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흥선대원군

색인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460 처지: 도농역, 도정궁 경원당, 동문학, 동학 농민 운동,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만동묘, 만력제, 마건충, 마고자, 면제배갑, 메이지 6년 정변, 메이지 천황, 목탄증기갑함, 명빈 박씨, 명성황후,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무위영, 문 (화폐), 민겸호, 민경혁, 민병석, 민규호, 민기현, 민승호,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민응식 (1844년), 민정중, 민족중심주의, 민치구, 민태호 (1834년), 민영목, 민영익, 민영찬, 민영휘, 민영환, 배정자, 백산서원 (무주군), 개화주화책, 갑오개혁, 갑신정변, , 바람과 구름과 비, 강로, 박만순, 박규수, 박효관, 박제가, 박제순, 박찬주 (교육인), ..., 박칠용, 박유전, 강위, 박영효, 강산제, 강성서원, 강서 김씨, 박암 (배우), 강화도 조약, 가덕도 척화비, 거제면, 경복궁, 경복궁 중건, 경복궁타령, 경주 양동마을, 고종의 누비저고리, 고영근, 고산자, 대동여지도, 병인박해, 병인양요, 병산서원, 변희봉, 변중량, 광화문, 봉화 만산고택, 권희, 권상하, 불꽃처럼 나비처럼, 붕당, 부암동 (서울), 귤림서원, 근대, 근대성, 근정전, 규암면, 귀강서원, 기대승, 기장 척화비, 브라운 대학교, 금오서원, 비변사등록, 김동인, 김문근, 김문희 (제주도), 김개남, 김보현 (1826년), 김병기 (1818년), 김병교, 김병국 (1825년), 김병익 (1837년), 김병지 (1830년), 김병필 (1839년), 김병학 (1821년), 김기두 (조선), 김남길, 김낙풍, 김담, 김용진 (1878년), 김자은,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김흥근, 김흥기, 김인후, 김정희, 김정호, 김좌근, 김윤식 (1835년), 김영란 (배우), 김옥균, 김세종, 김학진, 김시민, 김홍집 (1842년), 대구읍성,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사회 교과목,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대한제국 고종, 대한제국 순종, 대한제국의 황실, 대원군, 대원군 (동음이의),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 (소설), 구미시, 구은사, 구연수, 남정철, 남종삼, 남양주시, 남연군,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내명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나주 무열사, 낙천군, 닥터 진, 당백전, 용궁사, 용성부대부인, 우범선, 운니동, 운요호 사건, 운현궁, 운현궁의 봄, 장기 척화비, 장어영, 장성 필암서원, 임동진, 임응준, 임오군란, 포도주, 포항 스틸러스, 흥녕군, 흥인군, 흥친왕, 흥선동,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흥원, 흥완군, 흥완군 의복, 이만손, 이문용, 이문용 (1882년), 이건창, 이경하 (조선), 이범수 (배우), 이범석 (1900년), 이복남, 이병원, 이봉의, 이관용, 이관용 (황족), 이규완, 이기붕, 이기용, 이구 (1931년), 이두황, 이노우에 가오루, 이달용, 이우, 이우 (1915년), 이우용, 이승응, 이회정, 이회정 (1818년), 이회영, 이재극, 이재긍, 이재선, 이재선 (동음이의),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원 (1831년), 이희, 이희하, 이인명, 이익 (1681년), 이종 (1940년), 이종걸, 이종찬 (1936년), 이주철, 이중원 (1873년), 이준용, 이준용 (1870년), 이준용 (1938년), 이진익, 이진완, 이지용, 이청 (1936년), 이윤용 (1854년), 이윤일, 이순재, 이수형 (1435년), 이옥 (1773년), 이호성 (대한제국), 이여빈, 이석영 (독립운동가), 이세보, 이해영, 이해영 (학자), 이하응 초상 일괄, 이하전, 이시학, 이원경 (1827년), 이완용, 인천광역시의 역사, 일본 제국, 일본의 역사, 일제 강점기, 음력 11월 16일, 음력 2월 2일, 음력 3월 20일, 의병, 의친왕, 의친왕 (드라마), 을묘왜변, 을미사변, 은전군, 은신군, 적서 차별, 제2차 진주성 전투, 제너럴셔먼호 사건, 전봉준, 전운, 전주 이씨, 정보 (조선), 정비석, 정인홍, 정창업, 정춘풍, 정여창 (청나라), 정한론, 조동윤, 조경호 (1839년), 조병식,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조두순 (1796년), 조희연 (1856년), 조일동맹조약, 조정구 (1862년), 조영 통상 조약, 조영하, 조양문, 조선, 조선 명종, 조선 문조, 조선 철종, 조선 총잡이,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경제,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역사, 조선왕릉, 조성하 (1845년), 조식 (1501년), 존화양이, 진채선, 진안군 (왕족), 지청천, 찬란한 여명, 창계서원 (전북), 창주서원, 창열사, 청계천, 청계서원 (진주시), 청일 전쟁,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청주 신항서원, 척화비, 충곡서원지, 충절사 (문경시), 추사체, 카를 베베르, 친로파, 유동근, 유길준, 유준상 (배우), 육용정, 윤보선, 윤효정, 윤승원, 윤창구, 윤치병, 윤치호, 윤치소, 윤태준 (1839년), 윤영렬, 윤원선, 윤웅렬, 파락호, 상평통보, 순명효황후, 순흥 척화비, 순정효황후, 오경석,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카모토 류노스케, 옥계서원 (전남), 온양온천, 현충사, 최익현, 최한기, 최시형, 양산 대원군 척화비, 에른스트 오페르트, 여흥 민씨, 여흥부대부인, 역사 연표,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역사채널e, 연령군, 연갑수, 허목, 허건, 허욱, 허욱 (1827년), 엄흥도, 풍양 조씨, 사천 구계서원, 사심충만 오!쾌남, 삼대민취, 삼군부 청헌당, 삽교읍, 피휘, 석파정, 석파정 별당, 석실서원, 섭정, 성삼문, 세도정치, 서울 재동 백송,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화계사 동종, 서울 화계사 대웅전, 서울특별시의 관광, 서장옥, 서재필, 서천 문헌서원, 서촌, 서얼 금고령, 서악서원, 서원, 서원 철폐, 송기윤, 송준길, 쇄국정책, 함평 척화비, 함양 남계서원, 합하, 해동 (별칭), 해우당, 한복, 한계원, 한불 관계, 한국 법제의 역사, 한국근·현대사 (교과목),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한국의 역사, 한국의 성씨와 이름, 한국친우회, 한국사 전, 한국사 연표, 한국사의 시대 구분, 한국통사, 한일 관계,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한제국 건국사, 한중 관계, 한영 관계, 안동 임천서원, 안동 청성서원, 안동시, 아리랑, 아관파천, 아산 신창 척화비, 아산시, 아소정, 신미양요, 신단 (1832년), 신재효, 신응조, 신정왕후 (조선), 신윤복,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심이택 (1832년), 심의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흥동 (서울), 원귀임, 훈련도감, 훈몽재 유지, 월봉서원, 후쿠자와 유키치, 홍계훈, 홍봉주, 홍대용, 홍우원, 홍순목, 홍영식, 홍성 대원군 척화비, 황현, 황선홍, 환곡, 화도읍, 화계사, 완창군, 완친왕, 완성군, 왕도의 개, 왕작, 10월 28일, 12월 21일, 1820년, 1860년대, 1868년, 1873년, 1882년, 1885년, 1894년, 1898년, 19세기, 2월 22일, 5월 9일, 9월 6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10 더) »

도농역

농역(陶農驛)은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에 있는 중앙선의 전철역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도농역 · 더보기 »

도정궁 경원당

정궁 경원당(都正宮 慶原堂)는 원래 종로구 사직동 252-82번지에 있었던 도정궁 일부 건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도정궁 경원당 · 더보기 »

동문학

동문학(同文學)은 1883년 외국어 교육을 위해 세운 조선 후기 외교와 통상사무를 관장한 관청인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부속기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동문학 · 더보기 »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 혁명(東學農民革命), 동학 혁명(東學革命), 동학 농민 운동(東學農民運動) 또는 동학 농민 전쟁(東學農民戰爭)은 1894년 동학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 및 농민들에 의해 일어난 민중의 무장 봉기를 가리.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동학 농민 운동 · 더보기 »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버트 저메인 토머스(Robert Jermain Thomas, 1840년 ~ 1866년)는 웨일스의 개신교 선교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로버트 저메인 토머스 · 더보기 »

만동묘

만동묘(萬東廟)는 조선시대 때 지어진 사당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을 돕기 위하여 조선에 원군을 파병한 명 신종을 기리기 위해서1704년 숙종 30년 오늘날의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에 지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만동묘 · 더보기 »

만력제

만력제(萬曆帝, 1563년 9월 4일 ~ 1620년 8월 18일)는 명나라의 제13대 황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만력제 · 더보기 »

마건충

마건충(1845년 2월 9일 - 1900년 8월 14일)은 청나라 말의 사상가, 외교관, 정치가, 언어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마건충 · 더보기 »

마고자

여미는 형태의 남성용 마고자. 황갈색 단추가 2개 달려 있고 겉면에 꽃문양이 있다. 마고자 또는 마괘자(馬褂子)는 저고리 위에 덧입는 방한복의 하나로 저고리와 비슷하나 깃과 고름이 없고 앞을 여미지 않. 대개 비단으로 만들며 호박 등의 단추를.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마고자 · 더보기 »

면제배갑

면제배갑(綿製背甲) 또는 면제갑옷(綿製甲胄)은 무명을 여러 겹 겹쳐 만든 조선 말기의 갑옷으로 세계 최초로 발명된 방탄조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면제배갑 · 더보기 »

메이지 6년 정변

사이고 다카모리 메이지 6년 정변(明治六年政変, 1873년)은 메이지 시대 초기의 정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메이지 6년 정변 · 더보기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메이지 천황 · 더보기 »

목탄증기갑함

목탄증기갑함 (木炭蒸汽甲艦)은 제너럴 셔먼호 사건 이후, 흥선대원군이 제너럴 셔먼호를 끌어내서 그 잔해와 서양의 철갑 증기선의 설계도인 《해국도지》의 내용을 참고해 건조한 조선 최초의 증기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목탄증기갑함 · 더보기 »

