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함경도

색인 함경도

조선후기 함경도 함경도(咸鏡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296 처지: 능원대군, 량강도, , 도르곤,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이의 입구, 동 (성씨), 동북 방언, 동북면, 동치미, 동풍신, 라남구역, 라선특별시, 류형, 말갈, 매사냥, 먼터무, 목장흠, 무학, 문천 공씨, 미 (성씨), 감영, 방곡령, 방원철, 백두산정계비, 개나리, 개천절, 개신교, 갑사 (군사), 간도, 간나, 강릉 진씨, 강릉농악, 박문수, 박종근 (1944년), 강산에, 박원석 (1923년),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가자미식해, 가토 기요마사, 거창 신씨, 경흥 어씨, 경신 대기근, 곽재우, 공 (성씨), 공주의 남자, 병인양요, 광주 학생 항일 운동, 광천 동씨, 관남 지방, ..., 북관대첩, 북관대첩비, 권승록, 금구 온씨, 김동진 (1929년), 김명순 (1759년), 김경로, 김광현 (조선), 김관주, 김구, 김국광, 김승환 (1866년), 김포 공씨, 김응하, 김정희, 김저 (1512년), 김질 (1422년), 김육, 김영국 (관료), 김선기 (1907년), 김성인, 김약연, 김한구 (1723년), 김홍륙, 대도호부, 대동법,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두릉 두씨, 두만강 (영화), 남궁침, 남궁숙, 남이, 남종삼, 내수사, 나베시마 나오시게, 낙랑군, 너와집, 녹둔도 사건, 니탕개의 난, 용산동 (서울), 우덕순, 우수리스크, 회안대군, 자 (성씨), 장면, 장백산, 장흥 위씨, 재령 미씨, 임경업전, 임진왜란, 임해군, 큰다닥냉이, 평양 시정위원회, 희천 김씨, 이 (성씨), 이동휘, 이감 (조선), 이백온, 이경유, 이경항 (1601년), 이광식 (1493년), 이괄, 이기 (1476년), 이용익, 이운룡, 이일, 이은찬 (1878년), 이제마, 이조 (조선 초기 왕족), 이종인, 이준 (1859년), 이준경, 이징옥, 이징옥의 난, 이지란, 이지례, 이천우 (1354년), 이순신, 이순신 (1553년), 이영 (1889년), 이양우 (1346년), 이행검 (조선), 이사철 (1411년), 이서우 (1633년), 이항복, 이시애, 이시애의 난, 이완 (1602년), 인천 이씨, 일진회, 의안대군 (1348년),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젓갈, 전국노래자랑의 에피소드 목록, 전주 김씨, 전주 임씨, 정도전, 정몽주,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정여창 (1450년), 정하상, 정후겸, 조병식, 조운 (제도), 조승제 (목회자), 조영무, 조선 광해군, 조선 인조, 조선 중종, 조선 태조, 조선 태조 어진, 조선 태종, 조선 숙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조선 환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전시종교보국회, 조선족, 조선왕릉, 족발 (요리), 중국조선말, 중완구, 진흥왕, 진안대군, 지정, 차사백, 청산리 전투,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천주교 함흥교구, 척준경, 충주 김씨, 춘생문 사건, 추계 추씨, 유형원, 윤동주, 윤제동, 윤치호, 윤선도, 윤웅렬, 패강진, 팔도, 상평통보, 탈춤, 순대, 순화군, 수군, 영흥 최씨, 온 (성씨), 옌볜 조선족 자치주, 예맥, 협계 태씨, 현감, 최린, 최재형, 최영, 최호 (1536년), 어 (성씨), 어세공, 여진, 역사 연표, 연사종, 헌병보조원, 허봉, 허영 (영화 감독), 엄 (성씨), 산진달래, 산철쭉, 삼국 시대, 선거이, 성진 즙씨, 세종실록 지리지, 서북학회, 서일보, 서유녕, 서영순 (1793년), 서필원, 서원 철폐, 송상현 (1551년), 송호성, 통일신라, 함경남도, 함우치, 함흥읍도, 함태영, 해정창 전투, 한명회, 한극함, 한국 무용, 한국 북부, 한국 요리, 한국인의 밥상의 에피소드 목록,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포유동물, 한국의 지방 구분,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행정 구역, 한국의 역사, 한국어의 방언, 한장석, 한중 관계, 한확, 안변 한씨, 안주 범씨, 안상덕, 하륜, 아방강역고, 아바이마을, 아가씨, 필성뢰, 식객, 신 (성씨), 신라, 신류, 신면, 신고산타령,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청, 신숙주, 신안 주씨, 심능악, 심의겸, 심순경, 심순택, 심영 (1910년), 심언광, 심열, 심사손, 원균, 원삼국 시대, 훙치허 전투, 황정, 왜성 (건조물), 완천군 (1373년), 완풍대군, 105인 사건, 13도 창의군, 1854년, 1889년, 2011년 상반기 한국 동해안 폭설, 24개돌 유적, 8.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46 더) »

능원대군

능원대군(綾原大君, 1598년 ~ 1656년 음력 1월 1일(1월 26일))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함경도와 능원대군 · 더보기 »

량강도

량강도(兩江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부의 도이.

새로운!!: 함경도와 량강도 · 더보기 »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함경도와 도 · 더보기 »

도르곤

아이신기오로 도르곤(1612년 11월 17일 ~ 1650년 12월 31일)은 청나라 초기의 황족으로, 후금의 초대 한이자 청나라의 초대 황제 누르하치의 열네 번째 아들이며, 누르하치의 네 번째 정실 효열무황후의 소생이.

새로운!!: 함경도와 도르곤 · 더보기 »

도요토미 히데요시

요토미 히데요시(1537년 3월 17일 ~ 1598년 9월 18일)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

새로운!!: 함경도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 더보기 »

도이의 입구

이의 입구()는, 일본 헤이안 시대인 간닌(寛仁) 3년(1019년) 여진족(지금의 중국 둥베이 지역 즉 만주 지역에서 할거하던 민족 집단으로 만주족의 선조)의 일파로 보이는 집단이 주체가 된 해적 집단이 일본의 이키(壱岐) ・ 쓰시마(対馬) 및 지쿠젠(筑前) 등을 침략한 사건이.

새로운!!: 함경도와 도이의 입구 · 더보기 »

동 (성씨)

동(董)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동 (성씨) · 더보기 »

동북 방언

동북 방언(東北方言)은 한국어의 대방언권 중 하나이.

