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회령시

색인 회령시

'''회령시'''(會寧市) 회령시(會寧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의 북부, 두만강 연안에 위치한 도시이.

107 처지: 라선특별시, 류형, 먼터무, 무산광산, 무산군, 간도 문제, 박은성, 박제가, 강원용, 건주여진, 경흥군, 경주 이씨, 경원군 (함경북도), 보령시, 별자리, 관북 지방, 북관대첩, 부령군, 부군면 통폐합, 김덕현 (독립운동가), 김동렬 (1912년), 김광협, 김관식 (목회자), 김희갑 (희극인), 김정숙 (1917년 12월), 김수량, 김영춘 (군인), 김영수 (1907년 2월), 김해룡, 김약연, 김아라, 김시권,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국도 제10호선, 국경인, 국세필, 군면리 대폐합,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나봉한, 나운규, 나한봉, 달래음악단, 우덕순, 운두산성, 회령 정치범수용소, 회령청년역, 회령탄광선, 회령암군, 자유청년동지회, 재가승, ..., 이규풍, 이용석 (1890년), 이흥재, 이일, 이징옥, 이창용 (영화인), 이순재, 이언우, 이십삼부, 이시애, 이시애의 난, 의령군, 전창근 (영화 감독), 정문부, 정여창 (1450년), 조동화 (1922년), 조기천, 조선 선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종성군, 징비록 (드라마), 창투 철로, 청-러시아 국경 분쟁, 청진암군, 청진시, 유근형, 윤봉춘, 윤영춘, 순왜, 순화군, 오백룡, 온성군, 최인훈, 최영자, 최서해, 어유소, 허봉, 엄인섭, 풍산역, 서예원, 함경북도,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함경선, 함북선, 함인수, 해정창 전투, 한국어의 방언, 신동우 (만화가),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상옥, 신태진 (1885년), 십삼도, 1935년, 2005년 1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7 더) »

라선특별시

선특별시(羅先特別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북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회령시와 라선특별시 · 더보기 »

류형

형(柳珩, 1566년 ~ 1615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회령시와 류형 · 더보기 »

먼터무

먼터무(1370년 ~ 1433년) 또는 동맹가첩목아()는 오도리 만호부(斡朶里 萬戶府)의 만호이자 제1대 건주좌위지휘사(建州左衛指揮使, 재위 1405년 ~ 1433년)이며 청나라 태조 누르하치의 6대조이.

새로운!!: 회령시와 먼터무 · 더보기 »

무산광산

무산광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노천철광산이.

새로운!!: 회령시와 무산광산 · 더보기 »

무산군

무산군(茂山郡)은 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무산군 · 더보기 »

간도 문제

문제(間島問題)는 만주에 있는 간도 지방의 영토귀속권(領土歸屬權)을 가지고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서로 분쟁한 사건이.

새로운!!: 회령시와 간도 문제 · 더보기 »

박은성

박은성(朴恩聖, 1945년 10월 12일 -)은 대한민국의 지휘자이.

새로운!!: 회령시와 박은성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회령시와 박제가 · 더보기 »

강원용

강원용(姜元龍, 1917년 7월 3일 ~ 2006년 8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기독교 신학자이자 정치가·철학자·통일운동가·교육자·반일반공운동가·시민사회운동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강원용 · 더보기 »

건주여진

주여진(建洲女眞)은 여진족의 세 분파 중 하나로 5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

새로운!!: 회령시와 건주여진 · 더보기 »

경흥군

경흥군(慶興郡)은 함경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경흥군 · 더보기 »

경주 이씨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회령시와 경주 이씨 · 더보기 »

경원군 (함경북도)

경원군(慶源郡)은 함경북도 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경원군 (함경북도) · 더보기 »

보령시

보령시(保寧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해안에 있는 시이.

새로운!!: 회령시와 보령시 · 더보기 »

별자리

17세기 네덜란드의 별자리판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천구(天球)의 별을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

새로운!!: 회령시와 별자리 · 더보기 »

관북 지방

북 지방(關北地方)은 현재의 함경남도, 함경북도, 량강도, 라선특별시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회령시와 관북 지방 · 더보기 »

북관대첩

북관대첩(北關大捷)은 1592년~1593년 함경도에서 의병장 정문부가 경성과 길주 등지에서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와 반란을 일으킨 국경인과 여진족들을 모두 무찌르고 함경도를 탈환한 전투이.