명빈 박씨

명빈 박씨(䄙嬪 朴氏, ? ~ 1703년 음력 7월 15일)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며, 연령군의 어머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명빈 박씨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명성황후 (드라마)

《명성황후》(明成皇后)는 2001년 5월 9일부터 2002년 7월 18일까지 한국방송공사에서 방영한 특별기획 드라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명성황후 (드라마) · 더보기 »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明成皇后 暗殺未遂 事件)은 1895년(고종 32년) 7월 조선의 정치인 박영효 등 급진개화파 일부가 명성황후를 비밀리에 암살하려던 사건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명성황후 암살 미수 사건 · 더보기 »

무위영

무위영(武衛營)은 1881년 성립된 조선의 군영으로, 장어영과 함께 2영을 이루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무위영 · 더보기 »

문 (화폐)

류큐국과 고려, 조선에서 쓰였던 다양한 동전들 1884년 조선에서 발행한 10문 우표 (문위 우표)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 문(文)은 조선의 화폐 단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문 (화폐) · 더보기 »

민겸호

민겸호(閔謙鎬, 1838년 ~ 1882년 6월 10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겸호 · 더보기 »

민경혁

민경혁(閔景爀, 1746년 ~ 181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경혁 · 더보기 »

민병석

민병석(閔丙奭, 1858년 ~ 1940년)은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일제 통치에 적극 협조.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병석 · 더보기 »

민규호

민규호(閔奎鎬, 1836년 8월 20일 ~ 1878년 10월 15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민유중의 아들 민진원의 5대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규호 · 더보기 »

민기현

민기현(閔耆顯, 1751년 ~ 181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으로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아들 민진후의 증손이며 이조판서를 지낸 민익수의 손자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기현 · 더보기 »

민승호

민승호(閔升鎬, 1830년 ~ 1874년 음력 11월 2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민치록의 양자이며, 명성황후의 양오라버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승호 · 더보기 »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민승호 암살 사건 또는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은 1874년 11월 민승호 일가가 의문의 폭약을 선물로 받고, 이를 개봉하다가 죽은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승호 일가 암살 사건 · 더보기 »

민응식 (1844년)

민응식(閔應植, 1844년 ~ 1903년 3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 외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응식 (1844년)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정중 · 더보기 »

민족중심주의

자문화중심주의 (自文化中心主義) 또는 자민족중심주의(自民族中心主義) 란 는 철저히 자문화의 가치와 습관(오래된 전통 또는 관점)에 기준하여 다른 문화를 바라보고 평가하는 태도나 그러한 주의를 말. 자문화를 우월하게 생각하며, 타문화를 자문화를 중심으로 바라보며 좋지 않거나, 무시하는 편견과 오해를 불러일으.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족중심주의 · 더보기 »

민치구

민치구(閔致久, 1795년~1874년 12월 14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척신으로 흥선대원군의 장인이며 여흥부대부인의 친정아버지이고, 고종, 이재면의 외할아버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치구 · 더보기 »

민태호 (1834년)

민태호(閔台鎬, 1834년~1884년 10월 18일)는 조선 시대의 문신, 서예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태호 (1834년) · 더보기 »

민영목

민영목(閔泳穆, 1826년~ 1884년 10월 18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민씨 척족세력의 거두의 한사람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영목 · 더보기 »

민영익

민영익 민영익(閔泳翊, 1860년~1914년 중국 상하이)은 조선의 정치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영익 · 더보기 »

민영찬

민영찬(閔泳瓚, 1874년 12월 3일 ~ 1948년 11월 1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영찬 · 더보기 »

민영휘

민영휘(閔泳徽, 1852년 양력 5월 15일 ~ 1935년 양력 12월 30일)는 조선 말기의 정치인으로, 초명은 영준(泳駿)이며, 자는 군팔(君八), 호는 하정(荷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영휘 · 더보기 »

민영환

민영환(閔泳煥, 1861년 8월 7일(음력 7월 2일) ~ 1905년 11월 30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대신(大臣)이자 척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민영환 · 더보기 »

배정자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田山貞子(다야마 사다코), 1870년 2월 23일1870년 2월 27일 설도 있다. ~ 1952년 2월 27일)는 조선의 비구니이자 일본 제국의 조선 정보원, 외교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배정자 · 더보기 »

백산서원 (무주군)

백산서원(柏山書院)은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백산서원 (무주군) · 더보기 »

개화주화책

화주화책(開化主和策)은 조선 말기 민비 일파가 주장한 대외정책을 말.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주장하여 외국과의 통상조약 체결을 거부하고 외국문물의 수입을 금지하다가 고종의 친정선포로 1873년 하야하자, 민비 일파는 대원군을 배척하는 구실의 하나로 나라의 문호를 열고 서양문물을 수입할 것을 주장.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개화주화책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갑오개혁 · 더보기 »

갑신정변

김옥균 홍영식 갑신정변(甲申政變) 또는 갑신혁명(甲申革命)은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쿠데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갑신정변 · 더보기 »

갓의 일종인 흑립. 주칠 팔각 갓집, 조선, 19세기, 소나무,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갓은 조선 시대 복식의 하나로, 양반이 머리에 쓰는 관모(冠帽)의 일종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갓 · 더보기 »

바람과 구름과 비

《바람과 구름과 비》는 KBS2TV에서 1989년 10월 9일부터 1990년 3월 27일까지 방영되었던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바람과 구름과 비 · 더보기 »

강로

강로(姜㳣, 1809년 ~ 1887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좌의정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강로 · 더보기 »

박만순

박만순(朴萬順, 생몰년 모름)은 조선 말기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만순 · 더보기 »

박규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 10월 27일 ~ 1877년 2월 9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규수 · 더보기 »

박효관

박효관(朴孝寬, 생몰년 미상)은 조선 말기의 가곡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효관 · 더보기 »

박제가

박제가 박제가(朴齊家, 1750년 11월 5일 ~ 1815년 4월 25일)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 외교관, 통역관, 실학자로 북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제가 · 더보기 »

박제순

박제순(朴齊純, 1858년 12월 7일 ~ 1916년 6월 20일)은 조선의 문신이자 외교관, 대한제국의 정치인, 외교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제순 · 더보기 »

박찬주 (교육인)

박찬주(朴贊珠, 1914년 12월 11일 ~ 1995년 7월 13일)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사회사업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찬주 (교육인) · 더보기 »

박칠용

박칠용(朴七用, 1950년 10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칠용 · 더보기 »

박유전

박유전(朴裕全, 1835년~1906년)은 조선 말기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유전 · 더보기 »

강위

강위(姜瑋, 1820년 5월 2일 ~ 1884년 4월 5일)는 조선 말기의 한학자, 개화 사상가, 시인이자 금석학자.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강위 · 더보기 »

박영효

박영효(朴泳孝, 1861년 ~ 1939년 양력 9월 21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 사상가로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영효 · 더보기 »

강산제

강산제(江山制)는 서편제의 수령 박유전이 만년에 전남 보성군 강산리(岡山里)에서 여생을 보내며 창시한 판소리 유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강산제 · 더보기 »

강성서원

강성서원(江城書院)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조양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강성서원 · 더보기 »

강서 김씨

강서 김씨(江西 金氏)는 평안남도(平安南道) 강서(江西)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강서 김씨 · 더보기 »

박암 (배우)

박암(朴巖, 본명은 박영철(朴永撤), 1924년 2월 29일 ~ 1989년 3월 22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이자 영화배우이며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박암 (배우) · 더보기 »

강화도 조약

조일수호조규를 묘사한 그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은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조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강화도 조약 · 더보기 »

가덕도 척화비

덕도 척화비(加德島 斥和碑)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성북동 56-1 천가초등학교에 있는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가덕도 척화비 · 더보기 »

거제면

제면(巨濟面)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서부의 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거제면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경복궁 · 더보기 »

경복궁 중건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은 조선 말기 수렴청정을 하던 신정왕후에게서 지시를 받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1865년(고종 2년)부터 1872년(고종 9년)까지 행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경복궁 중건 · 더보기 »

경복궁타령

경복궁타령(景福宮打令)은 경기도 민요의 일종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경복궁타령 · 더보기 »

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慶州 良洞마을)은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북쪽 설창산에 둘러싸여 있는 유서 깊은 양반마을로 1984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7월 31일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제34차 회의에서 안동 하회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경주 양동마을 · 더보기 »

고종의 누비저고리

종의 누비저고리는 조선 제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 고종(재위 1863~1907)이 평상복으로 입었던 오목누비(五目縷緋) 저고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고종의 누비저고리 · 더보기 »

고영근

영근(高永根, 1853년 ~ 1923년)은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개화파 정치인이며 종2품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한 관료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고영근 · 더보기 »

고산자, 대동여지도

《고산자, 대동여지도》는 2016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고산자, 대동여지도 · 더보기 »

병인박해

thumb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당시 6천여 명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된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병인박해 · 더보기 »

병인양요

병인양요(丙寅洋擾)는 1866년(고종 3년)에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를 구실로 삼아 외교적 보호(diplomatic protection)를 명분으로 하여 프랑스가 일으킨 전쟁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병인양요 · 더보기 »

병산서원

병산서원(屛山書院)은 서애 류성룡 선생을 기리기 위해 만든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병산서원 · 더보기 »

변희봉

변희봉(1942년 6월 8일 ~)은 대한민국의 성우 출신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변희봉 · 더보기 »

변중량

변중량(卞仲良, 1345년 ~ 1398년)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변중량 · 더보기 »

광화문

2011년 11월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광화문 · 더보기 »

봉화 만산고택

봉화 만산고택(奉化 晩山古宅)은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에 있는, 조선 후기 만산 강용(1846~1934)이 1878년에 건립한 가옥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봉화 만산고택 · 더보기 »

권희

희(權喜, 1794년 ~ 1839년 9월 3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권희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권상하 · 더보기 »

불꽃처럼 나비처럼

《불꽃처럼 나비처럼》 은 대한민국에서 2009년 9월 24일 개봉한 영화.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불꽃처럼 나비처럼 · 더보기 »

