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홍종우

색인 홍종우

홍종우 홍종우(洪鍾宇, 1850년 ~ 1913년)는 조선의 문신이며 대한제국의 근왕주의 개화파 정치인이.

28 처지: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메이지 천황, 민영소, 갑신정변, 박중양, 박영효, 김옥균, 김옥균 암살 사건, 대원군 (드라마), 이규완, 이승만, 이해창 (1865년), 이하전, 정난교, 조선의 과거 제도, 청일 전쟁, 유길준, 유혁로, 윤치호, 함태영, 한불 관계, 한국사 전, 신응희, 황국협회, 황옥 (1885년), 왕도의 개, 1890년, 1894년.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독립문(獨立門)은 KBS1TV에서 1984년 1월 1일부터 1984년 12월 30일까지 방영되었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홍종우와 독립문 (1984년 드라마) · 더보기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새로운!!: 홍종우와 메이지 천황 · 더보기 »

민영소

민영소(閔泳韶, 1852년 ~ 1917년)는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홍종우와 민영소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홍종우와 갑신정변 · 더보기 »

박중양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새로운!!: 홍종우와 박중양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홍종우와 박영효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홍종우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옥균 암살 사건

옥균 암살 당시 일본의 어느 신문사에 실린 기사와 삽화 김옥균 암살 사건(金玉均 暗殺 事件)은 1894년(고종 31년) 3월 28일 조선 개화파 거물 김옥균이 청나라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 의해 저격, 피살된 사건이.

새로운!!: 홍종우와 김옥균 암살 사건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홍종우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홍종우와 이규완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홍종우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해창 (1865년)

이해창(李海昌, 1865년 10월 15일 ~ 1945년 3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민족계몽운동과 교육사업에 힘썼.

새로운!!: 홍종우와 이해창 (1865년)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홍종우와 이하전 · 더보기 »

정난교

정난교(鄭蘭敎, 1863년 1월 23일 ~ 1944년 12월 28일)는 조선 후기,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홍종우와 정난교 · 더보기 »

조선의 과거 제도

이 문서는 조선 시대(朝鮮時代)의 과거 제도(科擧制度)를.

새로운!!: 홍종우와 조선의 과거 제도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홍종우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홍종우와 유길준 · 더보기 »

유혁로

유혁로(柳赫魯 / 柳赫老, 1851년 3월 9일 ~ 1945년 5월 15일)는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의 무신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홍종우와 유혁로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홍종우와 윤치호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홍종우와 함태영 · 더보기 »

한불 관계

국과 프랑스의 관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 프랑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상임이사국, 주요 8개국 정상회의(G8, Group of 8) 회원국, 세계 제6위 경제 대국,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통합의 주도국으로서 한국 안보·경제 외교의 주요 협력 파트너 역할을 하고 있. 프랑스는 유럽연합 국가 중 한국의 제5위 교역국이자 제4위 투자국의 위치에 있. 한불관계의 시작점은 조선 시대 후기로 거슬러 올. 조선 후기에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포함된 천주교신자들을 조선정부가 탄압(병인박해)하면서 외교문제가 되었고 이를 빌미로 프랑스군대와 조선군이 격돌하는 사건 - 병인양요 - 이 일어.

새로운!!: 홍종우와 한불 관계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홍종우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신응희

신응희(申應熙, 1858년/1859년 11월 2일 ~ 1928년 2월 12일)는 조선 후기·대한제국의 무신,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홍종우와 신응희 · 더보기 »

황국협회

황국협회(皇國協會)는 대한제국의 근왕적 관료들이 독립협회를 견제하기 위해 1898년 6월 30일 보부상들을 내세워 조직한 정치·경제 단체이.

새로운!!: 홍종우와 황국협회 · 더보기 »

황옥 (1885년)

frame 황옥(黃鈺, 1885년 ~ ?)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새로운!!: 홍종우와 황옥 (1885년) · 더보기 »

왕도의 개

《왕도의 개》()는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만화 작품이.

새로운!!: 홍종우와 왕도의 개 · 더보기 »

1890년

189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종우와 1890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종우와 1894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