새로운!!: 함경도와 동북 방언 · 더보기 »

동북면

동북면은 동계의 북부 지역을 가리키는 말에서 시작한 고려의 지명이.

새로운!!: 함경도와 동북면 · 더보기 »

동치미

동치미 동치미는 한국 요리에서 물김치의 일종으로, 무, 배추, 파, 삭힌 고추, 생강, 배와 국물로 구성.

새로운!!: 함경도와 동치미 · 더보기 »

동풍신

동풍신 (董豊信, 1904년 ~ 1921년)은 3·1 운동 때의 순국 소녀이.

새로운!!: 함경도와 동풍신 · 더보기 »

라남구역

역(羅南區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청진시에 속하는 구역으로 시의 남서쪽에 위.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112,343명이.

새로운!!: 함경도와 라남구역 · 더보기 »

라선특별시

선특별시(羅先特別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함경도와 라선특별시 · 더보기 »

류형

형(柳珩, 1566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류형 · 더보기 »

말갈

말갈(靺鞨;, 뭐허)은 6~7세기경 중국의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국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에 거주한 퉁구스계 민족으로, 주나라 때에는 주로 숙신, 한나라 때에는 읍루라 불. 본래 쑹화강 (松花江) 유역의 물길(고대 중국어: Miut Kit)이 지배하였으나 6세기 중엽 물길의 세력이 약화되자 각 부족들이 자립하였는데, 이들을 총칭하여 말갈(중세 중국어: Muat ɣat)이라 부른.

새로운!!: 함경도와 말갈 · 더보기 »

매사냥

매사냥으로 가장 널리 쓰인 보라매. 다만 보라매는 매과 매속이 아니고 수리과 새매속의 새이다. 매사냥(falconry)이란 훈련된 맹금류를 부려서 짐승을 잡는 사냥법이.

새로운!!: 함경도와 매사냥 · 더보기 »

먼터무

먼터무(1370년 ~ 1433년) 또는 동맹가첩목아()는 오도리 만호부(斡朶里 萬戶府)의 만호이자 제1대 건주좌위지휘사(建州左衛指揮使, 재위 1405년 ~ 1433년)이며 청나라 태조 누르하치의 6대조이.

새로운!!: 함경도와 먼터무 · 더보기 »

목장흠

목장흠(睦長欽, 1572년 ~ 164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목장흠 · 더보기 »

무학

무학(無學: 1327~1405)은 고려(918~1392) 말, 조선(1392~1897) 초의 승려이.

새로운!!: 함경도와 무학 · 더보기 »

문천 공씨

공씨(金浦公氏)는 함경남도 문천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문천 공씨 · 더보기 »

미 (성씨)

미(米)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미 (성씨) · 더보기 »

감영

영(監營)은 조선시대 때 각 지역의 관찰사(觀察使)가 상주하며 업무를 보던 관청이.

새로운!!: 함경도와 감영 · 더보기 »

방곡령

방곡령(防穀令)은 조선 말기에 시행되었던 경제 정책 가운데 하나로서, 식량난 해소를 위해 식량 수출을 금지하는 명령을 말. 그 목적은 지방관이 그 행정 관할 구역 내에서 가뭄이나 수해, 민란이나 병란으로 인해 농작물 생산량이 줄어들어 곡식의 가격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 간혹 장시의 곡물 가격이 외국 상인이 사들이는 가격보다 너무 싸서 장시에 곡물이 풀리지 않을 때에 방곡령이 시행되기도 하였.

새로운!!: 함경도와 방곡령 · 더보기 »

방원철

방원철(方圓哲, 1920년 ~ 1999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에서 군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방원철 · 더보기 »

백두산정계비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는 1712년(숙종 38년)에 조선과 청나라 사이의 국경을 정하기 위하여 세워진 경계비이.

새로운!!: 함경도와 백두산정계비 · 더보기 »

개나리

리()는 물푸레나무과 식물로, 노란 꽃을 피우는 갈잎 떨기나무이.

새로운!!: 함경도와 개나리 · 더보기 »

개천절

절(開天節)은 대한민국의 국경일의 하나로, 날짜는 10월 3일이.

새로운!!: 함경도와 개천절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함경도와 개신교 · 더보기 »

갑사 (군사)

갑사(甲士)는 조선시대에 존재한 직업 군인 제도를 말. 간단한 시험을 거쳐 선발하였으며, 근무 기간에 따라 품계와 녹봉을 받았.

새로운!!: 함경도와 갑사 (군사) · 더보기 »

간도

(間島)는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간도의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인 연변 지역을 '북간도'(또는 '동간도'), 그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

새로운!!: 함경도와 간도 · 더보기 »

간나

* 평안도와 함경도 지방에서 여자아이를 뜻하는 속어로 '간나'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

새로운!!: 함경도와 간나 · 더보기 »

강릉 진씨

강릉 진씨(江陵 陳氏)는 강원도 강릉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강릉 진씨 · 더보기 »

강릉농악

강릉농악(江陵農樂)은 태백산맥 동쪽 지역인 영동 농악의 대표 격으로 1985년 12월 1일에 국가무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된 농악을 말. 강릉농악은 ‘농사풀이 농악’이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농경 생활을 흉내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기 때문이.

새로운!!: 함경도와 강릉농악 · 더보기 »

박문수

박문수(朴文秀, 1691년 10월 28일(음력 9월 8일) ~ 1756년 5월 22일(음력 4월 2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박문수 · 더보기 »

박종근 (1944년)

박종근(1944년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박종근 (1944년) · 더보기 »

강산에

강산에(1963년 11월 3일 ~)는 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이.

새로운!!: 함경도와 강산에 · 더보기 »

박원석 (1923년)

박원석(朴元錫, 일본식 이름: 德田元敎 도쿠타 모토쿄, 1923년 3월 27일 ~ 2015년 11월 30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기업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박원석 (1923년) · 더보기 »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강화학파(江華學派) 육대계승(六代繼承)이란 효민공 석문 이경직(李景稷)의 현손(4代孫)으로 이광명(李匡明)이 10세 때(숙종 36년, 1710년)에 부친상(진사 이진위(李眞偉))을 당하자 모친 은진송씨의 뜻에 따라 강화도 사기리(沙磯里)에 장사지내고 그 묘 밑에서 기거하면서 한말 영재 이건창(李建昌), 경재 이건승(李建昇), 난곡 이건방(李建芳) 형제의 대에 이르기까지 강화도 사기리는 강화학파의 근거지가 되었으며 6대 250 여 년간 가학(家學)으로 강화학파를 계승해온 학자 지식인들을 일컫.

