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후진 (오호 십육국)

색인 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후진(後秦, 384년 ~ 417년)은 오호 십육국 시대 강족 요장(姚萇)이 건국한 나라이.

152 처지: 독발리록고, 독발녹단, 뤄양 시, 모용초, 모용영, 백작 (후진), 가평 (남량), 가흥 (서량), 건명 (서연), 건무 (서연), 건광 (적위), 건평 (남연), 건평 (서연), 건평 (후연), 건흥 (후연), 건의 (서진), 건초 (동음이의), 건초 (성한), 건초 (서량), 건초 (후진), 건초 (후한), 건시 (후연), 건원 (전진), 건화 (남량), 걸복건귀, 경자 (서량), 경시 (서진), 경시 (서연), 범동경, 고보융, 광시 (후연), 봉상 (하), 불교의 우주론, 부견, 부비 (전진), 부등, 비수 대전, 대형 (동진), 남량, 남연, 등국, 용비, 용승 (하), 승화 (북량), 요장, 요흥, 요익중, 요양, 요홍, 장락, ..., 장손숭, 인가 (후량), 의희, 전진 (오호 십육국), 정정 (적위), 정시 (북연),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중국 철학, 중국의 연호 목록, 중흥 (서연), 진나라 (동음이의), 창평 (서연), 철불흉노, 청룡 (후연), 천흥 (북위), 천새 (북량), 천사 (북위), 천왕, 유송 무제, 융안, 태평 (북연), 태초 (남량), 태초 (전진), 태초 (서진), 태상 (북위), 태상 (남연), 태안 (전진), 태안 (후량), 태원 (동진), 영강 (오호 십육국 서진), 영강 (후연), 영흥 (북위 명원제), 영안 (북량), 영화 (동음이의), 영화 (동진), 영화 (후진), 영화 (후한), 오호 십육국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의 역대 군주, 현시, 에이와, 여륭, 연흥 (서연), 연초 (전진), 연원 (후연), 열반종, 허난성, 서진 (오호 십육국), 서융, 서연 (오호 십육국), 송 (남조), 함녕 (후량), 신정 (후량), 신새, 신서 (북위), 원흥 (동진), 후량 (오호 십육국), 후진, 후촉 (오호 십육국), 홍창 (남량), 홍시, 홍시 (후진), 황초, 황초 (후진), 황시 (북위), 환온, 왕가 (사람), 331년, 384년, 385년, 386년, 387년, 388년, 389년, 390년, 391년, 392년, 393년, 394년, 395년, 396년, 397년, 398년, 399년, 400년, 401년, 402년, 403년, 404년, 405년, 406년, 407년, 408년, 409년, 410년, 411년, 412년, 413년, 414년, 415년, 416년, 417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02 더) »

독발리록고

독발리록고(禿髮利鹿孤, ? ~ 402년, 재위:399년 ~ 402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량(南凉)의 제2대 군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독발리록고 · 더보기 »

독발녹단

독발녹단(禿髮傉檀, 365년 ~ 415년, 재위:402년 ~ 414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량(南涼)의 제3대 군주이자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독발녹단 · 더보기 »

뤄양 시

양(낙양)은 허난 성의 도시로, 동주와 후한 그리고 육조 시대의 옛 수도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뤄양 시 · 더보기 »

모용초

모용 초(慕容 超, 385년 ~ 410년, 재위: 405년 ~ 410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남연(南燕)의 2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모용초 · 더보기 »

모용영

모용 영(慕容 永, ? ~ 394년, 재위:386년 ~ 394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서연(西燕)의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모용영 · 더보기 »

백작 (후진)

백작(白雀)은 중국 후진(後秦) 진왕(秦王) 요장(姚萇)이 사용한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백작 (후진) · 더보기 »

가평 (남량)

평(嘉平)은 중국 남량(南凉) 경왕(景王)의 두 번째 연호이자 남량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가평 (남량) · 더보기 »

가흥 (서량)

흥(嘉興)은 중국 서량(西凉) 이흠(李歆)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가흥 (서량) · 더보기 »

건명 (서연)

명(建明)은 중국 서연(西燕) 모용의(慕容顗)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명 (서연) · 더보기 »

건무 (서연)

