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후한 헌제

색인 후한 헌제

효헌황제 유협(漢 孝獻皇帝 劉協, 181년 ~ 234년)은 후한(後漢)의 제14대이자 마지막 황제로 자는 백화(伯和)이.

250 처지: 동리곤, 동귀인, 동승, 동탁, 동탁 토벌전, 동탁장기, 동태후 (후한), 만총, 마일제, 마초 (촉한), 목순, 문소황후, 묘호, 민 (시호), 민공 (후한 말), 민제, 방덕, 방통, 반은, 건안, 건안칠자, 경기·위황의 난, 번조, 고국천왕, 곽도, 곽사, 복수 (동음이의), 공손찬, 복황후, 복완, 광희 (후한), 관도 대전, 관우, 기령, 김의, 김상 (후한), 대군사사마의, 구수왕, 두경, 두습, 노식, 단외, 당희, 효민황제, 우보 (삼국지), 우금, 승상, 승상사직, 회계군, 습착치, ..., 장도 (후한), 장료, 장무 (촉한), 장비, 장노, 장희, 장음 (후한), 장제 (조위), 장제 (후한), 장존, 장양 (치숙), 장양 (후한), 장안성 전투, 흥평, 이리 (삼국지), 이각 (후한), 이자겸, 이유 (후한), 이숙 (삼국지), 이섬 (후한), 이십등작, 인삼, 응소, 전주 (후한), 전풍, 정의 (삼국지), 정여립, 정통론, 저준, 저수, 조랑, 조비, 조절 (한풍), 조조, 조조: 황제의 반란, 조온 (후한), 조엄 (조위), 조소 (삼국지), 조홍, 조환, 좌령, 종요, 주우 (삼국지), 주흔, 주준, 주태, 주앙 (삼국지), 중국, 중국의 연호 목록, 중평, 진란, 진류군, 진류왕, 진규, 진온 (삼국지), 채옹, 초고왕, 초평, 초주, 촉한, 충집, 충소, 유막 (제북왕), 유봉, 유비, 유빙 (남양왕), 유대 (연주자사), 유우 (후한), 유회 (발해왕), 유희 (제음왕), 유이 (조위), 유의 (산양왕), 유표, 유훈, 유훈 (후한), 유화 (후한), 파군 (행정 구역), 위 (삼국), 상국, 태사 (관직), 순우경, 순욱, 순유, 순열 (후한), 영회황후, 영태 (후한), 영사황후, 영한, 오광 (삼국지), 오대 십국 시대, 오습, 호주 (조위), 형정, 형주 공방전, 최열 (후한), 양봉 (후한), 양정 (후한), 양소 (후한), 여남 전투, 여포, 연강, , 헌목황후, 헌제 탈출전, 허정 (촉한), 허저, 허유, 사도 (관직), 사공 (관직), 사이초, 사손서, 사원 (후한), 산상왕, 삼국지 가공인물, 삼국지 공명전, 삼국지 인물 목록, 삼국지 조조전, 삼국지 영걸전, 삼국지연의, 삼국연의 (드라마), 선양 (역사), 서구 (사람), 서주 함락, 서훈 (후한), 서황, 손견, 손권, 손책, 소녕, 소칙, 한복 (후한), 한나라, 한중 전투, 한융, 한수 (후한), 한섬 (후한), 하진, 하후란, 하후돈, 하후연, 악진, 신비 (조위), 십상시의 난, 원담, 원유 (삼국지), 원술, 원소 (후한), 후문, 후한, 후한 영제, 후한 소제 (13대), 후한말, 후한서, 황조, 황주 (촉한), 황초 (위), 외척, 환계, 환전 (후한), 환온, 화흠, 화웅, 왕찬, 왕윤, 12월 11일, 189년, 189년 중국, 190년, 190년 중국, 191년, 192년, 193년, 194년, 195년, 196년, 197년, 198년, 199년, 200년, 201년, 202년, 203년, 204년, 205년, 206년, 207년, 208년, 209년, 210년, 211년, 212년, 213년, 214년, 215년, 216년, 217년, 218년, 219년, 220년, 234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00 더) »

동리곤

동리 곤(東里袞, ? ~ ?)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리곤 · 더보기 »

동귀인

동귀인(董貴人, 생년 미상 ~ 200년)은 후한 헌제의 후궁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귀인 · 더보기 »

동승

동승(董承, 생년 미상 ~ 200년 정월)은 후한 말기의 정치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승 · 더보기 »

동탁

동탁(董卓, 생년 미상 ~ 192년 5월 22일(음력 4월 23일))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 겸 정치가로 자는 중영(仲穎)이며 양주(凉州) 농서군 임조현(臨洮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탁 · 더보기 »

동탁 토벌전

동탁 토벌전(董卓討伐戰)은 190년~191년에 동탁과 동탁에 대항하여 연합군을 결성한 관동의 지방 세력 간의 싸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탁 토벌전 · 더보기 »

동탁장기

동탁장기란 한 마디로 한수면 이길 때, 상대가 두게 되어 외통으로 지게 될 경우 상대방에게 한번 물러달라고 생떼를 써 빅장 처리해 다시 두는 장.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탁장기 · 더보기 »

동태후 (후한)

