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한치형

색인 한치형

형(韓致亨, 1434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목차

  1. 41 처지: 무오사화, 방윤, 갑자사화, 강귀손, 공신부인, 부관참시, 부원군, 김질 (1422년), 김하균, 우의정, 장녹수 (드라마), 폐비 윤씨, 이복남, 이극돈, 이세좌, 인수대비 (드라마), 조선 덕종, 조선 연산군, 좌의정, 청주 한씨, 윤필상, 영의정, 최정훈, 양녕대군,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사화, 삼정승, 성준 (조선), 소혜왕후, 한 (성씨), 한명회, 한각신, 한백륜, 한치인, 한치의, 한성부판윤, 한확, 신용개, 홍달손, 홍윤성, 왕과 비.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보다 한치형와 무오사화

방윤

방륜(方輪, 1464년 ∼ 1534년)은 조선의 무신이.

보다 한치형와 방윤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보다 한치형와 갑자사화

강귀손

강귀손(1450년 ~ 1505년)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

보다 한치형와 강귀손

공신부인

공신부인 한씨(恭愼夫人 韓氏, 1410년 음력 4월 9일 ~ 1483년 음력 5월 18일)는 조선 출신의 명나라 후궁이.

보다 한치형와 공신부인

부관참시

존 위클리프의 부관화형 부관참시(剖棺斬屍) 또는 부관참두(剖棺斬頭), 육시(戮屍)는 이미 사망한 사람이 사망 후에 큰 죄가 드러났을 때 처하는 극형을 말. 이 극형은 무덤에서 관을 꺼내어, 그 관을 부수고 시신을 참수하는 것으로, 사람을 두 번 죽이는 형벌로 여겨졌으나, 부관참시 자체는 명예형이.

보다 한치형와 부관참시

부원군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

보다 한치형와 부원군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보다 한치형와 김질 (1422년)

김하균

(金河均, 1959년 8월 23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며 한때 성우로도 활동했던 적이 있.

보다 한치형와 김하균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보다 한치형와 우의정

장녹수 (드라마)

《장녹수》는 1995년 1월 2일부터 1995년 6월 27일까지 방영된 사극으로 한국방송공사 월화드라마인데 월~목 4회 편성된 SBS 미니시리즈 모래시계와 경쟁할 당시 초반에는 24~28%의 시청률을 올리며 이 작품을 바짝 뒤쫓았으나 모래시계가 극의 몰입도를 높여가면서 50% 후반대의 시청률로 치솟자 한때 10%대로 추락하기도 했고 1995년 2월 13일 방영분에서 장녹수(박지영 분)가 저고리를 벗은 채 목욕하는 선정적인 장면을 내보냈지만 이 방송분에서는 시청률이 14%에.

보다 한치형와 장녹수 (드라마)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보다 한치형와 폐비 윤씨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보다 한치형와 이복남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2월 27일)은 조선 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 학자, 외교관이.

보다 한치형와 이극돈

이세좌

이세좌(李世佐, 1445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보다 한치형와 이세좌

인수대비 (드라마)

《인수대비》는 JTBC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조선 문종 시대부터 연산군 시대까지의 인물인 소혜왕후의 삶을 다루었.

보다 한치형와 인수대비 (드라마)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보다 한치형와 조선 덕종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보다 한치형와 조선 연산군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보다 한치형와 좌의정

청주 한씨

청주 한씨(淸州 韓氏)는 충청북도 청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보다 한치형와 청주 한씨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보다 한치형와 윤필상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보다 한치형와 영의정

최정훈

정훈(崔正薰, 1940년 2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 영화배우, 영화 기획가, 연극배우이.

보다 한치형와 최정훈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보다 한치형와 양녕대군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은 2017년 1월 30일부터 2017년 5월 16일까지 방송된 문화방송 월화드라마.

보다 한치형와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보다 한치형와 사화

삼정승

삼정승(三政丞)은 의정부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지칭하는 말로 조선시대에 쓰였으며, 의정부의 정승들을 지칭하는 말이.

보다 한치형와 삼정승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보다 한치형와 성준 (조선)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보다 한치형와 소혜왕후

한 (성씨)

(韓, 漢)씨는 중국 및 한국의 성씨이.

보다 한치형와 한 (성씨)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보다 한치형와 한명회

한각신

각신(韓覺新, 1795년 2월 28일 ~ 1853년 8월 1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은언군 이인의 사위이.

보다 한치형와 한각신

한백륜

백륜(韓伯倫, 1427년 ~ 1474년)은 조선의 문신이며 예종(睿宗)의 국구(國舅)이.

보다 한치형와 한백륜

한치인

인(韓致仁, 1421년 ~ 1477년)은 조선의 문신, 정치가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시호(諡號)는 공안(恭安)이.

보다 한치형와 한치인

한치의

의(韓致義, 1440년 ~ 1473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보다 한치형와 한치의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보다 한치형와 한성부판윤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보다 한치형와 한확

신용개

신용개(申用漑, 1463년 10월 5일 ~ 1519년 10월 3일)는 조선시대 전기, 중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이.

보다 한치형와 신용개

홍달손

홍달손(洪達孫, 1415년 ~ 147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남양(南陽)이고, 자는 가칙(可則), 시호는 안무(安武)이.

보다 한치형와 홍달손

홍윤성

홍윤성(洪允成, 1425년 ~ 1475년 음력 9월 8일)은 조선의 문신이.

보다 한치형와 홍윤성

왕과 비

《왕과 비(王과 妃)》는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드라마이.

보다 한치형와 왕과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