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효소왕

색인 효소왕

효소왕(孝昭王, 687년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 재위: 692년 8월 20일(음력 7월 3일)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은 남북국 시대의 남국인 신라의 제32대 왕이.

56 처지: 발해 고왕, 밀양시, 견신라사,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경주 효소왕릉,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경주시의 문화재, 법상종, 김문영 (신라), 김교각, 김인문, 김인문묘, 김순원 (신라), 구서당 (신라), 두품, 효소왕, 요석공주, 자의왕후, 일길찬, 의상 (신라), 죽지, 영국사 (사찰), 향가, 삼국사기, 삼일포, 설총, 성덕왕, 통일신라의 불교, 한국 불교의 역사, 한국음악,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한산주, 신라, 신라의 역대 국왕, 신라의 역대 왕비, 신목왕후, 신문왕, 신흥사 (속초시), 시중 (신라의 관직), 원측, 황태후, 화랑, 왕태후, 687년, 692년, 693년, 694년, 695년, 696년, ..., 697년, 698년, 699년, 700년, 701년, 702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 더) »

발해 고왕

발해 고왕 대조영(渤海 高王 大祚榮, ? ~719년 6월 재위: 698년~719년 6월)은 남북국 시대(南北國時代)는 발해(渤海)의 초대 왕으로, 걸걸중상(乞乞仲象)의 아들이.

새로운!!: 효소왕와 발해 고왕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효소왕와 밀양시 · 더보기 »

견신라사

신라사()는, 고대 일본에서 신라로 파견했던 사절이.

새로운!!: 효소왕와 견신라사 · 더보기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慶州 九黃洞 金製如來立像)은 1934년 경주시 구황동 낭산에 있는 황복사로 알려진 절터의 삼층석탑(경주 구황리 삼층석탑, 국보 제37호)에서 신룡 2년(706)의 명문이 있는 금동사리함 안에 금제여래좌상(국보 제79호)과 함께 납입되어 있었던 금제의 불상이.

새로운!!: 효소왕와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 더보기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慶州 九黃洞 金製如來坐像)은 1934년 경주시 구황동 낭산의 황복사로 알려진 절터의 삼층석탑(경주 구황리 삼층석탑, 국보 제37호)에서 출토된 금동사리함 안에서 금제여래입상(국보 제80호)과 함께 발견된 불상이.

새로운!!: 효소왕와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 더보기 »

경주 효소왕릉

경주 효소왕릉(慶州 孝昭王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에 있는 신라 제32대 효소왕(재위 692∼702) 무덤이.

새로운!!: 효소왕와 경주 효소왕릉 · 더보기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은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

새로운!!: 효소왕와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 더보기 »

경주시의 문화재

음은 대한민국 경주시의 지정 문화재 목록이.

새로운!!: 효소왕와 경주시의 문화재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효소왕와 법상종 · 더보기 »

김문영 (신라)

문영(金文穎, 생몰년 미상)은 7세기 신라의 장군이자 관인이었.

새로운!!: 효소왕와 김문영 (신라) · 더보기 »

김교각

각(金喬覺, 697년~794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효소왕와 김교각 · 더보기 »

김인문

인문(金仁問, 629년~694년)은 신라의 왕족이자 문무왕 때의 장군 겸 정치가이고,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며 문무왕의 친동생이.

새로운!!: 효소왕와 김인문 · 더보기 »

김인문묘

인문묘(金仁問墓)는 신라 문무대왕의 친동생 김인문의 묘로,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 1982년 8월 4일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

새로운!!: 효소왕와 김인문묘 · 더보기 »

김순원 (신라)

순원(金順元, ?~?)은 효소왕 대부터 효성왕 대에 활동한 신라 중대의 중신이.

새로운!!: 효소왕와 김순원 (신라) · 더보기 »

구서당 (신라)

서당(九誓幢)은, 신라 시대 중앙에 배치되어 수도 방어와 치안을 맡았던 아홉 개의 부대이.

새로운!!: 효소왕와 구서당 (신라) · 더보기 »

두품

(頭品)은 신라의 골품제의 하나로, 일종의 신분제도이.

새로운!!: 효소왕와 두품 · 더보기 »

효소왕

효소왕(孝昭王, 687년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 재위: 692년 8월 20일(음력 7월 3일) ~ 702년 8월 24일(음력 7월 27일))은 남북국 시대의 남국인 신라의 제32대 왕이.

새로운!!: 효소왕와 효소왕 · 더보기 »

요석공주

요석공주(瑤石公主)는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과 보희부인(寶姬夫人)의 딸로 김흠운(金歆運)과 원효(元曉)의 아내이자 설총(薛聰)의 어머니이.

새로운!!: 효소왕와 요석공주 · 더보기 »

자의왕후

자의왕후 김씨(慈儀王后 金氏, ? ~ 681년)는 신라의 제30대 왕인 문무왕의 왕비이.