동태후(董太后, ? ~ 189년)는 후한 영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동태후 (후한) · 더보기 »

만총

만총(滿寵, ? ~ 242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조위 군인으로, 자는 백녕(伯寧)이며 연주 산양군 창읍현(昌邑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만총 · 더보기 »

마일제

마일제(馬日磾, ? ~ 194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옹숙(翁叔)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마일제 · 더보기 »

마초 (촉한)

마초(馬超, 176년 ~ 222년)는 후한, 촉한의 장군으로 자는 맹기(孟起)이며 사례 우부풍 무릉현(茂陵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마초 (촉한) · 더보기 »

목순

목순 (穆順)은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인물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목순 · 더보기 »

문소황후

문소황후 견씨(文昭皇后 甄氏, 183년 1월 26일 ~ 221년 8월 4일) 는 중국 삼국시대 위의 초대 세조 문황제(世祖 文皇帝) 조비(曹丕)의 정실(正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문소황후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묘호 · 더보기 »

민 (시호)

민(閔, 愍, 湣, 緡)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후한 헌제와 민 (시호) · 더보기 »

민공 (후한 말)

민공(閔貢, ?~?)은 후한 말의 관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민공 (후한 말) · 더보기 »

민제

민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한 헌제와 민제 · 더보기 »

방덕

방덕(龐德,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마등,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영명(令明)이며 양주 남안군 환도현(豲道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방덕 · 더보기 »

방통

방통(龐統, 179년 ~ 214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사원(士元)이며 형주 남군 양양현(襄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방통 · 더보기 »

반은

반은(潘隱) (? ~ ?)은 후한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반은 · 더보기 »

건안

안(建安)은 중국 후한 헌제의 세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건안 · 더보기 »

건안칠자

안칠자(建安七子)는 후한 헌제(獻帝)의 건안 연간(196~220)에 조조(曹操) 부자 밑에서 활약한 문학 집단 가운데 특히 뛰어난 재자(才子) 7인을 가리.

새로운!!: 후한 헌제와 건안칠자 · 더보기 »

경기·위황의 난

경기와 위황의 난은 후한 말기 218년 경기와 위황 등이 승상 조조에 대항해 일으킨 반란으로 동승의 거사, 복황후의 거사 이후 마지막으로 일어난 후한 부흥 운동이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경기·위황의 난 · 더보기 »

번조

번조(樊稠, ? ~ 195년)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양주(涼州)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번조 · 더보기 »

고국천왕

국천왕(故國川王, ?~197년, 재위: 179년~197년)은 고구려의 제9대 군주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고국천왕 · 더보기 »

곽도

곽도(郭圖, ? ~ 205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칙(公則)이며 예주 영천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곽도 · 더보기 »

곽사

이각과 곽사 곽사(郭汜,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양주 장액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곽사 · 더보기 »

복수 (동음이의)

복수는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복수 (동음이의) · 더보기 »

공손찬

공손찬(公孫瓚, ? ~ 199년 음력 3월)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백규(伯圭, 伯珪)이며 유주 요서군 영지현(令支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공손찬 · 더보기 »

복황후

복황후(伏皇后, ? ~ 214년)는 후한 헌제(獻帝)의 황후로, 휘는 수(壽)이며 서주(徐州) 낭야국(琅邪國) 동무현(東武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복황후 · 더보기 »

복완

복완(伏完, ? ~ 209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서주 낭야국 동무현(東武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복완 · 더보기 »

광희 (후한)

광희(光熹)는 중국 후한(後漢) 소제(小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광희 (후한) · 더보기 »

관도 대전

전(官渡大戰)은 중국 후한 말 시기에 관도(官渡: 현재의 허난 성 중무 현 근처)에서 조조(曹操)와 원소(袁紹)가 벌인 큰 전투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관도 대전 · 더보기 »

관우

우(? ~ 219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운장(雲長)이며 사례 하동군 해현(解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관우 · 더보기 »

기령

령(紀靈, ? ~ ?)은 중국 후한 말 원술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기령 · 더보기 »

김의

의(金禕, ? ~ 218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덕의(德禕)이며 경조윤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김의 · 더보기 »

김상 (후한)

상(金尙,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휴(元休)이며 경조윤 두릉현(杜陵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김상 (후한) · 더보기 »

대군사사마의

《대군사사마의지군사연맹》(더 어드바이저스 얼라이언스/그로링 타이거, 로링 드래곤)은 중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대군사사마의 · 더보기 »

구수왕

수왕(仇首王, ? ~ 234년, 재위: 214년 ~ 234년)은 백제의 제6대 국왕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구수왕 · 더보기 »

두경

경(杜瓊, ? ~ 250년)은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관료이자 학자로, 자는 백유(伯瑜)이며 촉군 성도현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두경 · 더보기 »

두습

습(杜襲, ? ~ ?)은 중국 후한, 조위의 관료로, 자는 자서(子緖)며 영천군 정릉현(定陵縣) - 현재의 허난 성 셰 현 -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두습 · 더보기 »

노식

식(盧植,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간(子幹)이며 유주 탁군 탁현(涿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노식 · 더보기 »

단외

외(段煨, ? ~ 209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충명(忠明)《서악화산당궐비명(西嶽華山堂闕碑銘)》 이며 양주(凉州) 무위군(武威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단외 · 더보기 »

당희

당희 (唐姬, ? ~ ?) 는 중국 후한의 13대 황제인 소제(少帝)의 후궁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당희 · 더보기 »

효민황제

효민황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후한 헌제와 효민황제 · 더보기 »

우보 (삼국지)

우보(牛輔, ? ~ 192년)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우보 (삼국지) · 더보기 »

우금

우금(于禁, ? ~ 221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칙(文則)이며 연주 태산군 거평현(鉅平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우금 · 더보기 »

승상

승상(丞相)은 중국의 고대 관직으로 삼공(三公) 중 가장 위이며 황제를 보좌하는 수석 보좌관이자 조정의 영수로 오늘날 국무총리에 해당.

