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화엄경

색인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122 처지: 도윤, 동리산문, 만다라, 무염, 미라보,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백용성, 경종 (불교),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게곤 폭포, 범일, 법장 (당나라), 법성종, 고려대장경, 고은, 보현보살, 보살, 보살 수행계위, 보살계, 보살영락본업경,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봉은사, 불가설불가설전, 불경,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불, 불교 용어 목록/유, 불교의 사상, 불국사, 비로사 (영주시), 김교각, 대방광불화엄경 권3, 대방광불화엄경 권3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대방광불화엄경소 권3〜4,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대승 경전, 대승불교, 대한불교원효종, 대한불교화엄종, 교종, 구경각, 남도육종, 나가르주나,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 등각, 논종, 다이쇼 신수 대장경,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 임사 체험, 일체유심조, 일소대 (동음이의),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의순,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중국 철학, 중국의 불교, 지론종, 지눌, 천성산, 천화불교,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춘성 (1891년), 육조단경, 탄문, 색계,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수영 계영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자유형 2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자유형 4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자유형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월관음도, 오교십종, 오주지번뇌, 오십이위, 혜철, 혜소 (고려), 양기주, 양주 송암사 육경합부, 양산 내원사, 여엄, 엄춘배, 삼종세간, 삼삼매, 삼해탈문, 성주산문,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통일신라의 불교,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의 궁중무용, 한국의 불교 사상, 한국영화특선, 한용운,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십회향, 십일론, 십주, 십행, 십신, 원돈성불론, 원교, 원효, 원종문류, 원측, 화엄 사상, 화엄경, 화엄경 수사 목록, 화엄경탐현기, 화엄교학, 화엄종, 화엄사, 199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72 더) »

도윤

윤(道允, 798년 ~ 868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도윤 · 더보기 »

동리산문

동리산문(桐裡山門) 또는 동리산파(桐裡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화엄경와 동리산문 · 더보기 »

만다라

금강계 만다라(Vajradhatu Mandala)가 그려져 있는 티베트 불교의 탕카 힌두교의 스리 얀트라(Sri Yantra) 만다라(曼茶羅, 曼陀羅)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화엄경와 만다라 · 더보기 »

무염

무염(無染, 800년~888년 12월 23일(음력 11월 17일))은 신라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무염 · 더보기 »

미라보

미라보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

새로운!!: 화엄경와 미라보 · 더보기 »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방광불화엄경 권15(紺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卷十五)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코리아나화장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 권15 · 더보기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三十一)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1 · 더보기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紺紙銀泥大方廣佛華嚴經 晋本 卷十三)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필사본 사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13 · 더보기 »

백용성

백용성(白龍城, 1864년 5월 8일 ~ 1940년 2월 20일)은 대한민국 일제강점기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화엄경와 백용성 · 더보기 »

경종 (불교)

마 붓다가 설한 교법으로 알려진 경(經) 내지는 후세의 대승불교도들이 고타마 붓다가 설한 교법이라 하여 제작한 여러 대승경전은 차례차례 중국으로 전해져 한역(漢譯)되었는데 중국의 불교학자들 사이에서는 번역된 여러 경전을 가치비판적으로 조직체계화하고 고타마 붓다가 이 세상에 나타난 본회(本懷)를 어느 특정한 경전에서 구하여 그 경전을 바탕으로 일종(一宗)을 확립하는 일("교상판석敎相判釋")이 행하여졌.

새로운!!: 화엄경와 경종 (불교) · 더보기 »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慶州 祇林寺 塑造毘盧舍那佛 腹藏典籍)은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에 있는 사경(寫經)과 목판본(木版本)이.

새로운!!: 화엄경와 경주 기림사 소조비로자나불 복장전적 · 더보기 »

게곤 폭포

폭포 주젠지 호 게곤 폭포(화엄폭포)는 도치기현 닛코 시의 닛코 국립공원에 있는 폭포로 승려 쇼도가 발견하였.

새로운!!: 화엄경와 게곤 폭포 · 더보기 »

범일

범일(梵日, 810년~889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범일 · 더보기 »

법장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은 중국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법장 (당나라) · 더보기 »

법성종

법성종(法性宗)은 일체 만유(萬有)는 같은 법성을 가졌고 모두 성불할 수 있다는 교의를 가진 불교 종파이.

새로운!!: 화엄경와 법성종 · 더보기 »

고려대장경

《고려 대장경(高麗大藏經)》은 고려에서 간행한 대장경을 이르며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고려대장경 · 더보기 »

고은

은(髙銀, 본명: 고은태(髙銀泰), 1933년 8월 1일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

새로운!!: 화엄경와 고은 · 더보기 »

보현보살

보현보살(普賢菩薩, 산스크리트어:समन्तभद्र,, 사만타바드라)은 불교의 진리와 수행의 덕을 맡은 보살이.