무(建武)는 중국 서연(西燕) 모용충(慕容忠)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무 (서연) · 더보기 »

건광 (적위)

광(建光)은 중국 적위(翟魏) 적요(翟遼)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광 (적위) · 더보기 »

건평 (남연)

평(建平)은 중국 남연(南燕) 헌무제(獻武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평 (남연) · 더보기 »

건평 (서연)

평(建平)은 중국 서연(西燕) 모용요(慕容搖)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평 (서연) · 더보기 »

건평 (후연)

평(建平)은 중국 후연(後燕) 소무제(昭武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평 (후연) · 더보기 »

건흥 (후연)

흥(建興)은 중국 후연(後燕) 성무제(成武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흥 (후연) · 더보기 »

건의 (서진)

의(建義)는 중국 서진(西秦) 선열왕(宣烈王)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의 (서진) · 더보기 »

건초 (동음이의)

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초 (동음이의) · 더보기 »

건초 (성한)

(建初)는 중국 성한(成漢)의 군주였던 이특(李特)과 그의 뒤를 이은 이류(李流)가 사용했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초 (성한) · 더보기 »

건초 (서량)

(建初)는 중국 서량(西凉) 무소왕(武昭王)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초 (서량) · 더보기 »

건초 (후진)

(建初)는 중국 후진(後秦) 소무제(昭武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초 (후진) · 더보기 »

건초 (후한)

(建初)는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초 (후한) · 더보기 »

건시 (후연)

시(建始)는 중국 후연(後燕) 소문제(昭文帝)의 두 번째 연호이자 후연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시 (후연) · 더보기 »

건원 (전진)

원(建元)은 중국 전진(前秦) 선소제(宣昭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원 (전진) · 더보기 »

건화 (남량)

화(建和)는 중국 남량(南凉) 강왕(康王)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건화 (남량) · 더보기 »

걸복건귀

복건귀(乞伏乾歸, ? ~ 412년, 재위: 388년 ~ 400년, 409년 ~ 412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서진(西秦)의 제2대 군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걸복건귀 · 더보기 »

경자 (서량)

경자(庚子)는 중국 서량(西凉) 무소왕(武昭王)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경자 (서량) · 더보기 »

경시 (서진)

경시(更始)는 중국 서진(西秦) 무원왕(武元王)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경시 (서진) · 더보기 »

경시 (서연)

경시(更始)는 중국 서연(西燕) 위제(威帝) 모용충(慕容沖)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경시 (서연) · 더보기 »

범동경

《범동경》(梵動經, K.0647, T.0001)은 후진(後秦)에서 불타야사와 축불념이 한역(漢譯)한 상좌부 《범망경(梵網經)》(Brahmajāla Sutta, D1)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범동경 · 더보기 »

고보융

보융(高保融, 920년 ~ 960년)은 오대십국시대의 형남의 제3대 군주(재위:948년 ~ 960년)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고보융 · 더보기 »

광시 (후연)

광시(光始)는 중국 후연(後燕) 소문제(昭文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광시 (후연) · 더보기 »

봉상 (하)

봉상(鳳翔)은 중국 하(夏) 무열제(武烈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봉상 (하) · 더보기 »

