의 백형(伯兄) 흥녕군 이창응의 손자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이기승 (1872년)
이기승(李基升, 일본식 이름: 山村基升, 1872년 5월 30일~1953년 1월 2일)은 일제 강점기의 충청남도 지역 유지이며 자본가이.
이기주 (1883년)
이기주(李起鑄, 1883년 4월 8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기찬 (1886년)
이기찬(李基燦, 일본식 이름: 安城基, 1886년 음력 7월 18일 ~ 1945년 6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이교승 (1878년)
이교승(李敎承, 1878년 음력 7월 11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이교응
이교응(李喬應, 1852년 1월 19일 ~ 1918년 7월 2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유생이.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이용구
이용구(李容九, 1868년 양력 2월 14일(음력 1월 21일) 경상북도 상주 ~ 1912년 양력 5월 22일)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장을 지내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찬성 여론을 이끌었.
이용의
이용의(李溶儀, 1874년 양력 10월 29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이.
이용직
이용직(李容稙, 1852년 ~ 1932년 4월 3일)은 문장가로 유명하던 조선 말기의 문신이.
이용태 (1854년)
이용태(李容泰, 1854년 양력 7월 13일 ~ 1922년 양력 7월 26일)는 동학농민운동 때 안핵사로 파견되었던 조선의 관료로, 본관은 전주이.
이용수 (1889년)
이용수(李鏞洙, 일본식 이름: 桓宗邦忠, 1889년 음력 11월 14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용한 (1875년)
이용한(李容漢, 1875년 음력 11월 1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용원 (1832년)
이용원(李容元, 1832년 음력 9월 30일~1911년 양력 8월 16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이우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이승채 (1874년)
이승채(李升采, 1874년 음력 8월 15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이승칠
이승칠(李承七, 1862년 음력 4월 6일 ~ ?)은 대한제국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회광
이회광(李晦光, 1862년 ~ 1933년)은 한국의 승려이.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이재각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음력 2월 18일 ~ 1935년 양력 5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장조의 3남 은전군의 증손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재곤 (1859년)
이재곤(李載崑 또는 李載崐, 1859년 4월 8일(음력 3월 6일) ~ 1943년 양력 7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이자 정치인,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정미칠적의 한 사람이며,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이완용 내각의 학부대신을.
이재극
이재극(李載克, 1864년 11월 6일 ~ 1931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왕족,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재정 (1846년)
이재정(李在正, 1846년 음력 1월 7일 ~ 1919년 양력 9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 초반 중추원 찬의를.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이희덕
이희덕(李熙悳, 1869년 8월 ~ 1934년 2월 2일)은 대한제국 시대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며 일제 강점기에 간도 지역 유지로 알려진 인물이.
이희두
이희두(李熙斗, 1869년 음력 6월 8일 ~ 1925년 양력 6월 21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이인직
이인직(李人稙, 1862년 8월 22일(음력 7월 27일) ~ 1916년 11월 1일)은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겸 소설가로, 호는 국초(菊初), 본관은 한산이며 경기도 이천 출신이.
이인수 (만주보민회)
이인수(李寅秀, ? ~ ?)는 대한제국 시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일제 강점기 당시에 만주 지역에서 만주보민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로, 본적은 경성부 수창동(1926년 당시 주소이며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내수동)이.
이의립
이의립(李義立, 1621년 ~ 1694년)은 조선시대 인물로 유황 제조법을 발견하였.
이은우 (1881년)
이은우(李恩雨, 1881년 음력 4월 3일 ~ 1942년 12월 30일)는 일제 강점기의 경상남도 지역 유지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제정
이제정(李濟楨, 1883년 12월 26일 ~ 1933년 9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으로, 본관은 태안이며 본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동이.
이정로
이정로(李正魯, 1838년 음력 12월 2일~1923년 양력 5월 1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종건 (1843년)
이종건(李鍾健, 1843년 ~ 1930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종일 (1858년)
이종일(李種一, 1858년 12월 10일(음력 11월 6일) ~ 1925년 8월 31일)은 조선 말의 문신, 개혁운동가이자 한국의 언론인이며 독립운동가, 국문학자이.
이종찬 (1916년)
이종찬(李鐘贊, 1916년 3월 10일 ~ 1983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으로 일본군 장교 출신의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
이종춘 (관료)
이종춘(李鐘春,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국민동지찬성회 간사를 지낸 인물로, 본관은 덕수이.
이종홍
이종홍(李鍾洪, 李鍾弘, 1869년 7월 10일 ~ 1926년 1월 7일)은 대한제국의 문신이며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이주영 (1837년)
이주영(李胄榮, 1837년 음력 3월 13일 ~ 1917년 양력 12월 18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이준상 (1840년)
이준상(李濬相, 1840년 음력 11월 29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이준식 (1894년)
이준식(李畯植, 일본식 이름: 河原邦典, 1894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이지용
이지용(李址鎔, 1870년 10월 23일 ~ 1928년 6월 28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이촌동
이촌동(二村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법정동이.
이윤용 (1854년)
이윤용(李允用, 1854년 ~ 1939년 9월 8일)은 대한제국 및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한일 병합 과정에서 일본에 협력.
이휘선
이휘선(李徽善, 1865년(철종 16)∼?)은 구한말의 관료, 법관이.
이상룡 (1858년)
이상룡(李相龍, 1858년 12월 28일 ~ 1932년 6월 15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본관은 고성(固城)이고 1925년 9월 24일부터 1926년 1월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역임하였.
이상재
이상재(李商在, 1850년 10월 26일 ~ 1927년 3월 29일)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의 정치인으로 개화파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의 교육자, 청년운동가,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언론인이.
이상철 (1859년)
이상철(李象喆, 1883년 음력 11월 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이상설
이상설(李相卨, 1871년 1월 27일(1870년 음력 12월 7일) ~ 1917년 양력 3월 2일)은 조선(대한제국)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이택현
이택현(李澤鉉, 1866년 ~ 1929년 양력 5월 25일)은 함경남도 원산부 지역의 유지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영관 (1888년)
이영관(李榮琯, 1888년 6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기업인이.
이영식 (1874년)
이영식(李永植, 1874년 음력 9월 2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이혼성
이혼성(李混惺, 1886년 ~ ?)은 한국의 승려이.
이현우 (경찰)
이현우(李鉉雨)(1894-1923)는 친일파이.
이석규 (1910년)
이석규(李碩奎, 일본식 이름:大東國男 또는 大東碩奎, 1910년 ~ 1986년)는 친일파 인사로 일진회 회장을 지낸 이용구의 아들이.
이석희 (1884년)
이석희(李錫僖, 1884년 음력 9월 3일 ~ 1945년 음력 1월 1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로, 본관은 홍주이.
이선호 (1874년)
이선호(李宣鎬, 1874년 12월 11일 ~ 1936년 4월 6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 의촌리이.
이선호 (1881년)
이선호(李選鎬, 1881년 음력 9월 1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이항직
이항직(李恒稙, 1882년 음력 4월 10일~1960년 양력 7월 18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이해창 (1865년)
이해창(李海昌, 1865년 10월 15일 ~ 1945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민족계몽운동과 교육사업에 힘썼.
이하영
이하영(李夏榮, 1858년 8월 15일 ~ 1929년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통역관, 외교관이자 대한제국의 정치인,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으로 일제로부터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이학규
이학규(李鶴圭, 1852년 1월 8일 ~ ?)는 조선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홍주이며, 관료 이석희의 아버지이.
이학재 (실업인)
이학재(李學宰, ? ~ ?)는 대한제국 말기의 보부상 지도자로,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을 촉구하며 여러 단체에서 활동.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이시와라 간지
이시와라 간지(1889년 1월 18일 ~ 1949년 8월 15일) 은 제2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활약한 일본제국 육군의 군인이.
이원보
이원보(李源甫, 일본식 이름: 李家源甫, 1889년 2월 27일 ~ 1968년 7월 13일)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호는 취석(翠石), 본적은 경기도 경성부 이화동이며 함경남도 덕원군 출신이.
이원국 (1861년)
이원국(李源國, 1861년 1월 1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법조인이.
이원용 (1889년)
이원용(李源鎔, 1889년 9월 23일 ~ 1943년 3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전주이며 본적은 한성부 북부(北部) 가회방(嘉會坊) 재동(齋洞)이.
이완구 (만주보민회)
이완구(李完求, ? ~ ?)는 일제 강점기에 만주보민회에서 활동했던 인물이.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이완용 (1872년)
이완용(李完鎔, 1872년 12월 13일(음력 11월 13일) ~ 1937년 2월 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장조의 5대손이자 고종의 조카뻘되는 인물이었.
이왕
이왕(李王)은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사용되던 직위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이후 대한제국의 황족을 일본의 왕공족으로 대우하면서 대한제국 황제에게 붙인 칭호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이왕
이왕가
이왕가(李王家)는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후 대한제국 황실을 왕공족의 일개 가문으로 격하하여 부르는 명칭이.
이왕직 아악부
이왕직 아악부(李王職雅樂部)는 1897년(광무 원년)에 종래의 장악원(掌樂院)을 교방사(敎坊司)로 개칭하고 제조(提調) 이하 772인의 인원을 두었으며, 1907년(융희 원년)에는 교방사를 장악과(掌樂課)로 고쳐서 궁내부(宮內部) 예식과(禮式課)에 부속시키고, 국악사장(國樂師長) 이하 305인의 인원을 두고, 김종남(金宗南)이 초대 국악사장이 되었.