새로운!!: 화엄경와 보현보살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화엄경와 보살 · 더보기 »

보살 수행계위

보살 수행계위(菩薩修行階位)는 보살 즉 보살승(菩薩乘)의 수행자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가 처음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후 수행의 공덕을 쌓아서 불과(佛果) 즉 부처의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거쳐가는 단계 또는 계위(階位)를 말. 보살의 수행계위보살수행의 계위 또는 보살계위(菩薩階位).

새로운!!: 화엄경와 보살 수행계위 · 더보기 »

보살계

보살계(菩薩戒)는 대승불교 수행자가 지키는 계율을 말. 대승계(大乘戒) 또는 대승보살계(大乘菩薩戒).

새로운!!: 화엄경와 보살계 · 더보기 »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의 경전으로, 보살의 본업(本業)인 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

새로운!!: 화엄경와 보살영락본업경 · 더보기 »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는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공주 보림사 소장 묘법연화경 권4 · 더보기 »

봉은사

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화엄경와 봉은사 · 더보기 »

불가설불가설전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은 화엄경에 등장하는 자연수의 하나이.

새로운!!: 화엄경와 불가설불가설전 · 더보기 »

불경

불경(佛經)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화엄경와 불경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화엄경와 불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새로운!!: 화엄경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불

불가견무대(不可見無對)는 무견무대색의 다른 말이.

새로운!!: 화엄경와 불교 용어 목록/불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유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화엄경와 불교 용어 목록/유 · 더보기 »

불교의 사상

불교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서 고타마 붓다에 의해 창시된 종교이.

새로운!!: 화엄경와 불교의 사상 · 더보기 »

불국사

불국사(佛國寺)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

새로운!!: 화엄경와 불국사 · 더보기 »

비로사 (영주시)

비로사(毘盧寺)는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화엄경와 비로사 (영주시) · 더보기 »

김교각

각(金喬覺, 697년~794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김교각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권3

방광불화엄경 권3(大方廣佛華嚴經 卷三)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있던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 권3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권32

방광불화엄경 권32(大方廣佛華嚴經 卷三十二)은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있던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 권32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六)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六)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3〜4

방광불화엄경소 권3〜4(大方廣佛華嚴經疏 卷三〜四)는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에 있던 조선시대의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소 권3〜4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大方廣佛華嚴經疏 卷四十八, 六十四, 八十三)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기록유산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 64, 83 · 더보기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大方廣佛華嚴經疏 卷四十八,六十四,八十三)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8,64,83 · 더보기 »

대승 경전

승 경전(大乘經典)은 석가모니 부처님 사후의 대승운동이 일어나면서 편찬된 불교 경전 중에서 대승 사상을 포함한 경전을 말. 대표적으로는 한국의 조계종의 소의 경전인 금강경을 비롯하여, 미륵경, 법화경, 화엄경, 지장경, 아미타경 등이 여기에 속. 대승불교 경전도 대부분 석가모니 부처님이 직접 말한 것처럼 되어 있으나, 고증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이 직접 말한 것은 아님이 밝혀져 위경 논쟁이 벌어졌으며, 대승 불교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직설은 아니지만 진설이라는 입장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승 경전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한불교원효종

불교 원효종(大韓佛敎元曉宗)은 1963년 12월 6일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에서 김경담(金敬潭) 스님이 창종하였으며 원효사상계(元曉思想系)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한불교원효종 · 더보기 »

대한불교화엄종

불교 화엄종(大韓佛敎華嚴宗)은 1966년 10월 21일 인천시 신흥동 1가 4에서 한영석(韓永錫) 종사가 창종하였고 원효사상계에 속한 한국불교의 한 종파이.

새로운!!: 화엄경와 대한불교화엄종 · 더보기 »

교종

종(敎宗)이란 부처의 교설 및 그것을 문자로 나타낸 경전을 바탕으로 하는 종지(宗旨)를 뜻하며, 불어종(佛語宗)이라고도 하고, 부처의 일심(一心)을 전하는 불심종(佛心宗)으로서의 선종(禪宗)의 입장에서 불교를 판별(判別)하여 교선2종(敎禪二宗)으로 나눈 데에서 비롯.

새로운!!: 화엄경와 교종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화엄경와 구경각 · 더보기 »

남도육종

육종(南都六宗)은 일본 나라 시대(奈良時代: 710~794)에 헤이조쿄를 중심으로 번창한 다음의 6개의 불교 종파의 총칭으로 나라 불교(奈良仏教).