새로운!!: 후한 헌제와 승상 · 더보기 »

승상사직

승상사직(丞相司直)이란, 중국 전한 ~ 후한 시기의 관직으로, 줄여서 사직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후한 헌제와 승상사직 · 더보기 »

회계군

회계군(會稽郡)은 진한시대에 설치한 중국의 옛 군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회계군 · 더보기 »

습착치

습착치(習鑿齒, ? ~ 384년경)는 중국 동진(東晉)의 역사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습착치 · 더보기 »

장도 (후한)

장도(張導, ? ~ 196년 이전)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경명(景明)역도원, 《수경주(水經注)》 이며 하내군 수무현(脩武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도 (후한) · 더보기 »

장료

장료(張遼, 169년? ~ 222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문원(文遠)이며 병주 안문군 마읍현(馬邑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료 · 더보기 »

장무 (촉한)

장무(章武)는 중국 촉한(蜀漢) 소열제(昭烈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무 (촉한) · 더보기 »

장비

장비(? ~ 221년 음력 6월)는 후한 말기 ~ 촉한의 군인으로, 자는 익덕(益德)이며 탁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비 · 더보기 »

장노

장노(萇奴, ? ~ ?)는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노 · 더보기 »

장희

장희(張喜,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여남군 세양현(細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희 · 더보기 »

장음 (후한)

장음(張音,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음 (후한) · 더보기 »

장제 (조위)

장제(蔣濟, ?~249년 4월 19일)는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신하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제 (조위) · 더보기 »

장제 (후한)

장제(張濟, ? ~ 196년)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양주 무위군 조려현(祖厲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제 (후한) · 더보기 »

장존

장존(張存, ? ~ ?)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처인(處仁)이며 형주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존 · 더보기 »

장양 (치숙)

장양(張楊,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치숙(稚叔) 또는 아숙(雅淑)이며 병주(幷州) 운중군(雲中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양 (치숙) · 더보기 »

장양 (후한)

장양(張讓, ? ~ 18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양 (후한) · 더보기 »

장안성 전투

장안성 전투(長安城戰鬪)는 192년 한나라 장안성에서 동탁이 죽은 뒤 다시 정권을 되찾으려는 동탁의 잔당 이각, 곽사, 장제, 번조 등이 여포와 벌인 전투로 여포는 전투에서 대패해 원술에게로 가고 왕윤은 장안성에서 이각과 곽사에게 살해당.

새로운!!: 후한 헌제와 장안성 전투 · 더보기 »

흥평

흥평(興平)은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흥평 · 더보기 »

이리 (삼국지)

이리(李利, ? ~ ?)는 중국 후한 말 이각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리 (삼국지) · 더보기 »

이각 (후한)

이각과 곽사 이각(李傕, ? ~ 19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치연(稚然) 이며 북지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각 (후한) · 더보기 »

이자겸

이자겸(李資謙, ? ~ 1127년 1월 19일/1126년 음력 12월 5일 중앙일보 2009년 12월 22일)은 고려시대 중기의 문신이자 정치인, 섭정이자 시인이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자겸 · 더보기 »

이유 (후한)

이유(李儒, 136년 이전 ~ ?)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문우(文優)이며 사례 좌풍익 합양현(郃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유 (후한) · 더보기 »

이숙 (삼국지)

이숙(李肅, ? ~ 192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병주 오원군(五原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숙 (삼국지) · 더보기 »

이섬 (후한)

이섬(李暹, ? ~ ?)은 중국 후한 말 이각 휘하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섬 (후한) · 더보기 »

이십등작

이십등작(二十等爵)은 중국에서 진나라 ~ 후한 시기에 시행된 작위 제도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이십등작 · 더보기 »

인삼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인삼 · 더보기 »

응소

응소(應劭, ? ~ 204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중원(仲瑗) 이며 예주 여남군 남돈현(南頓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응소 · 더보기 »

전주 (후한)

전주(田疇, 169년 ~ 214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로, 자는 자태(子泰)이며 유주 우북평군 무종현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전주 (후한) · 더보기 »

전풍

전풍(田豊, ? ~ 200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호(元皓)이며 거록군 혹은 발해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전풍 · 더보기 »

정의 (삼국지)

정의(丁儀, ? ~ 220년)는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문신으로 자는 정례(正禮)이며 예주 패국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정의 (삼국지)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정여립 · 더보기 »