새로운!!: 함경도와 강화학파 육대계승 (덕천군파) · 더보기 »

가자미식해

자미식해()는 가자미를 삭혀서 만든 식해로, 함경도 지역의 향토음식이.

새로운!!: 함경도와 가자미식해 · 더보기 »

가토 기요마사

요마사(1562년 7월 25일 ~ 1611년 8월 2일)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전기까지의 무장, 다이묘이.

새로운!!: 함경도와 가토 기요마사 · 더보기 »

거창 신씨

창 신씨(居昌 愼氏)는 경상남도 거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거창 신씨 · 더보기 »

경흥 어씨

경흥 어씨(慶興 魚氏)는 함경북도 경흥군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경흥 어씨 · 더보기 »

경신 대기근

경신 대기근(庚辛大飢饉)은 조선 현종 재위기간인 1670년(경술년)과 1671년(신해년)에 있었던 대기근이.

새로운!!: 함경도와 경신 대기근 · 더보기 »

곽재우

곽재우(郭再祐, 1552년 9월 16일(음력 8월 28일) ~ 1617년 5월 14일(음력 4월 10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으로 임진왜란에서 크게 활약한 의병장이.

새로운!!: 함경도와 곽재우 · 더보기 »

공 (성씨)

공(孔, 公)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공 (성씨) · 더보기 »

공주의 남자

《공주의 남자》는 2011년 7월 20일부터 2011년 10월 6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24부작 특별기획드라마이.

새로운!!: 함경도와 공주의 남자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함경도와 병인양요 · 더보기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光州學生獨立運動)또는 광주학생항일운동(光州學生抗日運動)은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시내에서 일어난 일본 학생의 한국 여학생 희롱으로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과 11월 12일 광주지역 학생 대시위운동을 거쳐, 한편으로는 호남지역 일대로 확산되고, 다른 한편으로 서울을 거쳐서 전국 가지로 확산된 항일운동으로 1929년 11월 말에서 1930년 3월이나 5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산된 학생독립운동을 말. 12월에는 경성과 평양, 함경도 등지와 같은 국내 지역과 만주벌에 위치한 간도 등으로 확산되었고,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발전.

새로운!!: 함경도와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더보기 »

광천 동씨

광천 동씨(廣川 董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광천 동씨 · 더보기 »

관남 지방

방(關南地方)은 함경북도와 함경남도의 남쪽을 말. 함경도의 남쪽 지방을 의미.

새로운!!: 함경도와 관남 지방 · 더보기 »

북관대첩

북관대첩(北關大捷)은 1592년~1593년 함경도에서 의병장 정문부가 경성과 길주 등지에서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반란을 일으킨 국경인과 여진족들을 모두 무찌르고 함경도를 탈환한 전투이.

새로운!!: 함경도와 북관대첩 · 더보기 »

북관대첩비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는 함경북도 북평사 직을 맡고 있던 정문부 장군이 임진왜란 중 의병을 모아 왜군을 격퇴한 공을 기려 조선 숙종 때 북평사 최창대가 함경북도 길주군 임명면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김책시 임명동)에 세운 전공 기념 비석이.

새로운!!: 함경도와 북관대첩비 · 더보기 »

권승록

승록(權承錄, 1880년 9월 9일 ~ 1929년 3월 10일)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군인으로, 본관은 안동이며 본적은 경성부 돈의동이.

새로운!!: 함경도와 권승록 · 더보기 »

금구 온씨

온씨(金溝溫氏)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금구 온씨 · 더보기 »

김동진 (1929년)

1960년 재수사한 단성사 앞 저격사건에 대해 증언하고 있는 김동진 김동진(金東鎭, 1929년 ~ 몰년 미상)은 대한민국의 정당인, 기업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동진 (1929년) · 더보기 »

김명순 (1759년)

명순(金明淳, 1759년 - 1810년 7월 24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명순 (1759년) · 더보기 »

김경로

경로(金敬老, ?~159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전라도 남원 출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경로 · 더보기 »

김광현 (조선)

광현(金光炫, 1584년 ~ 164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서예가로 자는 회여(晦汝), 호는 수북(水北),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광현 (조선) · 더보기 »

김관주

주(金觀柱, 1743년 ~ 1806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척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관주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구 · 더보기 »

김국광

국광(金國光, 1415년 5월 12일 ~ 1480년 11월 11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국광 · 더보기 »

김승환 (1866년)

승환(1866년 함경남도 함흥 ~ 1927년)은 구한말 함경남도 함흥 출신의 실업인, 은행가였.

새로운!!: 함경도와 김승환 (1866년) · 더보기 »

김포 공씨

공씨(金浦 公氏)는 경기도 김포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포 공씨 · 더보기 »

김응하

응하(金應河, 1580년~1619년)는 조선의 무관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응하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저 (1512년)

저(金儲, 1512년 ~ 1547년)는 조선(朝鮮)의 문관 관료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저 (1512년)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함경도와 김육 · 더보기 »

김영국 (관료)

영국(金永國)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영국 (관료) · 더보기 »

김선기 (1907년)

선기(金善琪, 1907년 3월 21일 ~ 1992년 11월 11일)는 대한민국의 언어학자, 한글학자이며 교육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선기 (1907년) · 더보기 »

김성인

성인(金誠仁, 사여모)는 항왜 장수.

새로운!!: 함경도와 김성인 · 더보기 »

김약연

약연(金躍淵, 1868년 9월 12일 ~ 1942년 10월 2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약연 · 더보기 »

김한구 (1723년)

(金漢耉, 1723년 2월 23일 ~ 1769년 11월 5일)는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김선경의 아들이자 정순왕후, 김귀주의 아버지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한구 (1723년) · 더보기 »

김홍륙

홍륙(金鴻陸, ? ~ 1898년)은 조선 말기의 역관이.

새로운!!: 함경도와 김홍륙 · 더보기 »

대도호부

호부(大都護府)란 조선 시대 주요 고을에 두었던 지방행정기관을 지칭하는 말이.

새로운!!: 함경도와 대도호부 · 더보기 »

대동법

동법(大同法)은 조선 중기인 광해군-숙종 시기에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이.