새로운!!: 화엄경와 남도육종 · 더보기 »

나가르주나

용수(龍樹: 150?-250?)는 중관(中觀Madhyamaka)을 주창한 인도의 불교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나가르주나 · 더보기 »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羅州 佛會寺 乾漆 毘盧遮那佛坐像)은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불회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이.

새로운!!: 화엄경와 나주 불회사 건칠비로자나불좌상 · 더보기 »

등각

불교에서 등각(等覺)은 다음의 세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

새로운!!: 화엄경와 등각 · 더보기 »

논종

부파불교 이후, 교법(敎法)의 해석으로서의 아비달마의 발달에 의해서 많은 불교 논서(佛敎論書)가 저술되었으나, 그것이 중국으로 전해져서 번역됨과 동시에 이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그 같은 논서를 바탕으로 한 일종(一宗)이 확립되는 경우도 있었.

새로운!!: 화엄경와 논종 · 더보기 »

다이쇼 신수 대장경

이쇼 신수 대장경() 또는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大正新修大藏經), 신수대장경(新脩大藏經) 약칭 대정장(大正藏)은 1924~1934년에 일본 다이쇼 일체경 간행회(大正一切経刊行会)에서 출판한 대장경으로, 모두 88권이.

새로운!!: 화엄경와 다이쇼 신수 대장경 · 더보기 »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長興 寶林寺 四天王像 腹藏 六經合部)는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책이.

새로운!!: 화엄경와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육경합부 · 더보기 »

임사 체험

임사 체험 (臨死體驗, Near-Death Experience)은 죽음에 가까워진 상태를 느끼는 체험이.

새로운!!: 화엄경와 임사 체험 · 더보기 »

일체유심조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이 말로 "세상사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는 뜻이.

새로운!!: 화엄경와 일체유심조 · 더보기 »

일소대 (동음이의)

일소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일소대 (동음이의) · 더보기 »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의겸등필 수월관음도(義謙等筆 水月觀音圖)는 다양한 모습으로 중생 앞에 나타나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안락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묘사한 그림 가운데 하나로, 조선 영조 6년(1730년)에 제작된 것이.

새로운!!: 화엄경와 의겸등필 수월관음도 · 더보기 »

의순

의순(意恂: 1786년 5월 2일(음력 4월 5일)~ 1866년 9월 10일(음력 8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의순 · 더보기 »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이 문서는 중국의 역대 불교 종파를 성립 연대순으로 나열한 목록 문서이.

새로운!!: 화엄경와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화엄경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화엄경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지론종

종(地論宗)은 고대 중국불교의 13종 가운데 하나로, 《화엄경》 · 《능가경》 · 《십지경론》 · 《금강선론》 등을 소의 경론으로 하는 종파이.

새로운!!: 화엄경와 지론종 · 더보기 »

지눌

(知訥, 1158년~1210년 4월 22일(음력 3월 27일))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지눌 · 더보기 »

천성산

성산(千聖山)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높이 920.17m의 산이.

새로운!!: 화엄경와 천성산 · 더보기 »

천화불교

화불교(天華佛敎)는 1964년 2월 3일 서울 종로구 누상동 산 1의 6소재 용운사(龍雲寺)에서 이숙봉(李淑峰)이희수(李喜秀)이정봉(李貞峰) 3형제가 창종하였으며 미륵정토사상계에 속.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종파 > 천화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환희성모(歡喜聖母)를 본존불로, 석가여래를(釋迦牟尼) 귀명원불로, 《화엄경》을 소의경전으로 삼. 종지(宗旨)는 전미개오(轉迷開悟)의 정법(正法)을 펴 제세구중의 원력을 성취하는 데 있. 종단기구(宗團機構)는 교주 아래 수호원(修護院)총지원(總持院)교무회와 각 5부로 구성되었고, 본산(本山) 내에 약쑥탕이 있어 많은 효험을 보며 또한 이를 통하여 교화사업의 일환책을 펴고 있. 현재의 의료시설을 갖추기 위해 사내의 의료원을 건축하였으며, 교화 방법으로 매월 6일과 29일 정기관음법회를 갖고, 매년 사직공원(社稷公園)에서 단군사직대제를(檀君社稷大祭) 음력 3월 15일과 10월 3일에 봉행하고 있.