새로운!!: 회령시와 북관대첩 · 더보기 »

부령군

부령군(富寧郡)은 함경북도 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부령군 · 더보기 »

부군면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府郡面 統廢合)은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 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1913년 12월 29일 공포)에 의하여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단행(13도 12부 220군)한 것이.

새로운!!: 회령시와 부군면 통폐합 · 더보기 »

김덕현 (독립운동가)

덕현(金德賢, 1880년 6월 17일~1920년 9월 19일)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덕현 (독립운동가) · 더보기 »

김동렬 (1912년)

동렬(金東烈, 1912년 10월 26일 ~ 1948년 6월 26일)은 일제 강점기에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사회주의 계열의 운동가였.

새로운!!: 회령시와 김동렬 (1912년) · 더보기 »

김광협

광협(金光俠, 1915년 ∼ 1970년)은 공산주의 항일운동가이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광협 · 더보기 »

김관식 (목회자)

식(金觀植, 일본식 이름: 金本觀植, 1887년 ~ 1948년 10월 18일)은 일제 강점기의 신학자, 대학교수, 목회자이자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관식 (목회자) · 더보기 »

김희갑 (희극인)

희갑(金喜甲, 1923년 7월 13일 ~ 1993년 5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희갑 (희극인) · 더보기 »

김정숙 (1917년 12월)

정숙(金正淑, 1917년 12월 24일 ~ 1949년 9월 22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공산주의자, 여성운동가이며, 정치인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정숙 (1917년 12월) · 더보기 »

김수량

수량(金守良,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반란자로 임진왜란 당시 대표적인 순왜병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수량 · 더보기 »

김영춘 (군인)

영춘(金永春, 1936년 3월 4일 ~)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국방위원회위원,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이었.

새로운!!: 회령시와 김영춘 (군인) · 더보기 »

김영수 (1907년 2월)

영수(金榮秀, 1907년 2월 6일 ~ 1946년)는 일제 강점기 당시 만주 지역에서 언론인 겸 공작원으로 활동했던 인물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영수 (1907년 2월) · 더보기 »

김해룡

룡(金海龍, 일본식 이름: 金江龍雄, 1877년 7월 27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경찰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해룡 · 더보기 »

김약연

약연(金躍淵, 1868년 9월 12일 ~ 1942년 10월 2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약연 · 더보기 »

김아라

아라(1991년 9월 7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아라 · 더보기 »

김시권

시권(金時權, 일본식 이름: 菊山時權, 1884년 5월 11일 ~ ?)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

새로운!!: 회령시와 김시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민국의 일반 국도(大韓民國의 一般 國道)는 고속도로 이외의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적으로 국. 중요도시·지정항만, 중요비행장, 국가산업단지 또는 관광지 등을 연결하며 고속도로와 함께 국가기간도로망을 이루는 도로로, 과거에는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되었으나 2014년 1월 21일에 전면 개정된 《도로법》이 같은 해 7월 14일부터 시행되면서 더이상 대통령령으로 노선 지정을 하지 않고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지정·고시하고 있. 각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며, 시내동지역에서는 원활한 관리를 위해 시장이 관리.

새로운!!: 회령시와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 더보기 »

국도 제10호선

국도 제10호선 (신의주 ~ 온성선, 國道第十號 木浦新義州線)은 대한민국 평안북도 용천군 용암포읍에서 함경북도 온성군 온성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

새로운!!: 회령시와 국도 제10호선 · 더보기 »

국경인

국경인(鞠景仁, ?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반란자로 임진왜란 당시 대표적인 순왜병이.

새로운!!: 회령시와 국경인 · 더보기 »

국세필

국세필(鞠世弼, ?~1592)은 순왜이.

새로운!!: 회령시와 국세필 · 더보기 »

군면리 대폐합

면리 대폐합(郡面里 大廢合)은 1952년 12월 2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반부 지역에 있어서의 행정 체계 중 면을 폐지함에 관하여》라는 정령에 의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시행한 행정 구역 개편이.