붕당

붕당(朋黨)은 조선 중기 이후 특정한 학문적·정치적 입장을 공유하는 양반들이 모여 구성한 정치 집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붕당 · 더보기 »

부암동 (서울)

부암동(付岩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부암동 (서울) · 더보기 »

귤림서원

림서원 (2004년 복원) 귤림서원(橘林書院)은 제주도에 있었던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귤림서원 · 더보기 »

근대

(近代, late modern period)는 서양 역사상의 시대구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근대 · 더보기 »

근대성

성이란 근대의 특질을 표현하는 용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근대성 · 더보기 »

근정전

정전(勤政殿)은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으로, 다포계 팔작 지붕의 중층 건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근정전 · 더보기 »

규암면

암면(窺岩面)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에 속한 면이다.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규암면 · 더보기 »

귀강서원

강서원(龜江書院)은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2동 지역에 있던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귀강서원 · 더보기 »

기대승

승(奇大升, 1527년~157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기대승 · 더보기 »

기장 척화비

장 척화비(機張 斥和碑)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용암초등학교에 있는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기장 척화비 · 더보기 »

브라운 대학교

유니버시티 홀 (University Hall) 브라운 대학교(Brown University)는 미국 로드아일랜드 주에 있는 사립 대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브라운 대학교 · 더보기 »

금오서원

오서원(金烏書院)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원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금오서원 · 더보기 »

비변사등록

《비변사등록부의정부등록》(備邊司謄錄附議政府謄錄)은 조선조 중·후기의 최고의결기관이었던 비변사에서 처리한 사건을 등록하여 광해군 9년(1617)부터 고종 29년(1892)까지의 12왕조 280여 년간의 기록이며 273책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비변사등록 · 더보기 »

김동인

동인(金東仁, 일본식 이름: 東 文仁 히가시 후미히토 / 金東文仁 가네히가시 후미히토,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은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친일 문학가이자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동인 · 더보기 »

김문근

문근(金汶根, 1801년 ~ 1863년)은 조선 후기의 외척으로 철인왕후의 아버지이자 철종의 장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문근 · 더보기 »

김문희 (제주도)

문희(金水+文熙, 1886년 4월 28일 - ?)는 대한제국 말기의 문신이자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문희 (제주도) · 더보기 »

김개남

(金開南, 1853년 9월 15일 ~ 1894년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한학자, 동학 종교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개남 · 더보기 »

김보현 (1826년)

보현(金輔鉉, 1826년 - 188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보현 (1826년) · 더보기 »

김병기 (1818년)

병기(金炳冀, 1818년~1875년)는 조선 후기의 외척이자 권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기 (1818년) · 더보기 »

김병교

병교(金炳喬, 1801년 ~ 1876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조판서, 산실청권초관, 안태사 등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교 · 더보기 »

김병국 (1825년)

병국(金炳國, 1825년~190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字)는 경용(景用), 호는 영어(穎漁).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국 (1825년) · 더보기 »

김병익 (1837년)

병익(金炳翊, 1837년~1921년)은 구한말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으로, 자는 좌경(左卿)이며, 본관은 (신)안동(安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익 (1837년) · 더보기 »

김병지 (1830년)

병지(金炳地, 1830년~1888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문과급제 후 철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도승지,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등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지 (1830년) · 더보기 »

김병필 (1839년)

병필(金炳弼, 1839년~187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대사성, 이조참의 등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필 (1839년) · 더보기 »

김병학 (1821년)

병학(金炳學, 1821년~187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이조판서, 의정부좌의정 등을 지냈고 불우한 처지의 왕족 흥선군을 각별히 대우한 일로 흥선대원군과 교분이 두터웠.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병학 (1821년) · 더보기 »

김기두 (조선)

(金箕斗, ?~?)는 조선 고종 때의 기계 제작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기두 (조선) · 더보기 »

김남길

`김남길(金南佶, 1981년 3월 13일 ~)은 한국의 남자 배우.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남길 · 더보기 »

김낙풍

낙풍 (金樂豊, 1825년 ~ 1900년)은 조선 후기의 인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낙풍 · 더보기 »

김담

(金淡, 1416년 ~ 1464년 7월 10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 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담 · 더보기 »

김용진 (1878년)

용진(金容鎭, 1878년 ~ 1968년 2월 14일)은 한국의 서화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용진 (1878년) · 더보기 »

김자은

자은(金自隱)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자은 · 더보기 »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재순(金在珣, ? ~ ?)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 법관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재순 (대한제국 문신) · 더보기 »

김흥근

흥근(金興根, 1796년 ~ 187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흥근 · 더보기 »

김흥기

흥기(金興基, 1946년 7월 28일 ~ 2009년 3월 6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흥기 · 더보기 »

김인후

인후(金麟厚, 1510년 ~ 1560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인후 · 더보기 »

김정희

정희가 그린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김정희(金正喜, 정조 10년(1786년) 6월 3일(1786년 6월 28일) ~ 철종 7년(1856년) 10월 10일(1856년 11월 7일))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 금석학자, 고증학자, 화가, 실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정희 · 더보기 »

김정호

정호(金正浩, ? ~ 1864년)는 조선 후기 대표적 지리학자이며 지도 제작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정호 · 더보기 »

김좌근

좌근(金左根, 1797년~186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외척으로 안동김씨 세도기 후반의 중심인물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좌근 · 더보기 »

김윤식 (1835년)

윤식(金允植, 1835년 ~ 1922년 1월 22일)은 문장가로 이름이 높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문인, 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윤식 (1835년) · 더보기 »

김영란 (배우)

영란(金英蘭, 1956년 8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영란 (배우) · 더보기 »

김옥균

옥균(金玉均, 1851년 2월 23일 ~ 1894년 3월 28일)은 조선 말기의 정치가, 사상가, 급진개화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옥균 · 더보기 »

김세종

세종(金世宗)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세종 · 더보기 »

김학진

학진(金鶴鎭, 1838년 양력 4월 3일 ~ 1917년 양력 12월 13일)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학진 · 더보기 »

김시민

시민(金時敏, 1554년 ~ 1592년 11월 21일(음력 10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시민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김홍집 (1842년) · 더보기 »

대구읍성

조선시대의 대구부 전도 (1897년 이전) 대구읍성(大邱邑城)은 조선 경상도 대구도호부(大邱都護府)에 있었던 읍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구읍성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사회 교과목

민국의 고등학교 사회 교과목은 7차교육과정을 기준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사회, 한국사, 도덕과 일반선택과목에 해당하는 시민 윤리와 인간사회와 환경, 심화선택과목에 해당하는 윤리와 사상, 전통 윤리,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근·현대사, 세계사, 법과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있. 학교에서는 계열에 상관없이 공통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사회와 국사, 도덕을 이수시켜야하며, 나머지 과목은 학교 재량으로 편성할 수 있. 심화선택과목들과 국사 교과목은 수능 사회탐구 영역에 출제.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사회 교과목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목록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한제국 순종 · 더보기 »

대한제국의 황실

덕수궁 석조전에서 황실 가족 (1918년) 대한제국의 황실(大韓帝國皇室)은 조선 왕실의 후계로 대한제국의 성립 때부터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할 때까지 실질적인 황실의 주인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한제국의 황실 · 더보기 »

대원군

원군(大院君)은 조선 시대 적통인 임금의 자손이나 전임 임금의 대가 끊겨 방계(傍系)인 종친 중에서 왕위를 이어받을 때, 그 임금의 친아버지에게 주는 칭호 및 관직으로서, 군호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원군 · 더보기 »

대원군 (동음이의)

원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원군 (동음이의) · 더보기 »

대원군 (드라마)

《대원군(大院君)》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열한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으로, 1990년 5월 6일부터 1990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원군 (드라마) · 더보기 »

대원군 (소설)

원군(大院君)은 1965년에 발표된 대한민국 소설가 유주현(柳周鉉)의 장편 대하 역사 소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대원군 (소설) · 더보기 »

구미시

미시(龜尾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구미시 · 더보기 »

구은사

은사(九隱祠)는 조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기 위해 은거한 구은사(九隱士, 생육신인 김시습 외 8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구은사 · 더보기 »

구연수

연수(具然壽, 1866년 10월 8일 ~ 1925년 5월 6일)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군인, 관료, 정치인으로 을미사변 관련자이자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출신 고위 협조자의 한사람이며 일제 강점기에 경찰 간부를.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구연수 · 더보기 »

남정철

정철(南廷哲, 1840년 ~ 1916년)은 조선 말과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남정철 · 더보기 »

남종삼

종삼(南鍾三, 1817년 ~ 1866년 3월 7일)은 조선의 문신이며,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남종삼 · 더보기 »

남양주시

양주시청 1청사(구 미금시청) 남양주시(南楊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남양주시 · 더보기 »

남연군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남연군 · 더보기 »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연군 분묘 도굴 사건(南延君墳墓盜掘事件)은 1868년 대한제국 고종 5년 상인이자 학자인 독일인 에른스트 오페르트가 충청도 덕산(德山)에 있는,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南延君)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 더보기 »

내명부

명부(內命婦)는 조선시대 궁중에 있는 왕비와 후궁, 그리고 이들을 모시는 여자 관리(궁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내명부 · 더보기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자 미술사학자 유홍준이 대한민국과 일본의 문화유산을 답사하며 관련된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소개하고 현대적인 의의를 설명한 기행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더보기 »

나주 무열사

주 무열사(羅州 武烈祠)는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영동리에 있는 사당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나주 무열사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낙천군 · 더보기 »

닥터 진

《닥터 진》은 MBC에서 방영되었던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닥터 진 · 더보기 »

당백전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인 1866년(고종 3년)에 흥선 대원군 이하응이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주조한 화폐로, 법정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100배에 해당하였으나, 실제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5 ~ 6배 가치에 불과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당백전 · 더보기 »

용궁사

용궁사(龍宮寺)는 인천광역시 중구 영종도 백운산 동북쪽에 소재한 사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용궁사 · 더보기 »

용성부대부인

용성부대부인 염씨(龍城府大夫人 廉氏, 1793년 7월 20일 - 1834년 3월)는 조선 후기의 왕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용성부대부인 · 더보기 »