인수당 약국
인수당 약국(仁壽堂藥局)은 1910년에 서울 종로3가에 문을 연 한국 최초의 약국이.
일류로 가는 길
《일류로 가는 길》은 2009년 10월 23일부터 2010년 12월 25일까지 방송된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교양 강연 프로그램이.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일본의 구황족
일본의 일반적인 궁가의 문장 일본의 구황족()은 1947년에 일본국 헌법이 시행됨에 따라 황적을 이탈한 11개의 궁가(宮家)들을 지칭.
일본의 국무대신
국무대신()이란 일본의 내각을 구성하는 대신이.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일제 강점기의 교육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교육은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조약부터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독립 사이에 있었던 교육현상과 교육기관의 양상을 의미.
일제 강점기의 형무소
일제 강점기의 형무소(日帝強占期의 刑務所)는 일제 강점기 동안 조선총독부 산하에서 운영된 형무소이.
일제 강점기의 행정 구역
십삼도 일제 강점기의 행정 구역이란 일본 제국의 외지(外地)인 조선의 지방 행정 구역을 말.
일제 강점기의 훈기장
일제 강점기의 훈기장은 러일 전쟁 이후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수여한 훈장과 기장이.
일진회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단체이.
일성록
일성록(日省錄)은 1752년 조선 영조 28년부터 경술국치가 일어나는 1910년 순종 4년까지의 국왕의 동정과 국정의 제반사항을 기록한 일기체 연대기이.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
일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는 2010년 8월 10일,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인 간 나오토가 일본 도쿄의 총리대신 관저에서, 내각회의의 결정에 근거하여 대한민국만을 대상으로 병합 과정의 강제성을 우회적으로 시인하고 조선왕조의궤 등의 문화재를 정부 차원에서 인도한다고 밝힌 담화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
일한합방기념탑
일한합방기념탑(日韓合邦記念塔)은 1934년에 일본의 도쿄에 세워진 탑이.
일한합방상주문
일한합방상주문(日韓合邦上奏文)은 대한제국 말기인 1909년에 일진회가 한일 병합의 조속한 실현을 청원한 글이.
일한합방성명서
일한합방성명서(日韓合邦聲明書)는 대한제국 말기인 1909년에 일진회가 한일 병합의 실현을 촉구하며 발표한 성명서이.
음력 7월 25일
음력 7월 25일은 음력 7월의 25번째 날이.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은한섭
은한섭(殷漢燮, 1881년 음력 1월 29일 ~ 1953년 양력 5월 17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본관은 행주이며 본적은 전라북도 정읍군 영원면이.
제1차 한일 협약
제1차 한일 협약(第一次韓日協約)은 러일 전쟁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04년 8월 22일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협약이.
제국실업회
제국실업회(帝國實業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설립된 보부상 단체이.
전덕룡
전덕룡(田德龍, 일본식 이름: 田原德龍, 1874년 8월 20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겸 관료로, 본적은 평안남도 평양부 수정(壽町)이.
전주교도소
전주교도소(全州矯導所)는 일제 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교도소이.
정동식 (1868년)
정동식(鄭東植, 1868년 음력 4월 2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정병조
정병조(鄭丙朝, 1863년 양력 11월 2일 ~ 1945년 양력 6월 10일)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학자로, 자는 관경(寬卿), 호는 규원(葵園)이며 본관은 동래이.
정봉시
정봉시(鄭鳳時, 1855년 양력 6월 5일 ~ 1937년 양력 12월 3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
정기창
정기창(鄭基昌, 일본식 이름: 日出原基昌, 1889년 2월 22일 ~ ?)은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이.
정교원
정교원(鄭僑源, 일본식 이름: 烏川僑源, 1887년 음력 4월 2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정낙용
정낙용(鄭洛鎔, 1827년 음력 11월 24일 ~ 1914년 양력 2월 1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정우회
정우회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정우회 (1910년)
정우회(政友會)는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적극적으로 나선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 1910년 3월 설립되었.
정우택 (1889년)
정우택(鄭禹澤, 1889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정운복
정운복(鄭雲復, 1870년 8월 ~ 1920년 12월 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으로, 호는 극재(克齋)이며 소설가 정인택의 아버지이.
정재건
정재건(鄭在健, 1840년 ~ 1910년)은 조선 말기 관료인,유학자이.
정재학 (1856년)
정재학 (鄭在學, 1858~1940)은 대한민국 금융업계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민족자본은행의 개척자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은행산업의 대부.
정인흥
정인흥(鄭寅興, 1852년 음력 6월 5일 ~ 1924년 양력 6월 7일)은 의병 재판에 참가한 구한말의 관료, 법조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정인하
정인하(鄭寅夏, ?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정응민
정응민(鄭應珉, 1896년 ~ 1964년)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정주영 (1860년)
정주영(鄭周永, 1860년 12월 23일 ~ 1923년 3월 21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에 남작 작위를 습작한 조선귀족으로, 본관은 영일이.
정진홍
정진홍(鄭鎭弘, 1855년 음력 3월 22일 ~ 1926년 양력 4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정치국 (기업인)
정치국(丁致國, 1865년 7월 7일 ~ 1924년 10월)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기업인이.
정석용 (1878년)
정석용(鄭錫溶, 일본식 이름: 松川錫溶, 1878년 10월 5일 ~ 1951년 5월 30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겸 일제 강점기의 관료, 기업인, 사회운동가로, 한일 합방 이후 교육 활동과 시민사회운동에 참여하였.
정합방찬성회
정합방찬성회(政合邦贊成會)는 1910년에 조직된 일진회 계열의 단체이.
정한조
정한조(鄭漢朝, 1835년 음력 8월 15일~1917년 양력 5월 28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정환덕
정환덕(鄭煥悳, 1857년 ~ 19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작가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작가으로 본관은 연일, 휘는 환덕(煥悳), 호는 퇴산(退山)이.
저팬타운
상파울루의 저팬타운 저팬타운(Japantown)는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일본인이나 일본계 사람들이 밀집하여 사는 지구를 말. 근대 이전의 일본인 지구는 니혼마치().
조덕하
조덕하(趙悳夏 또는 趙德夏,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국민동지찬성회 간사를 역임했던 인물이.
조동희 (1856년)
조동희(趙同熙, 1856년 8월 4일 ~ 1934년 5월 26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자는 유선(有先), 본관은 양주이.
조동윤
조동윤(趙東潤, 1871년 ~ 1923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은 1882년(고종 19년) 조선과 미국 간에 조인된 조약이.
조민희 (1859년)
조민희(趙民熙, 1859년 11월 8일(음력 10월 14일) ~ 1931년 양력 1월 2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경술국적 중 한 사람이.
조경호 (1839년)
조경호(趙慶鎬, 1839년 ~ 1914년)는 흥선대원군의 사위이.
조병건
조병건(趙秉健, 1853년 음력 11월 5일~1924년 양력 1월 31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근무.
조병교
조병교(趙秉敎, 일본식 이름: 福川永一, 1862년 음력 1월 29일 ~ 1941년 양력 12월 1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운니동이.
조재영 (1875년)
조재영(趙在榮, 1875년 음력 11월 24일 ~ 1917년 양력 9월 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조희붕
조희붕(趙羲鵬,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조희창
조희창(趙熙彰, 1890년 10월 2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로, 본적은 경기도 수원군 향남면이.
조희연 (1856년)
조희연(趙羲淵, 일본식 이름: 大村智三郞, 1856년 5월 26일 ~ 1915년 7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조인성 (일진회)
조인성(?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조사국위원장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조제환
조제환(趙齊桓, 1868년 ~ 1927년 11월 2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평양이며 본명은 조두환(趙斗桓, 1894년 개명 이전까지 사용함), 본적은 한성부 남서(南署) 훈도방(薰陶坊) 죽동(竹洞)이.
조중응
조중응(趙重應, 1860년 11월 4일(음력 9월 22일) ~ 1919년 양력 8월 2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된 인물이.
조진태
조진태(趙鎭泰, 1853년 음력 6월 6일 ~ 1933년 양력 12월 17일)는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식산은행 설립위원을 지낸 금융인, 기업인이.
조진호 (경찰)
조진호(趙振浩, ?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조철호
조철호의 조선소년군 깃발 조철호(趙喆鎬, 1890년 2월 15일 ~ 1941년 3월 2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로, 경기도 시흥군 동면 난곡리 (현 서울특별시 난곡동)에서 5남매중 장남이.
조영희
조영희(趙英熙, 1855년 2월 21일(음력 1월 5일) ~ 1930년 3월 14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조선 토지 조사 사업
조선 토지 조사 사업(朝鮮土地調査事業)은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의 조사 사업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조선과 만주
조선과 만주()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간행된 월간지 형식의 잡지이.
조선귀족
조선귀족(朝鮮貴族)은 1910년에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일본 제국 정부가 일본의 화족 제도를 준용하여 대한제국의 고위급 인사들에게 봉작하고자 창출한 특수 계급이.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은 서울신문사 특파원이었던 김을한이 도쿄로 특파되었던 시절 만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과 그 외의 인물들에 대하여 저술한 책을 말. 이 책은 1971년 출간된 적이 있으며, 2010년 한국 일본 강제병합 100년을 맞이하여 다시 출간되었.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조선철도
조선철도주식회사(朝鮮鉄道株式会社)는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사설철도사업을 주축으로 여객자동차, 화물자동차, 창고업, 숙박업 등을 경영하던 회사이.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조선총독부 경무국
조선총독부 경무국(朝鮮總督府 警務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의 경찰 및 수사, 보안 등 치안 관련 사무를 관장하였.