새로운!!: 회령시와 군면리 대폐합 · 더보기 »

남만주철도주식회사

만주철도주식회사(), 약칭 만철(滿鐵)은 러일전쟁의 강화 조약인 포츠머스 조약(1905년)에 의하여 일본이 러시아로부터 양도받은 철도 및 부속지를 기반으로 1906년에 설립되어, 1945년에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중국 동북지방(만주)에 존재한 일본의 국책회사이.

새로운!!: 회령시와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더보기 »

나봉한

봉한(羅奉漢, 1934년 4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겸 영화감독이.

새로운!!: 회령시와 나봉한 · 더보기 »

나운규

운규(羅雲奎, 1902년 10월 17일 ~ 1937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영화인이.

새로운!!: 회령시와 나운규 · 더보기 »

나한봉

봉(羅漢鳳, 1933년 11월 1일 ~ 2015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 영화 각본가, 영화감독, 소설가, 영화 기획가, 영화제작자, 영화 각색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나한봉 · 더보기 »

달래음악단

음악단은 오렌지 엔터프라이즈 소속의 5인조 여성그룹이.

새로운!!: 회령시와 달래음악단 · 더보기 »

우덕순

우덕순(禹德淳) 또는 우연준(禹連俊) (1880년 ~ 1950년 9월 26일)은 충북 제천 출신으로 일제강점기 시절의 독립운동가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회령시와 우덕순 · 더보기 »

운두산성

운두산성(雲頭山城) 혹은 오국산성(五國山城)은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회령시 유선노동자구(옛 성북리)에 있는 고구려 때의 옛 성터이.

새로운!!: 회령시와 운두산성 · 더보기 »

회령 정치범수용소

회령 정치범수용소(會寧政治犯收容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회령시 행영리에 위치한 정치범 수용소이.

새로운!!: 회령시와 회령 정치범수용소 · 더보기 »

회령청년역

회령청년역(會寧靑年驛)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회령시에 위치한 함북선의 철도역이며, 함북선의 지선인 회령탄광선의 분기역이.

새로운!!: 회령시와 회령청년역 · 더보기 »

회령탄광선

회령탄광선(會寧炭鑛線)은 함북선의 회령청년역과 유선역 사이에 부설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이.

새로운!!: 회령시와 회령탄광선 · 더보기 »

회령암군

회령암군은 한반도의 제4기 하세 관입암류이.

새로운!!: 회령시와 회령암군 · 더보기 »

자유청년동지회

자유청년동지회는 2004년 11월 말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회령시에서 반 김정일성명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진 반체제 조직으로, 대한민국의 데일리NK가 피랍탈북인권연대로부터 동지회의 활동을 담은 동영상을 공개함과 함께 존재가 알려졌.

새로운!!: 회령시와 자유청년동지회 · 더보기 »

재가승

재가승(在家僧)은 함경북도의 두만강변의 여러 마을들에서 살던 족속 집단들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회령시와 재가승 · 더보기 »

이규풍

이규풍(李奎豊, 1865년 ~ 1932년)은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 강점기 때의 독립 운동가로 만주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활동하였.

새로운!!: 회령시와 이규풍 · 더보기 »

이용석 (1890년)

이용석(李容碩, 1890년 12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실업인이며, 함경북도 지역 유지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용석 (1890년) · 더보기 »

이흥재

이흥재(李與載, 일본식 이름: 廣川正海, 1880년 ~ ?)는 일제 강점기의 관료로, 본적은 함경북도 회령군 팔을면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흥재 · 더보기 »

이일

이일(李鎰, 1538년 ~ 1601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용인(龍仁)이며, 자는 중경(重卿), 시호는 장양(壯襄)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일 · 더보기 »

이징옥

이징옥(李澄玉, 1399년 ~ 1453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징옥 · 더보기 »

이창용 (영화인)

이창용(李創用, 일본식 이름: 廣川創用, 1907년 ~ 1961년 8월 27일)은 일제 강점기에 주로 활동한 영화 촬영기사이며 영화 제작자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창용 (영화인) · 더보기 »

이순재

이순재(李順載, 1934년 11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순재 · 더보기 »

이언우

이언우(李彦祐, ?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순왜로 함경도 지역에서 반란을 일으킨 주모자 중 한 명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언우 · 더보기 »

이십삼부

23부제 이십삼부제(二十三府制, 23부제)는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최상위 행정 구역을 부(府)로 개편하고 그 하위 행정 구역을 군(郡) 으로 명칭을 통일하여 부군제(府郡制)라고도 부른.