정통론

정통론(正統論)은 이전 국가의 멸망과 새로운 국가의 창건을 통한 왕조나 정권의 교체가 있거나 한 국가 내의 혈연적·세력적 분열이 있는 경우, 기존의 국가가 가졌던 정당성을 어느 국가가 계승 또는 담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역사적·정치적·철학적 담론의 총체를 말. 정윤론(正閏論)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정통론 · 더보기 »

저준

저준(沮儁, 171년 ~ 195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저준 · 더보기 »

저수

저수(沮授, ? ~ 200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기주 광평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저수 · 더보기 »

조랑

조랑(祖郞, ? ~ ?)은 중국 후한 말 양주 단양군 일대의 토호 혹은 산월로 능양현(陵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랑 · 더보기 »

조비

위 고조 문황제 조비(魏 高祖 文皇帝 曹丕, 187년 ~ 226년 6월 29일(음력 5월 17일))는 조위의 초대 황제로, 자는 자환(子桓)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비 · 더보기 »

조절 (한풍)

조절(曹節, ?~181년)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한풍(漢豊)이며 남양군 신야현(新野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절 (한풍) · 더보기 »

조조

조위 태조 무황제 조조(曹魏 太祖 武皇帝 曹操, 155년 음력 6월 3일 ~ 220년 음력 1월 23일)는 중국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며 시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조 · 더보기 »

조조: 황제의 반란

조조: 황제의 반란(銅雀台, The Assassins)은 2012년 개봉한 중국의 영화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조: 황제의 반란 · 더보기 »

조온 (후한)

조온(趙溫, 137년 ~ 208년)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자유(子柔)이며 촉군 성도현(成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온 (후한) · 더보기 »

조엄 (조위)

조엄(趙儼, 171년 ~ 245년진수: 《삼국지》 권4 삼소제기)은 중국 후한 말,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연(伯然)이며 예주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엄 (조위) · 더보기 »

조소 (삼국지)

조소(曹邵, ? ~ ?) 또는 조백남(曹伯南)은 중국 후한 말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소 (삼국지) · 더보기 »

조홍

조홍(曹洪, ? ~ 232년)은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자렴(子廉)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홍 · 더보기 »

조환

위 원황제 조환(魏 元皇帝 曹奐, 246년 ~ 302년)은 조위의 마지막 황제로, 자는 경명(景明)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조환 · 더보기 »

좌령

좌령(左靈,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좌령 · 더보기 »

종요

종요 종요(鍾繇, 151년 ~ 230년)는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서예가로 자는 원상(元常)이며 예주 영천군 장사현(長社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종요 · 더보기 »

주우 (삼국지)

주우(周喁, ? ~ ?)는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자는 인명(仁明)이며 양주(揚州) 회계군(會稽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주우 (삼국지) · 더보기 »

주흔

주흔(周昕, ? ~ 196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주흔 · 더보기 »

주준

주준(朱儁, ? ~ 195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위(公偉)이며 양주 회계군 상우현(上虞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주준 · 더보기 »

주태

주태(周泰, ? ~ 황무 연간)는 중국 후한 말 손권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유평(幼平)이며 양주 구강군 하채현(下蔡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주태 · 더보기 »

주앙 (삼국지)

주앙(周昂, ? ~ ?)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양주(揚州) 회계군(會稽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주앙 (삼국지)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중국 · 더보기 »

중국의 연호 목록

중국의 연호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최초로 사용한 이래,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중국의 연호 목록 · 더보기 »

중평

중평(中平)은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의 네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중평 · 더보기 »

진란

(陳蘭) 혹은 진간(陳簡, ? ~ 209년)은 중국 후한 말 원술 휘하의 무장으로 양주 여강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진란 · 더보기 »

진류군

(陳留郡)은 전한부터 수나라까지 존속한 중국의 옛 군급 행정 구역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진류군 · 더보기 »

진류왕

왕(陳留王)은 중국의 왕작으로, 진류군(진류국)이나 진류현을 분봉받은 제후왕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진류왕 · 더보기 »

진규

(陳珪,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한유(漢瑜)이며 서주 하비국 회포현(淮浦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진규 · 더보기 »

진온 (삼국지)

온(陳溫, ? ~ 192년) 혹은 진의(陳禕)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원제(元悌)이며 예주 여남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진온 (삼국지) · 더보기 »

채옹

옹 채옹(蔡邕, 133년 ~ 192년)은 후한 말기의 학자로, 자는 백개(伯喈)이며 연주 진류군 어현(圉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채옹 · 더보기 »

초고왕

왕(肖古王, ? ~ 214년, 재위: 166년 ~ 214년)은 백제의 제5대 국왕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초고왕 · 더보기 »

초평

평(初平)은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첫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초평 · 더보기 »

초주

주(譙周, 199년 이전 ~ 270년)는 중국 삼국 시대 촉(蜀)의 정치가로, 자는 윤남(允南)이며 익주(益州) 파서군(巴西郡) 서충국(西充國)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초주 · 더보기 »

촉한

촉한(漢, 221년 ~ 263년)은 중국 삼국 시대 때 유비(劉備)가 지금의 사천성 지역에 세운 나라로 정식 국호는 한(大漢)이나 역사상 구분을 위하여 촉한이라고 부른.