새로운!!: 함경도와 대동법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민국의 우편번호는 1970년 7월 1일에 최초제정된 우편번호 제도로, 1988년, 2000년과 2015년에 세 차례 개정되었.

새로운!!: 함경도와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 더보기 »

두릉 두씨

릉 두씨(杜陵 杜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두릉 두씨 · 더보기 »

두만강 (영화)

《두만강》은 중화인민공화국 조선족 감독 장률의 여섯 번째 장편 영화이.

새로운!!: 함경도와 두만강 (영화) · 더보기 »

남궁침

궁 침(南宮忱, 1513년 ~ 157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남궁침 · 더보기 »

남궁숙

궁 숙(南宮淑, 1491년 ∼ 1553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남궁숙 · 더보기 »

남이

이(南怡, 1441년 ~ 1468년 10월 27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장군, 정치인, 시인, 척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남이 · 더보기 »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함경도와 남종삼 · 더보기 »

내수사

수사(內需司)는 조선시대 왕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던 곳이.

새로운!!: 함경도와 내수사 · 더보기 »

나베시마 나오시게

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 덴분 7년 음력 3월 13일(1538년 4월 12일) ~ 겐나 4년 음력 6월 3일(1618년 7월 24일))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의 무장이.

새로운!!: 함경도와 나베시마 나오시게 · 더보기 »

낙랑군

낙랑군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204년) 낙랑군(樂浪郡,, 기원전 108년~기원후 313년)은 전한 무제가 위만조선을 점령하고 세운 한사군 중 하나로, 현도군과 함께 최후까지 남은 변군(邊郡)이.

새로운!!: 함경도와 낙랑군 · 더보기 »

너와집

강원도 삼척의 너와집 너와집은 기와 대신 너와로 지붕을 이은 한국의 전통 집이.

새로운!!: 함경도와 너와집 · 더보기 »

녹둔도 사건

녹둔도 사건(鹿屯島事件)은 1587년에 여진족이 조선의 지배하에 놓여 있던 녹둔도를 습격한 사건이.

새로운!!: 함경도와 녹둔도 사건 · 더보기 »

니탕개의 난

탕개의 난(尼湯介 ── 亂)은 1583년 조선 6진에서 야인여진의 니탕개가 일으킨 난이.

새로운!!: 함경도와 니탕개의 난 · 더보기 »

용산동 (서울)

용산동(龍山洞)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행정동(용산2가동)의 통칭이.

새로운!!: 함경도와 용산동 (서울) · 더보기 »

우덕순

우덕순(禹德淳) 또는 우연준(禹連俊) (1880년 ~ 1950년 9월 26일)은 충북 제천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시절의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우덕순 · 더보기 »

우수리스크

우수리스크()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

새로운!!: 함경도와 우수리스크 · 더보기 »

회안대군

회안대군(懷安大君, 1364년 7월 2일 ~ 1421년 4월 10일(음력 3월 9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방간(芳幹), 시호(諡號)는 양희(良僖), 호(號)는 망우당(忘牛堂)이다.

새로운!!: 함경도와 회안대군 · 더보기 »

자 (성씨)

자는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자 (성씨)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장면 · 더보기 »

장백산

장백산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함경도와 장백산 · 더보기 »

장흥 위씨

장흥 위씨(長興 魏氏)는 전라남도 장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장흥 위씨 · 더보기 »

재령 미씨

재령 미씨(載寧 米氏)는 황해도 재령군을 본관(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재령 미씨 · 더보기 »

임경업전

《임경업전》(林慶業傳)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조선 시대 소설이.

새로운!!: 함경도와 임경업전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함경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임해군 · 더보기 »

큰다닥냉이

닥냉이()는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이.

새로운!!: 함경도와 큰다닥냉이 · 더보기 »

평양 시정위원회

평양시정위원회란 한국 전쟁 때에 국군과 국제 연합군이 서울 수복 후 10월 19일에 평안도 평양시를 점령했지만 미국 측에서는 대한민국의 통치가 평양에 미치지 못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미국이 대신 군정을 했던 걸 말.

새로운!!: 함경도와 평양 시정위원회 · 더보기 »

희천 김씨

희천 김씨(熙川 金氏)는 자강도 희천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희천 김씨 · 더보기 »

이 (성씨)

외 이(李, 異, 伊)씨는 동아시아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 (성씨) · 더보기 »

이동휘

이동휘(李東輝,, 1873년 6월 20일 ~ 1935년 1월 31일)는 대한제국의 군인, 정치가이자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동휘 · 더보기 »

이감 (조선)

이감(李戡, ? - ?)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작가,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감 (조선) · 더보기 »

이백온

이백온(李伯溫, ? ~ 1419년)는 고려(高麗) 말기의 선비이며 조선(朝鮮) 시대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이자 무신(武臣)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백온 · 더보기 »

이경유

이경유(李慶裕, 1562년 8월 26일-1620년 11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자(字)는 자수(子綬) 또는 중유(仲裕)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경유 · 더보기 »

이경항 (1601년)

이경항(李慶恒,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으로 자(字)는 사상(士常)·중구(中久)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경항 (1601년) · 더보기 »

이광식 (1493년)

이광식(李光軾, 1493년(성종 23년) 11월 7일(음력 9월 29일) ~ 1563년(명종 18년) 12월 15일(음력 12월 1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광식 (1493년)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괄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용익

이용익(李容翊, 1854년 ~ 1907년 2월)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의 정치인·관료·외교관이며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학교의 설립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용익 · 더보기 »

이운룡

이운룡(李雲龍, 1562년 ~ 1610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운룡 · 더보기 »

이일

이일(李鎰, 1538년 ~ 160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중경(重卿), 시호는 장양(壯襄)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일 · 더보기 »

이은찬 (1878년)

이은찬(문숙공, 李殷瓚, 1878년 ~ 1909년)은 13도 창의군을 조직하고 한성진공작전을 기획한 대한제국의 의병장이며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은찬 (1878년) · 더보기 »

이제마

이제마(李濟馬, 1837년 4월 23일 ~ 1900년 11월 12일)는 조선 후기의 한의학자(漢醫學者), 문관(文官), 무관(武官), 시인(詩人)이며, 조선 왕족의 방계 혈족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제마 · 더보기 »

이조 (조선 초기 왕족)