불교의 우주론

9산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의 우주론의 1수미세계(一須彌世界)를 묘사한 중국의 14세기 혁사(緙絲: 실크로 짠 태피스트리) 깨달음을 나타낸다. 달을 가리키고 있는 붓다는 6도윤회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 즉 세계 또는 세간(世間)은 크게 유정세간(有情世間)기세간(器世間)의 2종세간(二種世間)으로 나뉘거나, 보다 세분하여 중생세간(衆生世間)국토세간(國土世間)5온세간(五蘊世間)의 3종세간(三種世間)으로 나뉜다. 2종세간 가운데 유정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중생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스스로 지은 바 업에 따라 그곳에 태어나 거주하는 유정들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2종세간 가운데 기세간은 3종세간 가운데 국토세간에 해당하는데, 세계 또는 우주를 유정들의 처소 즉 유정들이 태어나서 거주하는 거주처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그리고 3종세간 가운데 5온세간은 세계 또는 우주를 5온이 공하다는 무아의 이치를 깨닫는다는 관점 즉 '깨달음에 들어가는' 길의 관점에서 바라보아 구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4향4과9지10지42현성52위 등의 수행계위가 5온세간에 해당한다. 2종세간과 3종세간의 각 세간들은 서로 긴밀히 관련되어 있는데, 이 문서에서는 크게 기세간과 유정세간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즉 기세간 즉 국토세간 즉 '유정들이 거주하는 처소'를 먼저 다루고, 그 다음으로 유정세간 즉 중생세간 즉 '기세간에 거주하는 유정들'에 관련된 주제들에 대해 기술한다. 5온세간에 대해서는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으며, 5온 문서와 수행계위에 대한 여러 문서들로 대신한다. 기세간의 구조형성소멸 등에 대해서는 《장아함경》 제18권 〈30. 세기경(世紀經)〉, 《대루탄경(大樓炭經)》, 《기세경(起世經)》,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등의 경전과 《구사론》 등의 부파불교의 논서들과 《대승아비달마집론》 등의 대승불교의 논서들에서 설해지고 있는데, 이들 경전들과 논서들에 따르면, 우주 또는 법계는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를 말하며, 하나의 3천대천세계는 한 명의 부처의 교화의 영역이기 때문에 1불찰(一佛剎)1불국(一佛國) 또는 1불토(一佛土), 즉 하나의 불국토라고 한다. 3천대천세계를 이루는 기본 구성 단위를 1세계(一世界)1소세계(一小世界)1수미세계(一須彌世界) 또는 1사천하(一四天下)라고 한다. 1수미세계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의 중심 또는 근간이 되는 것이 수미산(須彌山)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1사천하라는 명칭은 기본 구성 단위를 이루는 1세계에 인간도의 유정 즉 인간이 사는 네 개의 대륙이 있는 것에 근거한 명칭이다. 즉, 1세계에는 수미산을 중심으로 4방에 4대주(四大洲)가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1수미세계는 풍륜(風輪: 바람)수륜(水輪: 물)금륜(金輪: 땅)의 3륜(三輪) 또는 여기에 공륜(空輪)을 더한 4륜(四輪)과 9산8해(九山八海)와 4대주(四大洲) 그리고 욕계의 하늘들인 6욕천과 색계무색계의 하늘들로 구성되는데, 수미산은 9산 가운데 하나로, 하나의 수미세계의 가장 중심에 있는 산이다. 그리고, 나머지 여덟 산은 실제로는 산맥이다. '3륜 또는 4륜과 9산8해와 4대주와 6욕천과 색계무색계의 하늘들을 포함한, 1개의 태양과 1개의 달이 있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1000개 모여서 소천세계(小千世界)를 이루고, 소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중천세계(中千世界)를 이루며, 중천세계가 1000개 모여서 대천세계(大千世界)를 이룬다. 이와 같이 천(千, 1000)이 3번 중첩되었다고 하여 대천세계를 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라고도 하며 또는 1대3천세계(一大三千世界) 즉 하나의 대 3천세계라고도 한다. 또는 간단히 3천세계(三千世界)라고도 한다. 이러한 3천대천세계가 우주 즉 법계를 이룬다. 따라서 엄밀히 계산하면 1수미세계가 10억 개 모인 것이 하나의 우주인데,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이것은 단지 표현상의 서술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대천세계 즉 우주는 실제로는 1수미세계 즉 1세계가 천백억(千百億.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불교의 우주론 · 더보기 »

부견

세조 선소황제 부견(秦 世祖 宣昭皇帝 苻堅, 337년 ~ 385년, 재위: 357년 ~ 385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前秦)의 3대 황제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부견 · 더보기 »

부비 (전진)

애평황제 부비(秦 哀平皇帝 苻丕, ? ~ 386년, 재위: 385년 ~ 386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의 4대 황제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부비 (전진) · 더보기 »

부등

종 고황제 부등(秦 太宗 高皇帝 苻登, 343년 ~ 394년, 재위: 386년 ~ 394년)는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전진의 5대 황제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부등 · 더보기 »

비수 대전

비수 대전(淝水大戰)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383년 동진(東晉)을 공격했다가 비수(淝水)에서 동진의 사현(謝玄)에게 패배한 전투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비수 대전 · 더보기 »