우범선

우범선(禹範善, 1857년 5월 24일 ~ 1903년 11월 24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및 군인 겸 정치가이며, 을미사변 당시 조선인 협력자이자 명성황후 살해에 가담한 조선 시대 말기 고위 인사의 일원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우범선 · 더보기 »

운니동

운니동(雲泥洞)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운니동 · 더보기 »

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년 9월 20일(고종 12년, 음력 8월 21일) 또는 강화도 사건(江華島事件)은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운요호 사건 · 더보기 »

운현궁

운현궁(雲峴宮)은 조선 제26대 임금인 고종의 생부인 흥선대원군의 저택으로서, 고종이 탄생하여 즉위하기 전 12살까지 살았던 잠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운현궁 · 더보기 »

운현궁의 봄

《운현궁의 봄》(雲峴宮―)은 1933년 발표된 김동인의 장편소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운현궁의 봄 · 더보기 »

장기 척화비

장기 척화비(長鬐 斥和碑)는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장기읍사무소 정원에 있는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장기 척화비 · 더보기 »

장어영

장어영(壯禦營)은 1881년 성립된 조선의 군영으로, 무위영과 함께 2영을 이루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장어영 · 더보기 »

장성 필암서원

장성 필암서원(長城 筆巖書院)은 동방의 대학자 하서 김인후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필암리에 있는 서원으로 사적 제242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장성 필암서원 · 더보기 »

임동진

임동진(林東眞, 1944년 4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연극배우, 텔레비전 연기자, 영화배우, 극단 대표 겸 기업가이자 前 목회자이며, 前 서울 열린문교회 담임목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임동진 · 더보기 »

임응준

임응준(任應準, 1816년 ~ 1883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임응준 · 더보기 »

임오군란

임오군란(壬午軍亂)은 1882년 훈련도감에서 해고된 구식 군인들의 13개월 동안 연체된 봉급에 대해 정부가 불량쌀을 지급해 일어난 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임오군란 · 더보기 »

포도주

주(葡萄酒) 또는 와인() 혹은 뱅()은 포도를 으깨서 나온 즙을 발효시킨 술을 말. 제조 방법상 양조주 중 과실주에 해당.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포도주 · 더보기 »

포항 스틸러스

항 스틸러스는 대한민국의 프로축구단으로 경상북도 포항시를 연고지로 두고 있으며, 현재 K리그1에 참가하고 있. 법적으로는 상법상 주식회사이며 포스코의 계열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포항 스틸러스 · 더보기 »

흥녕군

흥녕군 이창응(興寧君 李昌應, 1809년 7월 16일 ~ 1828년 2월 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손자이며, 흥선대원왕, 흥인군의 백형(伯兄)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녕군 · 더보기 »

흥인군

이최응(李最應, 1815년 2월 17일 ~ 1882년 6월 1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정치인으로, 자는 양백(良伯), 호는 산향(山響), 군호는 흥인군(興寅君)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인군 · 더보기 »

흥친왕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완흥군(完興君), 1845년 8월 22일(음력 7월 20일) ~ 1912년 9월 9일)은 조선 말기의 왕족·군인·정치인이자 대한제국의 황족·군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적장자(嫡長子)이자 고종의 친형이며 영선군 이준의 아버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친왕 · 더보기 »

흥선동

흥선동(興宣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행정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선동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흥선대원군 기린흉배(興宣大院君 麒麟胸背)는 흥선대원군의 상복인 아청색 단령에 달았던 흉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 더보기 »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흥선대원군 자적단령(興宣大院君紫赤團領)이란, 흥선대원군 이하응이 입었던 자주색 단령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선대원군 자적단령 · 더보기 »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興宣大院君李昰應筆墨蘭圖)는 석파 이하응이 1891년에 유모씨의 부탁으로 그린 열 두 폭의 석란도(石蘭圖)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선대원군 이하응필 묵란도 · 더보기 »

흥원

흥원(興園)은 대한제국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년 ~ 1898년)과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 1898년)의 묘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원 · 더보기 »

흥완군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완군 · 더보기 »

흥완군 의복

흥완군의복(興完君衣服)이란 남연군의 둘째 아들이자,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형인 흥완군 이정응의 복식류 62점을 말. 이 유물은 이정응이 입던 옷으로 그의 양자인 완순군 이재완이 보관하였다가 그 후손이 1982년 숙명여자대학교에 기증한 것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흥완군 의복 · 더보기 »

이만손

이만손 (李晩孫, 1811년 ~ 1891년) 은 조선 고종 때의 유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만손 · 더보기 »

이문용

이문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문용 · 더보기 »

이문용 (1882년)

이문용(李鎔, 1882년 9월 4일 ~ 1901년 10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숙종의 서3남 연령군의 6대손이자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 대원왕의 손자이자 흥친왕의 차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문용 (1882년) · 더보기 »

이건창

영재 이건창(寧齋 李建昌, 1852년~1898년)의 아명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鳳藻), 호는 영재(寧齋)이고, 당호(堂號)는 명미당(明美堂)이며, 조선 제2대왕 정종대왕(定宗)의 열째 왕자인 덕천군(德泉君)의 15대 후손으로 병인양요(고종 3년, 1866) 때 순국한 전(前) 개성부유수·이조판서 충정공(忠貞公) 사기 이시원(沙磯 李是遠)의 손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건창 · 더보기 »

이경하 (조선)

이경하(李景夏, 1811년 - 1891년)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경하 (조선) · 더보기 »

이범수 (배우)

이범수(1970년 1월 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범수 (배우) · 더보기 »

이범석 (1900년)

이범석(李範奭,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자 대한민국의 정치가 겸 저술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범석 (1900년) · 더보기 »

이복남

이복남(李福男, 1555년 6월 28일 ~ 1597년 8월 16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이며, 본관은 우계(羽溪)로 자(字)는 수보(綏甫), 시호는 충장(忠壯)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복남 · 더보기 »

이병원

이병원(李秉源, 1752년 4월 6일 ~ 1822년 11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병원 · 더보기 »

이봉의

이봉의(李鳳儀, 1839년 양력 3월 28일(음력 2월 14일) ~ 1919년 양력 3월 13일)는 조선말기의 무신, 관료이자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초명은 지겸(志謙), 자는 선익(善翼), 호는 송부(松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봉의 · 더보기 »

이관용

이관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관용 · 더보기 »

이관용 (황족)

이관용(李土+灌鎔, 생몰년 미상)은 조선시대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관용 (황족) · 더보기 »

이규완

이규완(李圭完, 1862년 11월 15일 ~ 1946년 12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관료, 사상가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규완 · 더보기 »

이기붕

이기붕(李起鵬, 1896년 12월 20일 ~ 1960년 4월 2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기붕 · 더보기 »

이기용

이기용(李埼鎔, 1889년 11월 1일 ~ 1961년 3월 4일)은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장조의 서자 은신군(恩信君)의 현손이며, 흥선대원왕의 백형(伯兄) 흥녕군 이창응의 손자이고, 계동궁(桂洞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기용 · 더보기 »

이구 (1931년)

이구(李玖, 1931년 12월 29일~2005년 7월 16일)는 대한민국의 건축가, 공학자, 교육자, 사업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구 (1931년) · 더보기 »

이두황

이두황(李斗璜, 1858년 1월 11일 ~ 1916년 3월 9일)은 조선과 대한제국의 무신, 군인이자 화가, 서예가이고, 을미사변 관련자이며 일제 강점기의 관료, 화가, 작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두황 · 더보기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노우에 가오루 · 더보기 »

이달용

이달용(李達鎔, 1883년 음력 9월 11일 ~ 1948년 1월 27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 교육인으로 흥선대원군의 종손(從孫)이며 남연군의 증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달용 · 더보기 »

이우

이우(李鍝, 1912년 11월 15일 ~ 1945년 8월 7일)는 일본 제국의 왕공족, 육군 군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우 · 더보기 »

이우 (1915년)

이우(李堣, 1915년 8월 20일 ~ 1916년 7월 25일)는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의 아홉번째 아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우 (1915년) · 더보기 »

이우용

이우용(李禹鎔, 1827년 - ?년)은 조선 후기의 무신으로 헌종조와 철종조에 왕위에 물망올랐던 경원군 이하전(李夏銓)의 서형(庶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우용 · 더보기 »

이승응

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 1836년 7월 21일 ~ 1909년 10월 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및 문신, 대한제국 황족으로, 장조의 서5남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의 양 손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승응 · 더보기 »

이회정

이회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회정 · 더보기 »

이회정 (1818년)

이회정(李會正, 1818년 9월 23일 ~ 1883년 5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의금부판사, 한성부 판윤 등을 역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회정 (1818년) · 더보기 »

이회영

이회영(李會榮, 1867년 4월 21일 (음력 3월 17일) ~ 1932년 11월 17일)은 대한제국의 교육인, 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의 아나키스트 계열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회영 · 더보기 »

이재극

이재극(李載克, 1864년 11월 6일 ~ 1931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왕족,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일제 강점기에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재극 · 더보기 »

이재긍

완영군 이재긍(完永君 李載兢, 1857년 3월 12일 - 1881년 1월 23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장조의 서2남 은신군(恩信君)의 증손이며, 흥인군 이최응(興寅君 李最應)의 아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재긍 · 더보기 »

이재선

완은군 이재선(完恩君 李載先, 1842년/1841년 8월 1일 ~ 1881년 10월 28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자,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서자이자, 흥친왕 이재면과 고종의 서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재선 · 더보기 »

이재선 (동음이의)

이재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재선 (동음이의) · 더보기 »

이재선 추대 사건

이재선 역모 사건 또는 이재선 모역 사건, 이재선 쿠데타 사건은 조선 말기의 군사 쿠데타로, 쿠데타 기도 10일 전에 사전 적발되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재선 추대 사건 · 더보기 »

이재원 (1831년)

완림군 이재원(完林君 李載元, 1831년 10월 13일 ~ 1891년 2월 1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왕족으로 자는 순팔(舜八), 시호는 효정(孝貞), 본관은 전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재원 (1831년) · 더보기 »

이희

이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희 · 더보기 »

이희하

광흥령 이희하(廣興令 李熙夏, 1839년 ~ 1900년)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희하 · 더보기 »