이조(李朝, 1356년 ~ 1408년)는 고려(高麗) 말기의 문신(文臣)이며 조선(朝鮮) 시대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이자 문신(文臣) 및 무신(武臣)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조 (조선 초기 왕족) · 더보기 »

이종인

이종인(李宗仁, ? ~ 1593년 7월 27일(음력 6월 29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종인 · 더보기 »

이준 (1859년)

이준(李儁, 1859년 12월 18일 ~ 1907년 7월 14일)은 구한말의 검사이자 외교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준 (1859년) · 더보기 »

이준경

이준경(李浚慶, 1499년 ~ 1572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서예가, 학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준경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징옥의 난

이징옥의 난(李澄玉-亂)은 함길도 도절제사 이징옥이 수양대군 일파의 권력 장악과 자신의 파직에 대해 불만을 품고 여진족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징옥의 난 · 더보기 »

이지란

이지란(李之蘭, 1331년 ~ 1402년 5월 10일(음력 4월 9일))은, 여진족 출신이며 고려 말 조선(朝鮮) 초의 무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지란 · 더보기 »

이지례

이지례(李之禮, ?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단양, 자는 만방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지례 · 더보기 »

이천우 (1354년)

이천우(李天祐, 1354년 ∼ 1417년(태종 17년))는 고려 말기의 문신(文臣) 겸 무신(武臣)이며, 조선 초기의 문신, 무신, 군인이자 조선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천우 (1354년) · 더보기 »

이순신

광화문 광장의 이순신 동상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순신 · 더보기 »

이순신 (1553년)

이순신(李純信, 1553년 12월 27일 ~ 1611년 9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무장, 유학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순신 (1553년) · 더보기 »

이영 (1889년)

이영(李英, 1889년 4월 1일 ~ 1960년 8월 13일)은 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 겸 친일 공산주의 운동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영 (1889년) · 더보기 »

이양우 (1346년)

이양우(李良祐, 1346년 ~ 1417년)는 고려(高麗) 말기의 선비이며 조선(朝鮮) 시대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문신(文臣), 무신(武臣)이자 정사공신(定社功臣)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양우 (1346년) · 더보기 »

이행검 (조선)

이행검(李行儉, ? ~ ?)은 조선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행검 (조선) · 더보기 »

이사철 (1411년)

이사철(李思哲, 1411년 ~ 1456년 12월 16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출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사철 (1411년)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항복

이항복(李恒福, 1556년 ~ 1618년 7월 4일(음력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정치가·시인·작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항복 · 더보기 »

이시애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시애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이완 (1602년)

이완(李浣, 1602년 ~ 1674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경주이.

새로운!!: 함경도와 이완 (1602년) · 더보기 »

인천 이씨

인천 이씨(仁川 李氏)는 인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인천 이씨 · 더보기 »

일진회

일진회(一進會)는 1904년 8월 송병준과 독립협회 출신 윤시병, 유학주, 동학교 이용구 등이 조직한 대한제국 시기의 대표적인 친일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단체이.

새로운!!: 함경도와 일진회 · 더보기 »

의안대군 (1348년)

의안대군 이화(義安大君 李和, 1348년 ~ 1408년 10월 6일)는 고려 말의 선비이며 조선 초의 왕족, 무신,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의안대군 (1348년) · 더보기 »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함경도와 제5보병사단 (대한민국) · 더보기 »

젓갈

새우젓, 토화젓, 액젓, 멸치젓 등 여러가지 젓갈들이 경동시장의 어느 가게에 쌓여 있다. 젓갈 또는 젓은 각종 어패류의 살, 알, 창자 등을 소금 또는 소금기가 있는 양념에 절여 삭힌 저장 식품이.

새로운!!: 함경도와 젓갈 · 더보기 »

전국노래자랑의 에피소드 목록

* 아래는 KBS 1TV 시청자 참여 음악 프로그램인 《전국노래자랑》 제작진이 순회하여 출연한 지역 목록이.

새로운!!: 함경도와 전국노래자랑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전주 김씨

전주 김씨(全州 金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전주 김씨 · 더보기 »

전주 임씨

전주 임씨(全州 林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전주 임씨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함경도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정몽주 · 더보기 »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鄭種 敵愾功臣 敎書 및 關聯 古文書)는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물이.

새로운!!: 함경도와 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 더보기 »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정여창 (1450년) · 더보기 »

정하상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1795년 ~ 1839년 9월 22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평신도 신학자, 교회 지도자로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정약종의 아들이자 정약용의 조카이.

새로운!!: 함경도와 정하상 · 더보기 »

정후겸

정후겸(鄭厚謙, 1749년 ~ 1776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정후겸 · 더보기 »

조병식

조병식(趙秉式, 1832년 ~ 1907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병식 · 더보기 »

조운 (제도)

조운(漕運) 또는 운조(運漕)는 지방에서 조세로 거두어들인 곡식과 포백(布帛)을 수도로 운반하는 제도이며, 조전(漕轉)이라고도 하였.

새로운!!: 함경도와 조운 (제도) · 더보기 »

조승제 (목회자)

조승제(趙昇濟, 일본식 이름: 趙村昇濟, 1898년 ~ 1971년)는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승제 (목회자) · 더보기 »

조영무

조영무(趙英茂, 1338년 ~ 1414년 7월 28일)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영무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조 어진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317호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태조 어진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이 문서는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 더보기 »

조선 환조

이자춘(李子春, 1315년 ~ 1361년 6월 3일(음력 4월 30일))은 원의 관료이자 고려의 무신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 환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전시종교보국회

조선전시종교보국회(朝鮮戰時宗敎報國會)는 일제 강점기 말기에 일본제국의 군국주의에 협조할 목적으로 결성된 친일 종교 조직이.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전시종교보국회 · 더보기 »

조선족

조선족(朝鮮族)은 주로 1945년 이전 만주의 간도 지역으로 이주해 거주해온 한민족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민족이름으로 한민족(韓民族)이라는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한민족 전체를 일컫는 용어로 ‘조선족’이라는 용어를 사용.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족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함경도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족발 (요리)

족발(Jokbal)은 간장과 향신료를 곁들인 돼지 발 부분의 살을 익혀서 기름을 뺀 한국 요리이.

새로운!!: 함경도와 족발 (요리) · 더보기 »

중국조선말

중국 조선어(中國朝鮮語) 또는 재중 한국어(在中韓國語)는 중화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한민족 사이에서 쓰이는 한국어를 가리.