조선총독부 법무국
조선총독부 법무국(朝鮮總督府 法務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사법 사무를 관장하였.
조선총독부 내무국
조선총독부 내무국(朝鮮總督府 內務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
조선총독부 농림국
조선총독부 농림국(朝鮮總督府 農林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
조선총독부 농상공부
조선총독부 농상공부(朝鮮總督府 農商工部)는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
조선총독부 재무국
조선총독부 재무국(朝鮮總督府 財務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
조선총독부 철도
시5형) 증기기관차 조선총독부 철도()는 일제 강점기의 조선총독부가 운영했던 철도이.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조선총독부 청사(朝鮮總督府廳舍)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를 시행한 최고 행정 관청인 조선총독부가 사용한 건물이며, 조선총독부 관사(朝鮮總督府官舍)는 조선총독부와 유관 기관의 관리들을 위해 지어진 주택이.
조선총독부 체신국
조선총독부 체신국(朝鮮總督府 遞信局)은 일제강점기 조선에 설치된 조선총독부 소속의 관청이.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조선총독부 총독관방(朝鮮總督府 總督官房)은 조선총독부에 설치된 행정 조직으로 조선 총독의 관방(官房)이.
조선총독부 학무국
조선총독부 학무국(朝鮮總督府 學務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문교, 종교, 사회 행정을 관장하였.
조선총독부 식산국
조선총독부 식산국(朝鮮總督府 殖産局)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행정 조직이.
조선신궁
조선신궁(朝鮮神宮)은 일제 강점기에 경성부의 남산에 세워졌던 신토의 신사이.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조성근 (1876년)
조성근(趙性根, 1876년 음력 3월 12일 ~ 1938년 양력 5월 1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무관 군인(武官 軍人)으로, 아명(兒名)은 조희범(趙羲範)이.
조성환 (1875년)
이시영 조성환(曺成煥, 1875년 ~ 1948년 10월 7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조원성
조원성(趙源誠, 1850년 음력 2월 27일 ~ 1917년 양력 7월 2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조완구
조완구(趙琬九, 1881년 4월 18일(음력 3월 20일) ~ 1954년 10월 27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中樞院)은 대한제국 시기에 근대적 형태의 입법 기관을 모방하여 설치한 기관이.
진주검무
주검무(晋州劍舞)는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전승되어 온 여성검무를 말. 진주검무는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
진주교방굿거리춤
주교방굿거리춤(晋州敎坊굿거리춤)은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으며, 진주 교방에 의해 전승되는 굿거리춤이.
차미리사
미리사 (1940년경) 차미리사(車美理士, 1878년 8월 21일 ~ 1955년 6월 1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독교 운동가, 여성운동가 및 사회사업가이.
참배
신사에서 참배하는 노인 참배(參拜)는 신사, 사원 등의 종교 시설을 방문하여 신불과 죽음에 경배, 기도하는 행위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참배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창씨개명
와 한글이 혼용되어 있다. 일본식 성명 강요() 또는 창씨개명()은 1940년 2월부터 1945년 8월 광복 직전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에게 일본식 성씨를 정하여 쓰도록 강요한 것을 말. 1939년 11월 10일, 조선총독부는 '조선민사령(朝鮮民事令)'을 개정(제령 제19호)하여 조선에서도 일본식 씨명제(氏名制)를 따르도록 규정하고, 1940년 2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 '씨(氏)'를 정해서 제출할 것을 명령하였.
천장욱
장욱(千章郁, 일본식 이름: 大山健正, 大山健忠, 1867년 음력 6월 1일 ~ 1923년 양력 9월 1일)은 상인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지방 관료와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춘성 (1891년)
성(春城, 본명: 이창림(李昌林), 1891년 3월 30일 ~ 1977년 8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문인이.
친로파
조선말기 극동으로 진출하는 러시아 제국세력을 업고 일본과 청나라 세력에 대항하여 정권을 잡았던 정파를 말.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유맹 (1853년)
유맹(劉猛, 1853년 음력 3월 8일 ~ 1930년 양력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개화파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유갑수 (1879년)
유갑수(柳甲秀, 1879년 음력 2월 13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이.
유병의
유병의(劉柄義, 1886년 ~ ?)는 일제 강점기의 함경남도 지역 유지이며 실업인이.
유광렬 (1880년)
유광렬(柳光烈, 1880년 음력 10월 30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유기량
유기량(柳冀亮, 1871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기덕 (1884년)
유기덕(柳基德, 1884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기호 (1881년)
유기호(柳基浩, 1881년 ~ 1933년 12월 26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유빈겸
유빈겸(兪斌兼, 1868년 ~ 1932년 양력 7월 15일)은 대한제국의 지방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유두환
유두환(柳斗煥, 1883년 음력 10월 22일 ~ 1930년 양력 8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전라북도 지역 유지이며 실업인이.
유승해
유승해(柳承海, 1861년 음력 9월 15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유흥세
유흥세(柳興世, 1869년 8월 22일(음력 7월 15일) ~ 1932년 2월 15일)는 대한제국의 경제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근무.
유인수 (1880년)
유인수(柳仁秀, 1880년 음력 6월 1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일선
유일선(柳一宣, 1879년 12월 27일 ~ 1937년 4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개신교 목사이며 조선총독부에서 촉탁으로 근무.
유익렬
유익렬(劉益烈, 1886년 12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유정수 (1857년)
유정수(柳正秀, 1857년 음력 4월 11일 ~ 1938년 양력 4월 17일)는 개항기 최초의 일본 유학생 중 한 명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유진동 (1908년)
유진동(劉振東, 1908년 ~ ?)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의사이.
유진명 (1880년)
유진명(兪鎭明, 1880년 음력 2월 15일 ~ 1946년 1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진창
유진창(兪鎭昌, 1888년 음력 12월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진순 (1881년)
유진순(劉鎭淳, 일본식 이름: 玉川鎭淳, 1881년 ~ 1945년 1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유진혁 (1882년)
유진혁(柳鎭爀, 1882년 4월 8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진호 (1861년)
유진호(兪鎭浩, 1861년 음력 5월 6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무관 출신 관료이.
유진세
유진세(劉鎭世, 1875년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상범 (1868년)
유상범(兪相範, 1868년 음력 6월 1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생건의소
유생건의소(儒生建議所)는 대한제국 말기에 유생들이 결성한 한일 병합 찬성 단체이.
유태영 (1874년)
유태영(柳泰英, 1874년 음력 9월 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성렬 (1866년)
유성렬(柳成烈, 1866년 음력 6월 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성준 (1860년)
유성준(兪星濬, 1860년 음력 9월 7일 ~ 1934년 양력 2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개화파 인물로 일제 강점기에 고위 관료를 역임.
유세환
유세환(劉世煥, 1876년 ~ 1917년)은 대한제국 시절의 약제관이자, 유일한 약학자이.
유학주
유학주(兪鶴柱,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부회장과 평의장을.
유홍종 (1885년)
유홍종(劉泓鍾, 1885년 4월 4일(음력 2월 19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홍순
유홍순(劉鴻洵, 일본식 이름: 中原鴻洵, 1889년 10월 23일 ~ 1950년 12월 25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유완종
유완종(劉玩鍾, 1877년 음력 11월 2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는 일본 제국 육군의 병과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
윤덕영
윤덕영(尹德榮, 1873년 12월 27일 ~ 1940년 10월 18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로, 본관은 해평이.
윤명수 (1876년)
윤명수(尹明秀, 1876년 음력 2월 1일 ~ ?)는 대한제국의 무관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윤백남
윤백남(尹白南, 1888년 11월 7일 ~ 1954년 9월 29일)은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예술가이.
윤건용
윤건용(尹建鏞)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윤고려
윤고려 윤고려(尹高麗, 1891년 4월 14일 ~ 1913년 12월 28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 사회운동가로 본명은 김고려, 김고라였.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윤병희 (1870년)
윤병희(尹秉禧, 일본식 이름: 松田秉禧, 1870년 음력 5월 6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윤남철 (1881년)
윤남철(尹南喆, 1881년 음력 4월 2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승한
윤승한(尹昇漢, 1909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
윤자록
윤자록(尹滋祿)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희구
윤희구(尹喜求, 1867년 ~ 1926년)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유교 계열 인물이.
윤정현 (1882년)
윤정현(尹定鉉, 1882년 9월 29일 ~ 1950년 10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전라남도 지역 유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
윤정식 (일진회)
윤정식(尹定植,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평의장을 역임했던 인물이.
윤창현 (1859년)
윤창현(尹昌鉉, 1859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치명
윤치명(尹致明, 1885년 10월 27일(음력 9월 20일) ~ 1944년 양력 4월 21일)은 대한제국 말기의 관료 겸 교육자이.
윤치병
윤치병(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은 한말의 무신, 군인이.
윤치오
윤치오(尹致旿, 1869년 9월 10일 ~ 1950년 12월 22일)는 구한말의 교육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윤치호 일기
《윤치호 일기》(尹致昊日記)는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사상가, 계몽운동가, 교육자인 좌옹 윤치호가 쓴 일기이.
