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후한 명제

색인 후한 명제

현종 효명황제 유장(漢 顯宗 孝明皇帝 劉莊, 28년 ~ 75년)은 후한의 제2대 황제(재위: 57년 ~ 75년)로, 다른 이름으로는 양(陽)이 있으며 자는 자려(子麗)이.

67 처지: 마원 (후한), 마황후, 명 (시호), 명덕황후, 명제 (동음이의), 묘호, 백마사, 반고 (후한), 가규 (후한), 거록군, 고승전 (혜교), 부마도위, 기리영 전투, 대장군, 다루왕, 장도릉, 장공, 장우 (신), 임외, 이흔 (후한), 음취, 정 장공, 주정 (전한), 중국의 불교,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황태후 목록, 채륜, 청주 (중국), 카이펑유대인, 유강 (후한), 유건 (천승애왕), 유우 (후한), 유장 (제음도왕), 유영 (초왕), 상산군 (행정 구역), 태조대왕, 영평, 영평 (후한), 현도군, 현종, 연성공, 피휘, 원소절, 원안, 후한 광무제, 후한 장제, 후한서, 왕상 (희백), 57년, 58년, ..., 59년, 60년, 61년, 62년, 63년, 64년, 65년, 66년, 67년, 68년, 69년, 70년, 71년, 72년, 73년, 74년, 75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 더) »

마원 (후한)

하이난 성에 있는 마원의 동상 마원(馬援, 기원전 14년 ~ 49년)은 후한의 정치가로 자는 문연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마원 (후한) · 더보기 »

마황후

마황후(馬皇后).

새로운!!: 후한 명제와 마황후 · 더보기 »

명 (시호)

명(明)은 시호의 일종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명 (시호) · 더보기 »

명덕황후

명덕황후 마씨(明德皇后 馬氏, 40년 ~ 79년 8월 16일)는 후한 제2대 황제 명제의 황후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명덕황후 · 더보기 »

명제 (동음이의)

명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한 명제와 명제 (동음이의)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후한 명제와 묘호 · 더보기 »

백마사

백마사 백마사(白馬寺)는, 고대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불교의 중국 전래와 관련된 감몽구법(感夢求法) 설화를 토대로 낙양(洛陽) 교외에 지어진 절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백마사 · 더보기 »

반고 (후한)

반고 반고(班固, 건무 8년(32년) ~ 영원 4년(92년))는 1세기경의 중국 후한의 역사가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반고 (후한) · 더보기 »

가규 (후한)

(賈逵, 30년 ~ 101년)는 중국 후한 초의 유학자·천문학자로, 자는 경백(景伯)이며 우부풍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가규 (후한) · 더보기 »

거록군

록군(鉅鹿郡)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거록군 · 더보기 »

고승전 (혜교)

《고승전》(高僧傳)은 중국 남북조 시대 양나라(梁: 502-557) 때 승려 혜교(慧皎: 497-554)가 저술한, 고승들의 전기를 집성한 문헌("고승전")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고승전 (혜교) · 더보기 »

부마도위

부마도위(駙馬都尉)는 임금의 사위 또는 공주의 남편에게 부여되는 칭호이며, 부마(駙馬).

새로운!!: 후한 명제와 부마도위 · 더보기 »

기리영 전투

리영 전투(崎離營 戰鬪)는 경초 연간에 명제가 몰래 대방태수(帶方太守) 유흔(劉昕)과 낙랑태수(樂浪太守) 선우사(鮮于嗣)를 파견하여 바다를 건너 두 군을 평정하였.

새로운!!: 후한 명제와 기리영 전투 · 더보기 »

대장군

장군(大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대장군 · 더보기 »

다루왕

왕(多婁王, ?~77년, 재위: 28년~77년)은 백제의 제2대 국왕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다루왕 · 더보기 »

장도릉

장도릉(張道陵, 34년 ~ 156년)은 중국 도교의 일파인 오두미도(五斗米道)의 창시자.

새로운!!: 후한 명제와 장도릉 · 더보기 »

장공

장공(莊公)은 중국 제후의 시호의 하나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장공 · 더보기 »

장우 (신)

장우(莊尤, ? ~ 23년)는 신나라의 관료로, 자는 백석(伯石)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장우 (신) · 더보기 »

임외

임외(任隗, ? ~ 92년)는 후한 초기의 관료로, 자는 중화(仲和)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임외 · 더보기 »

이흔 (후한)

이흔(李訢, ? ~ ?)은 후한 초기의 관료로, 동래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이흔 (후한) · 더보기 »

음취

음취(陰就, ? ~ 59년)는 후한 초기의 관료로, 형주 남양군 신야현(新野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음취 · 더보기 »

정 장공

정 장공(鄭 莊公, 기원전 757년 ~ 기원전 701년, 재위: 기원전 744년 ~ 기원전 701년)은 중국 춘추 시대 정나라의 3대 임금으로, 휘는 오생(寤生)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정 장공 · 더보기 »

주정 (전한)

주정(周定, ? ~ 기원전 184년)은 전한 초기의 군인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주정 (전한)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후한 명제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후한 명제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국의 황태후 목록