새로운!!: 후한 헌제와 촉한 · 더보기 »

충집

충집(种輯, ? ~ 200년 1월)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충집 · 더보기 »

충소

충소(种劭, ? ~ 194년)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신보(申甫)이며 하남윤 낙양현(雒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충소 · 더보기 »

유막 (제북왕)

제북왕 유막(濟北王 劉邈, ? ~ ?)은 후한의 황족으로, 헌제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막 (제북왕) · 더보기 »

유봉

유봉(劉封, ? ~ 220년)은 중국 후한 말 유비 휘하의 장군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봉 · 더보기 »

유비

소열황제 유비(漢昭烈皇帝劉備, 161년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는 중국 삼국시대 촉한의 초대 황제(재위: 221년 5월 15일(음력 4월 6일) ~ 223년 6월 10일(음력 4월 24일))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비 · 더보기 »

유빙 (남양왕)

양왕 유빙(南陽王 劉馮, ? ~ 200년)은 후한의 황족으로, 헌제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빙 (남양왕) · 더보기 »

유대 (연주자사)

유대(劉岱, ? ~ 192년 음력 4월)는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산(公山)이며 동래군 모평현(牟平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대 (연주자사) · 더보기 »

유우 (후한)

유우(劉虞, ? ~ 193년)는 중국 후한 말의 관료로 자는 백안(伯安)이며 서주 동해국 담현(郯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우 (후한) · 더보기 »

유회 (발해왕)

발해왕 유회(勃海王 劉悝, ? ~ 172년)는 후한의 황족으로, 환제의 동생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회 (발해왕) · 더보기 »

유희 (제음왕)

제음왕 유희(濟陰王 劉熙, ? ~ ?)는 후한의 황족으로, 헌제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희 (제음왕) · 더보기 »

유이 (조위)

유이(劉廙, 180년 ~ 221년)는 중국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사(恭嗣)이며 형주 남양군 안중현(安衆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이 (조위) · 더보기 »

유의 (산양왕)

산양왕 유의(山陽王 劉懿, ? ~ ?)는 후한의 황족으로, 헌제의 아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의 (산양왕) · 더보기 »

유표

유표(劉表, 142년 ~ 208년 음력 8월)는 중국의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경승(景升)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표 · 더보기 »

유훈

유훈(劉勳, ? ~ ?)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대(子臺)이며 서주 낭야국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훈 · 더보기 »

유훈 (후한)

유훈(劉勳, ? ~ 191년? 192년?)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훈 (후한) · 더보기 »

유화 (후한)

유화(劉和, ?~?)는 후한의 유주목 유우(劉虞)의 아들이며, 청주 동해군 담현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유화 (후한) · 더보기 »

파군 (행정 구역)

(巴郡)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파군 (행정 구역) · 더보기 »

위 (삼국)

위(魏, 220년 ~ 265년)는 후한이 멸망한 후 삼국 중 하나로 삼국 중 가장 강대했던 나라였.

새로운!!: 후한 헌제와 위 (삼국) · 더보기 »

상국

상국(相國)은 중국 고대의 관직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상국 · 더보기 »

태사 (관직)

사(太師)는, 고대 중국에서 사용된 관직명으로, 천자(황제)의 스승을 가리.

새로운!!: 후한 헌제와 태사 (관직) · 더보기 »

순우경

순우 경(淳于瓊, ? ~ 200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중간(仲簡)저자 미상, 《조만전(曹瞞傳)》 이며 예주(豫州) 영천군(潁川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순우경 · 더보기 »

순욱

순욱(荀彧, 163년 ~ 212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정치가로 자는 문약(文若)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穎陰縣) - 지금의 허난 성 쉬창 시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순욱 · 더보기 »

순유

순유(荀攸, 157년 ~ 214년)는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달(公達)이며 예주 영천군 영음현(潁陰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순유 · 더보기 »

순열 (후한)

순열(荀悅, 148년 ~ 20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사학자, 정론가, 사상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순열 (후한) · 더보기 »

영회황후

미인 왕씨(美人 王氏, 162년 ~ 181년)는 후한 영제의 후궁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영회황후 · 더보기 »

영태 (후한)

영태(榮邰, ? ~ ?) 또는 영합(榮郃)은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영태 (후한) · 더보기 »

영사황후

영사황후 하씨(靈思皇后 何氏, 155년 ~ 189년 9월 30일)는 후한 영제의 황후로 소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영사황후 · 더보기 »

영한

영한(永漢)은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영한 · 더보기 »

오광 (삼국지)

오광(吳匡, ? ~ ?)은 중국 후한 말 하진 휘하의 장수로 연주 진류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오광 (삼국지) · 더보기 »

오대 십국 시대

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960년)는 중국의 역사에서 당나라가 멸망한 907년부터, 송나라가 건립된 960년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화북을 통치했던 5개의 왕조(오대)와 화중·화남과 화북의 일부를 지배했던 여러 지방정권(십국)이 흥망을 거듭한 정치적 격변기를 가리.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오대 십국 시대 · 더보기 »

오습

오습(伍習,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오습 · 더보기 »

호주 (조위)

호주(浩周, ? ~ ?)는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공이(孔異)이며 상당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호주 (조위) · 더보기 »

형정

형정(邢貞, ? ~ ?)은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하간국 막현(鄚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형정 · 더보기 »

형주 공방전

형주 공방전은 후한말의 군벌 유비 세력의 형주 방면 사령관 관우가 조조를 치기 위해 번성 전투를 원정했으나 실패한 뒤, 유비와 동맹 관계이던 군벌 손권이 그 동맹을 파기하고 형주를 공격하여 형주를 탈취하고 관우를 죽인 사건이.육손과 여몽이 살아있을때 제갈근을 사자로 보내 관우에게 손권의 아들과 관우의 딸을 혼사시키려 했으나 관우가 이를 거절하자 빌미로 삼아 형주를 공격.