윤치성
윤치성(尹致晟, 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관료, 독립운동가이.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윤택영
윤택영(尹澤榮, 1876년 ~ 1935년 10월 24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인이며 대한제국의 관료, 일제 강점기의 조선 귀족이었.
윤태빈
윤태빈(尹泰彬, 일본식 이름: 伊藤泰彬, 1886년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윤헌구 (1871년)
윤헌구(尹憲求, 1871년 음력 9월 24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윤석호 (1865년)
윤석호(尹錫祜, 1865년 음력 2월 22일 ~ ?)는 대한제국의 무관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윤성보 (1861년)
윤성보(尹性普, 1861년 12월 29일 ~ 1917년 3월)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윤성희 (1877년)
윤성희(尹成熙, 1877년 음력 11월 11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윤세복
윤세복(尹世復, 본명: 윤세린, 尹世麟, 1881년 ~ 1960년)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의 대종교의 제3세 도사교이며 초대 총전교(總典敎)이.
윤세주
윤세주 윤세주(尹世胄, 1901년 6월 24일 ~ 1942년 6월 3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윤필오
윤필오(尹弼五, 1860년 음력 9월 10일 ~ 1924년 양력 3월 3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 시민운동가였.
윤학영 (1863년)
윤학영(尹學榮, 1863년 음력 5월 30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이.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태양욱
양욱(太陽郁, 음력 1870년 2월 4일 ~ 음력 1908년 2월 15일)은 대한제국 시기의 의병장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태화관
화관(泰和館)은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있던 음식점 겸 술집으로, 유명한 요리집이던 명월관의 부속 건물이었.
술회 (책)
《술회》(述懷)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정치인 박중양의 자서전이.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년 양력 9월 19일(음력 8월 20일) ~ 1966년 양력 2월 3일)는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였.
순헌황귀비
순헌황귀비 엄씨(純獻皇貴妃 嚴氏, 1854년 2월 2일/음력 1월 5일 ~ 1911년 7월 20일)는 대한제국 황제 고종의 후궁이.
오라동
오라동(吾羅洞)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행정동이.
오경린 (1846년)
오경린(吳景麟, 1869년 음력 9월 15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오광은
오광은(吳光殷, 1887년 9월 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오극선
오극선(吳克善)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오두환 (1883년)
오두환(吳斗煥, 1883년 7월 6일(음력 6월 3일) ~ 1954년 12월 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경성부 예지동이.
오용묵 (1854년)
오용묵(吳容默, 1854년 양력 1월 17일 ~ ?)은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법조인이.
오재풍
오재풍(吳在豊, 1866년 음력 8월~1932년 양력 10월 19일)은 대한제국의 행정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오제영
오제영(吳悌泳, 1877년 음력 10월 15일 ~ 1920년 양력 1월 2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오준영 (1889년)
오준영(吳駿泳, 1889년 11월 1일 ~ ?)은 일제 강점기 초기의 경찰이.
오진영 (1879년)
오진영(吳璡泳, 1879년 양력 3월 2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오유영
오유영(吳惟泳, 1874년 음력 11월 1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 출신 관료이.
오태영 (1871년)
오태영(吳泰泳, 1871년 음력 6월 2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오태환 (1872년)
오태환(吳台煥, 1872년 4월 10일 ~ 1945년 11월 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오숭은
오숭은(吳崇殷, 1888년 11월 27일 ~ ?)은 한국의 법조인이.
오영건
오영건(吳永鍵, 1886년 1월 1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오영전
오영전(吳永田, 1866년 음력 12월 1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오영세 (1889년)
오영세(吳檸世, 일본식 이름: 山本檸世, 1889년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오세창
청년 시절 오세창 오세창(吳世昌, 1864년 8월 6일(음력 7월 5일) ~ 1953년 4월 16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자 계몽 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언론인, 독립운동가, 서화가, 대한민국의 정치인, 서화가이.
오세윤 (1894년)
오세윤(吳世尹, 일본식 이름: 吳原基弘, 1894년 11월 8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오해건
오해건(吳海建, 일본식 이름: 吳正夫, 1895년 2월 5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호남선
호남본선(湖南本線)은 경부선 대전조차장역과 목포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
예종석 (1872년)
예종석(芮宗錫, 일본식 이름: 草內宗錫, 1872년 5월 14일 ~ 1955년 5월 12일)은 대정실업친목회 회장을 지낸 일제 강점기의 실업인이.
현기봉
현기봉(玄基奉, 1855년 10월 14일(음력 9월 4일) ~ 1924년 양력 7월 7일)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의 부호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현내면
현내면(縣內面)은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의 면이.
현은
현은(玄檃, 1860년 음력 9월 30일 ~ 1934년 양력 11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현은
현영운
현영운(玄暎運, 아명(兒名)은 현영운(玄映運), 1868년 음력 6월 11일 ~ ?)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관료 겸 군인으로, 본관은 연주(延州)이.
현헌
현헌(玄櫶, 1880년 8월 9일 ~ 1939년 1월 27일)은 교육자 출신의 일제 강점기 관료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현헌
현시달
현시달(玄時達, ?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최병혁 (1878년)
병혁(崔丙赫, 1878년 10월 19일(음력 9월 24일) ~ 1920년 8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 관료이.
최기남
(崔基南, 1875년 9월 7일 ~ 1946년 3월 10일)은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 강점기 초기에 통감부, 조선총독부 소속으로 간도 지역에서 경찰로 근무했던 인물이.
최남선
선(崔南善,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이.
최운섭
운섭(崔雲燮,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최정덕
정덕(崔廷德, 1865년 ~ ?)은 일진회 회원을 지낸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최정규 (1881년)
정규(崔晶圭, 일본식 이름: 山本正夫, 1881년 음력 8월 25일 ~ 1940년 양력 8월 21일)는 일제 강점기의 직업적 친일 인물로 만주 지역에서 밀정 단체를 운영.
최진태
(崔鎭泰, ? ~ ?)는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의 경찰로, 전라남도 지역의 의병 운동 진압에.
최지환 (1882년)
환(崔志煥, 일본식 이름: 富士山隆盛, 1882년 2월 15일 ~ 1983년 5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기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였.
최취허
(崔就墟, 1865년 ~ ?)는 일제 강점기의 승려이.
최팔근
(崔八根)은 일제 강점기의 방송인이며 일본 전통음악 예술인이.
최상돈
상돈(崔相敦, 1869년 음력 5월 8일 ~ 1916년 양력 12월 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최영년
영년(崔永年, 1859년 음력 2월 6일 ~ 1935년 양력 8월 29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최양호
양호(崔養浩, 일본식 이름: 武山養浩, 1882년 12월 4일 ~ 1950년 12월 12일)는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최석민
석민(崔錫敏, 1858년 8월 6일 ~ 1915년 양력 12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최석하
석하(崔錫夏, 1866년 11월 20일 ~ 1929년 8월 27일)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지낸 관료로 본적은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면이.
어담
어담(魚潭, 일본식 이름: 西川潭一(니시카와 단이치), 1881년 음력 5월 7일 ~ 1943년 양력 7월 5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으로, 본관은 함종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어담
어용선 (1869년)
어용선(魚瑢善, 1869년 음력 12월 22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양기탁
양기탁(梁起鐸, 문화어:량기탁, 1871년 4월 2일 ~ 1938년 4월 1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양기하
양기하(梁基瑕, 1878년 음력 10월 8일 ~ 1932년 양력 2월)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양재익
양재익(梁在翼,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양재창 (1885년)
양재창(梁在昶, 일본식 이름: 梁川在昶, 1885년 9월 29일 ~ 1968년 1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출신 기업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양재홍 (1878년)
양재홍(梁在鴻, 1878년 음력 1월 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양홍묵
양홍묵(梁弘默, 1866년 ~ ?)은 대한제국 시기의 개화파 지식인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염규환
염규환(廉圭桓, 1869년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염중모
염중모(廉仲模, 1862년 10월 6일 ~ 1935년 1월 11일)는 대한제국 시기에는 일진회 회원을,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헌병보조원
병보조원 (憲兵補助員)이란, 일본 제국이 1907년~1945년 해방이 되기까지 한민족을 탄압할 목적으로 만든 제도이.
허진 (1853년)
(許璡, 1853년 음력 7월 22일 ~ 1932년 양력 12월 11일)은 조선 말기의 무관이.
허헌
(許憲, 1885년 7월 22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가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허헌
엄인섭
엄인섭(嚴仁燮, 1875년 ~ 1936년)은 일제강점기 시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한 일제 밀정으로 악명이 높았.
엄정환
엄정환(嚴正煥, 1873년 11월 29일 ~ ?)은 대한제국의 언론인이며,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엄준원
엄준원(嚴俊源, 1855년 음력 3월 26일 ~ 1938년 양력 2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엄창섭 (1890년)
엄창섭(嚴昌燮, 일본식 이름: 武永憲樹, 1890년 7월 1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평안남도 평양부 대흥면이.
엄태영 (1875년)
엄태영(嚴台永, 1875년 음력 7월 28일 ~ 1912년 양력 9월 15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엄형섭
엄형섭(嚴衡燮, 1884년 음력 2월 2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기업인이.
표훈원
훈원(表勳院)은 1899년에 설치되어 대한제국 시기 동안 존속했던 행정기관이.