새로운!!: 함경도와 중국조선말 · 더보기 »

중완구

중완구(中碗口)는 보물 제858호로, 진주시 남성동 171-1 국립진주박물관에 있. 전장은 64.5cm, 통장은 20.5cm, 약실장은 44cm이며 구경은 23.5cm, 외경은 27.1cm(청동)이.

새로운!!: 함경도와 중완구 · 더보기 »

진흥왕

흥왕(眞興王, 526년~576년, 재위: 540년~576년)은 신라의 제24대 임금이.

새로운!!: 함경도와 진흥왕 · 더보기 »

진안대군

안대군(鎭安大君, 1354년 ~ 1394년 1월 15일(1393년 음력 12월 13일))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조선 초기의 왕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진안대군 · 더보기 »

지정

정(池淨, ? ~ 1453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지정 · 더보기 »

차사백

사백(車士伯, 1899년 ~ ?)은 한국의 교육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차사백 · 더보기 »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靑山里 戰鬪) 또는 청산리 대첩(靑山里 大捷)은 1920년 10월 김좌진, 나중소(羅仲昭), 서일, 이범석 등이 지휘하는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홍범도가 지휘하는 대한독립군, 대한신민단 예하 신민단 독립군 등 주축으로 활약한 만주 독립군 연합 부대가 중화민국 길림성 화룡현 청산리 백운평(白雲坪)·천수평(泉水坪)·완루구(完樓溝) 등지의 10여 차례에 간도에 출병한 일본 제국 육군과 전투를 벌인 총칭이.

새로운!!: 함경도와 청산리 전투 · 더보기 »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天主敎 德源自治修道院區, Territorial Abbacy of Tŏkwon)는 함경도를 관할하던 원산대목구가 분리되면서 덕원베네딕도 대수도원에 위탁된 한국천주교회의 자치수도원구이.

새로운!!: 함경도와 천주교 덕원자치수도원구 · 더보기 »

천주교 함흥교구

주교 함흥교구(天主敎 咸興敎區)는 함경도를 관할하는 한국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

새로운!!: 함경도와 천주교 함흥교구 · 더보기 »

척준경

척준경(拓俊京, ? ~ 1144년 음력 2월)은 고려 중기의 무신, 정치인, 군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척준경 · 더보기 »

충주 김씨

충주 김씨(忠州 金氏)는 충청북도 충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충주 김씨 · 더보기 »

춘생문 사건

생문 사건(春生門 事件)은 1895년 11월에 한성부에서 발생한 친러파, 친미파, 개화파 대 친일파 간의 무력 충돌 사건이.

새로운!!: 함경도와 춘생문 사건 · 더보기 »

추계 추씨

씨(秋溪 秋氏)는 경기도 용인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추계 추씨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유형원 · 더보기 »

윤동주

윤동주(尹東柱, 1917년 12월 30일 ~ 1945년 2월 16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윤동주 · 더보기 »

윤제동

윤제동(尹悌東, 1761년 2월 1일 - 1803년 3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윤제동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함경도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함경도와 윤웅렬 · 더보기 »

패강진

강진(浿江鎭)은 선덕왕대에 신라가 서북면에 설치한 군진(軍鎭) 또는 특수행정구역이.

새로운!!: 함경도와 패강진 · 더보기 »

팔도

조선 팔도 팔도(八道)는 1895년까지의 조선의 광역 행정 구역을 이르는 명칭이.

새로운!!: 함경도와 팔도 · 더보기 »

상평통보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조선시대에 주조된 화폐로 조선의 화폐 단위인 문(文)의 교환 수단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함경도와 상평통보 · 더보기 »

탈춤

은 한국의 각 지방에서 전해지는 탈을 쓰고 벌이는 전통 가면극을 말.

새로운!!: 함경도와 탈춤 · 더보기 »

순대

순대(Sundae)는 한국의 음식으로, 돼지의 곱창에 채소나 당면을 비롯한 각종 속을 채우고 선지로 맛과 색깔을 낸 후 수증기에 쪄내어 만. 남북한 모두에서 인기있는 길거리 음식이.

새로운!!: 함경도와 순대 · 더보기 »

순화군

순화군(順和君, 1580년 음력 10월 10일 ~ 1607년 음력 3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함경도와 순화군 · 더보기 »

수군

수군(水軍)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수상(水上) 무장력을 가리키던 단어이.

새로운!!: 함경도와 수군 · 더보기 »

영흥 최씨

영흥 최씨(永興 崔氏)는 함경남도 영흥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영흥 최씨 · 더보기 »

온 (성씨)

온(溫)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온 (성씨) · 더보기 »

옌볜 조선족 자치주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지역 지린 성(吉林省)의 자치주이.

새로운!!: 함경도와 옌볜 조선족 자치주 · 더보기 »

예맥

예맥(濊貊)은 고대 한민족의 종족명으로, 한반도 북부와 중국의 동북부에 살던 한민족(韓民族)의 근간이 되는 민족 중 하나로 보는 게 일반적이.

새로운!!: 함경도와 예맥 · 더보기 »

협계 태씨

협계 태씨(俠溪 太氏)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협계 태씨 · 더보기 »

현감

현감(縣監)은 조선 시대 현의 우두머리.

새로운!!: 함경도와 현감 · 더보기 »

최린

린(崔麟, 1878년 1월 25일 ~ 1958년 12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이.

새로운!!: 함경도와 최린 · 더보기 »

최재형

재형(崔在亨, 1860년 8월 15일 ~ 1920년 4월 7일)은 대한제국과 러시아 제국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최재형 · 더보기 »

최영

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제거하였다. 유교 사대부와 동맹을 맺은 이성계와 대립하다가 명나라가 서북면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주장하여 요동정벌군 총사령관 겸 팔도도통사에 임명되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의 반군에 의해 피살되었다. 우왕은 그의 서녀 영비 최씨를 자신의 후궁으로 삼았고, 이후 우왕의 정치적 후견인이 되었다. 평소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을 받들어 평생 여색과 재물을 멀리하였다. 사위는 사공민(司空敏)이고, 손녀 사위는 조선 초기에 좌의정을 역임한 재상 맹사성이다.

새로운!!: 함경도와 최영 · 더보기 »

최호 (1536년)

호(崔湖, 1536년 ~ 1597년 음력 7월 16일)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청난공신(淸難功臣) 2등으로 충원군에 봉해졌.