이인명

이인명(李寅命, 1819년 ~ 188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인명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종 (1940년)

이종(李淙, 1940년 11월 9일(음력 10월 10일) ~ 1966년 12월 25일)은 일본과 대한민국 사람으로, 대한제국의 황족 출신 인물로, 흥선대원군의 5대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종 (1940년) · 더보기 »

이종걸

이종걸(李鍾杰, 1957년 5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종걸 · 더보기 »

이종찬 (1936년)

이종찬(李鍾贊, 1936년 4월 29일 ~)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의 정치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종찬 (1936년) · 더보기 »

이주철

이주철(李周喆, 1806년 - 1875년)은 조선후기의 무신으로 삼도수군통제사 등을 역임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주철 · 더보기 »

이중원 (1873년)

이중원(李中元, 1873년 ~ 1946년)은 조선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중원 (1873년) · 더보기 »

이준용

이준용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준용 · 더보기 »

이준용 (1870년)

영선군 이준용 신도비 영선군 이준용(永宣君 李埈鎔, 1870년 7월 23일(음력 6월 25일) ~ 1917년 3월 22일 (양력))은 조선의 왕족, 문신, 군인, 친일파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군인, 교육인으로, 고종황제의 형 흥친왕 이재면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준용 (1870년) · 더보기 »

이준용 (1938년)

이준용(李埈鎔, 서울특별시, 1938년 7월 9일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경영인으로 대림산업의 사장과 대림그룹의 회장을 거쳐서 현재는 명예회장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준용 (1938년) · 더보기 »

이진익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진익 · 더보기 »

이진완

이진완(李辰琬, 1916년 5월 18일 ~ 1997년)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고종황제의 종손녀이며 흥친왕가의 최후의 직계손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진완 · 더보기 »

이지용

이지용(李址鎔, 1870년 10월 23일 ~ 1928년 6월 28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지용 · 더보기 »

이청 (1936년)

이청(李淸, 미국 거주 시절 영어 이름은 셔먼 리(Scherman Lee), 1936년 4월 23일 ~)은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흥선대원군의 현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청 (1936년) · 더보기 »

이윤용 (1854년)

이윤용(李允用, 1854년 ~ 1939년 9월 8일)은 대한제국 및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가이며, 한일 병합 과정에서 일본에 협력.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윤용 (1854년) · 더보기 »

이윤일

이윤일(李--, 1823년 ~ 1867년 1월 21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윤일 · 더보기 »

이순재

이순재(李順載, 1934년 11월 16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순재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옥 (1773년)

이옥(李𪸛, 1773년 ~ 1820년 음력 2월 11일)은 조선후기의 문신, 종친으로 고종의 어머니이자 흥선대원군의 처 여흥대원비 민씨의 외조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옥 (1773년) · 더보기 »

이호성 (대한제국)

이호성(李鎬性, 1842년/1843년 - ?)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호성 (대한제국) · 더보기 »

이여빈

이여빈(李汝馪, 1556년 9월 11일 ~ 1631년 9월 2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학자이자 문신, 시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여빈 · 더보기 »

이석영 (독립운동가)

이석영(李石榮, 1855년 ~ 1934년)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석영 (독립운동가) · 더보기 »

이세보

경평군 이호(慶平君 李晧, 1832년 6월 14일 ~ 1895년 11월 23일)는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자 시조 시인, 작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세보 · 더보기 »

이해영

이해영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해영 · 더보기 »

이해영 (학자)

이해영(李海英, 1925년 - 1979년)은 대한민국의 인구학자, 통계학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해영 (학자) · 더보기 »

이하응 초상 일괄

이하응 초상 일괄(李昰應 肖像 一括)은 운현궁에 전해오던 것으로 이하응이 회갑을 맞이한 해에 이한철과 이창옥이 그리고 한홍적이 꾸며 만든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화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하응 초상 일괄 · 더보기 »

이하전

정궁 경원군 이하전(都正宮 慶原君 李夏銓, 1842년 2월 15일 ~ 1862년 8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 정치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하전 · 더보기 »

이시학

이시학(李時學, 1794년 - 1852년)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으로 도정궁 사손 완창군 이시인(完昌君 李時仁)의 친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시학 · 더보기 »

이원경 (1827년)

증 회평군 이명(贈 懷平君 李明, 1827년 9월 11일 - 1844년 9월 6일)은 조선후기의 농민, 왕족으로 장조의 서장남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자 철종의 이복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원경 (1827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이완용 · 더보기 »

인천광역시의 역사

대동여지도에 그려진 인천 부근 인천광역시의 역사는 선사시대인 구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 원삼국시대에 미추홀이 있었다고 추정되며, 삼국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된 뒤로는 매소홀현(買召䑸䎱)으로 불리다가 다시 신라의 영토가 되었고 경덕왕이 소성(邵城)이라 이름지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인천광역시의 역사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의 역사

일본의 역사(日本-歷史)는 일본과 일본인이 현재까지 걸어온 모든 역사적 과정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일본의 역사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력 11월 16일

음력 11월 16일은 음력 11월의 16번째 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음력 11월 16일 · 더보기 »

음력 2월 2일

음력 2월 2일은 음력 2월의 2번째 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음력 2월 2일 · 더보기 »

음력 3월 20일

음력 3월 20일은 음력 3월의 20번째 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음력 3월 20일 · 더보기 »

의병

1907년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무장한 의병 의병(義兵)은 주로 한국사에서 정의를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민병을 뜻하는 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의병 · 더보기 »

의친왕

의친왕 이강(義親王 李堈, 1877년 3월 30일 ~ 1955년 8월 16일)은 조선의 왕족이고 대한제국 황족 종실이며 고종의 다섯째 아들(서자)이자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의친왕 · 더보기 »

의친왕 (드라마)

《의친왕》은 MBC에서 1980년 8월 13일 ~ 1980년 8월 15일에 방영된 8.15 특집 드라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의친왕 (드라마) · 더보기 »

을묘왜변

을묘왜변(乙卯倭變)은 1555년(조선 명종 10년) 조선 명종 때 일어난 왜구의 습격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을묘왜변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은전군

은전군 이찬(恩全君 李禶, 1759년 8월 14일 ~ 1778년 8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영조의 서손이자 사도세자(장조로 추존)의 서자이며, 어머니는 경빈 박씨(景嬪朴氏)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은전군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은신군 · 더보기 »

적서 차별

적서 차별은 조선시대 적자와 서자를 차별하는 체제, 제도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적서 차별 · 더보기 »

제2차 진주성 전투

제2차 진주성 전투(第二次晋州城戰鬪)는 1593년 7월 20일(음력 6월 22일)부터 같은 달 27일(음력 6월 29일)까지 진주성에서 벌어진 전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제2차 진주성 전투 · 더보기 »

제너럴셔먼호 사건

제너럴셔먼호 사건(-號事件)은 1866년(조선 고종 3년, 미국 앤드루 존슨 대통령 2년) 음력 7월 12일(양력 8월 21일) 평양 군민(軍民)들이 미국 상선(商船) 제너럴셔먼호(General Sherman號)를 응징하여 불에 태워버린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제너럴셔먼호 사건 · 더보기 »

전봉준

전봉준(全琫準, 1854년 ~ 1895년 4월 24일(음력 3월 30일))은 조선의 농민 운동가이자 동학의 종교 지도자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전봉준 · 더보기 »

전운

전운(田雲, 본명: 전덕, 1938년 ~ 2005년 3월 26일)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연기자이자 영화배우, 라디오 성우, 연극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전운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정보 (조선)

정보(鄭保, ? ~ ?)는 조선시대 초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보 (조선) · 더보기 »

정비석

정비석(鄭飛石, 1911년 5월 21일 ~ 1991년 10월 19일)은 한국의 소설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비석 · 더보기 »

정인홍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인홍 · 더보기 »

정창업

정창업(丁昌業, 1847년 ~ 1919년)은 조선 말기 일제 강점기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창업 · 더보기 »

정춘풍

정춘풍(鄭春風)은 조선시대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춘풍 · 더보기 »

정여창 (청나라)

정여창 정여창(1836년 11월 18일 ~ 1895년 2월 12일)은 청의 군인으로서 청 후기에 일어난 여러 반란과 국외 문제에서 활약했으며 청일 전쟁 당시 대패하고 자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여창 (청나라) · 더보기 »

정한론

정한론() 또는 정조론(征朝論)은 19세기 말 당시, 일본이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사상 또는 신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정한론 · 더보기 »

조동윤

조동윤(趙東潤, 1871년 ~ 1923년)은 조선 말기의 관료로 일제 강점기의 조선귀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동윤 · 더보기 »

조경호 (1839년)

조경호(趙慶鎬, 1839년 ~ 1914년)는 흥선대원군의 사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경호 (1839년) · 더보기 »

조병식

조병식(趙秉式, 1832년 ~ 1907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병식 · 더보기 »

조불 수호 통상 조약

조불 수호 통상 조약(朝佛修好通商條約) 또는 대조선국 대법민주국 통상 조약(大朝鮮國大法民主國通商朝約)은 1886년(고종 23) 6월 4일에 조선과 프랑스가 맺은 조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불 수호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두순 (1796년)

조두순(趙斗淳, 1796년 ~ 1870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두순 (1796년) · 더보기 »

조희연 (1856년)

조희연(趙羲淵, 일본식 이름: 大村智三郞, 1856년 5월 26일 ~ 1915년 7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군인으로 일제 강점기에 조선귀족 작위를 받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희연 (1856년) · 더보기 »

조일동맹조약

조일동맹조약(朝日同盟條約)또는 조일동맹(朝日同盟), 한일동맹(韓日同盟)은 청일전쟁이 한창이던 1894년 7월 22일 조선국과 일본 제국이 체결한 방수동맹조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일동맹조약 · 더보기 »

조정구 (1862년)

조정구(趙鼎九, 1862년 ~ 1926년)는 이조판서 조봉하 (趙鳳夏)의 손자이며 조동석의 아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정구 (1862년) · 더보기 »

조영 통상 조약

조영통상조약(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reat Britain and Corea)은 1883년 11월 26일 조선과 영국 사이에 전문 13조의 조영수호통상조약(朝英修好通商條約), 부속통상장정(附續通商章程), 세칙장정(稅則章程), 선후속약(善後續約)의 영문 조약 필사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영 통상 조약 · 더보기 »