새로운!!: 후한 헌제와 형주 공방전 · 더보기 »

최열 (후한)

열(崔烈, ? ~ 192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위고(威考) 이며 유주 탁군 안평현(安平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최열 (후한) · 더보기 »

양봉 (후한)

양봉(楊奉,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의 군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양봉 (후한) · 더보기 »

양정 (후한)

양정(楊定, ? ~ ?)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자는 정수(整修)이며 양주(凉州)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양정 (후한) · 더보기 »

양소 (후한)

양소(梁邵, ? ~ ?)는 후한 말기의 관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양소 (후한) · 더보기 »

여남 전투

여남 전투(汝南 戰鬪)는 201년 유비가 조조를 공격해 벌인 전투로 첫 싸움에서는 승리했으나 군사를 다루는 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어 조조에게 크게 패해 유비는 본거지 여남을 잃고 형주 자사 유표에게로 도망가 의탁.

새로운!!: 후한 헌제와 여남 전투 · 더보기 »

여포

여포(呂布, ? ~ 198년 음력 12월)는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봉선(奉先)이며 병주 오원군 구원현(九原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여포 · 더보기 »

연강

연강(延康)은 중국 후한(後漢) 헌제(獻帝)의 네 번째 연호이자 후한의 마지막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연강 · 더보기 »

은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후한 헌제와 헌 · 더보기 »

헌목황후

목황후 조절(獻穆皇后 曹節, 186년 ~ 260년)은 후한 말 위왕 조조(曹操)의 딸이며, 헌제(獻帝)에게 시집가 후궁이 되었고, 214년에 복황후(伏皇后)가 처형되자, 그 뒤 황후가 되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헌목황후 · 더보기 »

헌제 탈출전

제 탈출전은 195년 동쪽으로 가려는 후한 황제 헌제와 이를 호송하는 양봉, 한섬, 외척 동승, 이락이 이끄는 흑산적 도적 등이 이각과 곽사, 장제의 끈질긴 추격에서 벗어난 전투로 이후 조조가 황제를 끼고 천하의 중심에 서게 되는 단초가 되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헌제 탈출전 · 더보기 »

허정 (촉한)

정(許靖, 149년 이전 ~ 222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로, 자는 문휴(文休)이며 여남군 평여현(平輿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허정 (촉한) · 더보기 »

허저

저(許褚, ? ~ ?)는 후한 ~ 위나라의 무장으로 자는 중강(仲康)이며 예주 초국(譙國)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허저 · 더보기 »

허유

유(許攸, ? ~ 204년)는 중국 후한 말 원소 휘하의 모사로 자는 자원(子遠)《위략(魏略)》 이며 형주 남양군《삼국지(三國志)》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허유 · 더보기 »

사도 (관직)

사도(司徒)는 중국 고대의 관직명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사도 (관직) · 더보기 »

사공 (관직)

사공(司空)은, 고대 중국, 한국 왕조의 관직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사공 (관직) · 더보기 »

사이초

사이초(진고게이운 원년(767년) ~ 고닌 13년(822년))는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의 승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사이초 · 더보기 »

사손서

사손 서(士孫 瑞, 129년 ~ 195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군영(君榮) 이며 사례(司隷) 부풍군(扶風郡) 평릉현(平陵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사손서 · 더보기 »

사원 (후한)

사원(射援, ? ~ ?)은 중국 후한 말 ~ 삼국시대 촉한(蜀)의 정치가로, 자는 문웅(文雄)《삼보결록주(三輔決錄注)》 이며 사례(司隷) 부풍군(扶風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사원 (후한) · 더보기 »

산상왕

3세기 초 고구려의 판도 산상왕(山上王, ?~227년, 재위 197년~227년)은 고구려의 제10대 군주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산상왕 · 더보기 »

삼국지 가공인물

음은 소설 《삼국지연의》 등 삼국지와 관련하여 창작된 가상의 인물들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지 가공인물 · 더보기 »

삼국지 공명전

삼국지 공명전(三國志孔明傳)은 일본의 게임 회사인 코에이가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인 영걸전 시리즈 작품군 중 두 번째 작품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지 공명전 · 더보기 »

삼국지 인물 목록

삼국지 인물 목록은 역사서인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 나관중(羅貫中)의 소설 《삼국지통속연의(三國志通俗演義)》 및 각종 삼국지 외전 등에 등장하는 인물의 목록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지 인물 목록 · 더보기 »

삼국지 조조전

삼국지 조조전(三國志 曹操傳)은 일본의 게임 회사인 코에이가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인 영걸전 시리즈 작품군 중 다섯 번째 작품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지 조조전 · 더보기 »

삼국지 영걸전

삼국지 영걸전()은 일본의 게임 회사인 코에이가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인 영걸전 시리즈 작품군 중 첫 번째 작품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지 영걸전 · 더보기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 삽화. 조조가 유비를 초대해 매실을 안주로 천하에 영웅이라 할 만한 사람이 누가 있는지 대화하는 장면.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는 서기 184년 황건적의 난부터 서기 280년까지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집필한 중국의 대표적 연의(고전역사소설)로, 명나라 때 나관중이 쓴 책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지연의 · 더보기 »

삼국연의 (드라마)

삼국연의()는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1994년에 중국의 CCTV에서 처음 방영된 장편 TV 드라마로, 왕부림이 총감독을 맡았.

