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후량 (남조)

색인 후량 (남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후량(後梁, 555년 ~ 587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서위에 의해 세워진 국가이.

61 처지: 덴포, 무평 (북제), 무성 (북주), 개황, 건덕 (북주), 건명 (북제), 고종, 보정 (북주), 괴뢰 정권, 광대 (진), 광운, 광운 (후량), 대정, 대정 (북주), 대정 (후량), 대상 (북주), 대성 (북주), 남북조 시대, 남북조 시대의 역대 황제, 우문태, 승광 (북제), 승성, 정명 (진),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지덕 (진), 천강 (진), 천가, 천보, 천보 (북제), 천보 (후량), 천성 (양), 천통, 천화, 융화 (북제), 태건, 태녕 (북제), 태평 (양), 태황태후, 수나라, 영정 (진), 오대 (오대 십국), 양 (동음이의), 선 (시호), 선정 (연호), 세종 (동음이의), 서위 (북조), 소료, 소급, 소잠, ..., 소종 (후량), 소태, 소예, 소통 (양나라), 소암, 하청 (북제), 후량, 후량 (오대), 후량 효명제, 후량 선제, 황건 (북제).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 더) »

덴포

(天保, てんぽう)는, 일본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덴포 · 더보기 »

무평 (북제)

무평(武平)은 중국 북제(北齊) 후주(後主) 고위(高緯)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무평 (북제) · 더보기 »

무성 (북주)

무성(武成)은 중국 북주(北周) 명제(明帝)의 연호로 북주 최초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무성 (북주) · 더보기 »

개황

황(開皇)은 중국 수(隋) 문제(文帝)의 첫 번째 연호로 수나라 최초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개황 · 더보기 »

건덕 (북주)

덕(建德)은 중국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건덕 (북주) · 더보기 »

건명 (북제)

명(乾明)은 중국 북제(北齊) 폐제(廢帝) 고은(高殷)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건명 (북제) · 더보기 »

고종

종(高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오랫동안 재위하며 나라를 수성한 제왕에게 올려지는 묘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고종 · 더보기 »

보정 (북주)

보정(保定)은 중국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보정 (북주) · 더보기 »

괴뢰 정권

정권(傀儡政權) 또는 꼭두각시 정권은 스스로는 자주적인 정권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정권과는 관련이 없는 외부 또는 국내의 세력이 정권의 자주성이 없이 다른 나라의 지배하에 있는 정권이라고 어떤 정권을 간주할 때 쓰는 말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괴뢰 정권 · 더보기 »

광대 (진)

광대(光大)는 중국 진(陳) 폐제(廢帝) 진백종(陳伯宗)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광대 (진) · 더보기 »

광운

광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량 (남조)와 광운 · 더보기 »

광운 (후량)

광운(廣運)은 중국 후량(後梁) 후주(後主) 소종(蕭琮)의 연호이자 후량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광운 (후량) · 더보기 »

대정

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량 (남조)와 대정 · 더보기 »

대정 (북주)

정(大定)은 중국 북주(北周) 정제(靜帝)의 두 번째 연호이자 북주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대정 (북주) · 더보기 »

대정 (후량)

정(大定)은 중국 후량(後梁) 선제(宣帝)의 연호로 후량 최초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대정 (후량) · 더보기 »

대상 (북주)

상(大象)은 중국 북주(北周) 정제(靜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대상 (북주) · 더보기 »

대성 (북주)

성(大成)은 중국 북주(北周) 선제(宣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대성 (북주) · 더보기 »

남북조 시대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남북조 시대(南北朝時代: 420~589)는 한족이 세운 남조와 유목민족이 세운 북조가 대립하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의 시기를 말. 이 시기 강남에는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의 4개 왕조가 차례로 흥망했는데, 이것을 가리켜 남조(南朝)라고 불. 또한 같은 건강(建康; 건업(建業)의 새 이름)을 수도로 삼았던 삼국시대의 오나라와 동진을 합쳐 육조(六朝)라고 불러 이 시대를 육조 시대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주로 문화사를 다룰 때 쓰이는 시대 구분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남북조 시대 · 더보기 »

남북조 시대의 역대 황제

557년 ~ 581년 남북조 분류:남북조 시대의 황제.

새로운!!: 후량 (남조)와 남북조 시대의 역대 황제 · 더보기 »

우문태

우문태(宇文泰, 507년 ~ 556년)는 북위, 서위의 정. 북주의 기초를 닦은 인물로서, 559년에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문제(文帝)로 추증되었.