사동궁
사동궁 양관 사동궁 양관 사동궁 오얏꽃 문장 사동궁(寺洞宮)은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96번지 일대에 있었던 대한제국 고종의 서출 5남이었던 의친왕의 사저이자 친왕부(親王府)이.
사근동
사근동(沙斤洞)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행정동, 법정동이.
사찰령
사찰령(寺刹令, 메이지 44년 제령 제7호)은 일제 강점기의 불교 관련 제령이.
삼한정벌
삼한정벌(三韓征伐)이란 고대 일본 주아이 천황(仲哀天皇)의 황후이자 오진 천황(応神天皇)의 어머니인 진구 황후(神功皇后)가 신라에 군대를 보내 굴복시켰다는 이야기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기록되어 있지만, 동시대의 《삼국지》나, 《삼국사기》와 같은 다른 사서에는 없는 기록이.
삼십본산연합사무소
삼십본산연합사무소(三十本山聯合事務所)는 일제 강점기 초기의 불교계 중앙 기관이.
프란츠 에케르트
'''Franz Eckert'''break1852 - 1916 프란츠 에케르트(1852년 4월 5일 ~ 1916년 8월 6일)는 독일의 음악가이.
석명선 (1870년)
석명선(石明瑄, 일본식 이름: 石川明瑄, 1870년 음력 3월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성기운
성기운(成岐運, 1847년 12월 10일 ~ 1924년 11월 27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봉서(鳳瑞), 호는 건제(健齊)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
성두식
성두식(成斗植, 1872년 음력 12월 1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성낙영 (1860년)
성낙영(成樂英, 1860년 음력 8월 5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성정수
성정수(成禎洙, 일본식 이름: 成田禎洙, 1899년 5월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이.
성하국
성하국(成夏國, 1846년 음력 4월 2일 ~ 1915년 양력 2월 24일)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서병조
서병조(徐丙朝, 일본식 이름: 大峯丙朝, 1882년 7월 28일 ~ 1952년 2월 29일)는 일제 강점기의 대구 지역 유지이자 기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서병현
서병현(徐炳玹, 1892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서북학회
서북학회(西北學會)는 대한제국 시기에 결성된 애국계몽운동 계열의 단체로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1월에 한성부에서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출신의 인사들이 조직.
서기순
서기순(徐紀淳, 1883년 3월 19일 ~ 1930년 8월 1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로, 본관은 대구이며 본적은 한성부 서서(西署) 적선방(積善坊) 사온동계(司醞洞契) 사온동(司醞洞)이.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특별시는 대한민국의 수도이며, 과거 백제, 조선의 수도였.
서울전차
일제강점기 보신각 앞을 지나는 서울전차 서울전차(서울電車)는 1899년부터 1968년까지 서울 시내에서 운행하던 노면전차를 통칭하는 표현이.
서울신문
《서울신문》(서울新聞)은 현재 발간 중인 대한민국 신문 중 하나로, 일시적으로 《대한매일》(大韓每日) 제호로 발간하였.
서회보
서회보(徐晦輔, 1849년 음력 7월 27일 ~ 1919년 양력 7월 27일)는 대한제국의 지방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서일
서일(徐一, 1881년 2월 26일 ~ 1921년 8월 28일)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서일
서창보
서창보(徐彰輔, ? ~ ?)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친일단체인 국민동지찬성회 부회장을.
서상면 (1867년)
서상면(徐相勉, 1867년 3월 4일 ~ 1920년 1월 3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대구이며 본적은 한성부 남서(南署) 회현방(會賢坊) 사축동(司畜洞)이.
서상훈 (1858년)
서상훈(徐相勛, 일본식 이름: 徐川相勛, 1858년 3월 ~ 1943년 7월 31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 당시에는 장기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손응린
손응린(孫應麟, 일본식 이름: 孫田應麟, 1886년 음력 6월 19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손정도
이시영 사이) 손정도(孫貞道, 1872년 7월 26일 ~ 1931년 2월 1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손조봉
손조봉(孫祚鳳, 일본식 이름: 湖山祚鳳, 1888년 음력 11월 25일 ~ ?)은 일제 강점기의 실업인으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손지현 (관료)
손지현(孫之鉉, 1867년 음력 3월 14일 ~ ?)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손영목 (1888년)
손영목(孫永穆, 일본식 이름: 孫永穆, 1888년 11월 21일 ~ 1950년 5월 7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송도역
송도역(松島驛)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에 있는 수인선의 전철역이.
송병주 (1890년)
송병주(宋秉柱, 일본식 이름: 恩津明森, 1890년 7월 22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송병준
송병준(宋秉畯,, 개명전, 1857년 10월 7일(음력 8월 20일) ~ 1925년 2월 1일)은 조선 말기에 활동한 무관 정치인으로, 정미칠적 중 한 사람이며 한일 합병 조약 체결 과정에서도 일진회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송지헌 (1872년)
송지헌(宋之憲, 1872년 음력 10월 29일~1934년 양력 11월 26일)은 대한제국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송순기 (1892년)
송순기(宋淳夔, 1892년 ~ 1927년 9월 12일)는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이.
송양호 (1887년)
송양호(宋良浩, 일본식 이름: 富山良浩, 1887년 3월 14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송헌빈
송헌빈(宋憲斌, 1841년 ~ ?)은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소진우
소진우(蘇鎭禹,, 1893년 ~ ?)는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소진하
소진하(蘇鎭夏, 1889년 3월 ~ ?)는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통감부
통감기(統監旗) 한국통감부 청사 통감부(統監府)는 일본 제국이 을사늑약을 체결한 뒤 대한제국 한성부에 설치했던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관청이.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합정동 (서울)
합정동(合井洞)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행정동 및 법정동이.
항일의병운동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運動)은 일본에 항거하는 의병 운동이.
해조신문
《해조신문》(海潮新聞)은 대한제국 말기에 러시아 지역에서 발행된 한글 신문이.
야마가타 이사부로
야마가타 이사부로(1858년 2월 6일 ~ 1927년 9월 24일)는 일본의 관료이.
야마가타 아리토모
야마가타 아리토모(1838년 6월 14일 ~ 1922년 2월 1일)는 일본 제국 육군 원수이자 내각총리대신을 두 번 지낸 인물이며, 일본 의회제도 체제 아래 최초의 총리이.
한독 관계
국과 독일 양국은 분단의 경험을 공유한 역사적 유대감에 바탕을 두고 수교 이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 그리고 한국 정부는 라인 강의 기적 당시 광부들과 간호사들을 파견한 바 있. 독일 정부는 한반도를 극동에서 미·중·소·일 4대 강국의 이해가 교차하는 지역으로 보고, 세계 전략적 차원에서 한반도의 안정이 유럽의 안정과도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였.
한동리 (법조인)
동리(韓東履, 1863년 3월 26일 ~ 1943년 6월 24일)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 겸 관료로, 본관은 청주, 본적은 한성부 중서(中署) 관인방(寬仁坊) 대사동계(大寺洞契) 사동(寺洞)이며 경기도 광주부(廣州府, 현재의 경기도 광주시) 출신이.
한미 관계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017년 11월. 한국과 미국의 관계는 19세기 중반 조선의 통상을 요구하던 제너럴 셔먼호 사건으로 거슬러 올. 그 후 1882년(고종 19년) 청나라의 중재로 양국 간의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한경원
경원(韓景源,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한규복 (1881년)
복 한규복(韓圭復, 일본식 이름: 井垣圭復, 1881년 7월 7일 ~ 1967년 9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통역관, 화가, 서예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서예가로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한규설
설 한규설(韓圭卨, 1856년~ 1930년)은 조선 말기의 무신, 정치가이.
한교연 (일진회)
연(韓敎淵,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평의원장을 역임했던 인물이.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한국
한국평화협회
국평화협회(韓國平和協會)는 대한제국 말기인 1910년에 조직된 단체이.
한국의 독립운동
국의 독립운동(韓國-獨立運動)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역사운동이.
한국의 제위 계승 순위
제국은 1910년 8월에 체결된 한일 병합 조약에 따라 일본 제국에게 병합.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한국의 연호
국의 연호는 고구려 광개토왕이 최초로 사용한 이래 몇 차례 사용되었.
한국의 설날
설날은 추석과 더불어 한국의 명절 중의 하나로 음력 1월 1일이.
한국의 신문
국의 신문은 1883년(고종 20년)에 창간된 순한문의 《한성순보(漢城旬報)》로부터 비롯되었.
한국사 (교과목)
국사(韓國史)는 대한민국의 중등학교인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에서 가르치는 한국사 교과목이.
한국사의 시대 구분
국의 역사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누게 되는데, 이러한 시대 구분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각 시대가 가지는 특징에 따라 여러 시기로 분류하여 지나간 시대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하여 역사 연구의 편의와 여러 가지 학문적 이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
한남규
(韓南奎, 1874년 음력 1월 4일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한승조
승조(韓昇助, 1930년 1월 13일 ~ 2017년 7월 25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학자, 철학자, 언론인, 보수주의 운동가이.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漢字統一會伊藤博文追悼會)는 1909년 12월에 대한제국에서 조직된 단체이.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한일신협약
일신협약(韓日新協約)은 1907(융희 1)년 7월 24일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늑약) 조약(늑약)이 체결된 해가 정미년이었기 때문에 정미7늑약(丁未七勒約)이라고 부르며 제1차 한일 협약, 제2차 한일 협약(을사늑약) 등과 구분하기 위해 제3차 한일 협약(第三次韓日協約)이.