새로운!!: 후한 헌제와 삼국연의 (드라마) · 더보기 »

선양 (역사)

선양(禪讓)은 군주가 혈연관계 아닌 사람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것으로 이는 중국 역사에서 특징적인 왕조 교체의 한 형태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선양 (역사) · 더보기 »

서구 (사람)

서구(徐璆, ? ~ ?)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맹옥(孟玉)이며, 서주 광릉현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서구 (사람) · 더보기 »

서주 함락

서주 함락(徐州 陷落)은 196년 동승의 조조 암살 미수 사건으로 조조가 서주의 유비를 공격한 사건으로 유비는 이 전투에서 서주를 잃고 하북의 원소에.

새로운!!: 후한 헌제와 서주 함락 · 더보기 »

서훈 (후한)

서훈(徐勛,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서훈 (후한) · 더보기 »

서황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공명(公明)이며 사례 하동군 양현(楊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서황 · 더보기 »

손견

손견(孫堅, 155년? ~ 191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손견 · 더보기 »

손권

오 태조 대황제 손권(吳 太祖 大皇帝 孫權, 182년 음력 5월 18일 ~ 252년 음력 4월 16일)은 중국 삼국시대 오나라의 초대 황제로 자는 중모(仲謀)이며 양주(揚州) 오군(吳郡) 부춘현(富春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손권 · 더보기 »

손책

오 장사환왕 손책(吳 長沙桓王 孫策, 175년 ~ 200년 4월)은 중국 후한 말의 군벌이자 오(吳)나라의 추존왕으로, 198년 조조에 의해 오후에 봉해졌.

새로운!!: 후한 헌제와 손책 · 더보기 »

소녕

소녕(昭寧)은 중국 후한(後漢) 소제(小帝)의 두 번째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소녕 · 더보기 »

소칙

소칙(蘇則, ? ~ 223년)은 후한 말기 ~ 조위 초기의 관료로, 자는 문사(文師)이며 우부풍 무공현(武功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소칙 · 더보기 »

한복 (후한)

복(韓馥, ? ~ ?)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문절(文節)이며, 예주(豫州) 영천군(潁川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한복 (후한) · 더보기 »

한나라

(漢, 기원전 206년 ~ 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로서 후에 삼국으로 갈라졌다(220년 ~ 280년).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한나라 · 더보기 »

한중 전투

중 전투(漢中 戰鬪)는 219년 유비와 조조가 벌인 전투로 유비가 대승을 거두고 조조를 무찔러 한중을 차지하여 촉의 힘은 2배로 커지게 되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한중 전투 · 더보기 »

한융

융(韓融, ? ~ ?)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원장(元長)이며 영천군 무양현(舞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한융 · 더보기 »

한수 (후한)

수(韓遂, 145년 이전 ~ 215년)는 중국 후한 말 관서 일대의 세력가로 자는 문약(文約)이며 양주 금성군(金城郡)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한수 (후한) · 더보기 »

한섬 (후한)

섬(韓暹, ? ~ 197년)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한섬 (후한) · 더보기 »

하진

(何進, ? ~ 189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수고(遂高)이며 남양군 완현(宛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하진 · 더보기 »

하후란

후란(夏侯蘭, ? ~ ?)은 중국 후한 말의 인물로 기주 상산국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하후란 · 더보기 »

하후돈

후돈(夏侯惇, ? ~ 220년 6월 13일)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 겸 정치가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하후돈 · 더보기 »

하후연

후연(夏侯淵, ? ~ 219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묘재(妙才)이며 예주 패국 초현(譙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하후연 · 더보기 »

악진

악진(樂進, ? ~ 218년)은 중국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장군으로 자는 문겸(文謙)이며 동군 위현(衛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악진 · 더보기 »

신비 (조위)

신비(辛毗, ? ~ ?)는 후한 말기 ~ 조위의 관료로, 자는 좌치(佐治)이며 예주 영천군 양책현(陽翟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신비 (조위) · 더보기 »

십상시의 난

십상시의 난은 후한 189년 9월 22일(음력 8월 25일)에 십상시에 의해 발생하여 무려 2,000명에 달하는 환관과 사람들이 죽은 사건으로 동탁이 이 사건을 이용해 권력을 잡았으며, 권력을 휘두르던 대장군 하진이 죽었.