새로운!!: 효소왕와 자의왕후 · 더보기 »

일길찬

일길찬(一吉飡)은 520년(법흥왕 7년)에 시행한 신라의 관등이.

새로운!!: 효소왕와 일길찬 · 더보기 »

의상 (신라)

의상(義湘, 625년 ~ 702년)은 고대 통일신라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고승이.

새로운!!: 효소왕와 의상 (신라) · 더보기 »

죽지

죽지(竹旨, ?–?)는 신라시대의 대신, 화랑 출신 장군으로 다른 이름은 죽만(竹曼), 지관(智官), 죽만랑(竹曼郞), 죽지랑(竹旨郞)이.

새로운!!: 효소왕와 죽지 · 더보기 »

영국사 (사찰)

영국사(寧國寺)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에 있는 조계종의 사찰이.

새로운!!: 효소왕와 영국사 (사찰) · 더보기 »

향가

향가(鄕歌)는 신라 때에 불리던 민간 노래로서 보통 향찰로 기록되었.

새로운!!: 효소왕와 향가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효소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일포

강산 삼일포 삼일포(三日浦)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호수로 관동팔경 중 하나이.

새로운!!: 효소왕와 삼일포 · 더보기 »

설총

설총(薛聰, 658년? ~ ?)은 신라 시대의 대표적인 학자이.

새로운!!: 효소왕와 설총 · 더보기 »

성덕왕

성덕왕(聖德王, ? ~ 737년)은 신라의 제33대 왕(재위: 702년 ~ 737년)이.

새로운!!: 효소왕와 성덕왕 · 더보기 »

통일신라의 불교

통일신라의 불교를 크게 3등분하면 다음과 같.

새로운!!: 효소왕와 통일신라의 불교 · 더보기 »

한국 불교의 역사

국 불교의 역사 또는 한국 불교사는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이.

새로운!!: 효소왕와 한국 불교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음악

조선시대『악학궤범』 향부악기도설에 나오는 향비파와 당비파 한국음악(韓國音樂)의 기반이 된 음계는 한반도 및 중국 동북부 등과 교류하여 고대시대부터 전래되어오는 것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의한 빠른 문화유입에 의한 음악적 반응을 포함하여 한민족(韓民族)의 음악을 총칭.

새로운!!: 효소왕와 한국음악 · 더보기 »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이 문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한국의 왕자(황자)와 왕녀(공주, 궁주, 옹주)의 목록을 담고 있.

새로운!!: 효소왕와 한국의 왕자와 왕녀 목록 · 더보기 »

한산주

남북국 시대 신라의 9주 5소경 한산주(漢山州) 또는 한주(漢州)는 신라의 광역 행정구역인 9주 5소경의 한 주(州)이.

새로운!!: 효소왕와 한산주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효소왕와 신라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국왕

아래는 신라를 다스린 역대 군주의 목록이.

새로운!!: 효소왕와 신라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신라의 역대 왕비

음은 신라의 왕비 연대표이.

새로운!!: 효소왕와 신라의 역대 왕비 · 더보기 »

신목왕후

신목왕후 김씨(神穆王后 金氏, 655년 이전 ~ 700년 6월 1일)는 신라 신문왕의 왕비이며, 효소왕과 성덕왕의 모후이.

새로운!!: 효소왕와 신목왕후 · 더보기 »

신문왕

신문왕(神文王, ? ~ 692년, 재위: 681년 ~ 692년)은 신라의 제31대 왕이.

새로운!!: 효소왕와 신문왕 · 더보기 »

신흥사 (속초시)

신흥사(束草 新興寺)는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

새로운!!: 효소왕와 신흥사 (속초시) · 더보기 »

시중 (신라의 관직)

시중은 신라의 관직으로, 당나라의 문하시중을 본따 만든 직책이며 원래 651년 진덕여왕 시절에 처음 시행된 관직이.

새로운!!: 효소왕와 시중 (신라의 관직) · 더보기 »

원측

원측(圓測, 613년~696년)은 신라의 승려이.

새로운!!: 효소왕와 원측 · 더보기 »

황태후

황태후(皇太后)는 전 황제의 정실 배우자이며, 현 황제의 어머니뻘 되는 황실 여성에게 붙이는 칭호이.

새로운!!: 효소왕와 황태후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효소왕와 화랑 · 더보기 »

왕태후

왕태후(王太后)는 독립국 국왕의 친모를 일컫는 칭호였.

새로운!!: 효소왕와 왕태후 · 더보기 »

6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87년 · 더보기 »

6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2년 · 더보기 »

6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3년 · 더보기 »

6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4년 · 더보기 »

6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5년 · 더보기 »

6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6년 · 더보기 »

6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7년 · 더보기 »

6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8년 · 더보기 »

6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699년 · 더보기 »

7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700년 · 더보기 »

7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701년 · 더보기 »

7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효소왕와 702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김이홍, 신라 효소왕.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