대형 (동진)

형(大亨)은 중국 동진(東晉) 안제(安帝) 시기에 사용된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대형 (동진) · 더보기 »

남량

량(南涼, 397년 ~ 414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선비족(鮮卑族) 독발부(禿髪部)의 독발오고(禿髮烏孤)가 건국한 나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남량 · 더보기 »

남연

연(南燕 398년~410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선비족(鮮卑族) 모용부(慕容部)의 모용덕(慕容德)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남연 · 더보기 »

등국

등국(登國)은 중국 북위(北魏) 도무제(道武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등국 · 더보기 »

용비

용비(龍飛)는 중국 후량(後凉) 의무제(懿武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용비 · 더보기 »

용승 (하)

용승(龍昇)은 중국 하(夏) 무열제(武烈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용승 (하) · 더보기 »

승화 (북량)

승화(承和) 또는 영화(永和)는 중국 북량(北凉) 저거목건(沮渠牧犍)의 연호이자 북량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승화 (북량) · 더보기 »

요장

조 무소황제 요장(秦 太祖 武昭皇帝 姚萇, 331년 ~ 393년, 재위:384년 ~ 39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후진의 초대 황제로, 자는 경무(景茂)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요장 · 더보기 »

요흥

조 문환황제 요흥(秦 高祖 文桓皇帝 姚興, 366년 ~ 416년, 재위:394년 ~ 416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진의 제2대 황제로, 자는 자략(子略)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요흥 · 더보기 »

요익중

시조 경원황제 요익중(秦 始祖 景元皇帝 姚弋仲, 280년 ~ 352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에 활동한 강족의 수장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요익중 · 더보기 »

요양

요양(姚襄, 331년 ~ 357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 강족(羌族)의 수장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요양 · 더보기 »

요홍

요홍(姚泓, 388년 ~ 417년, 재위: 416년 ~ 417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진의 제3대 황제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요홍 · 더보기 »

장락

장락(長樂)은 중국 후연(後燕) 소무제(昭武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장락 · 더보기 »

장손숭

장손숭(長孫嵩, 358년 ~ 437년)은 대(代) · 북위(北魏)의 무장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장손숭 · 더보기 »

인가 (후량)

인가(麟嘉)는 중국 후량(後凉) 삼하왕(三河王) 여광(呂光)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인가 (후량) · 더보기 »

의희

의희(義熙)는 중국 동진(東晉) 안제(安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의희 · 더보기 »

전진 (오호 십육국)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전진(前秦, 351년~394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티베트계 저족(氐族)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전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정정 (적위)

정정(定鼎)은 중국 적위(翟魏) 적쇠(翟釗)의 연호이자 적위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정정 (적위) · 더보기 »

정시 (북연)

정시(正始)는 중국 북연(北燕) 혜의제(惠懿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정시 (북연) · 더보기 »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이 문서는 중국의 역대 불교 종파를 성립 연대순으로 나열한 목록 문서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중국 불교의 종파 목록 · 더보기 »

중국 철학

중국 철학(中國哲學Chinese philosophies) 또는 중국의 사상(中國의 思想Chinese thoughts)은 중국에서 전개된 철학 또는 사상을 가리.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중국 철학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흥 (서연)

중흥(中興)은 중국 서연(西燕) 모용영(慕容永)의 연호이자 서연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중흥 (서연) · 더보기 »

진나라 (동음이의)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진나라 (동음이의) · 더보기 »

창평 (서연)

창평(昌平)은 중국 서연(西燕) 단수(段随)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창평 (서연) · 더보기 »

철불흉노

불흉노(鐵弗匈奴)는 고대 북아시아의 유목 민족 중 하나인 흉노족의 일파이며, 하나라(夏)를 건국하였.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철불흉노 · 더보기 »

청룡 (후연)

청룡(靑龍)은 중국 후연(後燕) 난한(蘭汗)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청룡 (후연) · 더보기 »

천흥 (북위)

흥(天興)은 중국 북위(北魏) 도무제(道武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천흥 (북위) · 더보기 »

천새 (북량)

새(天璽)는 중국 북량(北凉) 문왕(文王)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천새 (북량) · 더보기 »