한진창
창(韓鎭昌, 1858년 1월 26일 ~ 1935년 2월 2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청주이며 본적은 경성부 가회동이.
한창회
창회(韓昌會,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한창수
창수(韓昌洙, 1862년 1월 19일 ~ 1933년 10월 7일)는 조선 말기의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본관은 청주이며 자는 경문(景文), 호는 영애(穎愛)이.
한상렬 (1876년)
상렬(韓相烈, 1876년 ~ 1926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한상봉 (1876년)
상봉(韓相鳳, 1876년 양력 3월 22일 ~ 1933년 양력 7월 1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겸 실업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관은 청주이며 본적은 경기도 수원군 수원면이.
한석명
석명(韓錫命, 1890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출신 관료로, 본관은 청주이.
한성부민회
성부민회(漢城府民會)는 1907년(융희 2년) 9월 유길준 등에 의해 자치단체를 지향하면서 한성부에서 결성된 대한제국의 정치 단체이.
한훈
훈(韓焄, 1892년 2월 27일 ~ 1950년 9월 10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한훈
안무 (1883년)
안무(安武, 1883년 음력 6월 29일 ~ 1924년 양력 9월 8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안희제
안희제(安熙濟, 1885년 9월 12일(음력 8월 4일) ~ 1943년 8월 3일)는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안종철 (1881년)
안종철(安鍾哲, 일본식 이름: 廣安鍾哲, 1881년 2월 24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안중근
안중근(安重根, 1879년 9월 2일 ~ 1910년 3월 26일) 의사는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겸 정치 사상가이.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안창환 (1887년)
안창환(安昌煥, 일본식 이름: 安川昌煥, 1887년 6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인 출신 관료이.
안상호
안상호(安商浩, 1872년 ~ 1927년)는 조선의 의사.
안태준
안태준(安泰俊,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안형식 (1888년)
안형식(安瀅植, 일본식 이름: 安中瀅植, 1888년 3월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하란사
사(河蘭史, 1875년 ~ 1919년)는 대한제국 여성으로서 아메리카 합중국에 있는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학사를 최초로 취득하였고 독립운동을 하였.
하규일
일(河圭一, 1867년~1937년)은 근세 조선과 일제 강점기의 가곡 명창이.
하점면
점면(河岾面)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면이.
하세가와 요시미치
세가와 요시미치(1850년 10월 1일 ~ 1924년 1월 27일)는 일본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의 문명을 잇는 실크로드 몽골제국 이전의 아시아 아시아의 역사는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중동등의 해안 지역과 이를 잇는 유라시아 스텝 지역의 역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 해안 지역에서는 메소포타미아와 인더스 강, 황하 등의 큰 강 유역에서 주요 고대 문명이 발생하였.
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사건
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사건은 아시아와 오세아니아(국제 날짜 변경선)까지의 사건을.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사건
식민사관
식민사관(植民史觀)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한국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한국인에 대한 통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제에 의해 정책적 · 조직적으로 조작된 역사관을 말. 대체로, 한민족을 역사적으로 다른 나라에 지배되어 왔고 자립 능력이 없는 정체된 민족으로 부각시켜 일본의 한국 병탄을 정당화하였.
신광희
신광희(申光熙, 1877년 음력 11월 12일 ~ ?)는 대한제국의 군인 출신 언론인이.
신궁경의회
신궁경의회(神宮敬義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신궁봉경회에서 분립된 신토 단체이.
신궁봉경회
신궁봉경회(神宮奉敬會)는 대한제국 말기에 조직되었던 신토 단체이.
신규식
1921년 1월 1일 신년하례회. 두 번째 줄 오른쪽에서 네 번째가 신규식 신규식(申圭植, 1880년 2월 22일(음력 1월 13일) ~ 1922년 양력 9월 25일)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신우균 (1874년)
신우균(申羽均, 1874년 음력 2월 3일 ~ 1932년 12월 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이.
신재영 (1863년)
신재영(申載永, 1863년 음력 1월 4일 ~ 1931년 양력 5월 18일)은 대한제국 말기 의병 재판에 참가한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신희련
신희련(申熙璉, 일본식 이름: 平山熙崇, 1883년 1월 26일 ~ 1959년 5월 29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신익균 (1887년)
신익균(申益均, 일본식 이름: 平山益均, 1887년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신창섭 (1891년)
신창섭(申昌燮, 1891년 10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신파극
신파극(新派劇)은 일본에서 처음 발생한 연극의 한 사조로 일제 강점기에 한국에서도 활발히 공연되었.
신팔균
신팔균(申八均, 1882년 음력 5월 19일 ~ 1924년 양력 7월 2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신상호 (경찰)
신상호(申相鎬, ?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관으로, 충청북도 지역의 의병 운동 진압에.
신태진 (1885년)
신태진(申泰鎭, 일본식 이름: 平山泰鎭, 1885년 음력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신태유
신태유(申泰游, 1866년 음력 9월 27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신태항
신태항(申泰恒, ? ~ ?)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회원이었.
신양재
신양재(愼良縡, 일본식 이름: 眞山博行, 1895년 8월 7일 ~ 1957년 1월 31일)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경찰 간부이며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신사참배 강요
신사참배 강요(神社參拜強要)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곳곳에 신사를 세운 뒤 조선인에게 참배하도록 강제한 정책을 가리.
신사협의소
신사협의소(紳士協議所)는 대한제국 말기에 조직된 한일 병합 찬성 단체이.
신석린
신석린(申錫麟, 일본식 이름: 平林麟四朗, 1865년 1월 9일 ~ 1948년 2월 1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신석우 (1869년)
신석우(申錫雨, 일본식 이름: 石川錫雨, 1869년 6월 30일~1942년 1월 19일)는 일제 강점기의 전라북도 지역 유지이며 자본가이.
신석정 (1883년)
신석정(申錫定, 1883년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신세계조선호텔
신세계조선호텔(新世界朝鮮호텔)은 대한민국의 호텔 업체이.
신원배 (관료)
신원배(辛元培, 일본식 이름: 幸原元培)는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심종협
심종협(沈鍾協, 1882년 음력 9월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시국연구소
시국연구소(時局硏究所)는 대한제국 말기인 1909년에 조직된 한일 병합 찬성 단체이.
원대규
원대규(元大圭, 1857년 음력 8월 18일 ~ ?)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원응상
원응상 원응상(元應常, 1869년 8월 20일 ~ 1958년 8월 20일)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원은상
원은상(元殷常, 1874년 2월 27일 ~ ?)은 대한제국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원정한
원정한(元鼎漢, 1875년 음력 3월 23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원종 (불교)
원종(圓宗)은 대한제국 말기에 창립된 불교 종단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原州 法泉寺址 智光國師塔)은 원래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사지에 있었으나 한일병탄 직후 오사카로 밀반출되었다가 반환되어 경복궁에 있다가 현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동,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있.
원진희 (1888년)
원진희(元晉喜, 일본식 이름: 元村晋喜, 1888년 4월 11일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원훈상
원훈상(元勛常, 일본식 이름: 元村重盛, 1881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후 플러스
《후 플러스》는 문화방송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후작
후작(Marquis)은 귀족의 작위 중 하나로 오등작 중 2위의 지위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후작
후세 다쓰지
후세 다쓰지(1880년 11월 13일 ~ 1953년 9월 13일,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시 출생)는 미야기현 이시노마키 시 출신의 일본의 인권변호사, 사회운동가이.
홍명희
홍명희(洪命憙, 1888년 5월 23일 ~ 1968년 3월 5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홍범도
홍범도(洪範圖, 1868년 10월 12일(음력 8월 27일) ~ 1943년 10월 25일)는 조선 말기의 의병장이며,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군인이.
홍긍섭
홍긍섭(洪肯燮, 1850년 음력 12월 30일 ~ 1923년 양력 6월 3일)은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 평의원장과 부회장을.
홍승목
홍승목(洪承穆, 1847년 음력 10월 11일 ~ 1925년 양력 2월 15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홍승근
홍승근(洪承瑾, 1888년 음력 4월 29일 ~ 1935년 양력 1월 14일)은 대한제국의 관료 겸 일제 강점기의 법조인이.
홍승구
홍승구(洪承耉, 1889년 음력 8월 25일 ~ 1961년 양력 11월 12일)는 대한제국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언론인으로 활동.
홍재하
홍재하(洪在夏, 1852년 음력 2월 14일 ~ ?)는 대한제국의 관료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찬의를.
홍종억
홍종억(洪鍾檍, 1850년 음력 11월 12일 ~ 1919년 양력 10월 22일)은 대한제국 말기 의병 재판에 참가한 법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찬의를.
홍준표 (1873년)
홍준표(洪埈杓, 1873년 ~ ?)는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에서 활동했던 사회기관단체인으로, 본적은 경기도 여주군이.
홍충현
홍충현(洪忠鉉, 1869년 음력 7월 2일 ~ 1925년 양력 4월 8일)은 일제 강점기의 실업인이.
홍유릉
홍릉과 유릉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이.
홍윤조
홍윤조(洪允祖, ? ~ ?)는 대한제국 말기에 일진회와 자위단원호회 회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홍영선
홍영선(洪永善, 일본식 이름: 大山和邦, 1897년 1월 24일 ~ 1974년 10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본적은 충청북도 충주군 충주면이.
