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훈몽자회

색인 훈몽자회

오른쪽 《훈몽자회》(訓蒙字會)는 최세진이 1527년에 쓴 한자 학습서이.

17 처지: , , , , 만두 (한국 요리), 간장, 비둘기, 조선의 어문학, 집비둘기, 최세진 (조선), 한글, 한글 낱자,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한자사전, 신증유합, 시금치, 화랑.

ㆁ(옛이응, 꼭지이응)은 훈민정음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법에는 쓰이지 않. 17세기에 사라져 현재는 그 자형은 없어지고 끝소리 ㅇ으로 남아 있. 훈몽자회에서는 지금의 이응을 이(伊), 옛이응을 (異凝)으로 불.

새로운!!: 훈몽자회와 ㆁ · 더보기 »

(치읓)은 한글 닿소리 중 열째 글자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ㅊ · 더보기 »

(으)는 한글 낱자의 23번째 글자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ㅡ · 더보기 »

(이응)은 한글 닿소리 중 여덟 번째 글자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ㅇ · 더보기 »

만두 (한국 요리)

만두 만두(饅頭)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펴 얇게 만든 만두피 속에 야채와 고기 등의 소(음식)를 넣고 빚어 찌거나 삶거나 튀긴 음식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만두 (한국 요리) · 더보기 »

간장

국의 전통 간장 간장()은 음식의 간을 맞추는, 짠맛이 나는 흑갈색 액체 장으로, 콩을 소금물에 발효시켜 만. 장(醬) 또는 장유(醬油)라고도 부른.

새로운!!: 훈몽자회와 간장 · 더보기 »

비둘기

비둘기는 비둘기과를 이루는 308종의 새들의 총칭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비둘기 · 더보기 »

조선의 어문학

이 문서는 조선의 언어학과 문학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조선의 어문학 · 더보기 »

집비둘기

집비둘기(Columba livia domestica)는 바위비둘기가 인간에 의해 세계 각지에 방생된 후 리비아 원산의 비둘기에서 독자적으로 분화된 개체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집비둘기 · 더보기 »

최세진 (조선)

세진(崔世珍, 1468년 - 1542년)은 조선시대의 학자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최세진 (조선) · 더보기 »

한글

은 조선 제 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한 문자로,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

새로운!!: 훈몽자회와 한글 · 더보기 »

한글 낱자

낱자 또는 자모(子母, 字母)는 한글의 닿소리와 홀소리를 같이 이르는 말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한글 낱자 · 더보기 »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

새로운!!: 훈몽자회와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더보기 »

한자사전

자사전(漢字辭典)은 한자의 음과 뜻을 모아놓은 일종의 사전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한자사전 · 더보기 »

신증유합

신증유합(新增類合)은 한문 입문서의 하나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신증유합 · 더보기 »

시금치

시금치(학명: Spinacia oleracea)는 비름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시금치 · 더보기 »

화랑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당염립본왕회도(唐閻立本王會圖) 중국의 6세기 각국의 사신도 - 왼쪽부터 왜, 신라, 백제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는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

새로운!!: 훈몽자회와 화랑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