천사 (북위)

사(天賜)는 중국 북위(北魏) 도무제(道武帝)의 네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천사 (북위) · 더보기 »

천왕

왕(天王)은 군주의 칭호 중 하나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천왕 · 더보기 »

유송 무제

유송 고조 무제 유유 송 고조 무황제 유유(宋 高祖 武皇帝 劉裕, 363년 ~ 42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초대 황제로, 자는 덕여(德輿)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유송 무제 · 더보기 »

융안

융안(隆安)은 중국 동진(東晉) 안제(安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융안 · 더보기 »

태평 (북연)

평(太平)은 중국 북연(北燕) 문성제(文成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평 (북연) · 더보기 »

태초 (남량)

(太初)는 중국 남량(南凉) 무왕(武王)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초 (남량) · 더보기 »

태초 (전진)

(太初)는 중국 전진(前秦) 고제(高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초 (전진) · 더보기 »

태초 (서진)

(太初)는 중국 서진(西秦) 무원왕(武元王)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초 (서진) · 더보기 »

태상 (북위)

상(泰常)은 중국 북위(北魏) 명원제(明元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상 (북위) · 더보기 »

태상 (남연)

상(太上)은 중국 남연(南燕) 모용초(慕容超)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상 (남연) · 더보기 »

태안 (전진)

안(太安)은 중국 전진(前秦) 애평제(哀平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안 (전진) · 더보기 »

태안 (후량)

안(太安)은 중국 후량(後凉) 주천공(酒泉公) 여광(呂光)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안 (후량) · 더보기 »

태원 (동진)

원(太元)은 중국 동진(東晉) 효무제(孝武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태원 (동진) · 더보기 »

영강 (오호 십육국 서진)

영강(永康)은 중국 서진(西秦) 문소왕(文昭王)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강 (오호 십육국 서진) · 더보기 »

영강 (후연)

영강(永康)은 중국 후연(後燕) 혜민제(惠愍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강 (후연) · 더보기 »

영흥 (북위 명원제)

영흥(永興)은 중국 북위(北魏) 명원제(明元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흥 (북위 명원제) · 더보기 »

영안 (북량)

영안(永安)은 중국 북량(北凉) 무선왕(武宣王)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안 (북량) · 더보기 »

영화 (동음이의)

영화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화 (동음이의) · 더보기 »

영화 (동진)

영화(永和)는 중국 동진(東晉) 목제(穆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화 (동진) · 더보기 »

영화 (후진)

영화(永和)는 중국 후진(後秦) 요홍(姚泓)의 연호이자 후진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화 (후진) · 더보기 »

영화 (후한)

영화(永和)는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영화 (후한) · 더보기 »

오호 십육국 시대

오호 십육국 시대(五胡十六國時代: 304년 ~ 439년)는 삼국을 통일한 서진(西晉)이 멸망한 후, 5개의 비한족을 비롯한 16개의 국가가 회수(淮水) 북부에 여러 나라를 세우며 난립하던 시대를 말. 구체적으로는 전조(前趙: 304 ~ 329)가 건국된 304년부터 북위(北魏: 386 ~ 534)가 화북을 통일한 439년까지를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오호 십육국 시대 · 더보기 »

오호 십육국 시대의 역대 군주

분류:오호 십육국 시.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오호 십육국 시대의 역대 군주 · 더보기 »

현시

현시(玄始)는 중국 북량(北凉) 무선왕(武宣王)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현시 · 더보기 »

에이와

에이와(永和, えいわ)는, 일본 남북조 시대의 연호(元号) 중 하나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에이와 · 더보기 »

여륭

여륭(呂隆, ? ~ 416년, 재위:401년 ~ 403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량(後凉)의 4대 천왕이자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여륭 · 더보기 »

연흥 (서연)

연흥(燕興)은 중국 서연(西燕) 제북왕(齊北王) 모용홍(慕容泓)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연흥 (서연) · 더보기 »

연초 (전진)

연초(延初)는 중국 전진(前秦) 말주(末主) 부숭(苻崇)의 연호이자 전진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연초 (전진) · 더보기 »

연원 (후연)