새로운!!: 함경도와 최호 (1536년) · 더보기 »

어 (성씨)

어(魚)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어 (성씨) · 더보기 »

어세공

어세공(魚世恭, 1432년 ~ 1486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어세공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함경도와 여진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함경도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연사종

연사종(延嗣宗, 1360년 ∼ 1434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연사종 · 더보기 »

헌병보조원

병보조원 (憲兵補助員)이란, 일본 제국이 1907년~1945년 해방이 되기까지 한민족을 탄압할 목적으로 만든 제도이.

새로운!!: 함경도와 헌병보조원 · 더보기 »

허봉

봉(許篈, 1551년~158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허봉 · 더보기 »

허영 (영화 감독)

영(許泳, 일본식 이름:日夏英太郞, 1908년 ~ 1952년 9월 9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영화 감독이.

새로운!!: 함경도와 허영 (영화 감독) · 더보기 »

엄 (성씨)

엄(嚴)씨는 중국과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엄 (성씨) · 더보기 »

산진달래

산진달래는 제주도, 함경도, 평안도의 깊은 산이나 고산에 나는 상록관목으로 높이는 1~2m 정도이.

새로운!!: 함경도와 산진달래 · 더보기 »

산철쭉

산철쭉은 함경도를 제외한 각처의 산지에 나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1~2m이.

새로운!!: 함경도와 산철쭉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함경도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선거이

선거이(宣居怡, 1550년 ~ 159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선거이 · 더보기 »

성진 즙씨

성진 즙씨(城津 汁氏) 또는 성진 십씨(城津 辻氏)는 함경북도 성진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성진 즙씨 · 더보기 »

세종실록 지리지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는 《세종실록》에 실린 지리지이.

새로운!!: 함경도와 세종실록 지리지 · 더보기 »

서북학회

서북학회(西北學會)는 대한제국 시기에 결성된 애국계몽운동 계열의 단체로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1월에 한성부에서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출신의 인사들이 조직.

새로운!!: 함경도와 서북학회 · 더보기 »

서일보

서일보(徐日輔, 1734년 5월 4일 - 1804년 1월 3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서일보 · 더보기 »

서유녕

서유녕(徐有寧, 1733년 8월 3일 - 1789년 5월 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서유녕 · 더보기 »

서영순 (1793년)

서영순(徐英淳, 1793년 ~ 185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관료이.

새로운!!: 함경도와 서영순 (1793년) · 더보기 »

서필원

서필원(徐必遠, 1614년 ~ 167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서필원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함경도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송상현 (1551년)

송상현 문집 송상현(宋象賢, 1551년 ~ 1592년 5월 25일(음력 4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이며 임진왜란 때의 장수이.

새로운!!: 함경도와 송상현 (1551년) · 더보기 »

송호성

송호성(1889년 ~ 1959년 3월 24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군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송호성 · 더보기 »

통일신라

통일신라(統一新羅)란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이후인 668년부터 후삼국 시대 직전의 신라이.

새로운!!: 함경도와 통일신라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함경도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함우치

우치(咸禹治, 1408년 ~ 1479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함우치 · 더보기 »

함흥읍도

흥읍도(咸興邑圖)는 조선시대 함경도 감영소재지였던 함흥 일대의 전경(全景)을 담은 일종의 회화식(繪畵式) 지도이.

새로운!!: 함경도와 함흥읍도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함태영 · 더보기 »

해정창 전투

정창 전투(海汀倉戰鬪)는 한극함(韓克諴)이 이끄는 조선군을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이끄는 일본군이 격파한 전투이.

새로운!!: 함경도와 해정창 전투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함경도와 한명회 · 더보기 »

한극함

극함(韓克諴, 생년 미상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관리이.

새로운!!: 함경도와 한극함 · 더보기 »

한국 무용

국 무용(韓國舞踊)은 한국의 전통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모든 종류의 무용을 말.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민속무용·가면무용·의식무용·창작무용 등으로 나눌 수 있. 한국 가면무용중의 하나인 봉산탈춤 한국 민속무용의 하나인 진도북.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 무용 · 더보기 »

한국 북부

국 북부(韓國北部)는 남북으로 긴 한국(한반도)을 북부·중부·남부로 크게 3등분할 때에 사용되는 말로, 위도상으로는 대략 북위(北緯) 39° ~ 43°에 해당하며, 흔히 '북부 지역'이라고 일컫.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 북부 · 더보기 »

한국 요리

국 요리(韓國料理)는 한국의 음식을 뜻. 복잡한 궁중 요리에서부터 지방의 특색 요리와 현대의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재료와 조리법이 매우 다양.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 요리 · 더보기 »

한국인의 밥상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의 교양 프로그램인 《한국인의 밥상》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인의 밥상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포유동물

국의 포유동물 또는 한국의 포유류는 총 7목 102종으로 분류하고 있. 한국 전체가 반도이므로 대륙의 대형포유동물과 해양의 대형 고래들이 서식.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의 포유동물 · 더보기 »

한국의 지방 구분

국의 지방 구분 한반도의 지방은 주로 산맥이나 강을 경계로 자연적으로 구분되기도 하고, 도(道) 단위의 행정구역을 경계로 지방을 지칭.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의 지방 구분 · 더보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청동기 일괄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약 1500년 부터 기원전 300년의 시기에 해당.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의 청동기 시대 · 더보기 »

한국의 행정 구역

국은 현재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두 정치체로 나뉘어 있.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어의 방언

방언별로 나타낸 ‘잠자리’를 뜻하는 낱말. 한국어의 방언에서는 한국어에 있는 방언을.

새로운!!: 함경도와 한국어의 방언 · 더보기 »

한장석

장석(韓章錫, 1832년 ~ 189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한장석 · 더보기 »

한중 관계

국과 중국 사이에서 관계의 역사는 매우 깊은데, 과거부터 고구려와 백제, 신라는 양나라, 당나라 등과 문화, 무역 교류를 하였.

새로운!!: 함경도와 한중 관계 · 더보기 »

한확

확(韓確, 1400년 ~ 1456년 음력 9월 11일)은 조선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외교관이며 명나라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한확 · 더보기 »

안변 한씨

안변 한씨(安邊 韓氏)는 함경남도 안변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안변 한씨 · 더보기 »

안주 범씨

안주 범씨(安州 凡氏)씨는 평안남도 안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안주 범씨 · 더보기 »

안상덕

안상덕(安商悳, 일본식 이름: 安國商悳, 1880년 7월 22일 ~ 1950년 11월 23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천도교 지도자이.