중국의 황태후는 기록상의 중국 최초의 태후가 진(秦)나라의 진 혜문왕(惠文王)의 서후인 선태후(宣太后) 미팔자(芈八子)이나, 진 시황이 황제를 칭제하고나서 후에 최초로 황태후라고 칭한 태후는 한나라의 초대황제 유방(劉邦)의 황후인 고황후(高皇后) 여치(呂雉)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중국의 황태후 목록 · 더보기 »

채륜

(蔡倫). 18세기의 그림. 채륜(蔡倫, 50년? ~ 121년?)은 중국 후한 때 환관이자 종이 발명자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채륜 · 더보기 »

청주 (중국)

청주(靑州)는 동남부를 제외한 현재의 산둥 성 일대에 존재한 중국 역사상의 옛 행정 구역이며, 구주(九州) 중 한 곳으로 전해 내려오는 지역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청주 (중국) · 더보기 »

카이펑유대인

이펑 유대인()은 중화인민공화국 허난 성 카이펑 시에 거주해 온 유대인 사회를 뜻. 남모회회(蓝帽回回)라고도 불.

새로운!!: 후한 명제와 카이펑유대인 · 더보기 »

유강 (후한)

동해공왕 유강(東海恭王 劉彊, 25년 ~ 58년)은 후한의 황족이자 제후왕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유강 (후한) · 더보기 »

유건 (천승애왕)

승애왕 유건(千乘哀王 劉建, ? ~ 61년)은 후한의 황족으로, 명제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유건 (천승애왕) · 더보기 »

유우 (후한)

유우(劉虞, ? ~ 193년)는 중국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백안(伯安)이며 서주 동해국 담현(郯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유우 (후한) · 더보기 »

유장 (제음도왕)

제음도왕 유장(濟陰悼王 劉長, ? ~ 84년)은 후한의 황족으로, 명제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유장 (제음도왕) · 더보기 »

유영 (초왕)

왕 유영(楚王 劉英, ? ~ 71년)은 후한 초기의 황족으로, 광무제와 허미인(許美人)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유영 (초왕) · 더보기 »

상산군 (행정 구역)

상산군(常山郡), 항산군(恒山郡)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상산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태조대왕

조대왕(太祖大王, 47년 ~ 165년)은 고구려의 제6대 국왕(재위 53년 ~ 146년)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태조대왕 · 더보기 »

영평

영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한 명제와 영평 · 더보기 »

영평 (후한)

영평(永平)은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영평 (후한) · 더보기 »

현도군

현도군의 연도별 위치 이동로 현도군(玄菟郡)은 전한(前漢)의 무제(武帝)가 기원전 107년에 세운 한사군(漢四郡) 중 하나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현도군 · 더보기 »

현종

현종은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현종 · 더보기 »

연성공

연성공(衍聖公)은, 중국의 봉작(封爵)의 이름으로, 공자(孔子)의 적손(嫡孫)이 대대로 세습하였던 작위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연성공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피휘 · 더보기 »

원소절

원소절(元宵節)은 중국을 비롯한 중화권에서 정월 보름날 즈음에 즐기는 축제.

새로운!!: 후한 명제와 원소절 · 더보기 »

원안

원안(袁安, ? ~ 92년 4월 9일)은 중국 후한 초의 정치가로, 자는 소공(召公)《원안비(袁安碑)》이며 예주(豫州) 여남군(汝南郡)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원안 · 더보기 »

후한 광무제

세조 광무황제 유수(漢 世祖 光武皇帝 劉秀, 기원전 6년 ~ 57년)는 중국 후한 황조의 초대 황제로, 아명은 호(呼)며 자는 문숙(文叔)이며 남양군 채양현(蔡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후한 광무제 · 더보기 »

후한 장제

숙종 효장황제 유달(漢 肅宗 孝章皇帝 劉炟, 57년 ~ 88년, 재위 75년 ~ 88년)은 후한의 3대 황제로, 명제(明帝)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후한 장제 · 더보기 »

후한서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년 ~ 445년)이 정리한 책이.

새로운!!: 후한 명제와 후한서 · 더보기 »

왕상 (희백)

왕상(王象, ? ~ ?)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관료로 자는 희백(羲伯)어환(魚豢)(《위략》 (진수, 《삼국지》 권23 화상양두조배전에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이며 사례 하내군 사람이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왕상 (희백) · 더보기 »

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57년 · 더보기 »

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58년 · 더보기 »

5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59년 · 더보기 »

60년

60년의 로마 제국.

새로운!!: 후한 명제와 60년 · 더보기 »

6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1년 · 더보기 »

6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2년 · 더보기 »

6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3년 · 더보기 »

6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4년 · 더보기 »

6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5년 · 더보기 »

6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6년 · 더보기 »

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7년 · 더보기 »

6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8년 · 더보기 »

6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69년 · 더보기 »

7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70년 · 더보기 »

7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71년 · 더보기 »

7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72년 · 더보기 »

7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73년 · 더보기 »

7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74년 · 더보기 »

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명제와 75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동한 명제, 한 명제.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