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홍유릉

색인 홍유릉

홍릉과 유릉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이.

39 처지: 덕인당 김씨, 덕혜옹주, 명과 청 시대의 황릉, 명성황후, 경릉 (조선 헌종), 고영근, 귀인 장씨, 대한민국의 사적 (제201호 ~ 제300호),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남양주시, 회인원, 이방자, 이우 (1915년), 의민태자, 의친왕, 을미사변, 전주 경기전 정전,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조선왕릉, 조선왕릉관리소 동부지구관리소, 유릉, 유병호, 윤덕영, 순명비 유강원 석물, 순명효황후, 순정효황후, 영원, 삼축당 김씨, 서울전차, 서삼릉,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홍릉, 홍유릉, 홍유릉관리소, 왕실문화원.

덕인당 김씨

덕인당 김씨(德仁堂 金氏, 이름은 김숙(金淑) 또는 김수덕(金修德), 1880년 12월 22일 ~ 1964년 1월 14일)는 고종의 서자(庶子)이고 순종의 이복 서제(異服 庶弟)인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前 대한제국 대리청정공 겸 대한적십자사 총재의 아내이.

새로운!!: 홍유릉와 덕인당 김씨 · 더보기 »

덕혜옹주

덕혜옹주(德惠翁主, 1912년 5월 25일 ~ 1989년 4월 21일)는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였던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난 고명딸이.

새로운!!: 홍유릉와 덕혜옹주 · 더보기 »

명과 청 시대의 황릉

명·청 황가의 능침()은 중국의 황조인 명과 청 및 청의 전신 후금의 25명의 황제의 능묘를 포함한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물건의 고분군을 말. 2000년에 최초로 3건이 등록된 이후, 2003년과 2004년에 여러 건이 추가등록 되었.

새로운!!: 홍유릉와 명과 청 시대의 황릉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홍유릉와 명성황후 · 더보기 »

경릉 (조선 헌종)

경릉(景陵)은 조선 제24대 왕인 헌종과 정비 효현왕후 김씨, 계비 효정왕후 홍씨의 능이.

새로운!!: 홍유릉와 경릉 (조선 헌종) · 더보기 »

고영근

영근(高永根, 1853년 ~ 1923년)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개화파 정치인이며 종2품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관료였.

새로운!!: 홍유릉와 고영근 · 더보기 »

귀인 장씨

인 장씨(貴人 張氏, 생몰년 미상)는 조선 고종의 후궁이.

새로운!!: 홍유릉와 귀인 장씨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제201호 ~ 제3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홍유릉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201호 ~ 제300호)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홍유릉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홍유릉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음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이.

새로운!!: 홍유릉와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홍유릉와 남양주시 · 더보기 »

회인원

회인원(懷仁園)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회은황세손 이구의 원(園)이며,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권역 내 영원 옆에 자리잡고 있. 2005년 일본에서 훙서하자 창덕궁 낙선재으로 운구해 안치하였다가 국장을 지내고, 이해 문화재청과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의 주최로 남양주시 금곡동 홍유릉 권역 내 영원 옆에 예장하였.

새로운!!: 홍유릉와 회인원 · 더보기 »

이방자

이방자(李方子, 1901년 11월 4일 ~ 1989년 4월 30일)는 일본 제국의 황족이자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의민태자 은(懿愍太子 垠)의 비이.

새로운!!: 홍유릉와 이방자 · 더보기 »

이우 (1915년)

이우(李堣, 1915년 8월 20일 ~ 1916년 7월 25일)는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의 아홉번째 아들이.

새로운!!: 홍유릉와 이우 (1915년) · 더보기 »

의민태자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대한제국의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

새로운!!: 홍유릉와 의민태자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유릉와 의친왕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홍유릉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전주 경기전 정전

전주 경기전 정전(全州 慶基殿 正殿)은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전주 한옥마을 부근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묘사(廟祠)이.

새로운!!: 홍유릉와 전주 경기전 정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비

조선의 왕비와 대한제국의 황후(朝鮮의 王妃와 大韓帝國의 皇后)는 조선 시대 국왕이나 대한제국 황제의 정실 부인(正宮)으로서 중궁(中宮)의 자리에 있던 사람을 말. 흔히 중전(中殿, 중궁전의 준말)이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내전(內殿), 곤전(坤殿), 곤위(壼位), 곤극(壼極), 성녀(聖女)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왕비의 자리에 오르는 것에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었는데, 일반적으로는 국가에서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간택 절차를 거쳐 세자빈에 책봉되면 훗날 세자인 남편이 왕위에 올라 자신도 왕비가 되는 것이었.