조영하

조영하(趙寧夏, 1845년 6월 ~ 1884년 12월 5일)는 조선의 문신, 무신, 척신,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영하 · 더보기 »

조양문

조양문(朝陽門)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위치한 홍주읍성의 4대문 중 하나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양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문조

조선 문조(文祖)(1809년 9월 18일 (순조 9년 음력 8월 9일) ~ 1830년 6월 25일 (순조 30년 음력 5월 6일))는 헌종의 아버지로서 조선의 추존왕이자 왕세자, 문인, 시인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문조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총잡이

《조선 총잡이》는 조선의 마지막 칼잡이가 총잡이로 거듭나 민중의 영웅이 돼 가는 과정을 그린 편당 5억원 에 달하는 대작 드라마이며, 애당초 2014년 6월 25일부터 KBS 2TV에서 방영하는 20부작 특별기획 드라마로 편성하였으나, 제작진은 8월 5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박윤강이 개인적인 복수에 그치지 않고 민중의 영웅으로 거듭나기 위한 이야기가 많이 남아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총잡이 · 더보기 »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이 문서는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에 대해 설명한 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후기의 농민 반란 · 더보기 »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의 임금들은 전주 이씨의 조선 태조의 후손들로 1392년부터 1897년까지 혈통이 이어졌.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 왕 가계도 · 더보기 »

조선의 경제

이 문서는 조선시대의 경제에 대해 설명.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의 경제 · 더보기 »

조선의 대외 관계

조선 시대의 대외 관계에서, 조선은 건국 초부터 대명(對明) 외교에서 사대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왕조의 권위를 보장받으려고 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의 대외 관계 · 더보기 »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는 조선 말기에 조선 조정을 관리하는 흥선대원군이 유교 사상으로의 쇄국 정책을 펼치면서 일본에서 보낸 국서(곧 서계)를 거부한 사건으로, 서계 사건 또는 서계 거부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의 일본 국서 거부 · 더보기 »

조선의 역대 국왕

조선의 국왕의 칭호는 대개 묘호로 불린.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조선의 역사

조선의 역사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며, 전기를 다시 둘로 나눠 전기와 중기로 보아 전기-중기-후기로 보. 이때 전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임진왜란이며, 전기-중기-후기를 나누는 기준은 전기와 중기는 중종반정, 중기와 후기는 임진왜란 또는 병자호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의 역사 · 더보기 »

조선왕릉

조선왕릉(朝鮮王陵)은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하는 말로, 일반적으로 1897년에 수립된 대한제국의 역대 황제와 황후의 무.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선왕릉 · 더보기 »

조성하 (1845년)

조성하(趙成夏, 1845년 3월 ~ 1881년 7월)는 조선의 문신, 척신, 정치가, 시인, 저술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성하 (1845년)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존화양이

존화양이(尊華攘夷)는 중국을 존중하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뜻으로, 중화사상의 일부 관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존화양이 · 더보기 »

진채선

선 진채선(陳彩仙, 1842년 ~ ?)은 근세 조선의 판소리 명창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진채선 · 더보기 »

진안군 (왕족)

안군 이언식(晋安君 李彦植, 1752년 ~ 181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덕흥대원군의 후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진안군 (왕족) · 더보기 »

지청천

청천(池靑天, 1888년 2월 15일 ~ 1957년 1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항일 독립운동가 겸 군인이었으며, 만주에서 독립군 활동을 지휘하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사령관·광복군 총사령관 등을 역임하였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정치가 겸 정당인으로 활동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지청천 · 더보기 »

찬란한 여명

《찬란한 여명》(燦爛한 黎明)은 KBS1에서 1995년 10월 28일부터 1996년 11월 23일까지 방영한 대하 드라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찬란한 여명 · 더보기 »

창계서원 (전북)

창계서원(創溪書院)은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창계서원 (전북) · 더보기 »

창주서원

창주서원(滄州書院)은 전라북도 남원시 도통동에 있는, 조선시대 중기 문인 노진(盧禛)을 봉안한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창주서원 · 더보기 »

창열사

창열사(彰烈祠)는 1593년 임진왜란 당시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장렬히 산화한 순국 선인들의 신위를 모시기 위해 경상도 관찰사 정사호가 건립하여 1607년(선조 40년) 사액을 받은 곳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창열사 · 더보기 »

청계천

청계천(淸溪川)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내부에 있는 지방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하며 중랑천의 지류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청계천 · 더보기 »

청계서원 (진주시)

청계서원(淸溪書院)은 고려의 문신인 정신열과 정천익을 배향한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청계서원 (진주시)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청일전쟁과 여걸민비는 1964년에 개봉된 대한민국의 영화로 감독은 임원식, 나봉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 더보기 »

청주 신항서원

청주 신항서원(淸州 莘巷書院)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용정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청주 신항서원 · 더보기 »

척화비

척화비(斥和碑)는 조선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서양인을 배척하기 위하여 종로 네거리를 위시한 전국 교통 요충지 200여 개소에 세운 비석(碑石)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척화비 · 더보기 »

충곡서원지

충곡서원지(忠谷書院址)는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에 있는 충곡서원의 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충곡서원지 · 더보기 »

충절사 (문경시)

조선전기의 충신 엄흥도를 모신 사당 문경 충절사, 1900년 재건되었다. 충절사(忠節祠)는 조선 전기의 충신 엄흥도를 모신 사당으로 경상북도 문경시에 있. 엄흥도의 충성심을 기리기 위해 1750년(영조 26년) 특별히 그를 모시는 별묘(別廟)를 건립하고, 영조 32년(1755)에는 상절사(尙節祠)를 건립하였는데, 이 사(祠)는 순조 33년(1833)서원으로 승격하여 의산서원(義山書院)이라 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충절사 (문경시) · 더보기 »

추사체

사체(秋史體)는 김정희(金正喜)의 서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추사체 · 더보기 »

카를 베베르

를 이바노비치 베베르(1841년 6월 17일 ~ 1910년 1월 8일)는 러시아 제국의 외교관으로 1885년부터 1897년까지 주(駐)조선 러시아 공사로 근무하였고, 고종의 개인적인 친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카를 베베르 · 더보기 »

친로파

조선말기 극동으로 진출하는 러시아 제국세력을 업고 일본과 청나라 세력에 대항하여 정권을 잡았던 정파를 말.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친로파 · 더보기 »

유동근

유동근(1956년 6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유동근 · 더보기 »

유길준

유길준(兪吉濬, 1856년 양력 11월 21일(음력 10월 24일) ~ 1914년 양력 9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교관, 작가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유길준 · 더보기 »

유준상 (배우)

유준상(劉俊相, 1969년 11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유준상 (배우) · 더보기 »

육용정

육용정(陸用鼎, 1842년 ~ 1917년)은 조선 말기의 유학자, 소설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육용정 · 더보기 »

윤보선

윤보선(尹潽善, 1897년 8월 26일 ~ 1990년 7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보선 · 더보기 »

윤효정

윤효정(尹孝定, 1858년 ~ 1939년)은 구한말의 문신, 학자, 애국지사로 경기도 양주출신으로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운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효정 · 더보기 »

윤승원

윤승원(1958년 5월 29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광고 모델로도 활동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승원 · 더보기 »

윤창구

윤창구(尹昌求, 1941년 12월 18일 ~ 1991년 7월 27일)는 대한민국의 화학자 겸 공학자, 교육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창구 · 더보기 »

윤치병

윤치병(尹致昞, 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은 한말의 무신, 군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치병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치호 · 더보기 »

윤치소

윤치소 내외 윤치소(尹致昭, 1871년 8월 25일 ~ 1944년 2월 20일)는 조선 말기의 문신, 정치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금융인 겸 기업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치소 · 더보기 »

윤태준 (1839년)

윤태준(尹泰駿, 1839년 ~ 1884년 12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군인이자 유학자, 작가, 외교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태준 (1839년) · 더보기 »

윤영렬

윤영렬(尹英烈, 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군인 겸 정치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영렬 · 더보기 »

윤원선

윤원선(尹源善, 1910년 10월 27일 - 1971년 12월 16일)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 정치인, 기업인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원선 · 더보기 »

윤웅렬

윤웅렬(尹雄烈, 1840년 5월 18일(음력 4월 17일) ~ 1911년 양력 9월 22일)은 조선 말기의 무신, 군인이며 개화파 정치인,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윤웅렬 · 더보기 »

파락호

락호(破落戶)란 재산이나 권력이 있는 집안의 자손으로서 집안의 재산을 몽땅 털어먹는 난봉꾼을 말. 하지만 다른 사람의 눈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파락호 행세를 하는 사람도 있. 역사상 유명한 파락호에는 흥선대원군 이하응,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 자금을 댄 김용환, 그리고 형평사(衡平社) 운동의 투사였던 김남수 등이 있. 흥선대원군은 조선 말기 안동김씨의 세도정치에 의해 이씨 왕족이 견제를 당하자 일부러 파락호 행세를 하며 시장통에서 상인들과 어울려 놀며 난봉꾼 행세를.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파락호 · 더보기 »

상평통보

상평통보 앞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 뒷면(선혜청 주조) 상평통보(常平通寶)는 조선시대에 주조된 화폐로 조선의 화폐 단위인 문(文)의 교환 수단 가운데 하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상평통보 · 더보기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 閔氏, 1872년 11월 20일(음력 10월 20일) ~ 1904년 11월 5일(음력 9월 28일))는 대한제국 순종 황제의 정후(正后)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순명효황후 · 더보기 »

순흥 척화비

순흥척화비(順興斥和碑)는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순흥면사무소에 있는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순흥 척화비 · 더보기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1894년 양력 9월 19일(음력 8월 20일) ~ 1966년 양력 2월 3일)는 대한제국의 황후이자 일제 강점기의 이왕비, 이왕대비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순정효황후 · 더보기 »

오경석

오경석(吳慶錫, 1831년(순조 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 ~ 1879년(고종 16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역관, 외교관이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오경석 · 더보기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1867년부터 1918년까지 존속했던 합스부르크 왕가의 국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더보기 »