새로운!!: 후량 (남조)와 우문태 · 더보기 »

승광 (북제)

승광(承光)은 중국 북제(北齊) 유주(幼主) 고항(高恒)의 연호이자 북제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승광 (북제) · 더보기 »

승성

승성(承聖)은 중국 양(梁) 원제(元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승성 · 더보기 »

정명 (진)

정명(禎明)은 중국 진(陳) 후주(後主) 진숙보(陳叔寶)의 두 번째 연호이자 진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정명 (진)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후량 (남조)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지덕 (진)

덕(至德)은 중국 진(陳) 후주(後主) 진숙보(陳叔寶)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지덕 (진) · 더보기 »

천강 (진)

강(天康)은 중국 진(陳) 문제(文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강 (진) · 더보기 »

천가

(天嘉)는 중국 진(陳) 문제(文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가 · 더보기 »

천보

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보 · 더보기 »

천보 (북제)

보(天保)는 중국 북제(北齊) 문선제(文宣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보 (북제) · 더보기 »

천보 (후량)

보(天保)는 중국 후량(後梁) 명제(明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보 (후량) · 더보기 »

천성 (양)

성(天成)은 중국 양(梁) 폐제(廢帝) 소연명(蕭淵明)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성 (양) · 더보기 »

천통

통(天統)은 중국 북제(北齊) 후주(後主) 고위(高緯)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통 · 더보기 »

천화

화(天和)는 중국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천화 · 더보기 »

융화 (북제)

융화(隆化)는 중국 북제(北齊) 후주(後主) 고위(高緯)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융화 (북제) · 더보기 »

태건

(太建)은 중국 진(陳) 선제(宣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태건 · 더보기 »

태녕 (북제)

녕(太寧, 泰寧) 또는 대녕(大寧)은 중국 북제(北齊) 무성제(武成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태녕 (북제) · 더보기 »

태평 (양)

평(太平)은 중국 양(梁) 경제(敬帝)의 두 번째 연호이자 양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태평 (양) · 더보기 »

태황태후

황태후(太皇太后)는 현 황제의 조모뻘로, 주로 선선대 황제의 정실 부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태황태후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후량 (남조)와 수나라 · 더보기 »

영정 (진)

영정(永定)은 중국 진(陳) 무제(武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영정 (진) · 더보기 »

오대 (오대 십국)

오대(五代)는 당나라가 멸망하고 송나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의 과도기에 중원에서 흥망한 다섯 왕조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오대 (오대 십국) · 더보기 »

양 (동음이의)

양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량 (남조)와 양 (동음이의) · 더보기 »

선 (시호)

선(宣)은 시호의 일종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선 (시호) · 더보기 »

선정 (연호)

선정(宣政)은 중국 북주(北周) 무제(武帝)의 네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선정 (연호) · 더보기 »

세종 (동음이의)

세종에는 다음의 뜻이 있. 이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세종(世宗)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서, 흔히 전성기 또는 안정기를 이룩한 황제나 왕에게 붙여.

새로운!!: 후량 (남조)와 세종 (동음이의) · 더보기 »

서위 (북조)

위진 남북조 왕조들의 계통도 서위(西魏, 535년 ~ 556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가 분열하여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서위 (북조) · 더보기 »

소료

소요(蕭嶚, ? ~ 555년 이전)는 중국 남북조 시대 후량의 황족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료 · 더보기 »

소급

소급(蕭岌, ? ~ 566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후량의 황족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급 · 더보기 »

소잠

소잠(蕭岑, ? ~ ?)은 중국 남북조 시대 후량의 황족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잠 · 더보기 »

소종 (후량)

소종(蕭琮, ? ~ ?)은 후량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종 (후량) · 더보기 »

소태

소태(紹泰)는 중국 양(梁) 경제(敬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태 · 더보기 »

소예

소예(蕭譽, 519년 ~ 550년 6월 22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황족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예 · 더보기 »

소통 (양나라)

소통(蕭統, 501년 ~ 531년 5월 7일(음력 4월 6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황태자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통 (양나라) · 더보기 »

소암

소암(蕭巖, ? ~ 58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후량의 황족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소암 · 더보기 »

하청 (북제)

청(河淸)은 중국 북제(北齊) 무성제(武成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하청 (북제) · 더보기 »

후량

후량은 중국의 옛 나라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후량 · 더보기 »

후량 (오대)

후량(後梁, 907년 ~ 923년)은 오대십국 시대 오대(五代)의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후량 (오대) · 더보기 »

후량 효명제

양 세종 효명황제 소규(梁 世宗 孝明皇帝 蕭巋, 542년 ~ 585년)는 후량의 제2대 황제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후량 효명제 · 더보기 »

후량 선제

양 중종 선황제 소찰(梁 中宗 宣皇帝 蕭詧, 519년 ~ 562년)은 후량의 초대 황제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후량 선제 · 더보기 »

황건 (북제)

황건(皇建)은 중국 북제(北齊) 효소제(孝昭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량 (남조)와 황건 (북제)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서량 (남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