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헌덕왕

색인 헌덕왕

경주시 동천동의 헌덕왕릉 (사적 29호) 헌덕왕(憲德王, ? ~ 826년, 재위: 809년 ~ 826년)은 신라의 제41대 왕이.

74 처지: 도굴산문, 도의, 도윤, 동리산문, 동성혼, 백거이, 개부의동삼사, 발해 간왕, 발해 희왕, 발해 정왕, 발해 선왕, 가지산 (경상도), 가지산문, 경주 망덕사지, 경주 이차돈 순교비, 경주 전 민애왕릉, 경주 헌덕왕릉, 경주시의 문화재, 근친혼, 김범문, 김균정, 김주원, 김충공, 김헌창, 녹진, 단속사지, 흥덕왕, 이벌찬, 이차돈, 일길찬, 은해사, 상대등,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혼인, 혜충태자, 사자산문, 삼국 시대의 불교, 삼국사기, 석남사 (울주군), 성주산문, 통일신라의 불교, 애장왕, 한국 불교의 종파, 한국 불교의 역사, 한산주, 신라도, 신라의 불교, 신라의 역대 국왕, 신라의 역대 왕비, 신행 (신라), ..., 심지 (신라), 시중 (신라의 관직), 원성왕, 웅천주, 홍척,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809년, 810년, 811년, 812년, 813년, 814년, 815년, 816년, 817년, 818년, 819년, 820년, 821년, 822년, 823년, 824년, 825년, 82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4 더) »

도굴산문

산문, 도굴산파, 사굴산문(闍崛山門) 또는 사굴산파(闍崛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헌덕왕와 도굴산문 · 더보기 »

도의

승려 도의 도의(道義: fl. 821)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헌덕왕와 도의 · 더보기 »

도윤

윤(道允, 798년 ~ 868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헌덕왕와 도윤 · 더보기 »

동리산문

동리산문(桐裡山門) 또는 동리산파(桐裡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헌덕왕와 동리산문 · 더보기 »

동성혼

동성혼(同姓婚)은 같은 성씨(姓氏)를 가진 사람이 서로 혼인하는 것을 말.

새로운!!: 헌덕왕와 동성혼 · 더보기 »

백거이

백거이(白居易, 772년 ~ 846년) 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었.

새로운!!: 헌덕왕와 백거이 · 더보기 »

개부의동삼사

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는, 고대 중국의 관직의 이름이.

새로운!!: 헌덕왕와 개부의동삼사 · 더보기 »

발해 간왕

발해 간왕 대명충(渤海 簡王 大明忠, ? ~ 818년, 재위: 817년 ~ 818년)은 발해의 제9대 왕이.

새로운!!: 헌덕왕와 발해 간왕 · 더보기 »

발해 희왕

발해 희왕 대언의(渤海 僖王 大言義, ? ~817년, 재위: 812년~817년)는 발해의 제8대 왕으로, 강왕의 아들이며 정왕의 동생이.

새로운!!: 헌덕왕와 발해 희왕 · 더보기 »

발해 정왕

발해 정왕 대원유(渤海 定王 大元瑜, ? ~812년, 재위: 809년~812년)는 발해의 제7대 왕으로, 강왕의 아들이.

새로운!!: 헌덕왕와 발해 정왕 · 더보기 »

발해 선왕

발해 선왕 대인수(渤海 宣王 大仁秀, ? ~ 830년, 재위: 818년 ~ 830년)는 발해의 제10대 왕으로, 대야발 계통의 첫 왕이.

새로운!!: 헌덕왕와 발해 선왕 · 더보기 »

가지산 (경상도)

산(迦智山)은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청도군의 경계에 있는 산이.

새로운!!: 헌덕왕와 가지산 (경상도) · 더보기 »

가지산문

산문(迦智山門) 또는 가지산파(迦智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헌덕왕와 가지산문 · 더보기 »

경주 망덕사지

경주 망덕사지(慶州 望德寺址)는, 경상북도 경주시 낭산의 기슭에 있는 절터이.

새로운!!: 헌덕왕와 경주 망덕사지 · 더보기 »

경주 이차돈 순교비

경주 이차돈 순교비(慶州 異次頓 殉敎碑)는 신라 법흥왕 14년(527년)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이차돈을 추모하고자 건립한 석비(石碑)이.