새로운!!: 회령시와 이십삼부 · 더보기 »

이시애

이시애(李施愛, ? ~ 1467년 8월 12일)는 조선 초기의 무신이자, 군인, 반란자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시애 · 더보기 »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李施愛-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회령시와 이시애의 난 · 더보기 »

의령군

의령군(宜寧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앙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의령군 · 더보기 »

전창근 (영화 감독)

전창근(全昌根, 1908년 1월 18일 ~ 1973년 1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연극인이며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겸 영화배우이.

새로운!!: 회령시와 전창근 (영화 감독) · 더보기 »

정문부

정문부(鄭文孚, 1565년 ~ 1624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란 일등 공신 좌찬성 대제학 의병장이.

새로운!!: 회령시와 정문부 · 더보기 »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정여창 (1450년) · 더보기 »

조동화 (1922년)

조동화(趙東華, 1922년 7월 12일 ~ 2014년 4월 24일)는 대한민국의 무용평론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조동화 (1922년) · 더보기 »

조기천

조기천(趙基天, 1913년 1월 6일 ~ 1951년 7월 31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이.

새로운!!: 회령시와 조기천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회령시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이 문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문제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을 기술한 문서이.

새로운!!: 회령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

이 문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시를 인구 순으로 나열한 것이.(인구는 2018년기준) 10만명을 이하인 시는 제일 작은 강원도 문천시.

새로운!!: 회령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구순 도시 목록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치범수용소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을 수용하는 정치범수용소 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는 1990년대 이후부터 외부 세계에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

새로운!!: 회령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은 1직할시 2특별시 9도로 이루어져 있. 기초 행정 구역으로는 시, 군, 구역이 있는데, 직할시와 특별시의 아래에는 구역, 군을 두고, 도의 아래에는 시, 군을.

새로운!!: 회령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더보기 »

종성군

종성군(鍾城郡)은 함경북도의 옛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종성군 · 더보기 »

징비록 (드라마)

《징비록》은 KBS 1TV에서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송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회령시와 징비록 (드라마) · 더보기 »

창투 철로

창투 철로()는 중화인민공화국 철도부의 철도 노선으로 지린 성 창춘 시와 투먼 시를 연. 전구간이 선양철도국에 의하여 운영되고 있. 이 노선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연결하는 주요 노선의 하나이.

새로운!!: 회령시와 창투 철로 · 더보기 »

청-러시아 국경 분쟁

청-러시아 국경 분쟁()은 1652년부터 1689년 사이에 코사크가 아무르 강 이북의 청나라 영토를 점유하려고 시도하여, 러시아와 청나라 사이에 불거진 일련의 간헐적인 소규모 군사 충돌이.

새로운!!: 회령시와 청-러시아 국경 분쟁 · 더보기 »

청진암군

청진암군은 함북습곡대의 페름기 관입암체들이.

새로운!!: 회령시와 청진암군 · 더보기 »

청진시

청진시(淸津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동해안에 있는 시이자 함경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회령시와 청진시 · 더보기 »

유근형

유근형(柳根瀅, 1894년 4월 5일 ~ 1993년 1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도예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유근형 · 더보기 »

윤봉춘

윤봉춘(尹逢春, 1902년 3월 23일 ~ 1975년 10월 21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영화배우이며, 호(號)는 금원(琴園)이.

새로운!!: 회령시와 윤봉춘 · 더보기 »

윤영춘

윤영춘(尹永春, 1912년 12월 12일 ~ 1978년 4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시인, 영문학자, 중문학자, 수필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윤영춘 · 더보기 »

순왜

순왜(順倭)는 정유재란 때 조선인으로서 일본에 협력한 자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회령시와 순왜 · 더보기 »

순화군

순화군(順和君, 1580년 음력 10월 10일 ~ 1607년 음력 3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회령시와 순화군 · 더보기 »

오백룡

오백룡(吳白龍, 1913년-1984년)은 공산주의 항일운동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오백룡 · 더보기 »

온성군

온성군(穩城郡)은 함경북도 최북단에 있는 군이.