오카모토 류노스케

오카모토 류노스케(岡本 柳之助, 1852년 8월 14일 ~ 1912년 5월 14일)는 기슈 번 출신의 군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오카모토 류노스케 · 더보기 »

옥계서원 (전남)

옥계서원(玉溪書院)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옥계서원 (전남) · 더보기 »

온양온천

온양온천(溫陽溫泉)은 충남 아산시 온천동 일원에 위치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으로 1,300여 년 전 백제 때에는 탕정군, 신라 때에는 탕정주, 고려시대 때에는 온수군으로 지칭되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온양온천 · 더보기 »

현충사

현충사 본전 현충사(顯忠祠)는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있는 충무공(李忠武公) 이순신의 영정(影幀)을 갖춘 사당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현충사 · 더보기 »

최익현

익현(崔益鉉, 양력 1834년 1월 14일 / 1833년 음력 12월 5일 ~ 1907년 1월 1일)은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늑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최익현 · 더보기 »

최한기

(崔漢綺, 1803년 10월 26일 ~ 1879년 6월 21일)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최한기 · 더보기 »

최시형

시형(崔時亨, 1827년 ~ 1898년)은 조선의 종교인, 교육자, 사상가이자 동학의 제2대 교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최시형 · 더보기 »

양산 대원군 척화비

양산 대원군 척화비(梁山 大院君 斥和碑)는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소토리에 있던 대한제국시대의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양산 대원군 척화비 · 더보기 »

에른스트 오페르트

에른스트 야코프 오페르트(1832년 12월 5일 ~ 1903년 9월 19일)는 북독일 연방과 독일 제국의 상인이자 항해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에른스트 오페르트 · 더보기 »

여흥 민씨

여흥 민씨(驪興 閔氏)는 경기도 여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여흥 민씨 · 더보기 »

여흥부대부인

여흥부대부인 민씨(驪興府大夫人 閔氏, 1818년 2월 3일 ~ 1898년 1월 8일/1897년 음력 12월 16일)는 조선의 왕족이며, 대한제국 고종황제의 어머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여흥부대부인 · 더보기 »

역사 연표

역사 연표는 세계사를 적은 연표로 한국사도 포함되어 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역사 연표 · 더보기 »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아래는 KBS 1TV 《역사저널 그날》의 방영 목록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역사저널 그날의 에피소드 목록 · 더보기 »

역사채널e

역사채널e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에서 방송하는 5분 정도 길이의 단편 역사 프로그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역사채널e · 더보기 »

연령군

연령군 이훤(延齡君 李昍, 1699년 6월 13일 ~ 1719년 10월 2일 "연령군 이훤의 졸기")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연령군 · 더보기 »

연갑수

연갑수(延甲洙, 1961년 ~ 2011년 3월 4일)는 대한민국의 사학자이자 대학 교수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연갑수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허목 · 더보기 »

허건

(許楗, 1907년 6월 12일 ~ 1987년 11월 5일)은 대한민국의 동양화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허건 · 더보기 »

허욱

욱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허욱 · 더보기 »

허욱 (1827년)

욱(許煜, 1827년 ~ 1883년)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이자 흥선대원군의 가인, 측근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허욱 (1827년) · 더보기 »

엄흥도

엄흥도 영정 엄흥도 (嚴興道, ?~?) 는 조선 전기의 문신, 충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엄흥도 · 더보기 »

풍양 조씨

풍양 조씨(豐壤 趙氏)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풍양 조씨 · 더보기 »

사천 구계서원

서원(龜溪書院)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구암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사천 구계서원 · 더보기 »

사심충만 오!쾌남

《사심충만 오!쾌남》은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7월 9일까지 채널A에서 방영되었던 역사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사심충만 오!쾌남 · 더보기 »

삼대민취

삼대민취(三代民娶)는 고려, 조선 시대에 귀족, 양반 사대부가 같은 귀족, 양반 사대부 가문의 딸과 결혼하지 못하고, 양인, 평민의 딸과 결혼, 아내로 취하는 것을 말. 3대가 되도록 같은 양반 사대부가문에서 신부를 얻지 못하고, 평민의 딸을 취할 경우 양반으로 대접해주지 않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삼대민취 · 더보기 »

삼군부 청헌당

삼군부 청헌당(三軍府 淸憲堂)은 조선 말기의 군사기관이었던 삼군부의 부속 건물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삼군부 청헌당 · 더보기 »

삽교읍

삽교읍(揷橋邑)은 충청남도 예산군에 위치한 읍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삽교읍 · 더보기 »

피휘

청나라 강희제의 피휘. 강희제의 이름 현엽(玄燁)에서 마지막 획을 긋지 않았다. 이런 피휘법을 결획(缺劃)이라 한다. 피휘(避諱)는 군주나 자신의 조상의 이름에 쓰인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관습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피휘 · 더보기 »

석파정

석파정(石坡亭)은 조선시대에 세워진 정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석파정 · 더보기 »

석파정 별당

석파정 별당(石坡亭 別堂)은 조선시대의 인물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별장인 석파정에 딸린 사랑채 건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석파정 별당 · 더보기 »

석실서원

석실서원(石室書院)은 남양주에 있었던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석실서원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섭정 · 더보기 »

성삼문

성삼문(成三問, 1418년 ~ 1456년 6월 8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서, 사육신의 한 사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성삼문 · 더보기 »

세도정치

세도 정치(勢道政治)는 조선시대 왕의 신임과 직접적인 위임(委任)을 받는 형식으로 정권을 잡고 나라를 다스리던 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세도정치 · 더보기 »

서울 재동 백송

서울 재동 백송(서울 齋洞 白松)은 서울 종로구 재동에 있는 백송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울 재동 백송 · 더보기 »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서울 楊花나루와 蠶頭峰 遺蹟)은 한강의 동북쪽 강변에 있는 사적 제399호로 지정된 양화나루와 잠두봉 일원을 말. 한강의 이 지역의 교량으로는 서북쪽에 길이가 약 1.2km인 양화대교, 동남쪽에 역시 약 1.2km 짜리 당산철교가 서로 약 400m 간격으로 놓여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 더보기 »

서울 화계사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思印比丘 製作 銅鍾 - 서울華溪寺銅鍾)은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思印) 비구가 만든 사인비구 제작 동종 중의 하나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울 화계사 동종 · 더보기 »

서울 화계사 대웅전

화계사대웅전(華溪寺大雄殿)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화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울 화계사 대웅전 · 더보기 »

서울특별시의 관광

본 문서는 서울특별시의 관광에 대한 문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울특별시의 관광 · 더보기 »

서장옥

서장옥(徐璋玉, ? - 1900년)은 조선 말기의 동학 지도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장옥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재필 · 더보기 »

서천 문헌서원

문헌서원(文獻書院)은 고려 말의 학자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을 배향하기 위해 만든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천 문헌서원 · 더보기 »

서촌

서촌(西村)은 대한민국 서울의 경복궁과 서울의 내사산 가운데 서쪽 산인 인왕산 사이에 있는 지역을 뜻. 조선 시대에는 흔히 '장의동'(藏義洞, 壯義洞)이나 '장동'(壯洞)으로 불. 서촌은 창덕궁 남쪽의 교동이나 경복궁과 창덕궁 사이 북촌과 함께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동. 조선 시대엔 왕족과 사대부, 중인들의 거주지로 유명했으며, 일제 시대 이후엔 문인과 예술인들이 많이 자리잡았.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촌 · 더보기 »

서얼 금고령

서얼 금고령은 조선 시대 서자들에 대한 관직을 제한한 규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얼 금고령 · 더보기 »

서악서원

서악서원(西嶽書院)은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악서원 · 더보기 »

서원

예림서원에 있는 구영당 서원(書院)는 동아시아에서 일종의 학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원 · 더보기 »

서원 철폐

서원철폐(書院撤廢)는 조선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한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서원 철폐 · 더보기 »

송기윤

송기윤(宋基允, 1952년 7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송기윤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송준길 · 더보기 »

쇄국정책

경주박물관 척화비 쇄국정책(鎖國政策)은 말뜻은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지 않는 정책을 말하며, 정치·외교·통상에서는 이윤의 확보나 자기 방위 및 국제적 고립 상태의 유지가 불가피할 때 외국인의 입국이나 무역을 통제하는 정책을 일컫.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쇄국정책 · 더보기 »

함평 척화비

평 척화비(咸平 斥和碑)는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기각리, 함평공원 내에 있는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함평 척화비 · 더보기 »

함양 남계서원

양 남계서원(咸陽 藍溪書院)은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에 있는 조선시대 두 번째로 세워진 서원으로 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의 학덕을 기리고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이 고을의 유생 개암 강익(姜翼)을 중심으로 30여 명의 선비들이 합심하여 1552년(명종 7년) 남계(藍溪)에 건립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함양 남계서원 · 더보기 »

합하

합하(閤下)는 왕세손이나 대원군을 높여 부르던 2인칭 칭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합하 · 더보기 »

해동 (별칭)

동(海東)은 한국에 대한 별칭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해동 (별칭) · 더보기 »

해우당

영주 해우당고택(榮州 海愚堂古宅)은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의 무섬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의 고택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해우당 · 더보기 »

한복

원삼 당의 다양한 종류의 한복을 입은 행렬 한복(韓服)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복 · 더보기 »

한계원

원(1814년 ~ 1882년)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계원 · 더보기 »

한불 관계

국과 프랑스의 관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 프랑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상임이사국, 주요 8개국 정상회의(G8, Group of 8) 회원국, 세계 제6위 경제 대국,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 통합의 주도국으로서 한국 안보·경제 외교의 주요 협력 파트너 역할을 하고 있. 프랑스는 유럽연합 국가 중 한국의 제5위 교역국이자 제4위 투자국의 위치에 있. 한불관계의 시작점은 조선 시대 후기로 거슬러 올. 조선 후기에 프랑스인 선교사들이 포함된 천주교신자들을 조선정부가 탄압(병인박해)하면서 외교문제가 되었고 이를 빌미로 프랑스군대와 조선군이 격돌하는 사건 - 병인양요 - 이 일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불 관계 · 더보기 »