새로운!!: 화엄경와 천화불교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一)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동, 경기도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十三)은 당나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대방광불화엄경》을 고려 현종 때 판각 제작한 《초조대장경》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화엄경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 더보기 »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二, 七十五)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호림박물관에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본 불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75 · 더보기 »

춘성 (1891년)

성(春城, 본명: 이창림(李昌林), 1891년 3월 30일 ~ 1977년 8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 문인이.

새로운!!: 화엄경와 춘성 (1891년) · 더보기 »

육조단경

육조단경은 육조혜능의 설법을 제자인 하택신회(荷澤神會: 685~760)가 책으로 편찬한 것이.

새로운!!: 화엄경와 육조단경 · 더보기 »

탄문

문(坦文, 900년~975년)은 고려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탄문 · 더보기 »

색계

색계(色界)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색계 · 더보기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順天 松廣寺 華嚴經變相圖)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탱화이.

새로운!!: 화엄경와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 · 더보기 »

수영 계영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계영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수영 계영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 더보기 »

수영 자유형 2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자유형 2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수영 자유형 2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 더보기 »

수영 자유형 4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자유형 4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수영 자유형 4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 더보기 »

수영 자유형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수영 자유형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수영 자유형 800m 대한민국 기록 추이 · 더보기 »

수월관음도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는 여러 모습으로 중생 앞에 나타나 고난에서 안락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이 사는 정토의 모습을 그린 것이.

새로운!!: 화엄경와 수월관음도 · 더보기 »

오교십종

오교십종(五敎十宗)은 불교를 5교(五敎: 다섯 가르침)와 10종(十宗: 열 가지 종파 또는 종지)으로 분류하고 판석한 화엄종(華嚴宗)의 교판(敎判)이.

새로운!!: 화엄경와 오교십종 · 더보기 »

오주지번뇌

5주지번뇌(五住地煩惱,, five entrenchments of mental disturbanc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오주지번뇌 · 더보기 »

오십이위

52위(五十二位)는 대승불교에서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를 52가지로 나눈 것으로, 10신(十信)10주(十住)10행(十行)10회향(十廻向)10지(十地)등각(等覺)묘각(妙覺)을 말. 대승불교의 경전과 논서에서는 보살 수행계위의 수와 명칭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런 점에서 52위는 여러 보살 수행계위 체계들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화엄경와 오십이위 · 더보기 »

혜철

혜철(惠哲: 785년~861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혜철 · 더보기 »

혜소 (고려)

혜소 (惠素) 는 고려 인종 때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혜소 (고려) · 더보기 »

양기주

양기주(梁基住, 1940년 2월 15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 겸 방송 제작자이.

새로운!!: 화엄경와 양기주 · 더보기 »

양주 송암사 육경합부

양주 송암사 육경합부(楊州 松巖寺 六經合部)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송암사에 있는 책이.

새로운!!: 화엄경와 양주 송암사 육경합부 · 더보기 »

양산 내원사

원사(內院寺)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화엄경와 양산 내원사 · 더보기 »

여엄

여엄(麗嚴, 862년~930년)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선승(禪僧)이.

새로운!!: 화엄경와 여엄 · 더보기 »

엄춘배

엄춘배(1962년 8월 3일 ~ 현재)는 대한민국의 영화 배우이.

새로운!!: 화엄경와 엄춘배 · 더보기 »

삼종세간

3종세간(三種世間)3세간(三世間)3가지의 세간 또는 3종세계(三種世界)3가지의 세계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삼종세간 · 더보기 »

삼삼매

3삼매(三三昧)는 3가지 종류의 삼매 또는 3가지 삼매를 말. 3삼마지(三三摩地)3등지(三等持) 또는 3정(三定)이.

새로운!!: 화엄경와 삼삼매 · 더보기 »

삼해탈문

3해탈문(三解脫門) 또는 3삼매문(三三昧門)은 3계의 고통의 원인이 되는 번뇌에서 해탈하여 열반을 득하는 방편인 공해탈문(空解脫門)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의 3가지 선정을 말. 공(空: 空寂, 실체가 없음)무상(無相: 차별이 없음)무원(無願: 원함 즉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 없음)을 관조하는 3가지 선정이 해탈 즉 열반에 들어가는 문(門, 방법, 방편)이 되기 때문에 3해탈문이라고 이름한 것으로, 3해탈(三解脫)3탈문(三脫門)3문(三門)3공문(三空門)3공관문(三空觀門) 또는 3삼매(三三昧) 또는 3공(三空)이.

새로운!!: 화엄경와 삼해탈문 · 더보기 »

성주산문

성주산문(聖住山門) 또는 성주산파(聖住山派)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성립된 선종 구산의 하나이.

새로운!!: 화엄경와 성주산문 · 더보기 »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전적(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腹藏典籍)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복장전적이.