새로운!!: 회령시와 온성군 · 더보기 »

최인훈

인훈(崔仁勳, 1936년 4월 13일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고 문학평론가이며 극작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최인훈 · 더보기 »

최영자

영자(崔永子, 1936년 12월 23일 ~)는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영문학자이.

새로운!!: 회령시와 최영자 · 더보기 »

최서해

서해(崔曙海, 1901년 1월 21일 ~ 1932년 7월 9일)는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최서해 · 더보기 »

어유소

어유소(1434년 ~ 1489년)는 조선 초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으로 자(字)는 자유(子遊)이며, 본관은 충주이.

새로운!!: 회령시와 어유소 · 더보기 »

허봉

봉(許篈, 1551년~1588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회령시와 허봉 · 더보기 »

엄인섭

엄인섭(嚴仁燮, 1875년 ~ 1936년)은 일제강점기 시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한 일제 밀정으로 악명이 높았.

새로운!!: 회령시와 엄인섭 · 더보기 »

풍산역

풍산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회령시와 풍산역 · 더보기 »

서예원

서예원(徐禮元, ? ~ 1593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회령시와 서예원 · 더보기 »

함경북도

경북도(咸鏡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회령시와 함경북도 · 더보기 »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 시대의 함경북도청 청사 함경북도(咸鏡北道)는 일제 강점기 시대였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 가운데 하나로 도청 소재지는 청진부 나남읍(1940년 경성군 나남읍이 청진부에 편입됨, 1920년까지는 경성군에 있었음)이며 면적은 20,346.76km2(1940년 당시 기준), 인구는 1,102,272명(1940년 당시 기준), 인구 밀도는 54.2명/km2이.

새로운!!: 회령시와 함경북도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함경선

창평역 일대의 선로 부설 공사 함경선(咸鏡線)은 함경남도 원산시의 원산역과 함경북도 종성군에 있는 상삼봉역(현재는 온성군에 있음.)을 연결하던 철도 노선으로, 그 길이는 664.0km였.

새로운!!: 회령시와 함경선 · 더보기 »

함북선

북선(咸北線)은 함경북도 청진시 반죽역을 기점으로 회령, 종성, 온성을 지나 라선특별시에 위치한 라진역을 연결하면서 한반도의 최북단을 휘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이.

새로운!!: 회령시와 함북선 · 더보기 »

함인수

인수(咸麟壽, ? ~ 1592년)는 순왜이.

새로운!!: 회령시와 함인수 · 더보기 »

해정창 전투

정창 전투(海汀倉戰鬪)는 한극함(韓克諴)이 이끄는 조선군을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가 이끄는 일본군이 격파한 전투이.

새로운!!: 회령시와 해정창 전투 · 더보기 »

한국어의 방언

방언별로 나타낸 ‘잠자리’를 뜻하는 낱말. 한국어의 방언에서는 한국어에 있는 방언을.

새로운!!: 회령시와 한국어의 방언 · 더보기 »

신동우 (만화가)

신동우(申東雨, 1936년 ~ 1994년 11월 17일)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

새로운!!: 회령시와 신동우 (만화가)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회령시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상옥

신상옥(申相玉, 1925년 10월 18일 ~ 2006년 4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이.

새로운!!: 회령시와 신상옥 · 더보기 »

신태진 (1885년)

신태진(申泰鎭, 일본식 이름: 平山泰鎭, 1885년 음력 9월 ~ ?)은 일제 강점기의 지방행정 관료이.

새로운!!: 회령시와 신태진 (1885년) · 더보기 »

십삼도

십삼도 십삼도제(十三道制, 13도제)는 1896년 8월 4일에 시행된 조선의 지방 제도로, 직전년도인 1895년 6월 23일부터 시행된 23부제를 폐지하고 종전의 조선 팔도 중 남부(충청·전라·경상)와 북부(평안·함경)의 5개 도를 남·북도로 나누었.

새로운!!: 회령시와 십삼도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회령시와 1935년 · 더보기 »

2005년 1월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회령시와 2005년 1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회령, 회령군, 회령도호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