홍사익
홍사익과 그 가족 홍사익(洪思翊, 1887년 2월 2일 ~ 1946년 9월 26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일본의 군인이며, 일제 강점기에 일본군 육군 중장을.
홍석형
홍석형(洪錫亨, 1936년 10월 1일 ~)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황기 2600년 기념 봉축곡
황기 2600년 기념 봉축곡()은 1940년에 일본 정부가 황기(皇紀) 2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국민 통합용 행사 계획의 일환으로서 작곡을 위촉한 음악 작품들을 이르는 말이.
황인식 (1889년)
황인식(黃寅植, 1889년 12월 23일 - 1965년 4월 12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자 미군정기, 대한민국의 정치인, 공무원, 교육자이.
황의필
황의필(黃義弼, 1866년 9월 2일 ~ 1951년 2월 9일)은 대한제국의 언론인 겸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자는 재경(載卿), 호는 운재(橒齊), 본관은 장수이며 경상북도 문경 출신이.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황제
황전면
황전면(黃田面)은 전라남도 순천시 북쪽에 위치한 면이.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황현
황애덕
황애덕(黃愛德, 1892년 4월 19일 ~ 1971년 8월 24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여성운동가이.
왜성대
왜성대(倭城臺)는 조선시대의 지명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과 회현동 1가에 걸쳐 있던 지역을 가리.
화족
화족()은 메이지 2년 1869년부터 1947년까지 존재했던 일본 제국 귀족계급을 하사받은 사람들을 말. 공가에서 유래된 화족을 ‘공가화족’(公家華族), 에도 시대의 영주로부터 유래된 화족을 ‘다이묘화족’(大名華族, 또는 제후화족), 국가에 공을 세워 화족에 추대된 것을 ‘훈공화족’(勲功華族, 또는 신화족), 신적강하가 된 원래의 황족을 ‘황친화족’(皇親華族)으로 구분할 수 있었.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화족
왕공족
왕공족(王公族)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본제국 정부에서 대한제국 황족에 대해 규정한 신분으로, 일본 황족에 준하는 것이었.
왕희필
왕희필(王熙弼)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왕인식
왕인식(王仁植, 1876년 음력 2월 19일 ~ ?)은 대한제국 시기부터 활동한 일제 강점기 초기의 경찰이.
왕종성 (1878년)
왕종성(王宗性, 1878년 음력 8월 2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초기의 관료이.
MBC 스페셜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MBC의 PD 저널리스트 프로그램인 《MBC 스페셜》의 방영 목록이.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0년대
1910년대는 1910년부터 1919년까지를 가리.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0년 한·일 삼일절 사이버 공격 사건
2010년 한·일 삼일절 사이버 공격 사건은 2010년 3월 1일에 대한민국의 웹사이트 디시인사이드를 중심으로 하여 웃긴대학, 루리웹, 엽기 혹은 진실, 오늘의유머, 다음 아고라등의 커뮤니티 사이트들이 연합하여 세운 네이버의 ‘테러대응연합’ 회원들이 일본의 웹사이트 2채널을 공격한 사건이.
보다 한일 병합 조약와 2010년 한·일 삼일절 사이버 공격 사건
2030년
203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6·3 항쟁
6·3 항쟁(六三抗爭) 또는 6·3 시위(六三示威), 한일협상 반대 운동(韓日協商反對運動)은 1964년 6월 박정희 정권의 한일협상에 반대하여 일으킨 운동이었.
8월 22일
8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4번째(윤년일 경우 235번째) 날에 해당.
8월 29일
8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1번째(윤년일 경우 242번째) 날에 해당.
9월 9일
9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2번째(윤년일 경우 253번째) 날에 해당.
또한 경술국치, 국치일, 일한 합방, 한.일 병합 조약, 한·일 합방,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 한일강제병합로 알려져 있다.
, 반한 감정, 박문사, 박경양, 박경석 (1875년), 박병철 (1874년), 박봉주 (1868년), 박봉순 (만주보민회), 박근수 (1892년), 박기순, 박기양, 박기석 (1869년), 박용대, 박용구 (1879년), 박용섭 (1892년), 박승봉, 박승억, 박희양, 박이양, 강인수 (경찰), 박의병, 박제균 (1887년), 박제빈, 박제승 (1890년), 박제순, 박제환 (1859년), 박정순 (경찰), 박종렬 (1877년), 박중양, 박지양 (일진회), 박철희 (1877년), 박치상, 박상준 (1876년), 박영래 (1851년), 박영효, 박영철 (1879년), 박선철 (1884년), 강성인, 박서양 (1875년), 박서양 (1885년), 박해령 (1857년), 강필성, 가쓰라 다로, 격암유록, 경부선, 경남일보 필화 사건, 경천교회 (유교), 경술, 경술국적, 경성부, 경성일보, 경성한인기자대표이등박문조례단, 경학원, 법관양성소, 고문 정치, 고운하, 고희경 (1873년), 고종 양위 사건, 고종 암약설, 고윤상 (경찰), 고영근, 고영희 (1849년), 고향의 봄, 고원식, 곤양초등학교,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곽인호, 곽상훈, 공작 (작위), 공성학, 병합, 계란수, 계응규, 변일, 변영화 (1886년), 광복절, 광신고등학교, 광화문, 봉오동 전투, 관립한성외국어학교, 북관대첩비, 권봉수, 권종원, 권중현, 권상로, 권태전, 권태한 (1871년), 권태환, 권업회, 불교진흥회, 불평등 조약, 규장각, 기유각서, 기호흥학회, 김덕룡, 김동삼, 김동훈 (1886년), 김립 (1880년), 김만수 (1858년), 김명규 (1877년), 김명준 (1870년), 김명순 (1896년), 김명수 (1875년), 김명여, 김갑순, 김경중 (1863년), 김복수, 김복한, 김병로, 김병익 (1837년), 김병태 (1887년), 김관현, 김붕준, 김극일 (1890년), 김규창, 김규식 (서로군정서), 김기영 (1873년), 김기옥 (1877년), 김기원 (1878년), 김대형, 김교성 (1860년), 김구하, 김낙헌, 김단야, 김승학, 김재룡, 김재곤 (일진회),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김재홍 (승려), 김인전, 김의용, 김응준 (1869년), 김응선, 김은성 (만주보민회), 김정록 (미학자), 김정국 (일진회), 김정해, 김종순 (1886년), 김종선, 김종한 (1844년), 김중건, 김준용 (1870년), 김준연, 김진태 (일진회), 김지순 (승려), 김창숙, 김창한, 김철정, 김춘희, 김유정 (소설가), 김윤정 (1869년), 김윤식 (1835년), 김택현 (일진회), 김태집, 김순봉 (1888년), 김순애, 김영철 (1841년), 김영택 (실업인), 김영석 (1887년), 김영한 (1857년), 김옥균, 김옥현 (1888년), 김호규, 김현수 (1875년), 김형옥, 김형섭 (1878년), 김연상 (1878년), 김사묵, 김사준, 김사철, 김사영 (일진회), 김성근 (1835년), 김성수 (1891년), 김성한 (1887년), 김서규, 김해룡, 김한경 (1881년), 김필희, 김학진, 김시권, 김시현 (실업인), 김홍집 (1842년), 김환 (언론인), 김화준 (1890년), 김완규, 김완진 (1877년), 김완섭, 대구광역시, 대구교도소, 대이동, 대정실업친목회, 대한독립선언서, 대한매일신보, 대한민보, 대한민국, 대한민국 건국절 논쟁,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대한민국 제1공화국, 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대한민국 영문 표기 논쟁, 대한민국의 민속예술제,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대한민국의 철도,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한국민의회, 대한노동회,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국가, 대한제국의 황실, 대한협회, 대원군 (드라마), 교동면, 구도 다케시로, 구자경 (1888년), 구희서 (1861년), 구연직, 구연수, 국민동지찬성회, 국민의무찬성회, 국민협회, 국민협성동진회, 국민협성회, 국민협성진보회, 국민연설회, 국민신보, 국시유세단, 둔덕면, 남궁억, 남규희, 남대문 전투, 남정철, 내일동, 나기정 (1863년), 나철, 나수연, 농상공부, 노백린, 노창안, 뉴욕한인교회, 울산광역시, 울산광역시의 역사, 회중 교회, 회사령, 회원현, 자위단원호회, 장동환, 장면, 장기빈, 장인원, 장직상, 장지연, 장충단공원, 장충단비, 장위동, 장택상, 