새로운!!: 홍유릉와 조선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대비

조선의 왕대비(朝鮮의 王大妃)는 조선 시대 왕비의 지위(地位) 중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임금의 어머니를 말. 흔히 대비(大妃, 왕대비의 준말)라고 하며 이외에도 국모(國母), 모후(母后), 자성(慈聖), 자전(慈殿), 자위(慈闈) 등의 여러 이칭이 있.

새로운!!: 홍유릉와 조선의 역대 왕대비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왕세자빈(王世子嬪)은 조선에서 왕세자의 정배(正配, 嫡室)에게 내린 작위이.

새로운!!: 홍유릉와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홍유릉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선왕릉관리소 동부지구관리소

조선왕릉관리소 동부지구관리소(朝鮮王陵管理所 東部地區管理所)는 조선왕릉관리소의 사무를 분장하는 소속기관이.

새로운!!: 홍유릉와 조선왕릉관리소 동부지구관리소 · 더보기 »

유릉

유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홍유릉와 유릉 · 더보기 »

유병호

유병호(劉炳虎, 1967년 5월 26일, 경상남도 산청군 ~)는 대한민국의 기술사이고 시민사회활동가, 건설분쟁 조정전문가, 정치인이며, 2007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국가기술자격정책 심의위원회 전문위원과 경기도건설기술심의 위원, 남양주시의정감시단 단장을 맡고 있.

새로운!!: 홍유릉와 유병호 · 더보기 »

윤덕영

윤덕영(尹德榮, 1873년 12월 27일 ~ 1940년 10월 18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로, 본관은 해평이.

새로운!!: 홍유릉와 윤덕영 · 더보기 »

순명비 유강원 석물

순명비 유강원 석물(純明妃 裕康園 石物)은 대한제국 순종의 비 순명효황후의 옛 무덤인 유강원이 조성되었을 때 만들어진 돌 조각상이.

새로운!!: 홍유릉와 순명비 유강원 석물 · 더보기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 閔氏, 1872년 11월 20일(음력 10월 20일) ~ 1904년 11월 5일(음력 9월 28일))는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정후(正后)이.

새로운!!: 홍유릉와 순명효황후 · 더보기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년 양력 9월 19일(음력 8월 20일) ~ 1966년 양력 2월 3일)는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였.

새로운!!: 홍유릉와 순정효황후 · 더보기 »

영원

영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홍유릉와 영원 · 더보기 »

삼축당 김씨

삼축당 김씨(三祝堂 金氏, 1890년 ~ 1970년 9월 23일)는 대한제국 고종의 8번째 후궁이.

새로운!!: 홍유릉와 삼축당 김씨 · 더보기 »

서울전차

일제강점기 보신각 앞을 지나는 서울전차 서울전차(서울電車)는 1899년부터 1968년까지 서울 시내에서 운행하던 노면전차를 통칭하는 표현이.

새로운!!: 홍유릉와 서울전차 · 더보기 »

서삼릉

서삼릉(西三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희릉, 효릉, 예릉의 세 능(三陵)이.

새로운!!: 홍유릉와 서삼릉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홍유릉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홍릉

홍릉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홍유릉와 홍릉 · 더보기 »

홍유릉

홍릉과 유릉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이.

새로운!!: 홍유릉와 홍유릉 · 더보기 »

홍유릉관리소

홍유릉관리소(洪裕陵管理所)는 사적 207호로 지정된 대한제국 황제의 묘인 홍릉과 유릉을 보호·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재청 소속기관으로 홍유릉관리소장(6급)은 행정주사ㆍ임업주사 또는 시설주사로 보. 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에 위치하고 있. 세계유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2012년 9월 12일 조선왕릉관리소 소속 지구관리소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

새로운!!: 홍유릉와 홍유릉관리소 · 더보기 »

왕실문화원

왕실문화원(王室文化院, Korean Monarchy Culture Institute)은 600년을 이어온 한국의 왕실문화를 계승, 발전하기 위해 뜻을 함께하는 사회인사들이 자발적으로 모인 단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139번지 이화회관(李花會館) 내에 있.

새로운!!: 홍유릉와 왕실문화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남양주 홍릉과 유릉, 영원 (무덤), 홍릉 (대한제국), 홍릉·유릉.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