새로운!!: 화엄경와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陜川 海印寺 高麗木板)은 해인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에 새긴 목판으로, 《대방광불화엄경》 진본(晉本) 728매, 주본(周本) 941매 등 불교경전, 고승의 저술, 시문집 등 총 54종 2,835판이.

새로운!!: 화엄경와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새로운!!: 화엄경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화엄경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화엄경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한국의 불교 사상

본 문서 한국의 불교 사상은, 한국에 전래된 불교에서 전개된 사상을 설명.

새로운!!: 화엄경와 한국의 불교 사상 · 더보기 »

한국영화특선

국영화특선은 매주 일요일 밤 10시 55분에 방송되는 한국교육방송공사의 시네마 전문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화엄경와 한국영화특선 · 더보기 »

한용운

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화엄경와 한용운 · 더보기 »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安城 淸源寺 乾漆阿彌陀如來佛坐像 腹藏典籍)은 경기도 안성시 청원사에 있는 건칠 아매타여래불 좌상 안에 넣어 두었던, 고려시대의 《화엄경》 네 권이.

새로운!!: 화엄경와 안성 청원사 건칠아미타여래불좌상 복장전적 · 더보기 »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花嚴經 周本 卷一∼十, 四十四~五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통일신라의 필사본 불경이다. 1979년 2월 8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96호로 지정되었다.

새로운!!: 화엄경와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 더보기 »

십회향

10회향(十廻向, 十迴向,, ten dedications, ten dedications of merit)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십회향 · 더보기 »

십일론

11론(十一論) 또는 소의 11론(所依十一論)은 법상종(法相宗)에서 소의 논서로 삼고 있는 다음의 11가지의 논서를 말.

새로운!!: 화엄경와 십일론 · 더보기 »

십주

10주(十住,, ten abod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십주 · 더보기 »

십행

10행(十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십행 · 더보기 »

십신

10신(十信,, ten stages of faith)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화엄경와 십신 · 더보기 »

원돈성불론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저서로 화엄 사상의 대의를 밝힌 책이.

새로운!!: 화엄경와 원돈성불론 · 더보기 »

원교

원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화엄경와 원교 · 더보기 »

원효

원효(元曉, 617년 ~ 686년 4월 28일(음력 3월 30일), 경상북도 경산시)는 삼국시대와 신라의 고승이자 철학자, 작가, 시인, 정치가이.

새로운!!: 화엄경와 원효 · 더보기 »

원종문류

《원종문류》(圓宗文類)는 고려 시대의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이 편찬한 책으로, 《화엄경》을 중심으로 한 원종(圓宗: 화엄종을 뜻한다)의 교리를 요약하고 고승들의 역대 저술을 모아 편찬한 책이.

새로운!!: 화엄경와 원종문류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화엄경와 원측 · 더보기 »

화엄 사상

화엄 사상(華嚴思想)은 대승불교 경전인 《화엄경(華嚴經)》을 기반으로 전개된 불교 사상이.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 사상 · 더보기 »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줄여서 《화엄경(華嚴經)》() 또는 《잡화경(雜華經)》()은 초기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6001 > 화엄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화엄경: 華嚴經 원명은 부다아바탐사카 나마 마하바이풀랴 수트라(Buddha­avatamsaka­nama­mahavaipulya­sutra)이고 자세하게 말해서 이라 부른.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경 · 더보기 »

화엄경 수사 목록

음은 《화엄경(華嚴經)》에 나오는 수사들의 목록이.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경 수사 목록 · 더보기 »

화엄경탐현기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K.1513, T.1733)는 당나라 시대 때, 화엄종을 크게 일으킨 법장(法藏: 643~712)이 687년에서 695년 사이에 저술한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로,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60권 화엄경》에 대한 주석서이.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경탐현기 · 더보기 »

화엄교학

화엄교학(華嚴敎學)은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여 현수대사 법장(法藏: 643-712)이 대성한 화엄종의 교학이.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교학 · 더보기 »

화엄종

화엄종(華嚴宗)은 《화엄경(華嚴經)》을 소의 경전으로 하는 불교 종파이.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종 · 더보기 »

화엄사

화엄사(華嚴寺)는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이.

새로운!!: 화엄경와 화엄사 · 더보기 »

199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음은 1993년에 개봉됐던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화엄경와 1993년 대한민국의 영화 목록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40화엄, 60권 화엄, 60권 화엄경, 60화엄, 80권 화엄, 80화엄, 구화엄, 보현행원품, 대방광불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당경, 당본, 정원경, 진본, 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 신역 주경, 신화엄, 팔십화엄경.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