장형 (1889년), 장헌식, 장석주 (1848년), 장안동 (서울), 재일 한국인, 잔 다르크, 임병찬, 임예환, 임선준, 임시찬성건의소, 평남선, 흥례문, 흥친왕, 이능화, 이덕응 (1861년), 이도익, 이동성 (1872년), 이만규 (1868년), 이만용 (1886년), 이명환 (1881년), 이문하 (1872년), 이민영 (1877년), 이민하 (1891년), 이강원 (1863년), 이건 (대한제국 황족), 이건창, 이건춘 (1873년), 이건하, 이겸제, 이경재 (1880년), 이경희 (1880년), 이경식 (1883년), 이범래 (1868년), 이범관 (1888년), 이범익 (1883년), 이범진 (1852년), 이범찬 (관료), 이범철 (일진회), 이범윤, 이범석 (1900년), 이보담, 이병렬 (1870년), 이병립 (1874년), 이병무, 이병민 (1857년), 이병휘 (1851년), 이계석 (1874년), 이광수, 이봉로, 이봉의, 이봉종 (1883년), 이관용 (황족), 이근명 (1840년), 이근우 (1877년), 이근상 (1874년), 이근택, 이근호 (조선), 이규진 (1890년), 이규한 (1890년), 이규완, 이기 (1855년), 이기방, 이기용, 이기승 (1872년), 이기주 (1883년), 이기찬 (1886년), 이교승 (1878년), 이교응, 이두황, 이달용, 이용구, 이용의, 이용직, 이용태 (1854년), 이용수 (1889년), 이용한 (1875년), 이용원 (1832년), 이우, 이승만, 이승채 (1874년), 이승칠, 이회광, 이회영, 이재각, 이재곤 (1859년), 이재극, 이재정 (1846년), 이재선, 이재완, 이희덕, 이희두, 이인직, 이인수 (만주보민회), 이의립, 이은우 (1881년), 이제정, 이정로, 이종건 (1843년), 이종일 (1858년), 이종찬 (1916년), 이종춘 (관료), 이종홍, 이주영 (1837년), 이준용 (1870년), 이준상 (1840년), 이준식 (1894년), 이지용, 이촌동, 이윤용 (1854년), 이휘선, 이상룡 (1858년), 이상재, 이상철 (1859년), 이상설, 이택현, 이영관 (1888년), 이영식 (1874년), 이혼성, 이현우 (경찰), 이석규 (1910년), 이석희 (1884년), 이선호 (1874년), 이선호 (1881년), 이항직, 이해창 (1865년), 이하영, 이학규, 이학재 (실업인), 이시영 (1868년), 이시와라 간지, 이원보, 이원국 (1861년), 이원용 (1889년), 이완구 (만주보민회), 이완용, 이완용 (1872년), 이왕, 이왕가, 이왕직 아악부, 인수당 약국, 일류로 가는 길, 일본 제국, 일본의 구황족, 일본의 국무대신,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의 교육, 일제 강점기의 형무소, 일제 강점기의 행정 구역, 일제 강점기의 훈기장, 일진회, 일성록, 일한병합 100년에 즈음한 총리 담화, 일한합방기념탑, 일한합방상주문, 일한합방성명서, 음력 7월 25일, 의민태자, 의친왕, 을미사변, 을사조약, 은한섭, 제1차 한일 협약, 제국실업회, 전덕룡, 전주교도소, 정동식 (1868년), 정병조, 정봉시, 정기창, 정교원, 정난교, 정낙용, 정우회, 정우회 (1910년), 정우택 (1889년), 정운복, 정재건, 정재학 (1856년), 정인흥, 정인하, 정응민, 정주영 (1860년), 정진홍, 정치국 (기업인), 정석용 (1878년), 정합방찬성회, 정한조, 정환덕, 저팬타운, 조덕하, 조동희 (1856년), 조동윤, 조만식,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조민희 (1859년), 조경호 (1839년), 조병건, 조병교, 조재영 (1875년), 조희붕, 조희창, 조희연 (1856년), 조인성 (일진회), 조제환, 조중응, 조진태, 조진호 (경찰), 조철호, 조영희, 조선 토지 조사 사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과 만주, 조선귀족, 조선의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조선의 역사, 조선철도,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경무국, 조선총독부 법무국, 조선총독부 내무국, 조선총독부 농림국, 조선총독부 농상공부, 조선총독부 재무국, 조선총독부 철도, 조선총독부 청사와 관사, 조선총독부 체신국,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조선총독부 학무국, 조선총독부 식산국, 조선신궁, 조선왕조실록, 조성근 (1876년), 조성환 (1875년), 조원성, 조완구, 중추원 (대한제국), 진주검무, 진주교방굿거리춤, 차미리사, 참배, 창덕궁, 창씨개명, 천장욱, 춘성 (1891년), 친로파, 친일반민족행위자, 유맹 (1853년), 유갑수 (1879년), 유병의, 유광렬 (1880년), 유기량, 유기덕 (1884년), 유기호 (1881년), 유길준, 유빈겸, 유두환, 유승해, 유흥세, 유인수 (1880년), 유일선, 유익렬, 유정수 (1857년), 유진동 (1908년), 유진명 (1880년), 유진창, 유진순 (1881년), 유진혁 (1882년), 유진호 (1861년), 유진세, 유상범 (1868년), 유생건의소, 유태영 (1874년), 유혁로, 유성렬 (1866년), 유성준 (1860년), 유세환, 유학주, 유홍종 (1885년), 유홍순, 유완종, 육군사관학교 (일본), 윤덕영, 윤명수 (1876년), 윤백남, 윤건용, 윤고려, 윤보선, 윤병희 (1870년), 윤남철 (1881년), 윤승한, 윤자록, 윤희구, 윤정현 (1882년), 윤정식 (일진회), 윤창현 (1859년), 윤치명, 윤치병, 윤치오, 윤치호, 윤치호 일기, 윤치성, 윤치소, 윤택영, 윤태빈, 윤영렬, 윤헌구 (1871년), 윤석호 (1865년), 윤성보 (1861년), 윤성희 (1877년), 윤세복, 윤세주, 윤필오, 윤학영 (1863년), 윤웅렬, 태양욱, 태화관, 술회 (책), 순정효황후, 순헌황귀비, 오라동, 오경린 (1846년), 오광은, 오극선, 오두환 (1883년), 오용묵 (1854년), 오재풍, 오제영, 오준영 (1889년), 오진영 (1879년), 오유영, 오태영 (1871년), 오태환 (1872년), 오숭은, 오영건, 오영전, 오영세 (1889년), 오세창, 오세윤 (1894년), 오해건, 호남선, 예종석 (1872년), 현기봉, 현내면, 현은, 현영운, 현헌, 현시달, 최병혁 (1878년), 최기남, 최남선, 최운섭, 최정덕, 최정규 (1881년), 최진태, 최지환 (1882년), 최취허, 최팔근, 최상돈, 최영년, 최양호, 최석민, 최석하, 어담, 어용선 (1869년), 양기탁, 양기하, 양재익, 양재창 (1885년), 양재홍 (1878년), 양홍묵, 염규환, 염중모, 헌병보조원, 허진 (1853년), 허헌, 엄인섭, 엄정환, 엄준원, 엄창섭 (1890년), 엄태영 (1875년), 엄형섭, 표훈원, 사동궁, 사근동, 사찰령, 삼한정벌, 삼십본산연합사무소, 프란츠 에케르트, 석명선 (1870년), 성기운, 성두식, 성낙영 (1860년), 성정수, 성하국, 서병조, 서병현, 서북학회, 서기순, 서울특별시의 역사, 서울전차, 서울신문, 서회보, 서재필, 서일, 서창보, 서상면 (1867년), 서상훈 (1858년), 손응린, 손정도, 손조봉, 손지현 (관료), 손영목 (1888년), 송도역, 송병주 (1890년), 송병준, 송진우 (1890년), 송지헌 (1872년), 송순기 (1892년), 송양호 (1887년), 송헌빈, 송시열, 소진우, 소진하, 통감부, 함태영, 합정동 (서울), 항일의병운동, 해조신문, 야마가타 이사부로, 야마가타 아리토모, 한독 관계, 한동리 (법조인), 한미 관계, 한반도, 한경원, 한규복 (1881년), 한규설, 한교연 (일진회), 한국, 한국평화협회, 한국의 독립운동, 한국의 제위 계승 순위, 한국의 역사, 한국의 연호, 한국의 설날, 한국의 신문, 한국사 (교과목), 한국사의 시대 구분, 한남규, 한용운, 한승조, 한자통일회이등박문추도회, 한일 관계, 한일신협약, 한진창, 한창회, 한창수, 한상렬 (1876년), 한상봉 (1876년), 한석명, 한성부민회, 한훈, 안무 (1883년), 안재홍, 안희제, 안종철 (1881년), 안중근, 안창호, 안창환 (1887년), 안상호, 안태준, 안형식 (1888년), 하란사, 하규일, 하점면, 하세가와 요시미치, 아시아의 역사, 아시아에서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 사건, 식민사관, 신광희, 신궁경의회, 신궁봉경회, 신규식, 신우균 (1874년), 신재영 (1863년), 신희련, 신익균 (1887년), 신응희, 신창섭 (1891년), 신파극, 신팔균, 신상호 (경찰), 신태진 (1885년), 신태유, 신태항, 신양재, 신사참배 강요, 신사협의소, 신석린, 신석우 (1869년), 신석정 (1883년), 신세계조선호텔, 신원배 (관료), 심종협, 시국연구소, 원대규, 원응상, 원은상, 원정한, 원종 (불교),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원진희 (1888년), 원훈상, 후 플러스, 후작, 후세 다쓰지, 홍명희, 홍범도, 홍긍섭, 홍승목, 홍승근, 홍승구, 홍재하, 홍종억, 홍준표 (1873년), 홍충현, 홍유릉, 홍윤조, 홍영선, 홍사익, 홍석형, 황기 2600년 기념 봉축곡, 황인식 (1889년), 황의필, 황제, 황전면, 황태자, 황현, 황애덕, 왜성대, 화족, 왕공족, 왕희필, 왕인식, 왕종성 (1878년), MBC 스페셜 에피소드 목록, 1909년, 1910년, 1910년대, 1986년, 2010년 한·일 삼일절 사이버 공격 사건, 2030년, 3·1 운동, 6·3 항쟁, 8월 22일, 8월 29일, 9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