새로운!!: 헌덕왕와 경주 이차돈 순교비 · 더보기 »

경주 전 민애왕릉

경주 전 민애왕릉(慶州 傳 閔哀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에 있는, 신라 제44대 민애왕(838∼839)의 무덤이.

새로운!!: 헌덕왕와 경주 전 민애왕릉 · 더보기 »

경주 헌덕왕릉

덕왕릉(憲德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있는, 신라 제41대 헌덕왕의 무덤이.

새로운!!: 헌덕왕와 경주 헌덕왕릉 · 더보기 »

경주시의 문화재

음은 대한민국 경주시의 지정 문화재 목록이.

새로운!!: 헌덕왕와 경주시의 문화재 · 더보기 »

근친혼

혼(近親婚)은 혼인의 상대가 친가, 외가 모두 가까운 친척으로 근친(近親) 혈족이거나, 재혼의 상대가 전(前) 배우자의 근친인 혼인을 말. 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신라의 왕실이나 귀족층에서 골품제도의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근친혼이 성행하였.

새로운!!: 헌덕왕와 근친혼 · 더보기 »

김범문

범문(金梵文, ?~825년)은 신라의 왕족이.

새로운!!: 헌덕왕와 김범문 · 더보기 »

김균정

__목차숨김__ 김균정(金均貞, ? ~ 836년)은 신라 말기 왕족이.

새로운!!: 헌덕왕와 김균정 · 더보기 »

김주원

주원(金周元)은 강릉 김씨 세보에 따르면 신라의 귀족으로 태종무열왕의 셋째 아들 김문왕의 6대손이.

새로운!!: 헌덕왕와 김주원 · 더보기 »

김충공

충공(金忠恭, ? - 835년)은 통일 신라 하대의 왕손 출신 문신, 정치인, 왕태자로, 원성왕의 손자이자, 혜충태자 인겸의 아들이.

새로운!!: 헌덕왕와 김충공 · 더보기 »

김헌창

창(金憲昌, ? ~ 822년 음력 3월)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안국의 자칭 왕으로 태종 무열왕의 후손인 김주원의 아들이.

새로운!!: 헌덕왕와 김헌창 · 더보기 »

녹진

녹진(祿眞)은 신라 헌덕왕 때의 문신이.

새로운!!: 헌덕왕와 녹진 · 더보기 »

단속사지

속사지(斷俗寺址)는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333번지 마을 한가운데 단속사터를 말.

새로운!!: 헌덕왕와 단속사지 · 더보기 »

흥덕왕

흥덕왕(興德王, 777년~836년, 재위: 826년~836년)은 신라의 제42대 왕이.

새로운!!: 헌덕왕와 흥덕왕 · 더보기 »

이벌찬

이벌찬(伊伐湌)은 신라의 17관등(官等)의 제1등으로 이찬의 위이.

새로운!!: 헌덕왕와 이벌찬 · 더보기 »

이차돈

이차돈(異次頓, 506년~527년 9월 15일(음력 8월 5일))은, 신라 법흥왕(法興王)의 근신이.

새로운!!: 헌덕왕와 이차돈 · 더보기 »

일길찬

일길찬(一吉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헌덕왕와 일길찬 · 더보기 »

은해사

은해사(銀海寺)는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헌덕왕와 은해사 · 더보기 »

상대등

상대등(上大等)은 신라의 중앙 관제에서 최고위 관직이.

새로운!!: 헌덕왕와 상대등 · 더보기 »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永川 銀海寺 雲浮庵 金銅菩薩坐像)은 경상북도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은해사 운부암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헌덕왕와 영천 은해사 운부암 금동보살좌상 · 더보기 »

혼인

서양의 결혼식 혼인(婚姻)은 가족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으로, 쌍방간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지는 법률행위이.

새로운!!: 헌덕왕와 혼인 · 더보기 »

혜충태자

혜충태자(惠忠太子, 750년경(?) - 791년/792년 1월)는 신라하대의 왕족, 왕세자로 본명은 인겸(仁謙)이.