한국 법제의 역사

이 문서는 한국 법제의 역사(韓國 法制- 歷史)를 기술.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 법제의 역사 · 더보기 »

한국근·현대사 (교과목)

국근·현대사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 7차 교육과정으로 시행되었던 한국사 교과목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근·현대사 (교과목) · 더보기 »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한국의 천주교회는 조선 중엽에서 말기 사이에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天主實義)를 통해 ‘서학’(西學)이라는 학문으로서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신도가 늘어 외부의 선교 활동 없이 자치 교회를 세우는 데에 이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국의 성씨와 이름

국의 이름은 성(姓)과 명(名)으로 구성되며, 이를 합하여 성명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의 성씨와 이름 · 더보기 »

한국친우회

국친우회(The League of Friends of Korea)는 1919년 4월 서재필 등에 의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의 측면 지원 기관이자, 친한파, 지한파 미국인 포섭 및 확산, 한미 관계 우호의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친우회 · 더보기 »

한국사 전

《한국사 전》(한국사 傳)은 《역사기행》 종영 후 2007년 6월 16일부터 2008년 10월 25일까지 매주 토요일 밤 8시 10분부터 9시까지 KBS 1TV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사 전 · 더보기 »

한국사 연표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사 연표 · 더보기 »

한국사의 시대 구분

국의 역사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누게 되는데, 이러한 시대 구분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 한국의 역사를 시대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각 시대가 가지는 특징에 따라 여러 시기로 분류하여 지나간 시대에 대한 특성을 명확히 하여 역사 연구의 편의와 여러 가지 학문적 이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사의 시대 구분 · 더보기 »

한국통사

국통사(韓國痛史)는 박은식이 저술한 한문으로 된 한국의 민족주의 역사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국통사 · 더보기 »

한일 관계

일 관계(韓日關係)는 현재의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고대부터 있었던 한국과 일본 사이의 외교, 문화, 경제 등의 교류와 접촉을 말. 양쪽 지역에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가 생긴 삼국 시대(일본의 경우 아스카 시대) 이래로 한국과 일본은 정치적·군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교류를 주고받았고 모든 분야에 있어 상호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일 관계 · 더보기 »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2011년 12월 6일 도서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일본국 정부 간의 협정 발효에 따라 일본에서 대한민국으로 반환이 완료된 1205권의 도서 목록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일도서협정으로 반환된 도서 목록 · 더보기 »

한제국 건국사

《한제국 건국사》(韓帝國建國史)는 군사소설가 윤민혁이 쓴 작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제국 건국사 · 더보기 »

한중 관계

국과 중국 사이에서 관계의 역사는 매우 깊은데, 과거부터 고구려와 백제, 신라는 양나라, 당나라 등과 문화, 무역 교류를 하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중 관계 · 더보기 »

한영 관계

영 관계는 대한민국(및 조선과 대한제국)과 영국 간의 외교 등의 관계를 말. 영국은 한국 전쟁에 임하여 참전 16개국 중의 하나로서 군사·경제지원 등을 통해서 한국에 대한 공헌이 지대했을 뿐 아니라, 유엔을 비롯한 기타 많은 국제기구에서의 활동을 통해서 한국의 지위향상·보전 및 우호증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계속한 나라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한영 관계 · 더보기 »

안동 임천서원

안동 임천서원(安東 臨川書院)은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안동 임천서원 · 더보기 »

안동 청성서원

안동 청성서원(安東 靑城書院)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안동 청성서원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안동시 · 더보기 »

아리랑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아리랑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아산 신창 척화비

신창 척화비(新昌 斥和碑)는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아산 신창 척화비 · 더보기 »

아산시

아산시(牙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아산시 · 더보기 »

아소정

아소정(我笑亭)은 흥선대원군이 사용하던 별장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아소정 · 더보기 »

신미양요

신미양요(辛未洋擾)는 1871년 6월 1일(고종 8년 음력 4월 14일)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미양요 · 더보기 »

신단 (1832년)

신단(申檀, 1832년 8월 27일 ~ 1905년 8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대한제국의 관료이며 해공 신익희의 아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단 (1832년) · 더보기 »

신재효

신재효(申在孝, 1812년 ~ 1884년)는 조선 말의 판소리 연구가인 동시에 판소리 작가이자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재효 · 더보기 »

신응조

신응조(1804년 ~ 1899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고종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응조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신윤복

신윤복(申潤福, 1758년 ~ 1814년경)은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를 잘. 또한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윤복 · 더보기 »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은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과가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신탁 통치 반대 운동 · 더보기 »

심이택 (1832년)

심이택(沈履澤, 1832년 ~ 189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송이고, 형조판서 심의면(沈宜冕)의 아들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심이택 (1832년) · 더보기 »

심의면

심의면(沈宜冕, 1808년 ~ 186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주경(周卿), 본관은 청송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심의면 · 더보기 »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Simon Marie Antoine Just Ranfer de Bretenieres, 1838년 2월 28일 ~ 1866년 3월 7일)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프랑스인 선교사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시몽 마리 앙투안 쥐스트 랑페르 드 브르트니에르 · 더보기 »

시흥동 (서울)

시흥동(始興洞)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시흥동 (서울) · 더보기 »

원귀임

원귀임 마리아(元貴任, 1819년 ~ 1839년 7월 20일)은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원귀임 · 더보기 »

훈련도감

훈련도감(訓鍊都監)은 1593년(선조 26년) 임진왜란 중 임금의 수도 환궁 직후 명나라 전략가 척계광의 저서인 기효신서를 참고로 창설된 수도방위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훈련도감 · 더보기 »

훈몽재 유지

훈몽재 유지(訓蒙齋 遺址)는 전라북도 순창군 쌍치면 둔전2길 83에 있는 하서 김인후의 교육에 관련된 유적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훈몽재 유지 · 더보기 »

월봉서원

월봉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고봉 기대승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호남 유생들이 1578년(선조 11)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세운 서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월봉서원 · 더보기 »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1835년 1월 10일 ~ 1901년 2월 3일) 는 일본 개화기의 계몽사상가, 교육가, 저술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후쿠자와 유키치 · 더보기 »

홍계훈

홍계훈(洪啓薰, 1842년 ~ 1895년)은 조선 후기의 무장으로 초명은 재희(在熙), 본관은 남양(南陽).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계훈 · 더보기 »

홍봉주

홍봉주(洪鳳周, ?~1866년)는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이며, 본관은 예산(禮山)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봉주 · 더보기 »

홍대용

홍대용(洪大容, 1731년 5월 12일 ~ 1783년 11월 17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대용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우원 · 더보기 »

홍순목

홍순목 홍순목(洪淳穆, 1816 - 1884)은 조선 순조·고종 시대의 문신, 정치인이며 개화파 지도자 홍영식의 아버지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순목 · 더보기 »

홍영식

홍영식 홍영식(洪英植, 1856년 2월 5일(1855년 음력 12월 29일) ~ 1884년 12월 7일(1884년 음력 10월 20일))은 조선 말기의 문신, 외교관, 시인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영식 · 더보기 »

홍성 대원군 척화비

흥선 대원군 척화비(洪城 大院君 斥和碑)은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오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척화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홍성 대원군 척화비 · 더보기 »

황현

황현(黃玹, 1855년 음력 12월 11일(양력 1856년 1월 18일) ~ 1910년 9월 7일)은 대한제국 조선 왕조 말기의 선비로 시인, 문장가, 역사가, 우국지사이며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황현 · 더보기 »

황선홍

황선홍 (黃善洪, 1968년 7월 14일, 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축구 지도자이다. 가장 최근에 지휘봉을 잡고 있었던 팀은 FC 서울이다.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황선홍 · 더보기 »

환곡

환곡(還穀)은 조선 시대에 있었던 구휼(救恤) 제도 가운데 하나로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풍년·추수기에 되받는 진휼제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환곡 · 더보기 »

화도읍

화도읍(和道邑)은 경기도 남양주시의 동부에 있는 읍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화도읍 · 더보기 »

화계사

화계사(華溪寺)는 서울 강북구 수유동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화계사 · 더보기 »

완창군

완창군 이시인(完昌君 李時仁, 1805년 5월 2일 ~ 1843년 3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 문신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완창군 · 더보기 »

완친왕

완친왕(完親王, 1868년 5월 31일 ~ 1880년 1월 12일)은 조선의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자이며 추존 친왕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완친왕 · 더보기 »

완성군

완성군 이희(完城君 李爔, 1771년 10월 9일 ~ 1830년 6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문신이며, 도정궁(都正宮) 사손(嗣孫)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완성군 · 더보기 »

왕도의 개

《왕도의 개》()는 야스히코 요시카즈의 만화 작품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왕도의 개 · 더보기 »

왕작

작위로서의 왕(王)은 왕작(王爵)이라고도 부르며, 황제가 그 아들이나 형제 또는 공신에게 내리는 작위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왕작 · 더보기 »

10월 28일

10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1번째(윤년일 경우 30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0월 28일 · 더보기 »

12월 21일

12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5번째(윤년일 경우 35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2월 21일 · 더보기 »

1820년

182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20년 · 더보기 »

1860년대

1860년대는 유럽, 미국 등 세계 전체에서,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변화가 있었던, 극심한 변화의 시기였.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60년대 · 더보기 »

1868년

1868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68년 · 더보기 »

1873년

187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73년 · 더보기 »

1882년

188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82년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85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94년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898년 · 더보기 »

19세기

세실 존 로드의 케이프-카이로 철도 계획을 풍자한 그림. 영국의 아프리카 남북 분할의 상징이다. 제1차 아편 전쟁의 전투기록화 19세기(- 世紀)는 1801년부터 1900년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19세기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2월 22일 · 더보기 »

5월 9일

5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9번째(윤년일 경우 130번째), 뒤에서부터는 2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5월 9일 · 더보기 »

9월 6일

9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49번째(윤년일 경우 25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흥선대원군와 9월 6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궁도령, 대원위, 대원왕, 대한제국 헌의왕, 대한헌의대원왕, 이하응, 조선 국태공, 석파 이하응, 흥선 대원군, 흥선군, 흥선대원군 이하응, 흥선헌의대원왕, 헌의대원왕, 헌의왕, 해동거사, 해동거사 이하응.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