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홍진

색인 홍진

홍진(洪震/洪鎭, 1877년 10월 3일(음력 8월 27일) ~ 1946년 9월 9일)은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1926년 7월부터 1926년 12월까지 제5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국무령을.

43 처지: 류운룡, 류성룡, 방순희,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목록, 법관양성소, 김구, 김승학, 김종선, 김성숙 (1898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대한민국의 역사, 국민부, 나석주, 낙산장,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동녕, 이광 (1879년), 이장녕, 이조, 이애라, 음력 8월 27일, 정신 (1898년), 조봉암, 조소앙, 조시원, 차이석, 허준, 풍산 홍씨, 손정도, 송병조, 한국독립군,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1930년), 안창호, 신숙, 홍진 (동음이의), 10월 3일, 1877년, 1926년, 1930년, 1931년.

류운룡

운룡(柳雲龍, 1539년 ~ 1601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홍진와 류운룡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홍진와 류성룡 · 더보기 »

방순희

방순희(方順熙, 1904년 1월 30일 ~ 1979년 5월 4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

새로운!!: 홍진와 방순희 · 더보기 »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목록

민국의 독립에 끼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중 독립장(獨立章)을 받은 독립유공자를 다룬 문서이.

새로운!!: 홍진와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목록 · 더보기 »

법관양성소

법관양성소(法官養成所)는 조선 말기에 설립되어 대한제국 시기 동안 존속했던 법률 교육 기관이.

새로운!!: 홍진와 법관양성소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홍진와 김구 · 더보기 »

김승학

승학(金承學, 1881년 7월 12일 ~ 1965년 12월 17일)은 한국의 교육자, 군인,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김승학 · 더보기 »

김종선

종선(金鍾善, 1898년 전남 ~ 1950년 10월 13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홍진와 김종선 · 더보기 »

김성숙 (1898년)

성숙(金星淑, 1898년 3월 10일 ~ 1969년 4월 12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불교 승려 겸 정치가이.

새로운!!: 홍진와 김성숙 (1898년)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새로운!!: 홍진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민국 임시정부의 각료는 1919년 4월부터 1948년 7월 22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복무하였던 각료들의 명단이.

새로운!!: 홍진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각료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존재하던 기간의 대통령, 국무령, 주석의 명단이.

새로운!!: 홍진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반 목록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민국은 해방이후 3년간의 미국, 소련의 신탁통치 중 신탁통치 후 정권을 잡으려는 세력간의 치열한 항쟁을 거쳐 김구, 이승만을 중심으로 하는 "임시정부" 세력이 주도권을 잡으면서 시작.

새로운!!: 홍진와 대한민국의 역사 · 더보기 »

국민부

국민부(國民府)는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군정부(軍政府)이.

새로운!!: 홍진와 국민부 · 더보기 »

나석주

석주(羅錫疇, 1892년 ~ 1926년 12월 28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나석주 · 더보기 »

낙산장

낙산장(駱山莊)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에 위치하던 기와집으로,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인 조성환과 신익희의 자택이.

새로운!!: 홍진와 낙산장 · 더보기 »

이 달의 독립운동가

이 달의 독립운동가는 대한민국 국가보훈처가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명단이.

새로운!!: 홍진와 이 달의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동녕

이동녕(李東寧, 1869년 2월 17일 ~ 1940년 3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언론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였.

새로운!!: 홍진와 이동녕 · 더보기 »

이광 (1879년)

이광(李光, 1879년 ~ 1966년)은 대한민국의 항일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이광 (1879년) · 더보기 »

이장녕

이장녕(李章寧, 1881년 음력 5월 20일 ~ 1932년 양력 1월 24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이장녕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홍진와 이조 · 더보기 »

이애라

이애라(李愛羅, 1894년 1월 7일 ~ 1921년 9월 4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이애라 · 더보기 »

음력 8월 27일

음력 8월 27일은 음력 8월의 27번째 날이.

새로운!!: 홍진와 음력 8월 27일 · 더보기 »

정신 (1898년)

정신(鄭信, 1898년 ~ 1931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정신 (1898년) · 더보기 »

조봉암

조봉암(曺奉岩, 1898년 9월 25일 ~ 1959년 7월 31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홍진와 조봉암 · 더보기 »

조소앙

조소앙(趙素昻, 1887년 4월 30일 ~ 1958년 9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교육자이.

새로운!!: 홍진와 조소앙 · 더보기 »

조시원

조시원(趙時元, 1904년 10월 23일 ~ 1982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조시원 · 더보기 »

차이석

이시영 차이석(車利錫, 1881년 ~ 1945년 9월)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홍진와 차이석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홍진와 허준 · 더보기 »

풍산 홍씨

풍산 홍씨(豊山 洪氏)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홍진와 풍산 홍씨 · 더보기 »

손정도

이시영 사이) 손정도(孫貞道, 1872년 7월 26일 ~ 1931년 2월 19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감리교 목사이.

새로운!!: 홍진와 손정도 · 더보기 »

송병조

이시영 송병조(宋秉祚, 1877년 12월 23일 - 1942년 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송병조 · 더보기 »

한국독립군

국독립군(韓國獨立軍)은 일제강점기 북만주 지역에서 창립, 활동한 한국독립당의 당군(黨軍)이.

새로운!!: 홍진와 한국독립군 · 더보기 »

한국독립당

국독립당(韓國獨立黨)은 1930년 1월 25일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에서 결성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이며, 대한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과 맞써 싸운 단체로 조소앙, 홍진, 조시원이 중심이 되어 창립되었.

새로운!!: 홍진와 한국독립당 · 더보기 »

한국독립당 (1930년)

국독립당(韓國獨立黨)은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단체로서 한국의 정당이.

새로운!!: 홍진와 한국독립당 (1930년)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새로운!!: 홍진와 안창호 · 더보기 »

신숙

신숙(申肅, 1885년 ~ 1967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홍진와 신숙 · 더보기 »

홍진 (동음이의)

홍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홍진와 홍진 (동음이의) · 더보기 »

10월 3일

10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6번째(윤년일 경우 27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홍진와 10월 3일 · 더보기 »

1877년

187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진와 1877년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진와 1926년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진와 1930년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홍진와 193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만오 홍진, 홍 진, 홍면희, 홍면희 (독립운동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