연원(燕元)은 중국 후연(後燕) 연왕(燕王) 모용수(慕容垂)가 사용한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연원 (후연) · 더보기 »

열반종

열반종(涅槃宗)은 대승 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강구하는 불교 학파 또는 종파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열반종 · 더보기 »

허난성

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부의 성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허난성 · 더보기 »

서진 (오호 십육국)

서진(西秦, 385년 ~ 400년, 409년 ~ 431년)은 오호십육국시대 선비족(鮮卑族) 걸복부(乞伏部)의 걸복국인(乞伏國仁)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서진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서융

사이의 명칭 서융(西戎)은 중국 역사에서 서쪽에 사는 이민족(한족 이외의 민족)을 일컬어 부르는 말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서융 · 더보기 »

서연 (오호 십육국)

서연(西燕, 384년 ~ 394년)은 오호십육국 시대 선비족(鮮卑族) 모용홍(慕容泓)·모용충(慕容沖)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서연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송 (남조)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송(宋, 420년 ~ 47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 강남 지방에서 유유(劉裕)에 의해 건국된 남조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송 (남조) · 더보기 »

함녕 (후량)

녕(咸寧)은 중국 후량(後凉) 영제(靈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함녕 (후량) · 더보기 »

신정 (후량)

신정(神鼎)은 중국 후량(後凉) 여융(呂隆)의 연호이자 후량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신정 (후량) · 더보기 »

신새

신새(神璽)는 중국 북량(北凉) 문왕(文王)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신새 · 더보기 »

신서 (북위)

신서(神瑞)는 중국 북위(北魏) 명원제(明元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신서 (북위) · 더보기 »

원흥 (동진)

원흥(元興)은 중국 동진(東晉) 안제(安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원흥 (동진) · 더보기 »

후량 (오호 십육국)

후량(後涼 386년~40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저족(氐族) 여광(呂光)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후량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후진

후진은 중국의 옛 나라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후진 · 더보기 »

후촉 (오호 십육국)

후촉(後蜀, 405년 ~ 413년)은 지금의 쓰촨 성에 위치했던 오호 십육국시대에 국가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후촉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홍창 (남량)

홍창(弘昌)은 중국 남량(南凉) 경왕(景王)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홍창 (남량) · 더보기 »

홍시

홍시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홍시 · 더보기 »

홍시 (후진)

홍시(弘始)는 중국 후진(後秦) 문환제(文桓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홍시 (후진) · 더보기 »

황초

황초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황초 · 더보기 »

황초 (후진)

황초(皇初)는 중국 후진(後秦) 문환제(文桓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황초 (후진) · 더보기 »

황시 (북위)

황시(皇始)는 중국 북위(北魏) 도무제(道武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황시 (북위) · 더보기 »

환온

환온(桓溫, 312년 ~ 37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의 동진(東晉)의 정치가, 군인, 재상.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환온 · 더보기 »

왕가 (사람)

왕가(王嘉, ?~390년)는 위진남북조 시대 도가(道家)의 방사(方士)이.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왕가 (사람) · 더보기 »

3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31년 · 더보기 »

38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84년 · 더보기 »

38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85년 · 더보기 »

38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86년 · 더보기 »

38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87년 · 더보기 »

38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88년 · 더보기 »

3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89년 · 더보기 »

3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0년 · 더보기 »

3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1년 · 더보기 »

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2년 · 더보기 »

3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3년 · 더보기 »

3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4년 · 더보기 »

3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5년 · 더보기 »

3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6년 · 더보기 »

3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7년 · 더보기 »

3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8년 · 더보기 »

3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399년 · 더보기 »

4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0년 · 더보기 »

4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1년 · 더보기 »

4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2년 · 더보기 »

4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3년 · 더보기 »

4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4년 · 더보기 »

4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5년 · 더보기 »

4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6년 · 더보기 »

4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7년 · 더보기 »

4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8년 · 더보기 »

4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09년 · 더보기 »

4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0년 · 더보기 »

4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1년 · 더보기 »

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2년 · 더보기 »

4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3년 · 더보기 »

4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4년 · 더보기 »

4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5년 · 더보기 »

4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6년 · 더보기 »

4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진 (오호 십육국)와 417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후진 (오호십육국), 후진 (십육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