새로운!!: 헌덕왕와 혜충태자 · 더보기 »

사자산문

사자산문(獅子山門) 또는 사자산파(獅子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헌덕왕와 사자산문 · 더보기 »

삼국 시대의 불교

이 문서는 한국 역사에서 고구려백제신라의 삼국 시대에 전개된 불교를 설명.

새로운!!: 헌덕왕와 삼국 시대의 불교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헌덕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석남사 (울주군)

석남사(石南寺)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사찰이.

새로운!!: 헌덕왕와 석남사 (울주군) · 더보기 »

성주산문

성주산문(聖住山門) 또는 성주산파(聖住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헌덕왕와 성주산문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헌덕왕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애장왕

애장왕(哀莊王, 788년 ~ 809년, 재위: 800년 ~ 809년)은 신라의 제40대 왕이.

새로운!!: 헌덕왕와 애장왕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종파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한국 불교에서는 때로는 새로운 종파가 성립되기도 하고 때로는 기존의 종파들이 통합되기도 하면서 여러 종파들이 성립발전하였.

새로운!!: 헌덕왕와 한국 불교의 종파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헌덕왕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헌덕왕와 한산주 · 더보기 »

신라도

신라도(新羅道, Silla-Do)는 남북국 시대때 신라와 발해가 서로 오가던 대외교통로서 현재 국도 제1호선에 해당.

새로운!!: 헌덕왕와 신라도 · 더보기 »

신라의 불교

신라의 불교에 대한 전래 기록으로는, 제13대 미추왕(味鄒王) 2년(263)에 고구려의 승려아도(阿道)가 와서 불교를 전했다는 설, 19대 눌지왕(訥祗王: 재위 417∼458) 때 고구려의 승려 묵호자(墨胡子)가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러 불교를 선양했다는 설, 21대 소지왕(炤知王: 재위 479∼500) 때 승려 아도(我道)가 시자(侍者) 3인과 같이 모례(毛禮)의 집에 있다가 아도는 먼저 가고 시자들은 포교했다는 설 등이 있으나 어느 것이 맞는지 알 수 없. 이와 같이 불교의 전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민승(民僧)이 들어와 공식외교를 통하지 않고 포교를 한 것이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 와의 차이점이.

새로운!!: 헌덕왕와 신라의 불교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헌덕왕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왕비

음은 신라의 왕비 연대표이.

새로운!!: 헌덕왕와 신라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신행 (신라)

신행(愼行, 704년 ~ 779년 10월 21일)은, 신라의 선종 승려이.

새로운!!: 헌덕왕와 신행 (신라) · 더보기 »

심지 (신라)

심지(心地, ?~?)는, 9세기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헌덕왕와 심지 (신라)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헌덕왕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원성왕

원성왕(元聖王, ? ~ 798년 음력 12월 29일/양력 799년 2월 8일, 재위: 785년 2월 26일(음력 1월 13일) ~ 798년 음력 12월 29일)은 신라의 제38대 왕이.

새로운!!: 헌덕왕와 원성왕 · 더보기 »

웅천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웅천주(熊川州),또는 웅주(熊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헌덕왕와 웅천주 · 더보기 »

홍척

홍척(洪陟, ? ~ ?)은 신라 말기의 승려이.

새로운!!: 헌덕왕와 홍척 · 더보기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和順 雙峯寺 澈鑒禪師塔碑)는 전라남도 화순군 쌍봉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비석이.

새로운!!: 헌덕왕와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더보기 »

8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09년 · 더보기 »

8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0년 · 더보기 »

8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1년 · 더보기 »

8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2년 · 더보기 »

8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3년 · 더보기 »

8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4년 · 더보기 »

8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5년 · 더보기 »

8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6년 · 더보기 »

8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7년 · 더보기 »

8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8년 · 더보기 »

8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19년 · 더보기 »

820년

이것은 820년때의 세계를 알려주는 지도이다.

새로운!!: 헌덕왕와 820년 · 더보기 »

8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21년 · 더보기 »

8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22년 · 더보기 »

8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23년 · 더보기 »

8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24년 · 더보기 »

8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25년 · 더보기 »

8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헌덕왕와 82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언승, 신라 헌덕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