새로운!!: 함경도와 안상덕 · 더보기 »

하륜

(河崙, 1348년 1월 22일(1347년 음력 12월 22일) ~ 1416년 11월 24일(음력 11월 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하륜 · 더보기 »

아방강역고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는 조선 순조(純祖) 때의 실학자인 정약용이 저술한 한국의 역대 강역에 대한 연구서이.

새로운!!: 함경도와 아방강역고 · 더보기 »

아바이마을

아바이마을은 강원도 속초시 청호동에 위치한 함경도 출신 실향민들의 집단촌이.

새로운!!: 함경도와 아바이마을 · 더보기 »

아가씨

《아가씨》()는 박찬욱이 감독하고 정서경과 공동 각본을 쓴 2016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심리 스릴러 영화이.

새로운!!: 함경도와 아가씨 · 더보기 »

필성뢰

성뢰(弼聖賚, 1752년 ∼ ?)는 조선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함경도와 필성뢰 · 더보기 »

식객

《식객》(食客)은 만화가 허영만 화백의 작품으로, 갖가지 음식 및 요리 재료를 주제로 한 만화이.

새로운!!: 함경도와 식객 · 더보기 »

신 (성씨)

신(申, 辛, 愼)씨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 (성씨)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함경도와 신라 · 더보기 »

신류

신류(申瀏, 1619년~1680년)는 조선의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류 · 더보기 »

신면

신면(申㴐, 또는 申沔, 1438년 ~ 1467년 5월 22일)는 조선전기의 문신, 군인으로 신숙주의 차남이며 좌의정 신용개의 아버지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면 · 더보기 »

신고산타령

신고산타령(新高山--) 또는 어랑타령은 개화기에 지어진 함경도 민요의 하나로, 현대 문명에 대한 반발과 시골 처녀의 마음이 들뜨기 시작한다는 내용을 담은.

새로운!!: 함경도와 신고산타령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청

신청(神廳)은 무당을 도와서 음악연주를 담당했던 무부계의 사무를 관장하는 곳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청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숙주 · 더보기 »

신안 주씨

신안 주씨(新安 朱氏) 또는 능성 주씨(綾城 朱氏)는 중국에서 유래한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함경도와 신안 주씨 · 더보기 »

심능악

심능악(沈能岳, 1766년 ~ 184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유한(維翰),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능악 · 더보기 »

심의겸

심의겸(沈義謙, 1535년 ~ 1587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척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의겸 · 더보기 »

심순경

심순경(沈順徑, 1462년 ~ 1542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이자 공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순경 · 더보기 »

심순택

심순택(沈舜澤, 1824년 ~ 1906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순택 · 더보기 »

심영 (1910년)

심영(沈影, 1910년 9월 3일 또는 1909년 ~ 1971년 7월 24일 또는 1973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극배우이자 영화배우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수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영 (1910년) · 더보기 »

심언광

심언광(沈彦光, 1487년 ~ 154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언광 · 더보기 »

심열

심열(沈悅, 1569년 ~ 1646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열 · 더보기 »

심사손

심사손(沈思遜, 1493년 12월 25일 ~ 1528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다른 이름은 심사손(沈士遜)이.

새로운!!: 함경도와 심사손 · 더보기 »

원균

원균(元均, 1540년 2월 12일 (음력 1월 5일) ~ 1597년 8월 27일 (음력 7월 15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으로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장수들 중의 한사람이.

새로운!!: 함경도와 원균 · 더보기 »

원삼국 시대

원삼국 시대(原三國時代)는 기원 전후로부터 기원후 2세기 중반까지의 초기 철기 시대 이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는 고조선이 멸망 또는 쇠퇴하고 부여가 건국되는 시기부터 삼국이 건립된 이후의 2세기에서 3세기에 걸친 시기에 해당.

새로운!!: 함경도와 원삼국 시대 · 더보기 »

훙치허 전투

훙치허 전투(紅旗河 戰鬪)는 1940년 3월 25일 김일성의 조선인민혁명군 부대가 허룽현 훙치허에 주둔중이던 일본 제국의 마에다 부대와 벌인 전.

새로운!!: 함경도와 훙치허 전투 · 더보기 »

황정

황정(黃晸, 1689년 ~ 175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함경도와 황정 · 더보기 »

왜성 (건조물)

울산성 전투를 그린 일본의 병풍화 왜성(倭城)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시 일본군에 의해 한반도 남부 각지에 축조된 일본식 성곽을 말.

새로운!!: 함경도와 왜성 (건조물) · 더보기 »

완천군 (1373년)

완천군 이숙(完川君 李淑, 1373년 ~ 1406년 10월 17일)은 고려(高麗) 말기의 선비이자 조선(朝鮮) 초기의 왕족 종실(王族 宗室), 무신(武臣), 문신(文臣), 정치인(政治人), 좌명공신(佐命功臣)이.

새로운!!: 함경도와 완천군 (1373년) · 더보기 »

완풍대군

완풍대군(完豊大君, 1330년 ~ 1388년 10월 23일) 또는 완산군(完山君)은 고려 시대 후기의 무신·군인·관료·시인 이며 환조 이자춘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이름은 이원계(李元桂), 호(號)는 불사재(不思齋)이.

새로운!!: 함경도와 완풍대군 · 더보기 »

105인 사건

105인 사건(百五人事件)은 1911년에 일어난 일본이 한국의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사건들 중 하나이.

새로운!!: 함경도와 105인 사건 · 더보기 »

13도 창의군

13도 창의군(倡義軍)은 대한제국의 항일의병 조직이.

새로운!!: 함경도와 13도 창의군 · 더보기 »

1854년

185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함경도와 1854년 · 더보기 »

1889년

188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함경도와 1889년 · 더보기 »

2011년 상반기 한국 동해안 폭설

2011년 상반기 한국 동해안 폭설은 2011년 1월부터 함경도에서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동해안 지역의 폭설이.

새로운!!: 함경도와 2011년 상반기 한국 동해안 폭설 · 더보기 »

24개돌 유적

24개돌 유적은, 발해의 옛 건축 유적이.

새로운!!: 함경도와 24개돌 유적 · 더보기 »

8

8(팔)은 7보다 크고 9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함경도와 8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북관, 함경, 함경도 지방, 함길도.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