새로운!!: 후한 헌제와 십상시의 난 · 더보기 »

원담

원담(袁譚, ? ~ 205년)은 후한 말의 세력가 원소의 장남으로 자는 현사(顯思)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원담 · 더보기 »

원유 (삼국지)

원유(袁遺, ? ~ 192년?)는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백업(伯業)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원유 (삼국지) · 더보기 »

원술

원술(袁術, ? ~ 199년)은 중국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공로(公路)이며 예주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원술 · 더보기 »

원소 (후한)

원소(袁紹, 미상 ~ 202년 6월 28일(음력 5월 21일))는 후한 말기의 군인으로, 자는 본초(本初)이며 여남군 여양현(汝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원소 (후한) · 더보기 »

후문

후문(侯汶, ? ~ ?)은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문림(文林)《한사공종구비(漢司空宗俱碑)》 이며 병주(幷州) 태원군(太原郡) 중도현(中都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후문 · 더보기 »

후한

후한(後漢, 25년~220년)은 전한이 신나라의 왕망에 의하여 멸망한 이후, 한 왕조의 일족인 광무제 유수가 한 왕조를 부흥시킨 나라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후한 · 더보기 »

후한 영제

효령황제 유굉(漢 孝靈皇帝 劉宏, 156년 ~ 189년, 재위 168년 ~ 189년)은 중국 후한의 제12대 황제로, 장제(章帝)의 고손자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후한 영제 · 더보기 »

후한 소제 (13대)

소황제 유변(漢 少皇帝 劉辯, 173년 또는 176년 ~ 190년 음력 1월)은 후한의 제13대 황제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후한 소제 (13대) · 더보기 »

후한말

후한말(後漢末)이란 중국사에서 기원후 189년 ~ 220년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후한말 · 더보기 »

후한서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의 범엽(398년 ~ 445년)이 정리한 책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후한서 · 더보기 »

황조

황조(黃祖, ? ~ 208년)는 중국 후한 말 형주목 유표 휘하의 무장으로 언제부터인가 강하태수로 재직.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황조 · 더보기 »

황주 (촉한)

황주(黃柱, ? ~ ?)는 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관료로 남양군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황주 (촉한) · 더보기 »

황초 (위)

황초(黃初)는 중국 조위(曹魏) 문제(文帝)의 연호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황초 (위) · 더보기 »

외척

외척(外戚)은 어머니 쪽의 친척을 이르는 말로 동양에서는 역사적으로 왕후, 황후 혹은 후궁의 친정사람들을 이르는 말로 쓰였.

새로운!!: 후한 헌제와 외척 · 더보기 »

환계

환계(桓階, ? ~ ?)는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백서(伯緖)이며 형주 장사군 임상현(臨湘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환계 · 더보기 »

환전 (후한)

환전(桓典, ? ~ 201년)은 후한 말기의 관료로, 자는 공아(公雅)이며 패국 용강현(龍亢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환전 (후한) · 더보기 »

환온

환온(桓溫, 312년 ~ 373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五胡十六國時代)의 동진(東晉)의 정치가, 군인, 재상.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환온 · 더보기 »

화흠

화흠(華歆, 157년 ~ 231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로 자는 자어(子魚)이며 청주 평원군 고당현(高唐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화흠 · 더보기 »

화웅

화웅(華雄, ? ~ 191년 음력 2월)은 중국 후한 말의 무장으로 양인 전투에서 전사하였.

새로운!!: 후한 헌제와 화웅 · 더보기 »

왕찬

왕찬(王粲, 177년 ~ 217년 음력 1월 24일)은 중국 후한 말기의 관료이자 문장가로, 자는 중선(仲宣)이며 연주 산양군 고평현(高平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왕찬 · 더보기 »

왕윤

왕윤 왕윤(王允, 137년 ~ 192년 7월 4일(음력 6월 7일))은 중국 후한 말의 정치가로, 자는 자사(子師)이며 병주(幷州) 태원군(太原郡) 기현(祁縣) 사람이.

새로운!!: 후한 헌제와 왕윤 · 더보기 »

12월 11일

1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5번째(윤년일 경우 3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후한 헌제와 12월 11일 · 더보기 »

18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89년 · 더보기 »

189년 중국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89년 중국 · 더보기 »

1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0년 · 더보기 »

190년 중국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0년 중국 · 더보기 »

1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1년 · 더보기 »

1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2년 · 더보기 »

19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3년 · 더보기 »

1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4년 · 더보기 »

1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5년 · 더보기 »

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6년 · 더보기 »

19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7년 · 더보기 »

1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8년 · 더보기 »

19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199년 · 더보기 »

20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0년 · 더보기 »

2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1년 · 더보기 »

2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2년 · 더보기 »

20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3년 · 더보기 »

2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4년 · 더보기 »

2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5년 · 더보기 »

20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6년 · 더보기 »

2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7년 · 더보기 »

20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8년 · 더보기 »

2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09년 · 더보기 »

2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0년 · 더보기 »

2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1년 · 더보기 »

2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2년 · 더보기 »

2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3년 · 더보기 »

2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4년 · 더보기 »

2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5년 · 더보기 »

2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6년 · 더보기 »

2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7년 · 더보기 »

2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8년 · 더보기 »

2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19년 · 더보기 »

2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20년 · 더보기 »

23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후한 헌제와 234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동한 헌제, 산양공, 효헌제, 헌제, 한 헌제, 한헌제, 후한 효헌제, 후한 헌제 유협.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